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814B1 - Auto tee up device - Google Patents

Auto tee up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814B1
KR101879814B1 KR1020180032140A KR20180032140A KR101879814B1 KR 101879814 B1 KR101879814 B1 KR 101879814B1 KR 1020180032140 A KR1020180032140 A KR 1020180032140A KR 20180032140 A KR20180032140 A KR 20180032140A KR 101879814 B1 KR101879814 B1 KR 10187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unit
sensor
hold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지현
Original Assignee
남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지현 filed Critical 남지현
Priority to KR102018003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14B1/en
Priority to PCT/KR2019/003031 priority patent/WO20191822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 tee up devi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uto tee up device capable of stably and continuously supplying a ball by independent contr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 tee up device includes: a ball supply unit accommodating multiple balls and supplying an accommodated ball; a ball transfer unit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ball to an outer position capable of being hit by receiving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unit and sensing the existence of the ball in the position capable of being hit, wherein the ball transfer unit transfers the ball to the position capable of being hit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of the ball; and a housing unit divided into a first area accommodating the ball supply unit and a second area accommodating the ball transfer unit, wherein the housing unit is formed in an integrated manner.

Description

오토 티업 장치{AUTO TEE UP DEVICE}[0001] AUTO TEE UP DEVICE [0002]

본 발명은 오토 티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tie-up device.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 동호회를 구성하여,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르거나 체력 단력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As the leisure population grows, ordinary members of society also organize various sports clubs, not just watching sporting events, but also moving themselves, promoting friendship, and promoting health. For example, a baseball team, a soccer team, or a basketball team, which is a social group, regularly or irregularly collects in the arena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through physical strength training and technical training.

한편,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 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 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betting practice is essential for baseball in many sports. In general, the practice of betting proceeds in such a way that, for example, the technical coach throws the ball to the batter and the batter hits the ball with the bat.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를 테면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이다. 타격된 공에 머리나 눈 등을 맞으면 뇌진탕이나 실명 또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However, this type of workforce requires at least a person to throw the ball, especially 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For example, if the batter hits the ball, the ball may fly to the person throwing the ball, or if the batter misses the bat, he or she may be seriously injured. If you hit your head or eye with a hit ball, you may have a concussion, blindness or death.

이에 따라, 타격 연습을 위한 자동 티업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tomatic tie-up device for batting pract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을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독립 제어에 의한 공급이 가능한 오토 티업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tie-up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balls continuously and stably and supplying them by independent contr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는, 다수의 공을 수용하고, 수용된 공을 공급하기 위한 공 공급부; 상기 공 공급부로부터 공을 제공 받아 외부의 타격 가능한 위치에 자동 이송시키되, 상기 타격 가능한 위치에 공의 유무를 감지하고, 공의 유무에 따라 상기 타격 가능한 위치로 공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공 이송부; 및 상기 공 공급부를 수용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공 이송부를 수용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부 포함한다.An auto-ti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l supply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alls and supplying the balls; A ball transfer unit for receiving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unit and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ball to an external hitable position, sens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ball at the battable position, and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ball to the battable position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nd a housing part divided into a first area for accommodating the hole supply part and a second area for accommodating the hole transportation part.

또한, 상기 공 공급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서 내부로 원통형으로 이어지는 공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내부 측면 하부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공 수용통; 상기 공 수용통의 바닥면을 이루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공 이송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원반 형태의 공 회전판; 상기 공 회전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 회전판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가이드 홀과 연결되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공 공급부에서 상기 공 이송부로 공을 전달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n air supply cylinder provided with a cylindrical airtight spac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a guide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A disk-shaped bobbin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container and inclined toward the ball transporting unit about a rotation axis; A first moto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for rotat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guide hole and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to transmit a hole from the hole supplying unit to the hole conveying unit.

또한, 상기 공 이송부는, 상기 공 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제1 지점까지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직 이동 장치부; 상기 제1 수직 이동 장치부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제1 지점에 거치시키기 위한 공 거치부; 및 상기 제1 지점에 거치된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일체형 하우징부의 외부의 제2 지점에 거치시키기 위한 제2 수직 이동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transport unit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for moving the balls received from the ball supply unit to a first point in a vertical direction; A mounting unit for receiving the ball from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and mounting the ball at a first point; And a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ball placed at the first point to mount the ball at a second point outside the integral housing part.

또한, 상기 제1 수직 이동 장치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모터; 상기 제1 스프로킷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체인에 일정 간격 마다 설치되고, 상기 공 공급부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거치하기 위해 테두리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링 형태의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vement device may include: a first sprocket dispos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sprocket; A chain connected to said first sprocket; And a ring-shaped grip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hain and has an opening portion with a part of the rim for receiving and receiving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portion.

