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761B1 - 개질기를 갖는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개질기를 갖는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761B1
KR102354761B1 KR1020207009076A KR20207009076A KR102354761B1 KR 102354761 B1 KR102354761 B1 KR 102354761B1 KR 1020207009076 A KR1020207009076 A KR 1020207009076A KR 20207009076 A KR20207009076 A KR 20207009076A KR 102354761 B1 KR102354761 B1 KR 10235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urification
purification membrane
fuel cell
reformer
generating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470A (ko
Inventor
슈테판 크룸리히
알프레트 메히스너
카르슈텐 라이너스
데니스 루저
Original Assignee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쎈크로프 마리네 지스템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4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4Concentration;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86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87Reactant purification by the use of membranes or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1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 C01B3/50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the membrane
    • C01B3/505Membranes containing pallad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는 개질기 (10),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및 연료전지 (40) 를 구비하며, 상기 개질기 (10) 는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은 상기 개질기 (10) 안에서 발생된 가스 혼합물로부터 수소를 분리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연료전지 (40) 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에 의해 분리된 수소를 변환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는 일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장치 (30) 를 구비하며, 본 발명은 상기 변환 장치 (30) 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과 상기 연료전지 (40)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변환 장치 (30) 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이 열적으로 커플링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Description

개질기를 갖는 연료전지
본 발명은 개질기와 연료전지를 이용해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가스 정제 멤브레인 (gas purification membrane) 의 고장시에도 계속 기능을 할 수 있게 유지된다.
개질기에서 예컨대 메탄올은 CO 와 H2 로 변환되고, 상기 CO 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반응에서의 수증기와 함께 CO2 와 H2 로 변환된다. 하지만 규칙적으로 가스 혼합물 안에 일산화탄소 잔여가 남아 있다. 이 가스 혼합물로부터 수소는 일반적으로 가스 정제 멤브레인을 통하여 분리되고, 이때 보다 유리하게는 수소만 멤브레인을 통해 확산된다. 하지만 고장의 경우 일산화탄소가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가 연료전지에 들어가면, 상기 연료전지는 이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가 즉시 스위치 오프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로써,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가 예컨대 잠수함을 구동시킬 경우 에너지 발생이 저지될 것이다. 이는 원하지 않은 상태일 것이다.
전기 촉매 산화 공정에서 탄화수소 개질체로부터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DE 699 28 417 T2 로부터 알려져 있다.
일산화탄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동 반응이 US 3,884,838 로부터 알려져 있다.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변환시키기 위한 촉매 조성물이 US 2005 / 001003 A2 로부터 알려져 있다.
수소 정제기의 위급한 고장을 조기에 증명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이 DE 600 32 027 T2 로부터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정제 멤브레인에서의 일산화탄소 누출시에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갖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들은 종속항들, 하기의 설명 및 도면들에 나타나 있다.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개질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및 연료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개질기는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은 상기 개질기 안에서 발생된 가스 혼합물로부터 수소를 분리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연료전지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에 의해 분리된 수소를 변환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는 일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과 상기 연료전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은 열적으로 커플링된다 (thermally coupled).
