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174B1 -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174B1
KR102354174B1 KR1020210046373A KR20210046373A KR102354174B1 KR 102354174 B1 KR102354174 B1 KR 102354174B1 KR 1020210046373 A KR1020210046373 A KR 1020210046373A KR 20210046373 A KR20210046373 A KR 20210046373A KR 102354174 B1 KR102354174 B1 KR 10235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rver
service
status information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훈민
백승용
김빛나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174B1/ko
Priority to PCT/KR2021/004950 priority patent/WO2022215789A1/ko
Priority to TW110115846A priority patent/TW202240521A/zh
Priority to JP2021082358A priority patent/JP6984058B1/ja
Priority to US17/382,551 priority patent/US11714804B2/en
Priority to JP2021190116A priority patent/JP7242117B2/ja
Priority to KR1020220007068A priority patent/KR102569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174B1/ko
Priority to KR1020230108169A priority patent/KR20230124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79Updates performed during online database operations; commi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8Details of hyperlinks; Management of linked anno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관리 방법으로서,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NK RELATED TO KEYWORD ADVERTISEMENT}
본 개시는 키워드 광고에 사용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광고를 제공할 때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리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키워드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감염병의 확산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는 검색 포털에 키워드의 세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키워드를 검색 포털에서 검색하면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링크를 결과로서 노출하여 사용자를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상품에 대한 페이지의 계속적인 생성 및 소멸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기존에 있었던 상품 페이지에 대한 URL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며, 이는 소위 데드 링크(dead link), 또는 깨진 링크(broken link)로 지칭된다. 사용자가 검색 포털을 통해 사용자가 이와 같은 데드 링크에 유입될 경우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서 전자상거래 업체에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고, 전자상거래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 업체는 광고를 제공하는 검색 포털의 검색 결과에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존재하는 데드 링크를 노출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하고, 데드 링크를 검색 결과로서 표시할 수 있는 키워드를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검색 포털에 광고를 위해 제공하는 키워드 세트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는 일정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키워드 세트는 수천만개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검사를 지나치게 자주 수행하는 것 또한 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가 광고를 진행하는 검색 포털이 다수 존재하면 검색 포털에 제공하는 키워드 세트도 다수 존재할 수 있고, 중복되는 키워드가 다수 존재하는 복수의 검색 키워드 세트에 대해 각각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2-0030641호는 홈페이지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홈페이지 내의 링크 중 데드 링크를 체크하기 위한 데드 링크 체크모듈을 개시하며, HTML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데드 링크로 체크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식별하여 별도로 관리하고, 복수의 키워드 세트에 대해 데드 링크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 세트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복수의 키워드 세트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관리 방법은,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제2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서버에 제공된 상기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버와 관련된 상기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에서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결과의 출력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페이지 유형이 상기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일 경우, 상기 제1 서버에서 제공되는 페이지 상에서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로 유입된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페이지 유형이 상기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일 경우, 상기 제1 서버에서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유입된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제1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서 획득된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서 상기 서비스로 유입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페이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가 존재하고,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랜딩 페이지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 및 상기 검색 결과에서 선택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와 관련된 제2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상기 제1 키워드의 대체 키워드와 관련된 랜딩 페이지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기록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에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할당된 키워드에 대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주기는 상기 우선순위가 할당되지 않은 키워드에 대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주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검색 기록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횟수가 일정 기간 동안 임계값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에 키워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다른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를 위해 검색 포털에 제공하는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와 연결된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검색 포털에 제공함으로써, 검색 포털의 검색 결과에 전자상거래 사이트와 관련된 데드 링크를 노출하지 않도록 하고,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키워드 광고가 제공되는 복수의 서버가 있으며, 각 서버에 대응하는 키워드 세트를 관리해야 하는데, 복수의 서버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워드 세트에 대해, 하나의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의 모든 키워드에 대해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다른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들의 데드 링크와 관련된 상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다른 키워드 세트에 대해 반복적으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및 저비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제1 키워드 