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86B1 -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 Google Patents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86B1
KR102354486B1 KR1020210140481A KR20210140481A KR102354486B1 KR 102354486 B1 KR102354486 B1 KR 102354486B1 KR 1020210140481 A KR1020210140481 A KR 1020210140481A KR 20210140481 A KR20210140481 A KR 20210140481A KR 102354486 B1 KR102354486 B1 KR 10235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uel
candle
fuel supply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권
Original Assignee
안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권 filed Critical 안상권
Priority to KR1020210140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86B1/ko
Priority to PCT/KR2022/015481 priority patent/WO20230686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들은,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하부 일측면에 연료수용 관통구가 형성된 연소부; 상기 연소부의 수납공간의 정중앙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기둥구조이며, 하부 일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구를 통해 인입된 연료가 상방으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관이 내부 정중앙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서로 연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 중앙에 캔들심지가 장착되어 유동관과 연통되는 구조의 심지 삽입공이 형성된 심지 지지대;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하부 일측면에 연료공급 관통구가 형성된 저장부; 및 상기 연소부의 연료수용 관통구와 저장부의 연료공급 관통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로 장착하는 연료공급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가 연소되어 빛이 발생되는 공간과 연료를 공급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어 지속적인 연료공급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Candle Having Fuel Supply Part}
본 발명은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공간에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심미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발향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캔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조명을 위해 과거에는 사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분위기 연출 혹은 종교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파라핀이 고형의 막대 형상 응고되며, 그 내부에 심지가 매설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양초는 그 내부에 매설된 심지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녹는 촛농으로 인해 열과 빛을 발산하게 되는데, 한번 사용하게 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흘러내리는 촛농으로 인해 주변이 지저분해짐은 물론이고 그로 인해 화재의 위험도 함께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근래에는 액상의 파라핀을 이용해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주변이 청결함과 동시에 화재의 위험을 크게 줄인 파라핀 양초가 제안되어 있다. 즉,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10010호가 그 일예인데, 도 1의 "가"는 종래의 파라핀 양초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사용 후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종래의 양초는 컵 형상의 케이스(2), 내부에 충진되는 파라핀(4), 상기 파라핀(4)에 부유 될 수 있으며 상기 파라핀(4)과 접촉되어 용융물을 흡수하여 연소되도록 내부에 심지(6)가 구비된 부유체(8)를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양초는 초기에 심지(6)에 착화를 하게 되면 연소가 시작되는데, 심지(6)는 지속적으로 파라핀(4)을 흡수하여 연소되면서 열과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유체(8)는 컵 형상의 케이스(2) 내부에서 연소되므로 외부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아 안정적으로 연소가 될 것이고, 파라핀(4)이 흘러내리지 않아 주변이 보다 청결할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나"와 같이 케이스(2) 내부에 충진된 파라핀(4)이 연소되기 시작하면 파라핀(4)에 부유되어 있는 부유체(8)는 파라핀(4)의 수위와 함께 점차 낮아져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케이스(2) 바닥면에 그 하면이 닿게 될 것이고, 부유체(8) 내부에 구비된 심지(6)는 어느 일측으로 휘게 된다. 그러면, 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 부유체(8)를 케이스(2) 외부로 들어낸 뒤 심지(6)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휘어진 심지(6)를 다시 펴줘야 재사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808호 (등록일자: 2011년03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가 연소되어 빛이 발생되는 공간과 연료를 공급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어 지속적인 연료공급이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게 적용하여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발향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캔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캔들은,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하부 일측면에 연료수용 관통구가 형성된 연소부; 상기 연소부의 수납공간의 정중앙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기둥구조이며, 하부 일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구를 통해 인입된 연료가 상방으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관이 내부 정중앙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서로 연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 중앙에 캔들심지가 장착되어 유동관과 연통되는 구조의 심지 삽입공이 형성된 심지 지지대;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하부 일측면에 연료공급 관통구가 형성된 저장부; 및 상기 연소부의 연료수용 관통구와 저장부의 연료공급 관통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로 장착하는 연료공급 연통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 심지 지지대, 저장부 및 연료공급 연통부는, 심지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연료를 연소하는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연소부, 연료공급 연통부 및 저장부 내부에 수납된 연료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소부, 심지 지지대, 저장부 및 연료공급 연통부를 구성하는 금속 소재는, 100 내지 450 W/mK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부, 심지 지지대, 저장부 및 연료공급 연통부를 구성하는 금속 소재는, 은 소재, 구리 소재, 금 소재, 아연 소재, 알루미늄 소재 및 텅스텐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소재 또는 다른 금속 소재와 혼합된 합금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의 