또한, 상기 공 거치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으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상기 제1 지점에 거치시키기 위한 링 형태의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로부터 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체인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그립이 지나가는 경우 상기 그립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관통하면서 상기 그립으로부터 공을 인계 받아 상기 제1 홀더로 낙하시켜 전달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ring-shaped first hold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for receiving the ball from the grip and mounting the ball at the first point; And a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holder to be inclined upward, and when the grip passing by the chain passes, the grip passes through the opening and takes over the ball from the grip and falls into the first holder for delivery And may include a second guide member.

또한, 상기 제2 수직 이동 장치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 스프로킷; 상기 제2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 모터; 상기 제2 스프로킷에 연결된 밸트; 상기 밸트에 연결된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홀더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수직 이동하고, 수직 상승 이동 시 상기 제1 홀더에 거치된 공을 인계하여 상기 제2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티대를 포함하고, 상기 공 거치부는, 상기 제1 홀더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티대가 관통되는 관통 홀을 갖는 링 형상의 제2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티대는, 상기 티대의 하단부가 상기 제2 홀더의 관통 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티대가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procket dispos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A third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sprocket; A belt connected to the second sprocket;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elt; And a second holder which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older and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moves vertically by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empty holder further comprises a ring-shaped second holder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e passes, wherein the tee includes a lower portion A diameter of the stopper may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holder to restrict movement of the tee to the second point.

또한, 상기 제2 수직 이동 장치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1 홀더와 나란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점에서 공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점에서 공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티대가 수직 상승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한 후 공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티대를 수직 하강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동작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제3 모터가 상기 티대를 수직 하강시키는 동작을 완료하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reg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lder,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t the first point; And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t the second point, wherein when the third sensor detects that the ball exists through the first sensor, Wherein the second sensor is operative to vertically raise and lower the platform vertical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ball is not present after sensing the ball exists through the second sensor, And when the third motor completes the operation of vertically lowering the tray, the operation can be started.

또한, 상기 공 공급부와 공 이송부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 공급부와 공 이송부의 원격 독립 제어를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all feeding unit and the ball feed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for receiving the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independent supply of the cooperating unit and the common transfer unit.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부에 설치된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는 2D 센서 및 2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3 센서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외부 단말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The third senso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2D sensor and a two-axis senso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data sensed through the third sensor to the outside And can wirelessly transmit to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공을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독립 제어에 의한 공급이 가능한 오토 티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tie-up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balls continuously and stably and supplying them by independent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정면도, 후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공 공급부(제1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공 이송부(제2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n auto-ti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side view of the auto-tie-dow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plan view of an automatic ti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n auto-ti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le supplying portion (first region) of the auto-ti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blank transferring part (second area) of the auto-tie-dow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정면도, 후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공 공급부(제1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의 공 이송부(제2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side view of an automatic ti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n automatic ti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tie-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gion) of the automatic tie-dow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lank transfer portion (second region) of the auto-ti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티업 장치(1000)는 공 공급부(1100), 공 이송부(1200), 하우징부(1300) 및 제어부(1400)를 포함한다. 더불어, 오토 티업 장치(1000)는 무선 통신부(1500), 제3 센서(1600) 및 전원부(1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10, an automatic tie-up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l supply unit 1100, a ball transfer unit 1200, a housing unit 1300, and a control unit 1400. In addition, the auto-tie-up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0, a third sensor 1600, and a power source unit 1700.

본 실시예의 오토 티업 장치(1000)는 하우징부(1300)를 기준으로 제1 영역(1310)과 제2 영역(13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영역(1310)은 공 공급부(1110)가 수용 설치되고, 제2 영역(1320)은 공 이송부(1200)가 수용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310 and the second region 13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310 and a second region 132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ortion 1300. The first region 13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310 and a second region 1320, And the second region 1320 can accommodate and install the empty transfer portion 1200.

상기 공 공급부(1100)는 다수의 공을 수용하고, 수용된 공을 공 이송부(12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 공급부(1100)는 공 수용통(1110), 공 회전판(1120), 제1 모터(1130) 및 제1 가이드 부재(1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supply unit 1100 may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lls and may supply the ball to the ball transfer unit 1200. The ball supply unit 1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ir supply cylinder 1110, the turntable 1120, the first motor 1130, and the first guide member 1140.

상기 공 수용통(1110)은 제1 영역(1310)의 상부에서 그 내부로 원통형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 측면 하부에는 가이드 홀(1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 수용통(1110)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이드 홀(1111)은 공 회전판(1120)이 기울어진 끝 부분과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폭은 두 개의 공이 한번에 통과하지 못하도록 공의 직경보다는 크고, 공 직경의 두 배보다는 작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어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공이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air supply cylinder 1110 is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alls extending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1310 to the inside thereof and a guide hole 1111 is formed below the inner side surface thereof .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supply cylinder 1110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but a separate removable cover (not shown) may be coupled. The guide hole 1111 may be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clined end portion of the bobbin 1120 and has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re such that the two bores can not pass at a time, So that at least two balls do not pass at a time.

