KR102355087B1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5087B1 KR102355087B1 KR1020190167410A KR20190167410A KR102355087B1 KR 102355087 B1 KR102355087 B1 KR 102355087B1 KR 1020190167410 A KR1020190167410 A KR 1020190167410A KR 20190167410 A KR20190167410 A KR 20190167410A KR 102355087 B1 KR102355087 B1 KR 102355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ball
- module
- elevating
- transf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바닥부,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승하강 조립체, 케이스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 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호퍼 케이스 및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Baseball training ba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a hopper assembly, a transport assembly, an elevating assembly, a case and a control module, the hopper assembly,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store a plurality of balls and a first motor assembly for rotating the hopper case and the bottom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티대에 공을 자동으로 안착시켜 타자의 배팅 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ing practi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ing practice device for baseball training configured to facilitate batting practice by a batter by automatically placing a ball on a tee.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 동호회를 구성하여,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As the leisure population increases, members of the general society are forming various sports clubs, not only watching sports, but also moving their bodies and running to strengthen friendship and improve their health.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르거나 체력 단력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For example, a baseball team, a soccer team, or a basketball team, which are members of society, meet regularly or irregularly at the stadium to play a game, or improve their performance through physical strength or skill practice.
한편,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 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 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aseball among various sports, batting practice is essential. In general batting practice, for example, a technical coach throws a ball to a striker and the striker uses a bat to hit the ball.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However, this manpower method requires at least a person to throw the ball, and in particular carries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즉,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at is, if the ball hit by the striker flies to the thrower or misses the bat when hitting, there is a problem that a very serious injury may occur.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볼 타격연습 기계가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동부재와, 일단부가 가동부재에 고정되며 반대단부에서 볼을 구비하는 볼 지지아암을 구비한 볼 타격연습 기계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ball striking practice machine, specifically, a ball striking practice machine having a movable member and a ball support arm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ovable member and having a ball at the opposite end. Only disclosed,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혼자서도 배팅 연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티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공을 공급할 수 있는 재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o provide a re-assimilation batting practic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a ball to a user through a tee so that batting practice can be practiced alon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내부에 수용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은 상기 공을 상기 배출공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배출공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호퍼 조립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공급받은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조립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 조립체; 상기 바닥부,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를 보호하는 케이스; 및 상기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 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호퍼 케이스 및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A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a hopper assem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art,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ball accommodated therein is formed on one side, and a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to guide the ball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a transfer assembly for vertically transferring the ball supplied from the discharge hole; an elevating assembly including a tee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ball received from the transfer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ee to enable tee betting; a case for protecting the bottom part, the hopper assembly, the transport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opper assembly, the transfer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wherein the hopper assembly includes a first for rotating the hopper case and the bottom surface in which a receiving part is formed to store a plurality of balls includes a motor assembly.
상기 이송 조립체는, 상기 바닥부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가이드;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기 이송모듈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제2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최하단인 제1 위치에서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공을 전달받아 최상단인 제2 위치까지 수직 이동한 후 상기 공을 상기 승하강 조립체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port assembly may include: a transport guid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transfer module formed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guide to transfer the ball received from the hopper assembly in the upper direction; and a second motor assembly for generating movement po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nsfer module, wherein the transfer module receives the ball from the hopper assembly at the lowest first position and vertically moves to the uppermost second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deliver the ball to the elevating assembly.
상기 이송 조립체는, 상기 배출공 및 상기 이송모듈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의 상기 이송모듈로의 전달을 조절하는 개폐모듈; 및 상기 이송모듈 상에 상기 공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fer assembly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module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and the transfer module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ball to the transfer module; and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all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배출공에 위치한 공이 상기 이송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개폐모듈이 회동하여 상기 공은 상기 이송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이송모듈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송모듈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closing module is formed to block movement of the ball located in the discharge hol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assembly, and when the transfer module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ning/closing module rotates and the ball moves in the transfer assembly direction to be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and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second motor assembly to move the transfer module to the second position do.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이송모듈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ransfer module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sensor does not detect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first motor assembly to rotate the floor surface do.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와 결합되되 상부에는 상기 호퍼 조립체와 대응되는 제1 개방영역 및 상기 이송 조립체와 승하강 조립체와 대응되는 제2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개방영역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서브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may include a lower case coupled to the bottom;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having a first open area corresponding to the hopper assembly and a second open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and a sub-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so as to cover a portion of the second open area.