바닥면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과 맞닿는 평행한 구조이고,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는 연소부의 연료수용 관통구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5 내지 60도만큼 경사진 구조로 장착되며,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은, 연료공급 연통부의 경사면 구조와 연속되는 경사면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수납공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개방된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판상형 구조이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저장부에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의 상부면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연료공급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심지 지지대는, 상기 연소부의 수납공간의 정중앙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거치되며, 중앙지지대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연장되어 중앙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발; 및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부면 중심으로부터 방사형태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소정 크기의 곡률 반경으로 말아져 곡면 구조를 형성하며, 심지 삽입공에 장착되는 캔들심지의 상부 측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의 심지끝단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 지지대의 고정발은 중앙지지대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심지 지지대의 고정발은 중앙지지대의 상방 연장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 변경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캔들은, 상기 연소부의 상부면을 외부로 개방함과 동시에 연소부의 측면과 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연소부 하우징;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연통부 하우징; 및 상기 저장부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저장부의 상부면을 외부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탑재한 구조이며,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저장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부 하우징은, 상기 연소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연소부의 수납공간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의 공기흡입구; 및 상기 연소부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고, 공기흡입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흡입량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 하우징은, 상기 연소부의 수납공간의 상부에 장착되고, 연소부의 개방된 상부면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심지 지지대의 상부면 중심에 곡률반경 중심을 두는 곡면구조가 형성되고, 심지 지지대의 상부면에 연소되는 불꽃에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부; 상기 심지 지지대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연소부의 개방된 상부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구조이고, 공기흡입구로부터 인입되어 연소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심지 지지대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배관구조이고, 회전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며, 가열배관부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흡열배관부로 유동시키는 냉매강제순환부; 상기 흡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흡열부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흡열부로부터 흡수된 열에너지를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고, 냉매강제순환부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가열배관부로 유동시키는 흡열배관부; 및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가열배관부로부터 전달된 가열된 냉매를 유동시키는 배관구조이며, 가열된 냉매의 열에너지를 연료공급 연통부에 전달하고, 흡열배관부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흡열배관부로 유동시키는 가열배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캔들은, 상기 저장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광량검출부재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흡입량 조절부재의 작동을 제어하고, 연료량검출재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캔들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연소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연소부 내부에서 연소되는 불빛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광량검출부재; 및 상기 저장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저장부 내부에 수납된 연료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연료량검출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의 연료수용 관통구는 연료공급 연통부와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저장부의 연료공급 관통구는 연료공급 연통부와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는, 연료수용 관통구 및 연료공급 관통구와 상하 높이방향으로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연소부, 심지 지지대, 저장부 및 연료공급 연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연료가 연소되어 빛이 발생되는 공간과 연료를 공급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어 지속적인 연료공급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구성된 연소부, 심지 지지대, 저장부 및 연료공급 연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심지 지지대의 상단에서 연료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를 심지 지지대와 연소부를 통해 연료공급 연통부와 저장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연통부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연소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료공급 연통부를 지나 저장부의 바닥면에 이르는 유동 공간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저장부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가 외부로부터 제공된 열에너지에 의해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연료공급 연통부를 통해 연소부 내부로 유동할 수 있어,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연료공급 가이드판을 구비함으로써, 저장부에 전달된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부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의 상부면에도 효과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저장부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가 하단 일부부만 용융되어 빈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빈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상 상태의 연료가 불특정 시점에 