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50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50B1
KR102354450B1 KR1020190045647A KR20190045647A KR102354450B1 KR 102354450 B1 KR102354450 B1 KR 102354450B1 KR 1020190045647 A KR1020190045647 A KR 1020190045647A KR 20190045647 A KR20190045647 A KR 20190045647A KR 102354450 B1 KR102354450 B1 KR 10235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let
main body
aerosol generating
in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668A (ko
Inventor
이종섭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4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단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에 내부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단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버 유입구와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타단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하거나, 상기 본체에 대하여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모두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모두 폐쇄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와 제2 커버 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를 통하여 마우스피스를 보호함과 동시에, 커버를 통하여 흡인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또는 액체 저장부 내의 에어로졸 생성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흡인 시, 흡인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흡인저항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따라 흡인저항을 크게 또는 작게 느껴질 수 있으며, 흡인저항을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만족할만한 끽미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흡인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1549306 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인저항의 조절이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일단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에 내부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단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버 유입구와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타단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하거나, 상기 본체에 대하여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모두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모두 폐쇄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와 제2 커버 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흡인저항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된다.
상기 커버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커버 유입구 중 일부를 폐쇄하는 제3 위치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와 개방된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됨으로써, 보다 세밀한 흡인저항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해 커버가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의 측면의 어느 하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의 측면의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와 체결되는 홈을 구비함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해 커버가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는 상기 본체의 단부면은 사용자의 흡인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은 본체의 단부면에 대응하여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본체에 구비된 본체 유입구로의 공기 유입을 보다 안정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 중심에서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 중심에서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적은 수의 제2 커버 유입구만으로 흡인저항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양 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흡인저항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됨에 따라, 흡인저항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커버 유입구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에 접촉하는 흡입구를 커버를 통해 덮음으로써 이물질로부터 흡입구를 보호함과 동시에, 커버를 커버 유입구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커버에 구비된 커버 유입구의 개수를 조절하여 보다 다양한 레벨의 흡인저항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에 구비된 복수의 커버 유입구의 직경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적은 수의 커버 유입구만으로, 흡인저항을 다양한 레벨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커버에 구비된 커버 유입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커버가 본체에 구비된 흡입구를 덮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커버가 본체에 구비된 본체 유입구를 덮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4b의 커버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커버와 본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커버와 본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도 8b 및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본체(110)와 커버(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카트리지(121) 및 배터리(123)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카트리지(121)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카트리지(121)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모두 소진한 이후에 폐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모두 소진한 이후, 카트리지(121)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거나, 상이한 유형(발생하는 향이 다르거나, 색상이 다르거나, 포함된 성분이 상이함)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하기 위하여 본체(110)로부터 카트리지(121)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트리지(121)는 본체(1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121)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1)는 본체(11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카트리지(121)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와, 액체 저장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123)는 히터를 가열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1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설치된 범용적인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123)의 용량은 카트리지(121)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설정되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소진 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함께 폐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123)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함께 재충전 가능하거나 교체 가능할 수도 있다. 배터리(123)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23)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110)의 일단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 유입구(113)가 형성되고 본체(110)의 타단에는 내부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이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흡입구(111)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타단은 사용자의 입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며, 본체(110)의 타단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구(111)를 통해 흡인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본체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고, 외부의 공기는 본체(110) 내부의 기류패스를 통해 내부에서 발생된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1은 본체 유입구(113)가 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유입구(미도시)가 본체(110)의 측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유입구(미도시)는 흡입구(111)에 인접한 본체(1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하나의 본체 유입구(113)가 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본체 유입구(113)가 본체(110)의 일단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50)는 일측이 개방되어 본체(1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삽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버(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 시, 분실되지 않도록 본체 유입구(113)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미사용 시, 흡입구(111)를 덮어 흡입구(1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150)가 흡입구(111)를 덮도록 본체(110)의 타단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흡입구(111)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1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본체(110)와 커버(150)는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정사각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배터리(210), 센서(230), 히터(250) 및 액체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는 배터리(210), 센서(230), 히터(250), 액체 저장부(27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내부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210), 센서(230), 히터(250) 및 액체 저장부(27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배터리(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210)는 히터(25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23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2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2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내부의 기류를 감지하며, 기설정된 값 이상의 기류가 감지되면 배터리(210)와 히터(2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히터(250)는 센서(230)에 의해서 배터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2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배터리(2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은 히터(250)는 액체 저장부(270)에 포함된 액상 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액체 저장부(27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70)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270)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27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250)와 액체 저장부(270)는 카트리지를 구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액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7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250)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사용할 경우, 전술한 배터리(210), 센서(230), 히터(250) 및 액체 저장부(270)의 동작특성이 어떤 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파지하고, 액체 저장부(270)에 인접한 흡입구(222)에 입을 근접시켜서, 흡입구(22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구(22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외부의 공기는 본체 유입구(221)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다.
