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953B1 -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 Google Patents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953B1
KR102354953B1 KR1020187003687A KR20187003687A KR102354953B1 KR 102354953 B1 KR102354953 B1 KR 102354953B1 KR 1020187003687 A KR1020187003687 A KR 1020187003687A KR 20187003687 A KR20187003687 A KR 20187003687A KR 102354953 B1 KR102354953 B1 KR 10235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foot
insert
hyperpronation
under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216A (ko
Inventor
마이클 페더슨
피터 스피겔
바박 바라바리언
Original Assignee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filed Critical 아이디얼 리빙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3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lateral arch, i.e. the cuboid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with adjustable pads to allow custom fi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가 본원에 개시된다. 교정 장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다. 깔창의 상면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다. 교정 장치는 또한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깔창의 측면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15년 7월 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792,751호에 대한 우선권과 그 이익을 주장하는 바이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깔창의 각도를 조정하여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비정상적으로 회내된 발이 흔히 문제가 된다. 회내된 발은 체중 부하의 정상적인 경로를 방해하여 다리의 과도한 내부 회전을 일으킨다. 발의 과회내는 바람직하지 못하며 불편과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회외(supination)는 회내(pronation)와는 반대로 발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발의 과회내 및 과회외로 야기되는 흔한 질병으로는 족궁통(arch pain), 뒤꿈치 통증, 평발, 발목염좌(ankle sprain), 관절통, 요통, 정강이통(ship splint), 및/또는 피로골절(stress fracture)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의 특정 구현예들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교정 장치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다. 깔창의 상면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다. 교정 장치는 또한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깔창의 측면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하기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검토한다면, 교정 장치의 다른 특징 및 양태가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자명해질 것이다. 다른 시스템, 방법 및 조합 구현예뿐만 아니라 모든 다른 특징 및 양태가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며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의 사용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항목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는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의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몇몇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는 다양한 구현예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의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통틀어, 맥락에 따라, 단수형 및 복수형 용어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상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하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하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하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각도 삽입물의 하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의 구현예를 아래에 기술한다. 교정 장치는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측면, 제2 측면,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다. 깔창의 상면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정 장치는 또한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회내를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회외를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의 제2 측면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각도를 약 0도에서 10도 사이로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각도를 임의의 양(10도 초과의 것을 포함)만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각도 삽입물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다양한 각도를 제공하여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도 삽입물이 다른 각도 삽입물로 교환되어 원하는 각도를 구현함으로써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기 위해 교정 장치를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의 제2 측면에 대한 각도를 약 0도에서 10도 사이로 증가시켜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깔창의 제2 측면에 대한 각도를 임의의 양(10도 초과의 것을 포함)만큼 증가시켜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각도 삽입물은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의 제2 측면에 대한 다양한 각도를 제공하여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도 삽입물이 다른 각도 삽입물로 교환되어 원하는 각도를 구현함으로써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발의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해 교정 장치를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
깔창의 제1 단부는 발의 뒤꿈치에 해당하는 윤곽면을 가지는 뒤꿈치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깔창의 제1 단부는 발의 족궁에 해당하는 윤곽면을 가지는 족궁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고, 깔창의 제2 단부는 발의 옆면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에지 및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깔창의 제1 단부로부터 깔창의 제2 단부까지의 거리는 발 길이의 약 3/4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깔창은 발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깔창의 제2 단부의 두께는 뒤꿈치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교정 장치는 발의 뒤꿈치를 완충하기 위해 깔창의 제1 단부에 그리고 상기 깔창의 상면 상에 위치한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깔창의 제1 단부 주변의 깔창의 상면은 쿠션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노치는 쿠션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정 장치는 깔창의 제1 단부 주변에서 깔창의 상면 및 깔창의 하면 사이에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부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쿠션은 깔창의 상면에 대해 비스듬히 놓여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회내를 교정하기 위해, 교정 장치는 깔창의 제1 단부 주변에 그리고 깔창의 제1 측면을 따라 깔창의 하면 내에 삽입물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회외를 교정하기 위해, 깔창의 하면 내의 삽입물 노치는 깔창의 제1 단부 주변에 그리고 깔창의 제2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삽입물 노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테두리(lip)가 삽입물 노치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깔창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테두리를 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깔창의 제1 단부 주위에서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뒤꿈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내를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뒤꿈치부로부터 연장되며 깔창의 제1 측면을 따라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외를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뒤꿈치부로부터 연장되며 깔창의 제2 측면을 따라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는 곡선형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의 윤곽은 깔창의 하면의 윤곽과 대응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의 두께는 뒤꿈치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소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연장부의 폭은 뒤꿈치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소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어떠한 부착 수단도 각도 삽입물을 깔창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착탈식 각도 삽입물의 에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슬롯이 깔창의 하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는 슬롯과 결합하여 착탈식 각도 삽입물이 깔창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들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절(section)의 제목 및 해당 요약을 포함하는 간단한 소개는 독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청구범위나 진행되는 절들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상술 및 후술하는 기술들은 다수의 방식과 다수의 맥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예시적인 구현예 및 맥락이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하지만, 하기 구현예 및 맥락은 단지 여러 가지 중에 일부일 뿐이다.