저장부 내부에서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고정발, 심지끝단 지지부재, 높이 변경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캔들심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캔들심지에 연료가 안정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캔들심지 자체가 연소되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캔들심지의 높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연소부 하우징, 연통부 하우징, 저장부 하우징 및 개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연소부 내부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단열할 수 있고, 연소부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연료공급 연통부 및 저장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달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연통부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연소부 하우징, 연통부 하우징, 저장부 하우징 및 개폐부재의 외부 형상 또는 외부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외형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작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기흡입구 및 공기흡입량 조절부재를 연소부 하우징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소부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량과 발생되는 불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흡열부, 회전부, 냉매강제순환부, 흡열배관부 및 가열배관부를 구비함으로써, 연소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수된 열에너지를 연료공급 연통부의 외주면에 전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달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연통부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들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 무선통신모듈, 광량검출부재 및 연료량검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소부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연소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연소부 내부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불빛의 광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수납된 연료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연료의 재보충 시점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캔들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캔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흡열부, 회전부, 냉매강제순환부, 흡열배관부 및 가열배관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의 제어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캔들(100)은, 특정 구조의 연소부(110), 심지 지지대(120), 저장부(130) 및 연료공급 연통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연료가 연소되어 빛이 발생되는 공간과 연료를 공급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어 지속적인 연료공급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캔들(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캔들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110)는,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서, 하부 일측면에 연료수용 관통구(111)가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지지대(120)는, 연소부(110)의 수납공간의 정중앙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기둥구조이다. 이때, 하부 일측면에 관통구(121)가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구(121)를 통해 인입된 연료가 상방으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관(122)이 내부 정중앙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서로 연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면 중앙에 캔들심지(120a)가 장착되어 유동관(122)과 연통되는 구조의 심지 삽입공(123)이 형성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지지대(120)는 특정 구조의 고정발(124) 및 심지끝단 지지부재(12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심지 지지대(120)의 고정발(124)은, 연소부(110)의 수납공간의 정중앙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중앙지지대(126)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연장되어 중앙지지대(12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심지끝단 지지부재(125)는, 중앙지지대(126)의 상부면 중심으로부터 방사형태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소정 크기의 곡률 반경으로 말아져 곡면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심지 삽입공(123)에 장착되는 캔들심지(120a)의 상부 측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 지지대(120)의 고정발(124)은 중앙지지대(126)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심지 지지대(120)의 고정발(124)은 중앙지지대(126)의 상방 연장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 변경구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고정발(124), 심지끝단 지지부재(125), 높이 변경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캔들심지(120a)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캔들심지(120a)에 연료가 안정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캔들심지(120a) 자체가 연소되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캔들심지(120a)의 높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서, 하부 일측면에 연료공급 관통구(131)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특정 구조의 연료공급 가이드판(15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공급 가이드판(150)은, 저장부(130)의 수납공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개방된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판상형 구조로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저장부(130)에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상부면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연료공급 가이드판(150)을 구비함으로써, 저장부(130)에 전달된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저장부(130)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의 상부면에도 효과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저장부(130)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가 하단 일부부만 용융되어 빈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빈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상 상태의 연료가 불특정 시점에 저장부(130) 내부에서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 연통부(140)는, 연소부(110)의 연료수용 