상기 열적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이 하나의 공동의 가스 공간 (gas area) 을 구비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은 예컨대 한 관로 (pipe line) 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한 관로를 통해 흐름이 오로지 한 방향으로만 가능하고, 따라서 피드백이 한 관로에 의해 저지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일산화탄소가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것이 확실히 저지된다는 것이다. 상기 열적 커플링을 통해 상기 변환 장치는 언제든지 이용될 준비가 되어 있다. 별도의 가열이 생략된다. 게다가 상기 개질기와 상기 연료전지는 감소된 효율을 가지더라도, 고장의 경우에도 계속 작동될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 시스템들의 안전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은 하나의 공동의 하우징 (housing) 의 내부에 배열된다. 한 하우징의 내부에서의 상기 공동의 배열은 상기 열적 커플링의 간단한 구현이다. 또한, 수소 누출을 위한 잠재적인 부위일 수 있는 전이부들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위쪽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의 내부에서, 상기 얻어진 수소가 위로 배출된다. 이는 작은 분자무게를 근거로 유리하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 장치는 보다 유리하게는 출구 앞에 배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의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 장치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부 영역은 접시형 헤드 (torispherical head) 의 형태로 설계된다. 상기 장치를 가스 기밀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하우징들은 규칙적으로 원통형으로 접시형 헤드를 가지고 설계된다. 상기 접시형 헤드 안의 공간은 통례적으로 구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수소 수집 공간으로 쓰인다. 이 공간의 사용을 통해,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메탄을 포착하기 위한 센서가 상기 변환 장치 뒤에 배열된다. 이 실시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탄은 일산화탄소보다 훨씬 더 간단히 그리고 더 정확히 검출 가능하다. 그러므로, 변환 장치와, 메탄을 위한 센서를 가지고 훨씬 더 간단히 그리고 더 확실하게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의 고장이 검출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메탄을 포착하기 위한 상기 센서는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연료전지 사이의 모든 부위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을 포착하기 위한 상기 센서는 연결 라인 안에 배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탄을 포착하기 위한 상기 센서는 상기 연결 라인 안에 상기 변환 장치에 공간적으로 가까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센서는 광센서 (optical sensor) 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팔라듐 또는 팔라듐 합금으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중 차량에, 특히 잠수함에 사용된다.
그 밖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갖는 수중 차량, 특히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이하,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장치이고
도 2 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장치이고
도 3 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3 장치이다.
도 1 에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장치가 도시된다. 그것은 개질기 (10) 를 구비하며, 상기 개질기에서 예컨대 메탄올로부터, 수소가 발생된다. 개질기 (10) 로부터의 가스 혼합물은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에 도달한다.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은 단지 수소를 통과시키며, 다른 가스들은 배출되고, 통례적으로 개질기 (10) 를 위한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 안으로 배출된다.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으로부터 수소는 변환 장치 (30) 를 통하여 연료전지 (40) 로 안내된다. 정상적인 공정에서는 변환 장치 (30) 의 옆을 어느 것도 지나가지 않는다. 하지만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에서 결함이 나타나면 일산화탄소가 가스 흐름에 들어갈 수 있다. 이 일산화탄소는 변환 장치 (30) 에서 메탄으로 변환되고, 상기 메탄은 연료전지 (40) 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과 변환 장치 (30) 는 하우징 (50) 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로써 열적으로 커플링된다.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의 작동 온도를 통해,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해지지 않으면서, 상기 변환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지라도 변환 장치 (30) 도 작동 온도로 유지된다.
도 2 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장치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변환 장치 (30) 뒤에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 (60) 가 배열됨으로써 상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장치와 구별된다. 이 센서 (60) 는 메탄을 검출한다. 메탄이 보다 쉽게 그리고 보다 확실히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의 누출이 빨리 그리고 확실히 밝혀질 수 있다.
도 3 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장치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변환 장치 (30) 뒤에 하우징의 외부에 센서 (60) 가 배열됨으로써 상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장치와 구별된다. 이 센서 (60) 는 메탄을 검출한다. 메탄이 보다 쉽게 그리고 보다 확실히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의 누출이 빨리 그리고 확실히 밝혀질 수 있다.
10 : 개질기
20 : 가스 정제 멤브레인
30 : 변환 장치
40 : 연료전지
50 : 하우징
60 : 센서

Claims (6)