세트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제1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서만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키워드를 완전하게 식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키워드마다 데드 링크 검사에 대한 우선순위를 할당함으로써,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에 대한 검사 주기를 짧게 하여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사용자가 유입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자주 검색되지 않는 키워드에 대한 검사 주기를 길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검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서버에 제공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키워드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방법과 관련된 각 노드들의 정보 교환과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버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방법과 관련된 각 노드들의 정보 교환과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서비스 서버(120) 및 검색 포털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를 사용하여 전자상거래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20)와의 정보 교환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나 데스크탑 PC와 같은 스테틱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기기라면 제한 없이 사용자 단말기(110)로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검색 포털 서버(130)와 통신하며 검색 포털에 관련된 정보 또는 광고를 위해 제공한 키워드 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 포털 서버(130)는 검색 포털 관리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검색 포털을 관리하고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광고를 위한 키워드 세트 및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서버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사용하여 검색 포털 서버(130)에 접근할 수 있고, 검색 포털 서버(130)에서 노출되는 서비스 서버(120)로 연결되는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120)에 페이지에 대한 쿼리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210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다양한 업체의 상품의 판매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고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1 서버는 웹 상에 존재하는 정보와 웹 사이트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 또는 검색 포털을 서비스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1 키워드 세트는 서비스 서버에서 광고를 위해 제1 서버에 제공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의 세트일 수 있으며, 제1 서버에서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하는 경우, 제1 서버는 검색 결과로서 서비스 서버의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광고를 위해 제1 서버에 제1 키워드 세트를 제공하고, 광고를 위한 키워드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제1 키워드 세트를 업데이트하여 제1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landing page)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dead link)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랜딩 페이지는 검색 엔진, 광고 등을 경유하여 접속하는 사용자가 최초로 보게 되는 웹 페이지로서, 사용자가 제1 서버에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광고를 위해 제공하는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페이지로 진입하고, 광고주가 의도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서버에서 상품 '기저귀'를 검색하면, 서비스 서버에서 '기저귀'를 검색한 검색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과 같은 링크가 제1 서버의 검색 결과로서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의 '기저귀'에 대한 검색 페이지로 진입하고,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기저귀'에 대한 상품 판매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기저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 서버는 검색 포털과 같은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 자사 서비스 서버의 검색 결과로 연결되는 링크를 노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의 랜딩 페이지로 진입하여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랜딩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는 랜딩 페이지 유형 및 랜딩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랜딩 페이지 유형은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의 유형을 나타낼 수 있고, 랜딩 페이지는 상품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 검색 결과에서 선택된 특정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 상세 페이지, 사용자가 구매를 위해 선택한 상품을 나열하는 장바구니 페이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랜딩 키워드는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 유형이 검색 결과 페이지인 경우, 서비스 서버에서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해 입력하는 키워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랜딩 키워드는 서비스 서버가 제1 서버에 제공하는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서버에서 키워드'A사 기저귀 대형'을 검색하여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로 진입한 경우, 랜딩 페이지는 제1 서버에 제공한 키워드 'A사 기저귀 대형'과 일치하는 랜딩 키워드 'A사 기저귀 대형'을 서비스 서버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 페이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랜딩 키워드는 서비스 서버가 제1 서버에 제공하는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서버에서 키워드 'A사 기저귀 대형'을 검색하여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로 진입한 경우, 랜딩 페이지는 제1 서버가 제공한 키워드 'A사 기저귀 대형'과 상이한 랜딩 키워드 'A사 기저귀' 또는 '기저귀 대형 A사'을 서비스 서버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 페이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 유형이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에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서비스로 유입된 사용자에게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랜딩 키워드가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링크를 통해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 유형이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에서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서비스로 유입된 사용자에게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와 관련된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랜딩 키워드가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링크를 통해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와 상이한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예를 들어, 랜딩 키워드)에 대한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