관통구(111)와 저장부(130)의 연료공급 관통구(131)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로 장착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110), 심지 지지대(120), 저장부(130) 및 연료공급 연통부(140)는, 심지 지지대(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연료를 연소하는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연소부(110), 연료공급 연통부(140) 및 저장부(130) 내부에 수납된 연료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연소부(110), 심지 지지대(120), 저장부(130) 및 연료공급 연통부(140)를 구성하는 금속 소재는, 100 내지 450 W/mK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부(110), 심지 지지대(120), 저장부(130) 및 연료공급 연통부(140)를 구성하는 금속 소재는, 은 소재, 구리 소재, 금 소재, 아연 소재, 알루미늄 소재 및 텅스텐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소재 또는 다른 금속 소재와 혼합된 합금소재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구성된 연소부(110), 심지 지지대(120), 저장부(130) 및 연료공급 연통구를 구비함으로써, 심지 지지대(120)의 상단에서 연료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를 심지 지지대(120)와 연소부(110)를 통해 연료공급 연통부(140)와 저장부(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110)의 바닥면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과 맞닿는 평행한 구조이고, 연료공급 연통부(140)는 연소부(110)의 연료수용 관통구(111)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5 내지 60도만큼 경사진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의 바닥면은,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경사면 구조와 연속되는 경사면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료공급 연통부(140)를 지나 저장부(130)의 바닥면에 이르는 유동 공간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저장부(130)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가 외부로부터 제공된 열에너지에 의해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연료공급 연통부(140)를 통해 연소부(110) 내부로 유동할 수 있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110)의 연료수용 관통구(111)는 연료공급 연통부(140)와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이고, 저장부(130)의 연료공급 관통구(131)는 연료공급 연통부(140)와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 연통부(140)는, 연료수용 관통구(111) 및 연료공급 관통구(131)와 상하 높이방향으로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캔들(100)은, 특정 구조의 연소부 하우징(161), 연통부 하우징(162) 및 저장부 하우징(16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소부 하우징(161)은, 연소부(110)의 상부면을 외부로 개방함과 동시에 연소부(110)의 측면과 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구조이다. 연통부 하우징(162)은,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저장부 하우징(163)은, 저장부(130)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저장부(130)의 상부면을 외부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부재(164)를 탑재한 구조이며,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연소부 하우징(161), 연통부 하우징(162), 저장부 하우징(163) 및 개폐부재(164)를 구비함으로써, 연소부(110) 내부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단열할 수 있고, 연소부(110)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연료공급 연통부(140) 및 저장부(13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달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연소부 하우징, 연통부 하우징, 저장부 하우징 및 개폐부재의 외부 형상 또는 외부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외형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작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 하우징(161)은, 특정 구조의 공기흡입구(165) 및 공기흡입량 조절부재(166)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소부 하우징(161)의 공기흡입구(165)는, 연소부(11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연소부(110)의 수납공간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또한, 공기흡입량 조절부재(166)는, 연소부 하우징(161)의 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공기흡입구(16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기흡입구(165) 및 공기흡입량 조절부재(166)를 연소부 하우징(161)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소부(110)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량과 발생되는 불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흡열부, 회전부, 냉매강제순환부, 흡열배관부 및 가열배관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캔들(100)은, 특정 구조의 흡열부(173), 회전부(174), 냉매강제순환부(175), 흡열배관부(176) 및 가열배관부(177)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열부(173)는, 연소부(110)의 수납공간의 상부에 장착되고, 연소부(110)의 개방된 상부면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면 중심에 곡률반경 중심을 두는 곡면구조가 형성되고,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면에 연소되는 불꽃에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74)는,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연소부(110)의 개방된 상부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구조이고, 공기흡입구(165)로부터 인입되어 연소부(110)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냉매강제순환부(175)는,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배관구조이고, 회전부(1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며, 가열배관부(177)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흡열배관부(176)로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열배관부(176)는, 흡열부(173)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흡열부(173)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흡열부(173)로부터 흡수된 열에너지를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고, 냉매강제순환부(175)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가열배관부(177)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배관부(177)는,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가열배관부(177)로부터 전달된 가열된 냉매를 유동시키는 배관구조이며, 가열된 냉매의 열에너지를 연료공급 연통부(140)에 전달하고, 흡열배관부(176)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흡열배관부(176)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흡열부(173), 회전부(174), 냉매강제순환부(175), 흡열배관부(176) 및 가열배관부(177)를 구비함으로써, 연소부(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수된 