센서(230)는 배터리(210)에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내부의 기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230)에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기류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퍼프(puff)가 시작된 것으로 간주하고, 배터리(210)를 히터(25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서(230)는 특정 방향의 기류만 감지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흡입구(222)에 대한 사용자의 흡입행위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동작을 개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내부로 유입되는 기류를 감지하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신호(예를 들어, 전원 버튼)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동작을 개시한다는 것은, 센서(230)가 배터리(210)와 히터(2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배터리(210)로부터 히터(25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터(250)는 배터리(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히터(250)와 인접한 액체 저장부(27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터(250)는 액체 저장부(270)로부터 액체 전달 수단을 통해 액상 조성물이 흘러나오면, 히터(250)에 인접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커버에 구비된 커버 유입구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커버가 본체에 구비된 흡입구를 덮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커버가 본체에 구비된 본체 유입구를 덮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c는 도 4b의 커버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에서, 커버(150)는 단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와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구비한다.
도 3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실시예에 따라,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는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50)는 일측이 개방되어 본체(1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150)가 본체(110)의 일단에 결합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또는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통해 본체(110)로 유입된다.
커버(150)는 탄성 소재로 제작되고, 개방된 일측의 단면적이 본체(11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본체(1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커버(150)는 본체(11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커버(150)의 내부 공간은 커버(150)의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커버(150)와 본체(110)의 결합 시, 커버(150)로부터 본체(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4a에서는 커버(150)가 본체(110)의 타단을 덮도록 본체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커버(150)가 본체(110)의 타단을 덮도록 결합한 상태에서는 흡입구(111)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b 및 4c에서는 커버(150)가 본체(11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커버(150)는 본체(110)의 일단에서 본체(110)에 대하여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150)는 본체(1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150)는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이동 할 수도 있다.
커버(150)는 본체(110)의 일단에서 본체(110)에 대하여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는 사용자의 흡인을 위하여 커버(150)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폐쇄되지 않는다.
도 4b에서, 커버(150)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통해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된다.
또는, 도 4c에서, 커버(150)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가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를 통해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된다.
도 4b 내지 4c와 같이 커버 유입구의 개수 변화는 본체 유입구(113)의 기류 속도, 유동 면적 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흡인 시, 흡인저항이 가변 된다.
도 5는 커버와 본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15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본체(11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커버(150)는 개방된 일측의 단면적이 본체(11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커버(150)의 내부 공간은 커버(150)의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체(110)의 일단 또는 타단은 커버(150)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의 A위치에서, 커버(150)의 일측의 단면적은 본체(11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본체(110)는 커버(15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5의 A위치에서, 커버(150)의 타측으로 갈수록 커버(150)의 단면적은 점점 좁아져 도 5의 B위치에서, 커버(150)의 단면적과 본체(110)의 단면적이 동일해질 수 있다.
커버(150)가 탄성 소재로 제작되므로, 본체(110)가 B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본체(110)를 커버(15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150)는 탄성 소재로 제작되고, 커버(150)의 타측의 단면적은 커버(150)의 단면적 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커버(150)와 본체(110)의 결합 시, 커버(150)가 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B 위치는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배치되는 위치 보다 커버(150)의 개방된 일측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커버와 본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의 차이점은 커버(150)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 변화와, 커버(150) 및 본체(110)의 돌기 또는 홈의 구비 여부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150)는 개방된 일측의 단면적이 본체(110)의 단면적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커버(150)의 일측 내지 타측에서 일정하다.