데드 링크는 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웹 페이지나 서버를 가리키는 웹 상의 링크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 유형이 검색 결과 페이지인 경우, 데드 링크는 서비스 서버에서 랜딩 키워드로 검색하여 출력된 결과의 개수가 0인 것을 나타내는 페이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 유형이 상품 상세 페이지인 경우, 데드 링크는 상품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상품에 대한 상품 상세 페이지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데드 링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의 페이지로 유입될 경우, 이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있어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는 광고를 제공하는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 서비스 서버의 데드 링크를 노출하지 않도록 조치할 필요가 있고,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를 검색 결과로서 표시할 수 있는 제1 서버에 제공하는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를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에서 획득된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통해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진입한 것이 서비스 서버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는 이를 검색 기록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이와 같은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통해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 또는 랜딩 키워드를 식별할 수 있고,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제1 서버에서 검색 결과로서 노출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드 링크 검사에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페이지에 유입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서 서비스로 유입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페이지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통해 서비스 서버의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진입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의 검색 결과 노출된 링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의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유입된 다른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 정보에서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서 서비스로 유입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페이지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페이지에 유입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에서 획득된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에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고, 우선순위가 할당된 키워드에 대해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주기는 우선순위가 할당되지 않은 키워드에 대해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통해 다른 키워드들 중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예를 들어, 검색 기록에서 키워드에 대한 검색 횟수가 일정 기간 동안 임계값 이상인 키워드)를 식별할 수 있고,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 주기를 자주 검색되지 않는 키워드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 주기보다 더 짧게 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 세트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는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1일 1회)로 수행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일수록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를 통해 서비스 서버의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진입할 위험성이 높으므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에 대한 검사 주기를 짧게 하여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페이지로 사용자가 유입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주 검색되지 않는 키워드에 대한 데드 링크 검사 주기를 길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검사를 도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에서 획득된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세트에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통해 다른 키워드들 중에서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식별할 수 있고,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가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제1 키워드 세트에 추가하는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제1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를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에 추가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는 'on' 및 'off'중 하나의 상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1 서버에 제공하는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의 상태 정보가 'on'으로 설정함으로써 키워드가 제1 서버에서 검색된 결과에 상기 키워드와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를 노출할 수 있다. 한편,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가 데드 링크인 경우, 사용자가 데드 링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의 페이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off'로 설정함으로써 특정 키워드가 제1 서버에서 검색된 결과에서 상기 특정 키워드와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상태 정보가 'on'인 키워드의 검색 결과에서만 서비스 서버의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노출하고, 상태 정보가 'off'인 키워드의 검색 결과에서는 서비스 서버의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데드 링크로 식별된 랜딩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off'로 설정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랜딩 페이지는 서비스 서버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 및 검색 결과에서 선택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고,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제1 키워드 및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와 관련된 제2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이고,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키워드의 검색 결과가 0건인 경우, 제1 키워드는 데드 링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가 0건인 경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와 관련된 제2 키워드 역시 데드 링크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워드 '기저귀 대형'의 서비스 서버에서의 검색 결과가 0건이라면,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와 관련된 제2 키워드 'A사 기저귀 대형', 'B사 기저귀 대형'에 대한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모두 데드 링크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키워드에 대해서는 데드 링크 검사를 하지 않고서도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off'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데드 링크 검사 및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키워드 세트의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고,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제1 키워드의 대체 키워드와 관련된 랜딩 페이지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이고,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키워드의 검색 결과가 0건인 경우, 제1 키워드는 데드 링크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정보 제공이 가능한 제1 키워드의 대체 키워드와 관련된 랜딩 페이지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제1 키워드의 대체 키워드는 제1 키워드의 상위 개념의 키워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워드'A사 기저귀 대형'의 서비스 서버에서의 검색 결과가 0건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A사 기저귀 대형'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제1 키워드의 대체 키워드로서 'A사 기저귀 대형'보다 상위 개념의 키워드인 'A사 기저귀', 또는 '기저귀 대형'와 관련된 랜딩 페이지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정보 제공이 가능한 상위 레벨의 검색 결과 페이지로 넘겨줄 수 있다(redirect).