도 1 내지 10은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교정 장치(100)는 발의 과회내 혹은 과회외를 교정하기(견디기) 위해 각도를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 교정 장치(100)는 깔창(102)을 포함할 수 있다. 깔창(102)은 제1 단부(104), 제2 단부(106), 제1 측면(108), 제2 측면(110), 상면(112) 및 하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깔창(102)의 상면(112)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깔창(102)의 상면(112)은, 발이 깔창(102)의 상면(112)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도록 하나 이상의 에지(116) 및 윤곽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깔창(102)의 제1 단부(104)는 발의 뒤꿈치에 해당하는 윤곽면을 가지는 뒤꿈치 지지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의 뒤꿈치는 뒤꿈치 지지부(120)에 놓일 수 있다. 뒤꿈치 지지부(120)는 발의 뒤꿈치를 지지하도록 하는 임의의 크기나 형상일 수 있다. 깔창(102)의 제1 측면(108)은 발의 족궁에 해당하는 윤곽면을 가지는 족궁 지지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의 족궁은 족궁 지지부(122)에 놓일 수 있다. 족궁 지지부(122)는 발의 족궁을 지지하도록 하는 임의의 크기나 형상일 수 있다. 깔창(102)의 제2 측면(110)은 발의 옆면을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표면 또는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깔창(102)의 제1 단부(104)로부터 깔창(102)의 제2 단부(106)까지의 거리는 발 길이의 약 3/4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깔창(102)은 발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깔창(102)의 제2 단부(106)의 두께는 뒤꿈치 지지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깔창(102)은 구두 등과 같은 신발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발의 뒤꿈치를 완충하기 위해 깔창(102)의 제1 단부(104)에 그리고 깔창(102)의 상면(112) 상에 쿠션(124)이 위치할 수 있다. 쿠션(124)은 깔창(102)으로 성형되거나 쿠션(124)은 깔창(102)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쿠션(124)은 깔창(102)에 접착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쿠션(124)은 깔창(102)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부드러운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쿠션(124)은 깔창(102)의 상면(112)에 덮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깔창(102)의 제1 단부(104)에서 깔창(102)의 상면(112)은 쿠션 노치(126)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노치(126)는 쿠션(124)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즉, 쿠션(124)은 쿠션 노치(126) 내에 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쿠션(124)이 깔창(102)의 상면(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쿠션(124)은 쿠션 노치(126) 내에 놓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쿠션(124)은 깔창(102)의 상면(112)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교정 장치(100)는 깔창(102)의 제1 단부(104) 주위에서 깔창(102)의 상면(112) 및 깔창(102)의 하면(114) 사이에 개구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124)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부(128)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쿠션(124)은 깔창(102)의 상면(112)에 대해 비스듬히 놓여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발의 용천궁(metatarsal arch)을 완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깔창(102)의 제2 단부(106)에 그리고 깔창(102)의 상면(112) 상에 제2 쿠션, 예컨대 중족골 돌출부(132)가 위치할 수 있다.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으로 성형되거나 혹은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에 접착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부드러운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의 상면(112)에 덮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깔창(102)의 제2 단부(106)에서 깔창(102)의 상면(112)은 중족골 돌출부 노치(148)를 포함할 수 있다. 중족골 돌출부 노치(148)는 중족골 돌출부(132)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즉, 중족골 돌출부(132)는 중족골 돌출부 노치(148) 내에 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족골 돌출부(132)가 깔창(102)의 상면(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중족골 돌출부(132)는 중족골 돌출부 노치(148) 내에 놓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의 상면(112)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교정 장치(100)는 깔창(102)의 제2 단부(106) 주위에서 깔창(102)의 상면(112) 및 깔창(102)의 하면(114) 사이에 개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중족골 돌출부(132)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부(150)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개구부(150)는 중족골 돌출부(132)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중족골 돌출부(132)는 깔창(102)의 상면(112)에 대해 비스듬히 놓여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교정 장치(100)는 또한 깔창(102)의 하면(114)에 부착 가능한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약 0도에서 10도 사이로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임의의 양(10도 초과의 것을 포함)만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다수의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다양한 각도를 제공하여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이 다른 각도 삽입물로 교환되어 원하는 각도를 구현함으로써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즉, 교정 장치(100)는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기(견디기) 위해 각도를 조정하도록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의 크기와 형상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상이한 각도를 제공하도록 변화하여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하도록 