상기 공 회전판(1120)은 공 수용통(1110)의 바닥면을 이루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 이송부(1200)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대략 평평한 원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 회전판(1120)은 가이드 홀(1111)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공 수용통(1110)에 수용된 공들이 가이들 홀(1111)을 향해 자연스럽게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The hollow rotary table 1120 may be formed as a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cylinder 111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disk shape with an inclination toward the hollow transfer unit 1200 about a rotation axis. That is, the hollow rotary plate 112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ward the guide hole 1111, so that the holes accommodated in the air supply container 1110 can be naturally lowered toward the guide hole 1111.

상기 공 회전판(1120) 상에는,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곽 부분을 향해 라인 형태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211)는 공 회전판(1120)이 제1 모터(1130)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 회전판(1120) 상에 위치하는 공들이 가이드 홀(1111)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On the baffle plate 1120,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121 protruding in the form of a line toward the outer peripher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The guide protrusions 1211 can smoothly guide the balls positioned on the bobbin 1120 toward the guide holes 1111 while the bobbin table 1120 is rotated by the first motor 1130.

한편, 공 회전판(1120)에는 공 회전판(1120)의 회전 시 발생되는 부하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의 가이드 롤러(1122)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1122)는 공 회전판(1120)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미도시)의 상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공 회전판(1120)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12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bobbin case 1120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bobbin case 1120. The guide roller 1122 rotat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a support member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bobbin rotation plate 1120 to help the bobbin rotation plate 1120 rotate more smoothly.

상기 제1 모터(1130)는 공 회전판(112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공 회전판(1120)을 제1 방향 및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 시계 방향일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 방향으로의 설정도 가능하다. 이러*j 제1 모터(1130)는 직류 전원(DC)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first motor 113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120 to rotate the bobbin 1120 in a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irec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direction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rst motor 1130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 DC power source DC.

다만, 제1 모터(1130)는 공 회전판(1120)을 제1 방향을 제1 시간 동안 회전시키다가 제2 방향으로 제2 시간 동안 회전시키고,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제2 시간과 동일한 시간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시간이 제2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터(1130)는 공 회전판(1120)을 시계 방향으로 30초 정도 회전시켰다가 그 30초 이후 5초 정도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공 수용통(1110)에 수용된 다수의 공이 좁은 가이드 홀(1111)로 모이기 때문에 가이드 홀(1111)에 공들이 끼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모터(1130)는 공 회전판(1120)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키지 않고 그 반대 방향으로 짧게 회전시켜 줌으로써 가이드 홀(1111)에 한꺼번에 몰려서 끼이는 공들을 분산시킬 수 있다.However, the first motor 1130 may rotate the bobbin 1120 in the first direction for the first time and for the second tim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repeat the operation. Here, the first time may be the same time as the second time, but preferably the first time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time. For example, the first motor 1130 rotates the bobbin 1120 in the clockwise direction for about 30 seconds, rotates the bobbin 112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fter about 30 seconds, and repeats the rotation operation have. Since the plurality of balls housed in the air collecting cylinder 1110 are gathered in the narrow guide holes 1111, the balls may be caught in the guide holes 1111. To prevent this, the first motor 1130 rotates the turntable 1120 The balls can be dispersed in the guide hole 1111 at once.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140)는 가이드 홀(1111)과 연결되되 가이드 홀(1111)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공 공급부(1100)에서 공 이송부(1200)로 공을 자연스럽게 낙하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140)는 경사면과 그 경사면을 둘러싸는 가드면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대략 연결통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1140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 1111 and is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hole 1111 so that the ball can be smoothly dropped from the ball supply unit 1100 to the ball transfer unit 1200. The guide member 114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and a guard surface surrounding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guide member 1140 may have a structure of a substantially connecting path.

상기 공 이송부(1200)는 공 공급부(1100)로부터 공을 제공 받아 외부의 타격 가능한 위치에 자동 이송시키되, 타격 가능한 위치에 공의 유무를 감지하고, 공의 유무에 따라 타격 가능한 위치로 공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공 이송부(1200)는 공을 제1 지점까지 수직 이동 시키기 위한 제1 수직 이동 장치부(1210), 공을 제1 지점에서 거치 시키기 위한 공 거치부(1220), 및 제1 지적에 거치된 공을 제2 지점까지 수직 이동시켜 거치시키기 위한 제2 수직 이동 장치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transfer unit 1200 receives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unit 1100 and automatically transfers the ball to a position where the ball is blown to the outside,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t a blowable position, . To this end, the ball transfer unit 1200 includes a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1210 for vertically moving the ball to the first point, a mounting and dismounting unit 1220 for mounting the ball at the first point, And a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1230 for vertically moving the inserted hole to the second point.