상기 서브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과 결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개방영역 중 상기 이송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모듈에 안착된 공을 상기 승하강 조립체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배출부재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안착된 공의 하부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공을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덮개부재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된 공의 상기 승하강 조립체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case may include a frame me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 cover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assembly among the second open areas; and a discharge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and discharges the ball seated on the conveying module toward the elevating assembly. The ball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modul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lower part of the ball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by rotating upward at a preset angle, and the cover member rotates at a preset angle to win the separated ball. It is desirable to guid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ing assembly.
상기 승하강 조립체는, 상기 바닥부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승하강 가이드; 상기 승하강 가이드를 따라 최하단인 제3 위치 및 최상단인 제4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모듈; 상기 승하강모듈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티대; 및 상기 승하강모듈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제3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모듈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송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 상단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assembly may include: an elevating guid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 elevating module form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 third position as the lowest end and a fourth position as the uppermost end along the elevating guide; a tee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module; and a third motor assembly for generating movement po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module, wherein when the elevating module is located in the third position, the ball received from the transfer assembly is preferably seated on the top of the tee do.
상기 승하강 조립체는 상기 승하강모듈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티대 상단에 공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티대 상단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3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모듈을 상기 제4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all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ee when the elevating module is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wherein the second sensor is the ball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ee When detecting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third motor assembly to move the elevating module to the fourth position.
상기 승하강 조립체는 사용자가 상기 티대에 안착된 공을 배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배팅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3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모듈을 상기 제3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ng assembly further includes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has placed a bet on the ball seated on the tee, and when the third sensor detects that the user's betting is complete, the control module is 3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motor assembly to move the elevating module to the thir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호퍼 조립체에 수용된 공을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로 순차적으로 자동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타격 연습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uring hitting practice by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ball accommodated in the hopper assembly to the transfer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in seque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서 이송모듈의 이동에 따른 개폐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서 공이 이송 조립체로부터 승하강 조립체로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성 중 승하강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internal side views of the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odule in the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ball from the transfer assembly to the elevating assembly in the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assembly d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 호퍼 조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승하강 조립체(400), 케이스(500)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Baseball training batting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제어모듈은 호퍼 소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및 승하강 조립체(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후술할 각종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제어패널(511)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구성들의 세부 내용의 설명시 함께 언급하도록 한다. The control module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hopper
바닥부(100)는 상부에 호퍼 조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승하강 조립체(400) 및 케이스(500) 등을 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퀴(110) 및 고무지지대(1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바퀴(110)는 바닥부(10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이며, 고무지지대(120)는 바닥부(100)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즉, 도 2와 같이 바퀴(100) 및 고무지지대(120)를 각각 2개씩 구성함으로써 평소에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를 지상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바닥부(100)의 하부 타측을 살짝 들을 후 바퀴(1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by configuring two each of the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의 하부에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열홈을 통하여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내부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케이스(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 호퍼 조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및 승하강 조립체(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 케이스(510), 상부 케이스(520) 및 서브 케이스(530)로 구성된다. The case 500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하부 케이스(510)는 바닥부(10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측면에는 장치 내부 구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사이드 도어(512)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장치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패널(511)이 배치될 수 있다. The