단계 240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1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버에 제공된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제1 서버와 관련된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에서 서비스와 관련된 결과의 출력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1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제1 서버에서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서버에 제공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2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서버는 제1 서버와 같이 웹 상에 존재하는 정보와 웹 사이트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 또는 검색 포털을 서비스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2 키워드 세트는 서비스 서버에서 광고를 위해 제2 서버에 제공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의 세트일 수 있으며, 제2 서버에서 제2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하는 경우, 제2 서버는 검색 결과로서 서비스 서버의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광고를 위해 제2 서버에 제2 키워드 세트를 제공하고, 광고를 위한 키워드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제2 키워드 세트를 업데이트하여 제2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키워드 세트는 제1 키워드 세트와 동일한 키워드의 세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키워드 세트는 제1 키워드 세트와 상이한 키워드의 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에서의 랜딩 키워드'A사 유아용 기저귀' 의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랜딩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 노출하기 위한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는 'A사 유아용 기저귀'인 반면, 동일한 링크를 제2 서버의 검색 결과에 노출하기 위한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는 'A사 기저귀 유아용' 또는 'A사 기저귀 소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와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가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제1 서버에서의 검색 결과로서 노출되는 링크가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페이지가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제2 서버에서의 검색 결과로서 노출되는 링크가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페이지가 서로 대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가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이 동일하거나, 페이지를 불러오기 위해 서버에 요청하는 쿼리가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가 존재하고,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제2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가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에 존재하고, 제2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와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각각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제2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단계 230에서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와 동일하게, 서비스 서버는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A사 유아용 기저귀'가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것이어서, 'A사 유아용 기저귀'의 상태 정보가 'off'로 업데이트되었다면,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A사 유아용 기저귀'와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A사 기저귀 유아용' 및 'A사 기저귀 소형'의 상태 정보를 동일하게 'off'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 세트의 모든 키워드에 대해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다른 서버에 대응하는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들의 데드 링크와 연관된 상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다른 키워드 세트에 대해 반복적으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및 저비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제1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2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와 서로 대응하지 않는 키워드가 존재할 수 있고, 이들은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서비스 서버는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2 키워드 세트에 비해 작은 서브세트에 대해서만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키워드를 완전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2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2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제2 서버에서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키워드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방법과 관련된 각 노드들의 정보 교환과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서버 및 제1 서버 사이의 정보 교환 및 각 노드에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401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제1 서버의 페이지 상에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고, 입력된 검색 키워드는 제1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402에서 제1 서버는 입력된 검색 키워드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제1 키워드 세트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의 광고를 위해 검색 포털을 제공하는 제1 서버에 키워드 광고를 위한 키워드 세트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검색 키워드가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403에서 제1 서버는 검색 키워드가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키워드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링크 정보는 랜딩 페이지와 관련된 랜딩 페이지 유형 및 랜딩 키워드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 키워드로서 'A사 기저귀 유아용'을 검색하였고, 제1 키워드 세트가 검색 키워드를 포함한다면, 제1 서버는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랜딩 페이지는 'A사 기저귀 유아용'에 대한 서비스 서버의 검색 결과 페이지, 'A사 기저귀 유아용'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A사 기저귀 유아용'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은 장바구니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랜딩 키워드는 검색 키워드와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키워드가 'A사 기저귀 유아용'인 경우, 랜딩 페이지는 검색 키워드와 일치하지 않지만 연관되는 키워드인 'A사 기저귀 소형'등을 랜딩 키워드로서 검색한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서버에 랜딩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검색 키워드의 검색 결과로서 제1 서버가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의 링크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링크 정보를 클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랜딩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05에서 서비스 서버는 랜딩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랜딩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