상기 제1 수직 이동 장치부(1210)는 공 공급부(1100)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수직 이동 장치부(1210)는 제1 스프로킷(1211), 제2 모터(1212), 체인(1213) 및 그립(1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1210 may move the ball received from the ball supply unit 1100 to the first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the first vertical motion unit 1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sprocket 1211, a second motor 1212, a chain 1213, and a grip 1214.

상기 제1 스프로킷(1211)은 제2 영역(1320)의 내부 측면 중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prockets 1211 may b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1320, respectively.

상기 제2 모터(1212)는 두 개의 제1 스프로킷(121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제1 스프로킷(12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터(1212)는 직류 전원(DC)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motor 1212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 first sprockets 1211 to rotate the first sprocket 1211. The second motor 1212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 DC power source DC.

상기 체인(1213)은 두 개의 제1 스프로킷(1211)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그립(1214)이 결합될 수 있다.The chain 1213 is provided to connect the two first sprockets 1211, and the grip 1214 can be enga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그립(1214)은 체인(1213)에 일정 간격 마다 설치되고, 공 공급부(1100)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거치하기 위해 테두리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1214)는 'U' 형태 또는 말 발굽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그립(1214)은 가이드 홀(1111)을 통해 낙하하는 공을 받아서 체인(1213)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지점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체인(1213) 상에서 설치 간격은 하나의 공을 순차적으로 받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s 1214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hain 1213 and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n opening portion with a part of the rim open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portion 1100. For example, the grip 1214 may be in the form of a "U" shape or a horse hoof. The grip 1214 receives the ball falling through the guide hole 1111 and transmits the ball to the first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1213. On the chain 1213,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m at intervals such that they can be received.

상기 공 거치부(1220)는 제1 수직 이동 장치부(1210)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제1 지점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공 거치부(1220)는 제1 홀더(1221), 제2 가이드 부재(1222) 및 제2 홀더(1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perating portion 1220 may receive the ball from the first vertical moving device 1210 and mount the ball at the first point. For this purpose, the cooperating portion 1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holder 1221, a second guide member 1222, and a second holder 1223. [

상기 제1 홀더(1221)는 제2 영역(1320) 중 상부에 설치되고, 각각의 그립(1214)으로부터 공을 순차적으로 전달 받아 제1 지점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대략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holder 1221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area 1320 and sequentially receives the balls from the respective grips 1214 to receive the balls at the first point and can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

상기 제2 가이드 부재(1222)는 제1 홀더(1221)로부터 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체인(1213)에 의해 이동하는 그립(1214)이 지나가는 경우 해당 그립(1214)의 개방부를 통해 그립(1214)을 관통하면서 그립(1214)으로부터 공을 인계 받아 제1 홀더(1221)로 낙하시켜 전달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member 1222 extends from the first holder 1221 to be inclined upward so that when the grip 1214 moved by the chain 1213 passes through the grip 1214 through the opening of the grip 1214, 1214, and can take the ball from the grip 1214 and fall on the first holder 1221 to be delivered.

상기 제2 홀더(1223)는 제1 홀더(122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후술하는 티대(1235)가 관통되는 관통 홀을 가지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holder 122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1221 and may have a ring shap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elow-described tray 1235 passes.

상기 제2 수직 이동 장치부(1230)는 공 거치부(1220)에 의해 제1 지점에 거치된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켜 일체형 하우징부(1300)의 외부의 제2 지점에 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점은 공이 최종 거치되는 지점이며 사용자가 해당 공을 타격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수직 이동 장치부(1230)는 제2 스프로킷(1231), 제3 모터(1232), 밸트(1233), 연결 부재(1234) 및 티대(12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2 수직 이동 장치부(1230)는 제1 센서(1236)와 제2 센서(12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1230 can vertically transport the ball placed at the first point by the placement unit 1220 and mount the ball at a second point outside the integral housing unit 1300. Here, the second point is the point at which the ball is finally mount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its the ball. To this end, the second vertical motion unit 12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sprocket 1231, a third motor 1232, a belt 1233, a connecting member 1234 and a tee 1235. In addition,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12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1236 and a second sensor 1237.

상기 제2 스프로킷(1231)는 제2 영역(1320) 중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스프로킷(1231)는 제1 스프로킷(1211)과는 서로 다른 측면에 설치되어 물리적인 간섭을 서로 주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prockets 1231 may b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1320, respectively. However, the second sprockets 1231 may be installed on different sides of the first sprocket 1211 so as not to give physical interference to each other.