상부 케이스(520)는 하부 케이스(510)의 상부와 결합되되 상부에는 호퍼 조립체(200)와 대응되는 제1 개방영역과, 이송 조립체(300)와 승하강 조립체(400)와 대응되는 제2 개방영역이 형성된다. The
특히 상부 케이스(520)의 후면부, 즉 상술한 제어패널(511)가 대향되는 위체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521)가 배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
아울러, 상부 케이스(520)에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타격 폼을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와의 연동을 통하여 연습장치를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서브 케이스(530)는 상술한 제2 개방영역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52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호퍼 조립체(200)는 공(10)을 수용하여 후술할 이송 조립체(300)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20), 호퍼 케이스(230), 배출공(210) 및 제1 모터 조립체(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호퍼 케이스(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 개의 공(10)을 저장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공(210)은 호퍼 케이스(230)의 일측, 즉 후술할 이송 조립체(300) 측에 형성되어 호퍼 케이스(230) 내부에 수용된 공(10)을 상기 이송 조립체(300) 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The
바닥면(220)은 호퍼 케이스(2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호퍼 케이스(2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호퍼 케이스(230)에 수용된 공(10)의 배출공(210)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공(2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 모터 조립체(240)는 상기 바닥면(20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호퍼 케이스(230) 내부에 수용된 공(10)이 엉켜있어서 배출공(210)으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제어모듈은 제1 모터 조립체(240)를 구동시켜서 바닥면(22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10)을 배출공(210)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The
이송 조립체(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으로부터 공급받은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이송 가이드(310), 이송모듈(320) 및 제2 모터 조립체(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이송 가이드(310)는 하부가 바닥부(100)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송모듈(320)은 이송 가이드(3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호퍼 조립체(200)로부터 전달받은 공(10)을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구체적으로, 이송모듈(320)은 최하단인 제1 위치에서 호퍼 조립체(200)로부터 공(10)을 전달받아 최상단인 제2 위치까지 수직 이동한 후 공(10)을 승하강 조립체(4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따라서 이송모듈(320)은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으로부터 공(10)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아 안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송모듈(320)의 상하 이동시 공(10)이 탈락되지 않도록 중간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제2 모터 조립체(330)는 이송모듈(320)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구체적으로 이송 가이드(310)의 하부에는 제2 모터 조립체(330)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하부 풀리가 배치되며, 이송 가이드(310)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가 배치되고, 나아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가 마련되며, 상술한 이송모듈(320)은 벨트부재와 고정 결합된다. Specifically, a lower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제2 모터 조립체(330)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부재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움직이고, 이로 인하여 이송모듈(3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특히, 본 발명의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서는 이송모듈(320)의 위치 검출이 중요하므로, 이송모듈(320)의 정확한 위치의 검출을 위하여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이송모듈 검출용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한편 이송모듈(320)이 제1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10)이 이송 조립체(300) 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를 위하여 이송 조립체(300)는 개폐모듈(3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개폐모듈(340)은 배출공(210) 및 이송모듈(32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공(10)이 이송 조립체(300)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개폐모듈(3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이송 가이드(310) 등의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개폐부재와, 상기 제1 개폐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제1 개폐부재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개폐부재와, 상기 제1 개폐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송 가이드(310)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롤러부(34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opening/
이러한 개폐모듈(340)은 평상시, 즉 이송모듈(320)이 제1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부재가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 일부를 막고 있어서 공(10)이 배출공(210)으로부터 이송모듈(320)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is opening/
이후 이송모듈(320)이 다른 위치에서부터 제1 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이송모듈(320)의 하부가 롤러부(341)를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하여 개폐부재(340)는 제1 개폐부재의 일측의 회전축(34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2 개폐부재가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배출공(210)의 공(10)이 이송모듈(320) 상에 안착하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한편, 이송 조립체(300)는 이송모듈(320) 상에 공(10)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센서(3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센서(350)가 이송모듈(320) 상에 안착된 공(10)을 검출할 경우 제어모듈은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여 이송모듈(32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반면, 제1 센서(350)가 이송모듈(320) 상에 안착된 공(10)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 일단 제어모듈은 호퍼 조립체(200) 내부에서 공(10)이 엉켜있어서 공(10)이 배출공(210)으로부터 토출되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모터 조립체(240)를 구동시켜 바닥면(220)을 회전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 제어모듈은 제1 모터 조립체(240)을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바닥면(220)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모터 조립체(240)의 수차례 구동에도 불구하고 제1 센서(250)가 이송모듈(320) 상의 공(10)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면 제어모듈은 호퍼 조립체(100) 내에 공(10)이 없거나 또는 다른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rotate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모듈(320)에 공(10)이 안착되는 것이 확인되면, 이송모듈(320)은 제1 위치에서 상단의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이후 이송모듈(320)에 안착된 공(10)이 승하강 모듈(400)로 전달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때 상술한 서브 케이스(530)가 활용되는데 이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서브 케이스(5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개방영역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52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531), 덮개부재(532) 및 배출부재(5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ub-case 5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프레임부재(531)는 상부 케이스(520)의 상면 하부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덮개부재(532)는 프레임부재(53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개방영역 중 이송 조립체(300)와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The