다른 것들 보다 얇거나 두꺼울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교정 장치(100)는 깔창(102)의 제1 단부(108) 주위에서 그리고 깔창(102)의 제1 측면(108)을 따라 깔창(102)의 하면(104) 내에 삽입물 노치(13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물 노치(134)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을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삽입물 노치(134)의 윤곽은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삽입물 노치(13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테두리(136)가 삽입물 노치(134)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물 노치(134)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테두리(136)를 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깔창(102)의 제1 단부(114) 주위에 깔창(102)의 하면(114)에 부착 가능한 뒤꿈치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또한,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뒤꿈치부(138)로부터 연장되며 깔창(102)의 제1 측면(108)을 따라 깔창(102)의 하면(114)에 부착 가능한 연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140)는 곡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140)는 안쪽을 향해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40)의 윤곽은 깔창(102)의 하면(114)의 윤곽과 대응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장부(140)의 두께는 뒤꿈치부(138)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소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연장부(140)의 폭은 뒤꿈치부(138)로부터 바깥쪽으로 감소될 수 있다.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깔창(102)의 하면(114)에 부착 가능하다. 즉,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예컨대 삽입물 노치(134) 내에서 깔창(102)의 하면(114)에 부착되고 탈착될 수 있다. 깔창(102)의 하면(114) 주위에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을 위치시킴으로써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이루게 하며, 이로써 발의 과회내를 교정한다. 어떠한 부착 수단도 각도 삽입물(130)을 깔창(102)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102. 예를 들어,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깔창(102)의 하면(114)에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142)가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의 에지(144)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슬롯(146)이 예컨대 삽입물 노치(134) 내에서 깔창(102)의 하면(114)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42)는 슬롯(146)과 결합하여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이 깔창(102)의 하면(114)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10은 회내 교정에 대한 교정 장치(100)를 나타내지만, 당업자라면 회외 교정을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과 삽입물 노치(134)의 위치 및 각도를 재구성(예컨대, 회내 구성의 거울 상)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 및 삽입물 노치(134)의 크기와 형상은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2 측면(110)에 대한 상이한 각도를 제공하도록 변화하여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물 노치(134)는 깔창(102)의 제1 단부(110) 주위에서 그리고 깔창(102)의 제2 측면(108)을 따라 깔창(102)의 하면(104)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의 연장부(140)는 깔창(102)의 제2 측면(110)을 따라 뒤꿈치부(138)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따른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00)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방법(200)의 블록(202)에서,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깔창(102)의 하면(114)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삽입물 노치(13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내를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할 수 있다. 회외를 위해,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은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2 측면(110)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외를 교정할 수 있다. 방법(200)의 블록(204)에서,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이 부착된) 깔창(102)은 신발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방법(200)의 블록(206)에서, 사용자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을 상이한 치수(예컨대, 두께)의 다른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로 대체하여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발의 안쪽 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1 측면(108)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을 상이한 치수(예컨대, 두께)의 다른 착탈식 각도 삽입물(130)로 대체하여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2 측면(110)에 대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발의 옆면 상에서 깔창(102)의 제2 측면(110)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방법(200)의 블록(202 내지 2026)에 기술한 단계들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는 한편 다른 단계들은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가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형예 및 대안적인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장치나 구성요소에 대해 기술된 임의의 기능은 다른 장치나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특정 장치 특성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구현예는 다양한 다른 장치 특성에 관련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예들이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에 특이한 언어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구체적인 특징이나 행위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구체적인 특징 및 행위들은 구현예들을 실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 개시되었다. “할 수 있다(can, could)", "할 수도 있다(might, may)" 등의 조건적인 언어는 이와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혹은 사용된 맥락 내에서 이해되는 것과 다르게 이해되지 않는 한, 특정 구현예가-비록 다른 구현예가 포함할 수도 있지만-일정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전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적인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대해 임의의 방식으로 요구되고 있음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20)