열에너지를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외주면에 전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달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의 제어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캔들(100)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171), 무선통신모듈(172), 광량검출부재(178) 및 연료량검출부재(179)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1)는, 저장부 하우징(163)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광량검출부재(178)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흡입량 조절부재(166)의 작동을 제어하고, 연료량검출재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캔들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모듈(172)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모듈(172)은, 제어부(171)의 내부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71)에 전달하며, 제어부(171)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량검출부재(178)는, 연소부 하우징(161)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연소부(110) 내부에서 연소되는 불빛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료량검출부재(179)는, 저장부 하우징(163)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저장부(130) 내부에 수납된 연료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171), 무선통신모듈(172), 광량검출부재(178) 및 연료량검출부재(179)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소부(110)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연소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연소부(110) 내부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불빛의 광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연료의 재보충 시점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캔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저장부(130)의 상부에 방향제를 거치하여 발향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료공급 가이드판(150)의 상부면에 방향제를 거치할 수 있다. 거치할 수 있는 방향제로서 석고 방향제, 젤 방향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저장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방향제는 가열된 저장부(130)에 전달된 열에너지에 의해 발향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하우징(163)이 적용된 경우, 개폐부재(164)에는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캔들
110: 연소부
111: 연료수용 관통구
120: 심지 지지대
120a: 캔들심지
121: 관통구
122: 유동관
123: 심지 삽입공
124: 고정발
125: 심지끝단 지지부재
126: 중앙지지대
130: 저장부
131: 연료공급 관통구
140: 연료공급 연통부
150: 연료공급 가이드판
161: 연소부 하우징
162: 연통부 하우징
163: 저장부 하우징
164: 개폐부재
165: 공기흡입구
166: 공기흡입량 조절부재
171: 제어부
172: 무선통신모듈
173: 흡열부
174: 회전부
175: 냉매강제순환부
176: 흡열배관부
177: 가열배관부
178: 광량검출부재
179: 연료량검출부재

Claims (5)

  1.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하부 일측면에 연료수용 관통구(111)가 형성된 연소부(110);
    상기 연소부(110)의 수납공간의 정중앙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거치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기둥구조이며, 하부 일측면에 관통구(121)가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구(121)를 통해 인입된 연료가 상방으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관(122)이 내부 정중앙에 상부면과 하부면을 서로 연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 중앙에 캔들심지(120a)가 장착되어 유동관(122)과 연통되는 구조의 심지 삽입공(123)이 형성된 심지 지지대(120);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하부 일측면에 연료공급 관통구(131)가 형성된 저장부(130);
    상기 연소부(110)의 연료수용 관통구(111)와 저장부(130)의 연료공급 관통구(131)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로 장착하는 연료공급 연통부(140); 및
    상기 저장부(130)의 수납공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개방된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판상형 구조이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저장부(130)에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저장부(130)에 수납된 연료의 상부면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연료공급 가이드판(150);
    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110), 심지 지지대(120), 저장부(130), 연료공급 연통부(140) 및 연료공급 가이드판(150)은, 심지 지지대(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연료를 연소하는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연소부(110), 연료공급 연통부(140) 및 저장부(130) 내부에 수납된 연료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10)의 바닥면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과 맞닿는 평행한 구조이고,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140)는 연소부(110)의 연료수용 관통구(111)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5 내지 60도만큼 경사진 구조로 장착되며,
    상기 저장부(130)의 바닥면은,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경사면 구조와 연속되는 경사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들은,
    상기 연소부(110)의 상부면을 외부로 개방함과 동시에 연소부(110)의 측면과 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연소부 하우징(161);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연통부 하우징(162); 및
    상기 저장부(130)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저장부(130)의 상부면을 외부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부재(164)를 탑재한 구조이며, 내부에 단열소재가 충진되거나 단열구조가 형성된 저장부 하우징(163);
    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 하우징(161)은,
    상기 연소부(11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연소부(110)의 수납공간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의 공기흡입구(165); 및
    상기 연소부 하우징(161)의 측면에 장착되고, 공기흡입구(16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흡입량 조절부재(1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 하우징(161)은,
    상기 연소부(110)의 수납공간의 상부에 장착되고, 연소부(110)의 개방된 상부면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면 중심에 곡률반경 중심을 두는 곡면구조가 형성되고,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면에 연소되는 불꽃에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부(173);