상기 제3 모터(1232)는 제2 스프로킷(1231)과 연결되어 제2 스프로킷(12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3 모터(1232)는 직류 전원(DC)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third motor 12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rocket 1231 to rotate the second sprocket 1231. The third motor 1232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 DC power source DC.

상기 밸트(1233)는 제2 스프로킷(1231)에 연결되어 제2 스프로킷(123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belt 12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rocket 1231 and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rocket 1231.

상기 연결 부재(1234)는 밸트(1233)에 연결되어 밸트(1233)를 따라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234 is connected to the belt 1233 and is movable vertically up and down along the belt 1233.

상기 티대(1235)는 제1 홀더(1221)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연결 부재(1234)에 결합되어 연결 부재(1234)에 의해 수직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직 상승 이동 시 제1 홀더(1221)에 거치된 공을 인계하여 제2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티대(1235)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티대(1235)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기존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티대보다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tray 1235 is disposed on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holder 1221 and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34 and vertically moved by the connecting member 1234. The first holder 1221 can be vertically moved, It is possible to take over the ball and place it at the second point. Such a tray 1235 may be formed into a rod shape and may include a silicon materi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atform 1235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 restoring force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a tee made of a conventional rubber material.

상기 티대(1235)의 하단부에는 스토퍼(1235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토퍼(1235a)는 그 직경이 제2 홀더(1223)의 관통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티대(1235)가 수직 상승할 때 제2 홀더(1223)에 걸림으로써 티대(1235)가 제2 지점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 또는 그 위치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며, 티대(1235)에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2 홀더(1223)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좀 더 잘 복원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stopper 1235a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y 1235. The diameter of the stopper 1235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holder 1223, And restricts or restricts the position of the tray 1235 so that the tray 1235 can move only to the second point by engaging with the second holder 1223 when the tray 1235 is physically impacted, And thus can be restored more easily.

상기 스토퍼(1235a)는 그 하부로 연장 돌출되는 결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 돌기(미도시)는 연결 부재(1234)에 형성된 결합 홀(미도시)에 볼트 결합됨으로써 보다 견고히 연결 부재(1234)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topper 1235a may be form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not shown) extending and projecting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engaging protrusion (not shown) may be bolted to a coupling hole (not shown) And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34.

이와 같이, 티대(1235)의 바닥부분을 연결 부재(1234)에 결합 및 조립함으로써 그 기준점을 티대(1235)의 바닥을 향하게 함으로써 휘어짐에 대한 복원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platform 1235 to the connecting member 1234 and assembling it, the reference point is directed to the bottom of the platform 1235,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restoration position against warping.

상기 제1 센서(1236)는 제2 영역(1320) 중 제1 홀더(1221)와 나란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지점에서 공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센서(1237)는 하우징부(1300)의 외측(상면)에 설치되어 제2 지점에서 공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1236)와 제2 센서(1237)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오토 티어 장치(1000)의 구동 방법의 설명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The first sensor 1236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lder 1221 of the second region 1320 and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ole at a first point, (Upper surface) of the part 1300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t the second poin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sensor 1236 and the second sensor 1237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a driving method of the automatic tearing apparatus 1000.

상기 하우징부(1300)는 공 공급부(1100)를 수용하는 제1 영역(1310)과, 공 이송부(1200)를 수용하는 제2 영역(13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 공급부(1100)가 수용 및 설치되는 부분과 공 이송부(1200)가 수용 및 설치되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거나 분리된 구조가 하나로 결합된 형태가 아닌 하나의 바디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using part 13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1310 for accommodating the hole supply part 1100 and a second area 1320 for accommodating the hole transfer part 120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body and the frame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supply portion 1100 is housed and installed and the hollow transfer portion 1200 is housed and installed in a separate or separate structure.

상기 제어부(1400)는 공 공급부(1100)와 공 이송부(1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오토 티어 장치(1000)의 구동 방법의 설명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40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ball supply unit 1100 and the ball transfer unit 120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automatic tearing apparatus 1000. [

상기 무선 통신부(1500)는 제어부(1400)와 연결되어 외부 단말(리모컨,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무선 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등)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공 공급부(1100)와 공 이송부(12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0)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공을 제1 지점을 거쳐 제2 지점까지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위치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이는 무선 통신부(1500)를 통해 외부로부터 개별 제어를 받음으로써 미리 설계된 프로그램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00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WiFi, etc.) with an external terminal (remote controller, smart phone, tablet PC, etc.), receives a drive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1100 and the ball transfer unit 1200 can be remotely controll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400 is designed to sequentially move the ball to the second point via the first point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process, but it is designed to receive the control individuall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0 Independent control in other ways than pre-designed programs is possible.