  1. 발의 과회내(over pronation) 또는 과회외(over supination)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깔창;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깔창의 측면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로서,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주위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뒤꿈치부,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상기 깔창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연장부, 및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의 에지를 따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
    상기 깔창의 하면 내에 있으며,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는 삽입물 노치; 및
    상기 삽입물 노치 내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을 따르는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과 결합하여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상기 깔창의 하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슬롯을 추가로 포함하는 교정 장치.
  2.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측면, 제2 측면,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깔창;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하며, 발의 안쪽 면 상에서 상기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각도를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로서,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주위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뒤꿈치부,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상기 깔창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깔창의 제1 면을 따라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연장부, 및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의 에지를 따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및 상기 깔창의 제1 측면 주위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 내에 있으며,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는 삽입물 노치; 및
    상기 삽입물 노치 내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을 따르는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과 결합하여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상기 깔창의 하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슬롯을 추가로 포함하는 교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발의 안쪽 면 상에서 상기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각도를 0도에서 10도 사이로 증가시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는 교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의 제1 단부는 발의 뒤꿈치에 해당하는 윤곽면을 가지는 뒤꿈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깔창의 제1 단부는 발의 족궁(arch)에 해당하는 윤곽면을 가지는 족궁 지지부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발의 뒤꿈치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깔창의 제1 단부에, 그리고 상기 깔창의 상면 상에 위치한 쿠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교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주변에 상기 깔창의 상면 내에 쿠션 노치(notch)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쿠션 노치는 상기 쿠션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지는 교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주변에 상기 깔창의 상면 및 상기 깔창의 하면 사이에서 개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쿠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교정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깔창의 상면에 대해 비스듬히 놓여서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는 교정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의 두께는 상기 깔창의 제2 단부 주변에서 감소하는 교정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 노치 주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테두리(lip)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은 상기 테두리를 넘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교정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곡선형인 교정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윤곽은 상기 깔창의 하면의 윤곽과 대응되는 교정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상기 깔창의 제2 단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감소하는 교정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상기 깔창의 제2 단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감소하는 교정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발의 용천궁(metatarsal arch)을 완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상기 깔창의 제2 단부에 그리고 상기 깔창의 상면 상에 위치하는 중족골(metatarsal)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교정 장치.