단계 406 내지 408은 서비스 서버가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 중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406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407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408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1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406 내지 408은 상술한 단계 220 내지 240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단계 406 내지 408이 단계 405를 수행한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단계 406 내지 408은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고 페이지를 요청하는 동작과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주기로 수행되거나 업데이트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버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 방법과 관련된 각 노드들의 정보 교환과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제1 서버 및 제2 서버 사이의 정보 교환 및 각 노드에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506 내지 508은 서비스 서버가 제1 키워드 세트에 포함된 키워드 중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506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507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508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1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506 내지 508은 상술한 단계 406 내지 408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단계 509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와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가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제1 서버에서의 검색 결과로서 노출되는 링크가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페이지가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제2 서버에서의 검색 결과로서 노출되는 링크가 연결하는 서비스 서버의 랜딩 페이지가 서로 대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가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이 동일하거나, 페이지를 불러오기 위해 서버에 요청하는 쿼리가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507에서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와 동일하게, 서비스 서버는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A사 유아용 기저귀'가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것이어서, 'A사 유아용 기저귀'의 상태 정보가 'off'로 업데이트되었다면,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A사 유아용 기저귀'와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A사 기저귀 유아용' 및 'A사 기저귀 소형'의 상태 정보를 동일하게 'off'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 세트의 모든 키워드에 대해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다른 서버에 대응하는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들의 데드 링크와 연관된 상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다른 키워드 세트에 대해 반복적으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키워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및 저비용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제1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2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와 서로 대응하지 않는 키워드가 존재할 수 있고, 이들은 업데이트된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서비스 서버는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서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제2 키워드 세트에 비해 작은 서브세트에 대해서만 데드 링크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키워드를 완전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서비스 서버는 업데이트된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제2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2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제2 서버에서 데드 링크와 대응하는 랜딩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관리 시스템이 도시되며, 상기 시스템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610)와 서비스 서버(6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610)는 전자 상거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으며, 송수신부(transceiver)(612), 제어부(614), 입력부(616) 및 표시부(618)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612)는 서버(620)를 포함한 다른 노드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616)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마이크 및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618)는 사용자 단말기(6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614)는 실시 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6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4)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610)는 이벤트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송수신부(61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 단말기(610)의 동작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620)는 전자 상거래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장치로서, 송수신부(622), 제어부(624) 및 저장부(626)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622)는 사용자 단말기(610)를 포함한 다른 노드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24)는 실시 예에서 설명한 서버(62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4)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620)는 송수신부(62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서버(620)의 동작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서비스 서버
130: 검색 포털 서버

Claims (16)

  1.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관리 방법으로서,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제2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에 제공된 상기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버와 관련된 상기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에서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결과의 출력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페이지 유형이 상기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일 경우, 상기 제1 서버에서 제공되는 페이지 상에서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로 유입된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페이지 유형이 상기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일 경우, 상기 제1 서버에서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유입된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와 관련된 상기 서비스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 중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제1 키워드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서브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에서 획득된 다른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버의 검색 결과에서 상기 서비스로 유입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페이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에서 선택된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가 존재하고,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와 서로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페이지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 및 상기 검색 결과에서 선택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및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와 관련된 제2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제1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가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상기 제1 키워드의 대체 키워드와 관련된 랜딩 페이지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기록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키워드에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할당된 키워드에 대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주기는 상기 우선순위가 할당되지 않은 키워드에 대해 상기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주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검색 기록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횟수가 일정 기간 동안 임계값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에 키워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워드 관리 방법.
  15.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서,