배출부재(53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프레임부재(531)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아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배출수단(536)과, 상기 배출수단(536)의 중간 부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부재(531)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롤러부(53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이러한 배출부재(533)는 평상시, 즉 이송모듈(320)이 제2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수단(533)의 길이 방향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덮개부재(532)는 제2 개방영역 중 이송 조립체(300)와 대응되는 영역을 폐쇄한다. The
이후 이송모듈(320)이 다른 위치에서부터 제2 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이송모듈(320)의 상부가 롤러부(534)를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하여 배출수단(536)은 배출수단(536)의 일측의 회전축(5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n, when the
이로 인하여 배출수단(536)의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송모듈(320)에 안착된 공(10)의 하부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공(10)을 이송모듈(32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동시에 덮개부재(532)는 공(10)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하며, 이때 공(10)은 덮개부재(532)의 내측면에 의하여 승하강 조립체(400) 방향으로 안내된다. Due to this,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means 536 rotates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승하강 조립체(400)는 이송 조립체(300)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티대(430) 상단에 안착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elevating
이러한 승하강 조립체(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가이드(410), 승하강모듈(400), 티대(430) 및 제3 모터 조립체(4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elevating
승하강 가이드(410)는 하부가 바닥부(100)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며, 승하강 모듈(420)은 승하강 가이드(410)를 따라 최하단인 제3 위치와 최상단인 제4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성이다. The elevating
티대(430)는 승하강모듈(420)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공(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3 모터 조립체(440)는 승하강모듈(420)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구체적으로 승하강 가이드(410)의 하부에는 제3 모터 조립체(440)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하부 풀리가 배치되며, 승하강 가이드(410)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가 배치되고, 나아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가 마련되며, 상술한 승하강모듈(420)은 벨트부재와 고정 결합된다. Specifically, a lower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제3 모터 조립체(440)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부재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움직이고, 이로 인하여 승하강모듈(4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티대(43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한편, 승하강 조립체(400)가 상술한 이송 조립체(300)로부터 공(10)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승하강 모듈(420)이 상술한 제3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이며, 이때 이송 조립체(300)로부터 공급되는 공(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대(430) 상부에 안착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elevating
아울러 승하강 조립체(400)는 승하강모듈(420)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티대(430) 상단에 공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즉, 제2 센서(450)가 티대(430) 상단에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은 제3 모터 조립체(440)를 구동시켜 승하강모듈(42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at is, when the
이러한 티대(430)의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상술한 제4 위치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키를 고려하여 제어패널(511)에 의하여 입력된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The moving distanc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아울러 티대(43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 후 정지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티대(430) 상단의 공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모듈(420)이 다시 제3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hits the ball on the top of the
상술한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타격 수행 여부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센서는 티대 내부의 중공에 배치된 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티대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또는 위치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hitting by the user is performed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is third sensor may be composed of an optical sensor disposed in the hollow inside the tee, 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tee It may be configured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position sensor for sensing.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각 구성들의 설명에 기초하여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a batting practice device for baseball training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batting practice device for baseball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먼저 최초 구동시 제어모듈은 이송모듈(320)이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고, 승하강모듈(420)이 제3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 모터 조립체(440)를 제어한다. First, when initially driven,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이때 개폐모듈(340)이 회전하면서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에 배치된 공(10)이 이송모듈(320)의 상부에 안착된다. At this time, as the opening/
이후 제1 센서(350)에 의하여 이송모듈(320)에 공(10)의 안착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모듈은 이송모듈(320)이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고, 이때 배출부재(533)의 회전에 의하여 공(10)이 이송모듈(320)로부터 탈락됨과 동시에 덮개부재(532)의 개방에 의하여 공(10)이 승하강모듈(420)로 이동하여 티대(430) 상부에 공(10)이 안착된다.After that, w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이후 제2 센서(450)에 의하여 티대(430) 상단에 공(10)의 안착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모듈은 승하강모듈(420)이 제4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 모터 조립체(440)를 제어한다. After that, when it is confirmed by the
이후 제3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티대(430) 상단의 공(10)의 타격을 검출하게 되면, 제어모듈은 승하강모듈(420)이 다시 제3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3 모터 조립체(440)를 제어한다. After that, when the user detects a hit of the
한편, 이송모듈(320)이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공(10)을 승하강 조립체(400)로 전달한 후 제어모듈은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여 이송모듈(320)이 다시 제1 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는 승하강모듈(420)이 제4 위치로 이동하기 직전이나,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승하강모듈(420)이 제3 위치로 복귀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바닥부