  16.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기 위해 신발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교정 장치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측면, 제2 측면,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은 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깔창;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하며, 발의 안쪽 면 상에서 상기 깔창의 제1 측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여 발의 과회내를 교정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로서,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주위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뒤꿈치부,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상기 깔창의 제2 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깔창의 제1 면을 따라 상기 깔창의 하면에 부착 가능한 연장부, 및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의 에지를 따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각도 삽입물;
    상기 깔창의 제1 단부 및 상기 깔창의 제1 측면 주위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 내에 있으며,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는 삽입물 노치; 및
    상기 삽입물 노치 내에서 상기 깔창의 하면을 따르는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과 결합하여 상기 착탈식 각도 삽입물을 상기 깔창의 하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슬롯을 추가로 포함하는 교정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7003687A 2015-07-07 2015-12-08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KR102354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92,751 2015-07-07
US14/792,751 US9668537B2 (en) 2015-07-07 2015-07-07 Orthotic insole for footwear with an attachable angle insert for correcting over pronation or supination of a foot
PCT/IB2015/002316 WO2017006150A1 (en) 2015-07-07 2015-12-08 Orthotic insole for footwear with an attachable angle insert for correcting over pronation or supination of a f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16A KR20180035216A (ko) 2018-04-05
KR102354953B1 true KR102354953B1 (ko) 2022-01-24

Family

ID=5768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687A KR102354953B1 (ko) 2015-07-07 2015-12-08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668537B2 (ko)
EP (1) EP3319562B1 (ko)
JP (1) JP6720226B2 (ko)
KR (1) KR102354953B1 (ko)
CN (1) CN108024866A (ko)
AU (1) AU2015401724B2 (ko)
CA (1) CA2991380C (ko)
ES (1) ES2927037T3 (ko)
HK (1) HK1252337A1 (ko)
MX (1) MX2018000033A (ko)
WO (1) WO2017006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4090A1 (en) * 2014-06-30 2016-01-07 össur hf Prosthetic feet and foot covers
US9668537B2 (en) * 2015-07-07 2017-06-06 Ideal Living Ventures Limited Orthotic insole for footwear with an attachable angle insert for correcting over pronation or supination of a foot
USD855957S1 (en) * 2017-05-16 2019-08-13 Airwair Intl. Ltd. Combined footwear sole
US20180368509A1 (en) * 2017-06-26 2018-12-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ronation feedback system
TWI675629B (zh) * 2017-10-27 2019-11-01 劉懿賢 可選擇支撐足弓不同區域的鞋墊
US11986061B2 (en) * 2020-01-06 2024-05-21 Kevin Grimes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eel pain
WO2021192328A1 (ja) * 2020-03-23 2021-09-30 吉夫 大平 インソール
KR102310746B1 (ko) * 2020-04-10 2021-10-12 국승원 발 교정구
USD949538S1 (en) * 2020-07-24 2022-04-26 Qi Shen Insole
USD961215S1 (en) * 2020-09-29 2022-08-23 Zhuangli Qin Insole
USD961216S1 (en) * 2020-09-29 2022-08-23 Zhuangli Qin Insole
USD961214S1 (en) * 2020-09-29 2022-08-23 Zhuangli Qin Insole
USD1001454S1 (en) * 2021-03-15 2023-10-17 David Epstein Insole
US20220395048A1 (en) * 2021-06-15 2022-12-15 Richard L. Rhodes Shoe slide with podiatric elements
KR102595608B1 (ko) * 2021-08-27 2023-11-01 (주)하람공방 신발용 깔창
WO2023168479A1 (en) * 2022-03-07 2023-09-14 Frankie4 IP 1 Pty Ltd Adjustable footbed &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9726A1 (en) 2004-09-22 2006-03-23 Ching-Hui Song Foot orthosis
US20090172972A1 (en) 2006-06-20 2009-07-09 Uriel Rosen Adjustable orthopedic insol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8097A (en) * 1932-01-18 1934-05-08 Robert W Shaw Corrective insole
US3780742A (en) * 1972-09-11 1973-12-25 M Madgy Orthopedic foot appliance
JPS6036081Y2 (ja) * 1982-06-26 1985-10-26 美津濃株式会社 靴の中敷