    상기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연소부(110)의 개방된 상부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구조이고, 공기흡입구(165)로부터 인입되어 연소부(110)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174);
    상기 심지 지지대(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배관구조이고, 회전부(1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며, 가열배관부(177)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흡열배관부(176)로 유동시키는 냉매강제순환부(175);
    상기 흡열부(173)의 내부에 장착되고, 흡열부(173)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흡열부(173)로부터 흡수된 열에너지를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고, 냉매강제순환부(175)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가열배관부(177)로 유동시키는 흡열배관부(176); 및
    상기 연료공급 연통부(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가열배관부(177)로부터 전달된 가열된 냉매를 유동시키는 배관구조이며, 가열된 냉매의 열에너지를 연료공급 연통부(140)에 전달하고, 흡열배관부(176)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흡열배관부(176)로 유동시키는 가열배관부(17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캔들은,
    상기 저장부 하우징(163)의 내부에 장착되고, 광량검출부재(178)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흡입량 조절부재(166)의 작동을 제어하고, 연료량검출재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캔들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모듈(172)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제어부(171);
    상기 제어부(171)의 내부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71)에 전달하며, 제어부(171)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172);
    상기 연소부 하우징(161)의 내부에 장착되고, 연소부(110) 내부에서 연소되는 불빛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전달하는 광량검출부재(178); 및
    상기 저장부 하우징(163)의 내부에 장착되고, 저장부(130) 내부에 수납된 연료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전달하는 연료량검출부재(17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KR1020210140481A 2021-10-20 2021-10-20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KR10235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81A KR102354486B1 (ko) 2021-10-20 2021-10-20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PCT/KR2022/015481 WO2023068650A1 (ko) 2021-10-20 2022-10-13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81A KR102354486B1 (ko) 2021-10-20 2021-10-20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486B1 true KR102354486B1 (ko) 2022-01-21

Family

ID=8005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481A KR102354486B1 (ko) 2021-10-20 2021-10-20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4486B1 (ko)
WO (1) WO20230686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50A1 (ko) * 2021-10-20 2023-04-27 안상권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847A (en) * 1979-07-24 1983-05-24 Schirnecker Hans Ludwig Fire bowl
KR200452808Y1 (ko) 2009-05-26 2011-03-25 이철헌 파라핀 양초
US20120082947A1 (en) * 2010-10-01 2012-04-05 Crapser James R Candle assembly and fuel element therefor
US10378754B1 (en) * 2018-04-13 2019-08-13 Jamie Durrence Systems and methods for refilling liquid fuel candles
KR102269188B1 (ko) * 2020-12-28 2021-06-24 김성환 케이스형 양초용 촛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010Y1 (ko) 2000-08-18 2001-01-15 김유리 양초
KR20110016029A (ko) * 2009-08-10 2011-02-17 정재은 촛대 겸용 양초
KR20110017075A (ko) * 2009-08-13 2011-02-21 이관훈 파라핀 오일을 이용한 양초
KR101835103B1 (ko) * 2016-07-08 2018-03-08 전호성 부양캔들
KR20180098427A (ko) *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KR200495893Y1 (ko) * 2019-12-16 2022-09-15 장재영 멀티심지를 갖는 캔들 어셈블리
KR102354486B1 (ko) * 2021-10-20 2022-01-21 안상권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847A (en) * 1979-07-24 1983-05-24 Schirnecker Hans Ludwig Fire bowl
KR200452808Y1 (ko) 2009-05-26 2011-03-25 이철헌 파라핀 양초
US20120082947A1 (en) * 2010-10-01 2012-04-05 Crapser James R Candle assembly and fuel element therefor
US10378754B1 (en) * 2018-04-13 2019-08-13 Jamie Durrence Systems and methods for refilling liquid fuel candles
KR102269188B1 (ko) * 2020-12-28 2021-06-24 김성환 케이스형 양초용 촛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50A1 (ko) * 2021-10-20 2023-04-27 안상권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650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707B2 (en) Melting plate candles
ES2348170T3 (es) Carga de combustible para conjunto de vela de plato de fusión y método para suministrar combustible licuado a una mecha.
US9890950B2 (en) Fuel burning system and method
ES2261481T3 (es) Vela que comprende un recipiente y un sustentador de mecha.
US7467944B2 (en) Candle assembly including a fuel element and a wick holder
EP1027556B1 (en) Low-burning candle
US6555069B1 (en) Oil lamp with ceramic diffuser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US20070287116A1 (en) Melting plate candles
US20060084021A1 (en) Wick holder
KR102354486B1 (ko)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EP1406673A1 (en) Device for vaporising and diffusing oils
US20180335206A1 (en) Wax Burning System
US20050175513A1 (en) Device for vaporising and diffusing oils
US6333009B1 (en) Heating element for oil burning lamp
US6426051B1 (en) Oil burning lamp adapted to disperse fragrance
KR100925263B1 (ko) 화재 방지용 촛대
JP6556729B2 (ja) 液体キャンドルシステム
KR101858069B1 (ko) 양초를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KR102066037B1 (ko) 광 생성 장치
KR20110008517U (ko) 촛불장치
JP2019524909A (ja) 浮揚キャンドル
KR200210829Y1 (ko) 양초 비바람막이 기구
KR200257842Y1 (ko) 양초 케이스
KR200182528Y1 (ko) 심지 지지대가 형성된 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