200: 호퍼 조립체
300: 이송 조립체
400: 승하강 조립체
500: 케이스100: bottom
200: hopper assembly
300: transport assembly
400: elevating assembly
500: case
Claims (10)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내부에 수용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호퍼 조립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공급받은 공을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조립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 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호퍼 케이스 및 바닥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조립체는, 상기 바닥부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가이드;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제2 모터 조립체; 및 상기 이송모듈 상에 상기 공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최하단인 제1 위치에서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공을 전달받아 최상단인 제2 위치까지 수직 이동한 후 상기 공을 상기 승하강 조립체로 전달하고,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황에서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이송모듈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bottom;
a hopper assem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art and having a discharge hole on one side for discharging the ball accommodated therein;
a transfer assembly for transferring the ball supplied from the discharge hole in an upward direction;
an elevating assembly including a tee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ball received from the transfer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ee to enable tee betting;
including,
The hopper assembly includes a first motor assembly for rotating the hopper case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so as to store a plurality of balls,
The transport assembly may include: a transport guid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transfer module formed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transfer guide to transfer the ball received from the hopper assembly in the upper direction; a second motor assembly for generating movement po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ansfer module; and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all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The transfer module receives the ball from the hopper assembly at the first position, which is the lowest end, and vertically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uppermost stage, and then transfers the ball to the elevating assembly,
When the first sensor does not detect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in a situation where the transfer module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first motor assembly to rotate the floor surface for baseball training batting practice device.
상기 배출공 및 상기 이송모듈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의 상기 이송모듈로의 전달을 조절하는 개폐모듈;
을 더 포함하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ort assembly comprises:
an opening/closing module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and the transfer module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ball to the transfer module;
Batting practice device for baseball training further comprising a.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배출공에 위치한 공이 상기 이송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개폐모듈이 회동하여 상기 공은 상기 이송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이송모듈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이송모듈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opening/closing module is formed to block the ball located in the discharge hole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assembly,
When the transfer module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ning/closing module rotates so that the ball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assembly and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second motor assembly to move the transfer module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바닥부,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를 보호하는 케이스; 및
상기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se for protecting the bottom part, the hopper assembly, the transport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opper assembly, the transfer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Batting practice device for baseball training further comprising a.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와 결합되되 상부에는 상기 호퍼 조립체와 대응되는 제1 개방영역 및 상기 이송 조립체와 승하강 조립체와 대응되는 제2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제2 개방영역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서브 케이스;
를 포함하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ase
a lower case coupled to the bottom;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the upper case having a first open area corresponding to the hopper assembly and a second open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assembly and the elevating assembly; and
a sub-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to cover a portion of the second open area;
A batting practice device for baseball training comprising a.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과 결합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개방영역 중 상기 이송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모듈에 안착된 공을 상기 승하강 조립체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배출부재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모듈에 안착된 공의 하부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공을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덮개부재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된 공의 상기 승하강 조립체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b-case,
a fram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 cover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assembly among the second open areas;
a discharge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and discharging the ball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toward the elevating assembly;
Including, when the transfer module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discharge member rotates upward at a preset angle to separate the ball from the transfer modul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seated on the transfer module,
The cover member rotates at a preset angl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parated ball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ng assembly for baseball training.