US5036851A (en) * 1989-08-10 1991-08-06 Dr. Cohen Group, Inc. Antipronation orthotic with lateral column
US5345701A (en) * 1991-04-26 1994-09-13 Smith Leland R Adjustable orthotic
FI912588A (fi) * 1991-05-29 1992-11-30 Karhu Titan Oy Stoedsula foer fot
US7849612B2 (en) * 1997-09-15 2010-12-14 Merel Epstein Orthotic device
US6098319A (en) * 1997-09-15 2000-08-08 Epstein; Merel Balancing appliance for footwear item
JP2000083703A (ja) * 1998-09-16 2000-03-28 Nobuyuki Ono 履 物
JP2001190305A (ja) 1999-12-31 2001-07-17 Schering Plough Healthcare Prod Inc 作業用の靴中底
US6460275B1 (en) 2001-02-28 2002-10-08 W. Scott Bennett Orthotic insert
FR2838308B1 (fr) * 2002-04-15 2004-10-29 Pascal Chenut Semelle orthopedique proprioceptive comprenant des moyens modulaires de correction
CN2587381Y (zh) * 2002-08-19 2003-11-26 王俊林 能矫正斜脚的物理鞋垫
CA2436368A1 (en) * 2003-08-01 2005-02-01 Lorne Canvin Footwear and insole therefor
US7484319B2 (en) 2005-08-12 2009-02-03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WO2008102391A1 (en) * 2007-02-23 2008-08-28 Scm Consulting S.A.S. Inner sole
US8453346B2 (en) * 2007-08-24 2013-06-04 Orthosole Limited, A Guernsey Limited Company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913429B1 (en) * 2007-09-19 2011-03-29 Remington Products Company Orthotic wedge system
WO2010011992A2 (en) * 2008-07-25 2010-01-28 Genesco, Inc. Adjustable footbed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TWM365165U (en) 2009-01-17 2009-09-21 Jttc1331 Internat Inc Insole structure
US20130160331A1 (en) * 2011-12-23 2013-06-27 Park Global Footwear Inc.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JP3175544U (ja) * 2012-02-27 2012-05-17 木原産業株式会社 カップインソールジェル製品
US20150342295A1 (en) * 2014-05-30 2015-12-03 Hong Hee MOON Shoe inserts for correction
US9439810B2 (en) * 2014-06-15 2016-09-13 Joseph Gregory Stilwell Barefoot orthotic
US9668537B2 (en) * 2015-07-07 2017-06-06 Ideal Living Ventures Limited Orthotic insole for footwear with an attachable angle insert for correcting over pronation or supination of a fo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9726A1 (en) 2004-09-22 2006-03-23 Ching-Hui Song Foot orthosis
US20090172972A1 (en) 2006-06-20 2009-07-09 Uriel Rosen Adjustable orthopedic ins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401724A1 (en) 2018-01-18
JP6720226B2 (ja) 2020-07-08
CN108024866A (zh) 2018-05-11
EP3319562B1 (en) 2022-06-29
MX2018000033A (es) 2018-03-15
EP3319562A1 (en) 2018-05-16
US20170006961A1 (en) 2017-01-12
US20170231318A1 (en) 2017-08-17
KR20180035216A (ko) 2018-04-05
CA2991380C (en) 2023-05-23
HK1252337A1 (zh) 2019-05-24
US10045585B2 (en) 2018-08-14
AU2015401724B2 (en) 2020-03-05
US9668537B2 (en) 2017-06-06
JP2018522642A (ja) 2018-08-16
WO2017006150A1 (en) 2017-01-12
ES2927037T3 (es) 2022-11-02
EP3319562A4 (en) 2019-08-07
CA2991380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953B1 (ko) 발의 과회내 또는 과회외를 교정하기 위한 부착형 각도 삽입물을 구비한 신발용 교정 깔창
KR101746521B1 (ko)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CN107771068B (zh) 卸载式高腿脚支架
US20090172972A1 (en) Adjustable orthopedic insoles
US20100251568A1 (en) Footwear insert
US11324279B2 (en) Shoe insert system for inducing positive forefoot striking
CN109414333B (zh) 脚板和矫形装置
MX2007005752A (es) Metodo para dispositivo de soporte de ortosis de pie.
KR101509404B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US20120238928A1 (en) Foot orthosis suppor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US4572196A (en) Arch support especially for the therapy of pes valgus in children
KR20150109721A (ko) 교정용 신발깔창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US20110314696A1 (en) Shoe insert for heeled shoes and method therefor
WO2015009139A1 (en) A foot orthotic
JP2006263407A (ja) 3次元形状外反母趾矯正具
JP2017209423A (ja) 足裏パッド
RU2438624C1 (ru) Корригирующе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при вальгусном отклонении первого пальца стопы
JP2005287726A (ja) 靴用外反母趾防止体
JPH0662906A (ja) 外反母指矯正具を有する履き物
RU2769308C1 (ru) Вкладная стелька
US20220071341A1 (en) Footwear apparatus for improving gait biomechanics
KR102241553B1 (ko) 발 교정용 기능성 안창
KR20230048691A (ko) 발가락 교정용 깔창
KR20080019152A (ko) 리브드 표면을 갖는 아치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