상기 제3 센서(1600)는 하우징부(1300) 전면부에 설치되어 제2 지점에서부터 타격된 공의 진행 방향, 공의 비행 기울기, 비행 속도 등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500)를 통해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센서(1600)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타, 홈런, 파울 등을 판단하고, 이를 가공함으로써 단순한 타격 연습 이외에 독립적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16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00 and detect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all hit from the second point, the flight slope of the ball, the flying speed and the like, To the external terminal. In this case, based on the data detected through the third sensor 1600, hits, home runs, fouls, and the like are judged and processed, so that independent games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o simple batting practice.

상기 전원부(1700)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 충방전 보호회로, 전원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모터(1130, 1212, 1232)의 구동을 직류 전원으로 채용함에 따라 프리볼트의 구현과 야외에서 휴대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700 may includ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 charge /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a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like. As the first to third motors 1130, 1212, and 1232 are driven by a DC power source, Implementation and portability for outdoor use.

본 실시예의 오토 티업 장치(1000)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면, 우선 공 공급부(1100)에 공이 충분히 수납된 후 전원 버튼을 누르게 되면, 공 회전판(1120)이 비스듬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일정 주기마다 제2 방향으로 역회전 시킴으로써 가이드 홀(1111)에 끼인 공들을 분산시켜 가이드 홀(1111)에 공이 하나씩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after the ball is sufficiently stored in the ball supply unit 1100, the ball turntable 1120 is tilted at an oblique angle, . At this time, the balls are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every predetermined period to disperse the balls in the guide holes 1111 so that balls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1111 one by one.

상기 가이드 홀(1111)을 통해 공급되는 공은 그립(1214)으로 안착되어 제1 지점까지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그립(1214)이 제1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제2 가이드 부재(1222)가 그립(1214)을 관통하면서 그립(1214) 상에 있는 공을 자연스럽게 인계 받고 제1 홀더(1221)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은 제1 홀더(1221)가 위치하는 제1 지점까지 이송될 수 있다. The ball supplied through the guide hole 1111 is seated by the grip 1214 and moves vertically to the first point. At this time, when the grip 1214 reaches the first point, the second guide member 1222 passes through the grip 1214 and naturally takes over the ball on the grip 1214 and drops it into the first holder 1221 . Thus, the ball can be transported to the first point where the first holder 1221 is located.

이러한 경우 제1 홀더(1221)와 나란히 설치된 제1 센서(1236)가 제1 홀더(1221) 상에 공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공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1400)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400)는 제1 모터(1130)와 제2 모터(1212)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고, 제3 모터(1232)를 가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ensor 1236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lder 1221 detects whether a ball is present on the first holder 1221, and if there is a ball, the first sensor 1236 transmits the ball to the controller 1400. At this time, Can temporarily stop the operations of the first motor 1130 and the second motor 1212 and can operate the third motor 1232. [

이때, 제3 모터(1232)의 동작에 의해 티대(1235)는 제1 홀더(122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수직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제1 홀더(1221)에 안착된 공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motor 1232, the tray 1235 pass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holder 1221. In this process, the hole seated in the first holder 1221 is moved upward .

상기 제2 센서(1237)는 제2 지점에 공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1400)로 알리어 제어부(1400)를 통해 제3 모터(1232)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제2 센서(1237)를 통해 제2 지점에 공이 검출되지 않으면, 이를 제어부(1400)로 알리어 제어부(1400)를 통해 티대(1235)가 수직 하강하도록 제3 모터(12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1237 detects whether a ball is present at the second point, and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ball exists, the second sensor 1237 causes the controller 1400 to temporarily stop the operation of the third motor 1232 through the alert controller 1400 . Thereafter, if the ball is not detected at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second sensor 1237, it is possible to actuate the third motor 1232 such that the tee 1235 vertically descends through the alert controller 1400 to the controller 1400 have.

이후, 제3 모터(1232)가 티대(1235)를 수직 하강시키는 동작을 완료하면, 제어부(1400)는 제1 모터(1130)와 제2 모터(1212)의 동작을 개시하여 제1 지점에 다음 공이 위치하도록 공 공급부(1100)와 공 이송부(1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hird motor 1232 completes the operation of vertically lowering the platform 1235, the control unit 1400 starts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1130 and the second motor 1212, The operation of the ball supply unit 1100 and the ball transfer unit 120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ball is position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티업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0: 오토 티업 장치 1100: 공 공급부
1110: 공 수용통 1111: 가이드 홀
1120: 공 회전판 1121: 가이드 돌기
1122: 가이드 롤러 1130: 제1 모터
1140: 제1 가이드 부재 1200: 공 이송부
1210: 제1 수직 이송 장치부 1211: 제1 스프로킷
1212: 제2 모터 1213: 체인
1214: 그립 1220: 공 거치부
1221: 제1 홀더 1222: 제2 가이드 부재
1223: 제2 홀더 1230: 제2 수직 이동 장치부
1231: 제2 스프로킷 1232: 제3 모터
1233: 밸트 1234: 연결 부재
1235: 티대 1235a: 스토퍼
1236: 제1 센서 1237: 제2 센서
1300: 하우징부 1310: 제1 영역
1320: 제2 영역 1400: 제어부
1500: 무선 통신부 1600: 제3 센서
1700: 전원부
1000: Auto Tie Up Device 1100:
1110: air supply cylinder 1111: guide hole
1120: Spindle 1121: Guide projection
1122: guide roller 1130: first motor
1140: first guide member 1200:
1210: first vertical transfer unit 1211: first sprocket
1212: second motor 1213: chain
1214: grip 1220:
1221: first holder 1222: second guide member
1223: second holder 1230: second vertical moving unit
1231: Second sprocket 1232: Third motor
1233: belt 1234: connecting member
1235: Tie 1235a: Stopper
1236: first sensor 1237: second sensor
1300: housing part 1310: first area
1320: second area 1400:
150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0: third sensor
1700:

Claims (9)

다수의 공을 수용하고, 수용된 공을 공급하기 위한 공 공급부;
상기 공 공급부로부터 공을 제공 받아 외부의 타격 가능한 위치에 자동 이송시키되, 상기 타격 가능한 위치에 공의 유무를 감지하고, 공의 유무에 따라 상기 타격 가능한 위치로 공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공 이송부;
상기 공 공급부를 수용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공 이송부를 수용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부;
상기 공 공급부와 상기 공 이송부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 공급부와 상기 공 이송부의 원격 독립 제어를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부에 설치된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는 2D 센서 및 2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3 센서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외부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A ball supply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alls and supplying the balls;
A ball transfer unit for receiving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unit and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ball to an external hitable position, sens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ball at the battable position, and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ball to the battable position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 housing part divided into a first area for accommodating the hole supply part and a second area for accommodating the hole transportation pa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ball supply unit and the ball transport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for remote control of the ball supply unit and the ball transport unit by receiving a drive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And
And a third sensor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Wherein the third senso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2D sensor and a two-axis sensor,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transmits data sensed through the third sensor to an external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공급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서 내부로 원통형으로 이어지는 공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내부 측면 하부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공 수용통;
상기 공 수용통의 바닥면을 이루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공 이송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원반 형태의 공 회전판;
상기 공 회전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 회전판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가이드 홀과 연결되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공 공급부에서 상기 공 이송부로 공을 전달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A cavity provided with a hollow space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to the insi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thereof;
A disk-shaped bobbin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container and inclined toward the ball transporting unit about a rotation axis;
A first moto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for rotat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first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guide hole and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to guide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unit to the ball transfer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이송부는,
상기 공 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제1 지점까지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직 이동 장치부;
상기 제1 수직 이동 장치부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제1 지점에 거치시키기 위한 공 거치부; 및
상기 제1 지점에 거치된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일체형 하우징부의 외부의 제2 지점에 거치시키기 위한 제2 수직 이동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0028]
A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ball received from the ball supply unit to a first point;
A mounting unit for receiving the ball from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and mounting the ball at a first point; And
And a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for vertically transporting the ball placed at the first point to mount the ball at a second point outside the integral housing par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이동 장치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모터;
상기 제1 스프로킷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체인에 일정 간격 마다 설치되고, 상기 공 공급부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거치하기 위해 테두리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링 형태의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vertical movement unit comprises:
A first sprocket dispos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sprocket;
A chain connected to said first sprocket; And
And a ring-shaped grip which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hain and which has an opening portion in which a part of the rim is open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ball from the ball supply por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 거치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그립으로부터 공을 전달 받아 상기 제1 지점에 거치시키기 위한 링 형태의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로부터 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체인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그립이 지나가는 경우 상기 그립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관통하면서 상기 그립으로부터 공을 인계 받아 상기 제1 홀더로 낙하시켜 전달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
A ring-shaped first hold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to receive the ball from the grip and to receive the ball at the first point; And
A grip extending from the first holder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p, the grip passing through the opening portion when the grip moves by the chain passes through the grip, 2 guide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이동 장치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 스프로킷;
상기 제2 스프로킷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 모터;
상기 제2 스프로킷에 연결된 밸트;
상기 밸트에 연결된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홀더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수직 이동하고, 수직 상승 이동 시 상기 제1 홀더에 거치된 공을 인계하여 상기 제2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티대를 포함하고,
상기 공 거치부는,
상기 제1 홀더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티대가 관통되는 관통 홀을 갖는 링 형상의 제2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티대는,
상기 티대의 하단부가 상기 제2 홀더의 관통 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티대가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may include:
A second sprocket dispos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A third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sprocket;
A belt connected to the second sprocket;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elt; And
A second holder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older and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to move vertically by the connecting member and to move the ball held in the first holder to the second position, Including tee,
The mounting /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second holder spa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der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e passes,
The above-
And a stoppe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tee to the second point by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te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hold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이동 장치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1 홀더와 나란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점에서 공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점에서 공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모터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티대가 수직 상승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한 후 공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티대를 수직 하강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동작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제3 모터가 상기 티대를 수직 하강시키는 동작을 완료하면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티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vertical movement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reg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lder, the first sens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t the first point; And
And a second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par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ll at the second point,
The third motor may include:
When the ball is sensed to exist through the first sensor, the tee is operated to vertically rise,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ball is present through the second sensor, the tee is vertically lowered and,
The second motor
Wherein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when the ball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sensor and starts the operation when the third motor completes the operation of vertically lowering the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2140A 2018-03-20 2018-03-20 Auto tee up device KR101879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40A KR101879814B1 (en) 2018-03-20 2018-03-20 Auto tee up device
PCT/KR2019/003031 WO2019182291A1 (en) 2018-03-20 2019-03-15 Automatic tee-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40A KR101879814B1 (en) 2018-03-20 2018-03-20 Auto tee up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814B1 true KR101879814B1 (en) 2018-07-19