커버(150)의 내측면과 본체(110)의 일단의 측면의 어느 하나는 돌기(210a, 210b)를 구비하고, 커버(150)의 내측면과 본체(110)의 일단의 측면의 다른 하나는 돌기(210a, 210b)와 체결되는 홈(230a, 230b, 230c, 230d)을 구비한다.
도 6은 커버(150)의 내측면에 한 쌍의 돌기(210a, 210b)가 각각 형성되고, 본체(110)의 일단의 측면에 한 쌍의 돌기(210a, 210b)와 체결되는 두 쌍의 홈(230a, 230b, 230c, 230d)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커버(150)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본체(110)에 두 쌍 이상의 홈(230a, 230b, 230c, 230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50) 및 본체(110)가 돌기(210a, 210b) 또는 홈(230a, 230b, 230c, 230d)을 구비함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의 개폐가 가능하며, 커버(150)의 본체(110)의 결합 시, 커버(150)가 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150)는 흡인저항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체(110)의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150)는 본체(110)의 일단에서 본체(110)에 대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폐쇄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커버(150)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의 개폐에 따라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이 가변되므로, 흡인저항은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50)는 일측이 개방되며, 본체(110)의 일단은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커버(150)의 타측의 단부면은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50)의 양 측면에는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각각 형성된다.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커버 유입구가 막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막히지 않은 다른 커버 유입구를 통해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는 커버(150)의 타측의 단부면 중심에서 커버(1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O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7a에서 커버(150)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통해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된다.
제1 위치에서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모두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증가하고, 흡인저항은 작아질 수 있다.
도 7b에서 커버(15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를 통해서만 유입된다.
제2 위치에서는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는 폐쇄되고,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만이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감소하고, 흡인저항은 증가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와의 차이점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가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가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커버(150)는 복수 개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 중 일부를 폐쇄하는 제3 위치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각각 도 7a 내지 도 7b와 같이,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를 모두 개방하는 위치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를 모두 폐쇄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 내지 도 8c는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가 커버(150)의 양 측면에 두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두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는 커버(15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두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는 커버(150)의 타측의 단부면 중심에서 커버(1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O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8a에서 커버(150)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두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두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를 통해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된다.
제1 위치에서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두 쌍의 제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가 모두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증가하고, 흡인저항은 작아질 수 있다.
도 8b에서 커버(15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두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를 모두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를 통해서만 유입된다.
제2 위치에서는 두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는 모두 폐쇄되고,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만이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감소하고, 흡인저항은 증가할 수 있다.
도 8c에서 커버(150)가 제3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 중 어느 한 쌍만을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가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와 개방된 한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를 통해 유입된다.
제3 위치에서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 중 어느 한 쌍만이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제1 위치에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 보다 작고, 제2 위치에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 보다 크다. 따라서, 제3 위치에서의 흡인저항은 제1 위치에서의 흡인저항 보다 크고 제2 위치에서의 흡인저항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레벨의 흡인저항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는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의 직경은, 다른 한 쌍의 제2 커버 유입구(151c, 151d)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커버(150)의 타측으로 갈수록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151c, 151d)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 각 흡인저항의 레벨차이가 커질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저항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와의 차이점은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커버(150)의 타측의 단부면 중심에서 커버(1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OL)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되게 형성된다는 점이다.
또한,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도, 도 9c와 같이,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중 일부가 폐쇄되는 제3 위치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커버(150)의 타측의 단부면 중심에서 커버(1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OL)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되게 형성되는 경우, 커버(150)는 복수 개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중 일부를 폐쇄하는 제3 위치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각각 도 7a 내지 도 7b와 같이,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개방하는 위치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폐쇄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에서 커버(150)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통해 본체 유입구(113)로 유입된다.