  1.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는 개질기 (10),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및 연료전지 (40) 를 구비하며, 상기 개질기 (10) 는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은 상기 개질기 (10) 안에서 발생된 가스 혼합물로부터 수소를 분리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연료전지 (40) 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에 의해 분리된 수소를 변환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장치는 일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장치 (30) 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장치 (30) 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과 상기 연료전지 (40)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변환 장치 (30) 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은 열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변환 장치 (30) 와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은 하나의 공동의 하우징 (50) 의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변환 장치 (30) 는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위쪽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탄을 포착하기 위한 센서 (60) 가 상기 변환 장치 (30) 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60) 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제 멤브레인 (20)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팔라듐 또는 팔라듐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7009076A 2017-10-13 2018-10-02 개질기를 갖는 연료전지 KR102354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8334.9 2017-10-13
DE102017218334.9A DE102017218334A1 (de) 2017-10-13 2017-10-13 Reformerbrennstoffzelle
PCT/EP2018/076738 WO2019072628A1 (de) 2017-10-13 2018-10-02 Brennstoffzelle mit refor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470A KR20200043470A (ko) 2020-04-27
KR102354761B1 true KR102354761B1 (ko) 2022-01-21

Family

ID=6385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76A KR102354761B1 (ko) 2017-10-13 2018-10-02 개질기를 갖는 연료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95450B1 (ko)
KR (1) KR102354761B1 (ko)
DE (1) DE102017218334A1 (ko)
ES (1) ES2887280T3 (ko)
WO (1) WO20190726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374A (ja) * 2000-01-03 2003-07-22 アイダテック, エル.エル.シー. 燃料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混入物を早期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838A (en) 1970-09-01 1975-05-20 Inst Gas Technology Ruthenium-reduced amorphous tungsten oxide catalyst
US6245214B1 (en) 1998-09-18 2001-06-12 Alliedsignal Inc. Electro-catalytic oxidation (ECO) device to remove CO from reformate for fuel cell application
US6884533B2 (en) * 2002-05-31 2005-04-26 Ballard Generation Systems Utilization based power plant control system
FR2855444B1 (fr) 2003-06-02 2005-08-05 Prospection & Inventions Appareil a chambre de combustion a fonctionnement a gaz
DE102005030909A1 (de) * 2005-06-30 2007-01-04 Viessmann Werke Gmbh & Co Kg Verfahren zum Starten und Abschalten einer Brennstoffzellenanlage
US9017436B2 (en) * 2008-08-26 2015-04-28 Dcns Fuel processing systems with thermally integrated component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374A (ja) * 2000-01-03 2003-07-22 アイダテック, エル.エル.シー. 燃料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混入物を早期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5450B1 (de) 2021-08-11
DE102017218334A1 (de) 2019-04-18
EP3695450A1 (de) 2020-08-19
KR20200043470A (ko) 2020-04-27
ES2887280T3 (es) 2021-12-22
WO2019072628A1 (de)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2003222A (es) Sistema y metodo parka controlar la operacion de un sistema de procesamiento de combustible.
JPWO2012128368A1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US20100221629A1 (en) Fuel cell system
KR102354761B1 (ko) 개질기를 갖는 연료전지
WO2012081205A1 (ja)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Wilson Methanol decomposition fuel processor for portable power applications
JP2007328968A (ja) 配管装置
MXPA06005644A (es) Generacion de syngas para regeneracion de nox combinada con generacion de energia auxiliar de celda de combustible.
KR102228364B1 (ko) 잠수함용의 소형 메탄올 개질기
KR100813244B1 (ko) 리포머 버너
JP5939142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20070056474A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2480678B1 (ko) 수중 운동체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연료공급방법
JP201111391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3272684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9016151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ドレン回収装置
JP2008159373A (ja) 水素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4481906B2 (ja) 加圧型ガス化装置、その運転方法およびガス化発電装置
KR101616199B1 (ko) 소형 메탄올 연료변환기
JP2012199068A (ja) 排気通路の接続構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807360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7183251A (ja) 燃料電池放熱回収用筐体、及びこれ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JP562544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807591B1 (en)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converting carbon dioxide into olefins
JP2008251447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ドレ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