Family

ID=6305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40A KR101879814B1 (en) 2018-03-20 2018-03-20 Auto tee up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9814B1 (en)
WO (1) WO2019182291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44A (en)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제스트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20220167564A (en) * 2021-06-14 2022-12-21 김무성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2627618B1 (en) * 2023-02-09 2024-01-23 김종근 Folding baseball hitting practic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8812B (en) * 2021-04-19 2021-11-12 湖州师范学院 Perception type automatic golf ball putting device convenient to mov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06U (en) * 1997-06-24 1999-01-15 김광수 Golf ball tee-up device of automatic golf ball supply device
KR200358259Y1 (en) * 2004-02-02 2004-08-06 이병서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KR20140071750A (en) * 2012-12-04 2014-06-12 시 명 김 The low height of the golf ball tee device
KR101425052B1 (en) * 2013-07-15 2014-08-13 신필운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WO2015028082A1 (en) * 2013-08-30 2015-03-05 Grantek Ab A golf tee device and metho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ee up a golf ball
KR200480032Y1 (en) * 2015-11-23 2016-04-05 이미용 Automatically tee-up apparatus for golf ball
JP6214817B2 (en) * 2015-02-25 2017-10-18 ソン キム・ム Automated tea ba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06U (en) * 1997-06-24 1999-01-15 김광수 Golf ball tee-up device of automatic golf ball supply device
KR200358259Y1 (en) * 2004-02-02 2004-08-06 이병서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KR20140071750A (en) * 2012-12-04 2014-06-12 시 명 김 The low height of the golf ball tee device
KR101425052B1 (en) * 2013-07-15 2014-08-13 신필운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WO2015028082A1 (en) * 2013-08-30 2015-03-05 Grantek Ab A golf tee device and metho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ee up a golf ball
JP6214817B2 (en) * 2015-02-25 2017-10-18 ソン キム・ム Automated tea batting device
KR200480032Y1 (en) * 2015-11-23 2016-04-05 이미용 Automatically tee-up apparatus for golf bal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6214817호(2017.10.18.)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344A (en)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제스트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2355087B1 (en) * 2019-12-16 2022-01-25 주식회사 제스트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20220167564A (en) * 2021-06-14 2022-12-21 김무성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2619395B1 (en) * 2021-06-14 2024-01-02 김무성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2627618B1 (en) * 2023-02-09 2024-01-23 김종근 Folding baseball hitting practi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291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814B1 (en) Auto tee up device
US10245489B2 (en)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US8123634B1 (en) Programmable basketball shot setup and return device
KR102050280B1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US10806986B2 (en) Ball return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20180236341A1 (en) Apparatus for launching a ball
US5487540A (en) Apparatus for use in practicing the fundamentals of basketball
JP5841097B2 (en) Toss batting equipment
KR101774377B1 (en) The ball feeding device
US20200298087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864393B1 (en) Entangling protection arrangement system for feeding ball of pitching machines and entangling protection arrangement method
KR101389157B1 (en) Automatic baseball training device
KR102021553B1 (en) Auto tee up device
KR101885958B1 (en) Pitching machine
KR101882760B1 (en) Ball throwing device for pitching machine
JP7076642B2 (en) Bowling game device for flying discs
KR102355087B1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2619395B1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JP5363211B2 (en) Golf driving range
WO2015028082A1 (en) A golf tee device and metho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ee up a golf ball
KR20190058093A (en) A ball trans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125364A1 (en) Batting practice apparatus for baseball training
KR101914973B1 (en) Amusement apparatus using archery
KR20210115439A (en) Shuttlecock automatic collection and sta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