    다른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고, 제2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16.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서버에 대응하는 제1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랜딩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가 데드 링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각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제2 서버에 대응하는 제2 키워드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키워드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2 키워드 세트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키워드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046373A 2021-04-09 2021-04-09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5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73A KR102354174B1 (ko) 2021-04-09 2021-04-09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4950 WO2022215789A1 (ko) 2021-04-09 2021-04-20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TW110115846A TW202240521A (zh) 2021-04-09 2021-05-03 用於管理與關鍵字廣告相關之連結的方法及設備
JP2021082358A JP6984058B1 (ja) 2021-04-09 2021-05-14 キーワード広告に関連するリンク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17/382,551 US11714804B2 (en) 2021-04-09 2021-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nk related to keyword advertisement
JP2021190116A JP7242117B2 (ja) 2021-04-09 2021-11-24 キーワード広告に関連するリンク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0220007068A KR102569862B1 (ko) 2021-04-09 2022-01-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08169A KR20230124874A (ko) 2021-04-09 2023-08-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373A KR102354174B1 (ko) 2021-04-09 2021-04-09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68A Division KR102569862B1 (ko) 2021-04-09 2022-01-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174B1 true KR102354174B1 (ko) 2022-01-24

Family

ID=791701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73A KR102354174B1 (ko) 2021-04-09 2021-04-09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07068A KR102569862B1 (ko) 2021-04-09 2022-01-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08169A KR20230124874A (ko) 2021-04-09 2023-08-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68A KR102569862B1 (ko) 2021-04-09 2022-01-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0108169A KR20230124874A (ko) 2021-04-09 2023-08-18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14804B2 (ko)
JP (2) JP6984058B1 (ko)
KR (3) KR102354174B1 (ko)
TW (1) TW202240521A (ko)
WO (1) WO202221578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5919A1 (en) * 2012-05-30 2013-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olving a dead shortened uniform resource locator
US20150033114A1 (en) * 2013-07-26 2015-01-29 Needle, Inc. Curating chat transcripts into webpag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6548B2 (ja) * 2000-05-25 2011-01-05 富士通株式会社 検索システム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検索システム
KR20020030641A (ko) 2000-10-19 2002-04-25 문병조 인터넷상에서의 홈페이지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유지관리방법
KR20040096305A (ko) 2003-05-09 2004-11-16 주식회사 드림나우 웹컨텐츠의 노출위치 및 노출크기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030078813A (ko) 2003-07-09 2003-10-08 김일 인터넷 검색 엔진
US9665543B2 (en) * 2007-03-21 2017-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ference validation in word processor documents
JP4887214B2 (ja) * 2007-05-21 2012-02-29 ヤフー株式会社 広告管理システム、広告管理サーバ、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10026624A (ja) * 2008-07-16 2010-02-04 Trans Cosmos Inc リスティング運用支援装置及びリスティング運用支援方法
WO2010037031A2 (en) * 2008-09-26 2010-04-01 Fwix, Inc.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web feeds relevant to a geographical locale from multiple sources
JP5165717B2 (ja) * 2010-03-26 2013-03-21 ヤフー株式会社 デッドリンク判定装置及び方法
US9690760B2 (en) * 2014-05-15 2017-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directional hyperlink synchronization for managing hypertexts in social media and public data repository
KR101824924B1 (ko) 2016-01-14 2018-02-02 주식회사 웹소울랩 실시간 부하량에 따른 웹 사이트 성능 측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789315B1 (en) * 2017-07-19 2020-09-29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Content curation applicatio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844071B1 (ja) * 2019-09-27 2021-03-17 楽天株式会社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5919A1 (en) * 2012-05-30 2013-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olving a dead shortened uniform resource locator
US20150033114A1 (en) * 2013-07-26 2015-01-29 Needle, Inc. Curating chat transcripts into web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789A1 (ko) 2022-10-13
JP6984058B1 (ja) 2021-12-17
KR102569862B1 (ko) 2023-08-24
JP2022161769A (ja) 2022-10-21
TW202240521A (zh) 2022-10-16
JP2022161805A (ja) 2022-10-21
KR20230124874A (ko) 2023-08-28
US11714804B2 (en) 2023-08-01
JP7242117B2 (ja) 2023-03-20
KR20220140403A (ko) 2022-10-18
US20220327110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85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ecommerce data
CN110019540B (zh) 企业图谱的实现方法、展示方法及装置、设备
CN102331985B (zh) 网页页面的分片嵌套缓存的处理方法和装置
JP5916959B2 (ja) 動的データ取得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011056A1 (en) Content monitor
US9471616B2 (en) Managing user ratings in a web services environment
CN105144159A (zh) Hive表链接
US10120849B2 (en) Document generation based on referral
US8793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istorical influence for success attribution in network site activity
US114230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datasets
US20180315089A1 (en) Leveraging patterns in geographic positions of mobile devices at a locale
US9843643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monitoring consumer activity on websites
JP2015185153A (ja) 関心ワード抽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354174B1 (ko)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37052B1 (en) Correlation of mobile device positions determined using wireless access points with data sources
US11824952B2 (en) Method of filtering data traffic sent to a user device
US20170270555A1 (en) Client-Side Automated Shopping List Management, Intelligent Coupon Generation and Coupon-Influenced Product Selection
KR20210096352A (ko) 개인정보 활용기반 매칭 정보 자동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52922A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7261710B2 (ja) データ仲介装置およびデータ仲介方法
KR102134711B1 (ko) 스마트 컨트랙트의 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25592A (ko)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사용자 행동데이터 분석리포트 제공 방법
CN116975429A (zh) 一种数据推荐方法、装置以及介质
KR20070023183A (ko)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브도메인 쇼핑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