제1 위치에서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 및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가 모두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증가하고, 흡인저항은 작아질 수 있다.
도 9b에서 커버(15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를 모두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를 통해서만 유입된다.
제2 위치에서는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는 폐쇄되고,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만이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감소하고, 흡인저항은 증가할 수 있다.
도 9c에서 커버(150)가 제3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중 어느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151b)만을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가 제1 커버 유입구(153a, 153b)와 개방된 제2 커버 유입구(151a)를 통해 유입된다.
제3 위치에서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되므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은 제1 위치에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 보다 작고, 제2 위치에서 본체 유입구(113)에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 보다 크다. 따라서, 제3 위치에서의 흡인저항은 제1 위치에서의 흡인저항 보다 크고 제2 위치에서의 흡인저항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보다 제2 실시예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만으로도 보다 다양한 레벨의 흡인저항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는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151a)의 직경은, 다른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151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커버(150)의 타측으로 갈수록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의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심선(OL)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제2 커버 유입구(151a, 151b)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 각 흡인저항의 레벨차이가 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본체
150: 커버
151a, 151b: 제2 커버 유입구
153a, 153b: 제1 커버 유입구

Claims (12)

  1. 일단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단에 내부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단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버 유입구와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버 유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타단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하거나, 상기 본체에 대하여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모두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모두 폐쇄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와 제2 커버 유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폐쇄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커버 유입구 중 일부를 폐쇄하는 제3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커버 유입구와 개방된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유입구로 유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의 측면의 어느 하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의 측면의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와 체결되는 홈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 중심에서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단부면 중심에서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상기 커버의 양 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커버 유입구는
    직경이 서로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45647A 2019-04-18 2019-04-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5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47A KR102354450B1 (ko) 2019-04-18 2019-04-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47A KR102354450B1 (ko) 2019-04-18 2019-04-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68A KR20200122668A (ko) 2020-10-28
KR102354450B1 true KR102354450B1 (ko) 2022-01-21

Family

ID=7301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47A KR102354450B1 (ko) 2019-04-18 2019-04-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5669A (zh) * 2021-07-05 2024-02-2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抽吸阻力修改元件的气溶胶生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42B1 (ko) * 2011-04-26 2011-10-04 하종석 흡입식 금연보조제
KR200485776Y1 (ko) * 2017-05-26 2018-02-21 이충언 캡이 구비된 전자담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3459D0 (en) * 2008-07-23 2008-08-2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Ventilating sheath for smoking article
EP2802225B1 (en) * 2012-01-09 2020-07-01 Philip Morris Products S.a.s. Smoking article with dual function cap
KR101549306B1 (ko) 2013-11-05 2015-09-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입압 조절 유닛 및 그를 구비한 무연 담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42B1 (ko) * 2011-04-26 2011-10-04 하종석 흡입식 금연보조제
KR200485776Y1 (ko) * 2017-05-26 2018-02-21 이충언 캡이 구비된 전자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68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4978A1 (en) Heate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ES2850674T3 (es) Artículo de suministro de aerosol
KR101969566B1 (ko) 전자 담배 흡입기능이 구비된 전기 가열형 담배 흡입장치
JP6737849B2 (ja) たばこ用電子装置
CN110367592B (zh) 电子吸烟器具的液体气溶胶制剂
KR102353864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17514504A (ja) 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を作製する方法
KR20210052545A (ko) 에어로졸 전달 장치를 위한 위킹 요소
KR102658121B1 (ko) 분리 가능한 벤투리 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23030216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55013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273061B2 (ja) 交換可能な基板構成要素を含む吸入デバイスのためのマウスピース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ための交換可能な基板構成要素
KR102420138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5445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3744B1 (ko) 기류패스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126611A (ko) 일회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890528B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US20230000143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piercing assembly
KR10239518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72403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되는 기류감지모듈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에서 사용자의 퍼프를 확인하는 방법
KR10249343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4628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27561B1 (ko) 누액방지기능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396395B1 (ko) 에어로졸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30218007A1 (en) Non-combustible aerosol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