상기 바닥부와 고정 결합되는 승하강 가이드;
상기 승하강 가이드를 따라 최하단인 제3 위치 및 최상단인 제4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모듈;
상기 승하강모듈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티대; 및
상기 승하강모듈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제3 모터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모듈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송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 상단에 안착되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assembly,
an elevating guid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an elevating module form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 third position as the lowest end and a fourth position as the uppermost end along the elevating guide;
a tee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module; and
a third motor assembly for generating movement po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module;
including,
When the elevating module is located in the third position, a baseball training batting practice device in which the ball received from the transfer assembly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ee.
상기 승하강 조립체는 상기 승하강모듈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티대 상단에 공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티대 상단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3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모듈을 상기 제4 위치로 이동시키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evating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all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ee when the elevating module is located in the third position;
When the second sensor detects that the ball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ee,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third motor assembly to move the elevating module to the fourth position.
상기 승하강 조립체는 사용자가 상기 티대에 안착된 공을 배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배팅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3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모듈을 상기 제3 위치로 이동시키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vating assembly further includes;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bets the ball seated on the tee,
When the third sensor detects that the user's batting is complete, the control module drives the third motor assembly to move the elevating module to the third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410A KR102355087B1 (en) | 2019-12-16 | 2019-12-16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410A KR102355087B1 (en) | 2019-12-16 | 2019-12-16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6344A KR20210076344A (en) | 2021-06-24 |
KR102355087B1 true KR102355087B1 (en) | 2022-01-25 |
Family
ID=7660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410A KR102355087B1 (en) | 2019-12-16 | 2019-12-16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508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03562A1 (en) * | 2010-02-25 | 2011-08-25 | Benny Donald Mashburn | Portable Batting Device and Method |
KR101879814B1 (en) * | 2018-03-20 | 2018-07-19 | 남지현 | Auto tee up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2647A (en) | 1996-02-20 | 1999-11-25 | 엘 린덴 크레이그 | Ball practice batting machine |
KR102050280B1 (en) * | 2017-12-14 | 2019-11-29 | 김무성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
2019
- 2019-12-16 KR KR1020190167410A patent/KR10235508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03562A1 (en) * | 2010-02-25 | 2011-08-25 | Benny Donald Mashburn | Portable Batting Device and Method |
KR101879814B1 (en) * | 2018-03-20 | 2018-07-19 | 남지현 | Auto tee up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6344A (en) | 2021-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6986B2 (en) | Ball return device and method of using | |
KR102050280B1 (en)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
US20170348582A1 (en) | Ball game-related training system | |
US10245489B2 (en) |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 |
KR101248830B1 (en) | feeding device for golf ball | |
CN104888440B (en) | The automatic practice system of golf | |
CN108159672B (en) | Automatic tennis serving equipment | |
US20200298087A1 (en) |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 |
WO1995032033A1 (en) | Programmable ball ejection machine | |
US20110136595A1 (en) | Catching machine | |
KR101879814B1 (en) | Auto tee up device | |
US5297797A (en) | Golf ball step-feeding self-teeing device | |
KR102355087B1 (en)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
KR101722163B1 (en) | A pitching machine for screen baseball and screen baseball system comprising therefore | |
KR200470337Y1 (en) | Tennis Serve Trainning Device for Beginner | |
CN214335871U (en) | Ball-hitting fighting game device | |
KR101389157B1 (en) | Automatic baseball training device | |
KR101220934B1 (en) | Batting Practice Apparatus | |
KR101815131B1 (en) | Automatic ball shooting machine | |
KR102619395B1 (en) |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 |
KR20170000342U (en) | batting practicing apparatus | |
WO2021125364A1 (en) |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 |
KR200484614Y1 (en) | Apparatus supplying with ball | |
KR20100095764A (en) | Arcade game machine | |
JP4243311B1 (en) | Toss batt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