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087B1 -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087B1
KR102354087B1 KR1020190056671A KR20190056671A KR102354087B1 KR 102354087 B1 KR102354087 B1 KR 102354087B1 KR 1020190056671 A KR1020190056671 A KR 1020190056671A KR 20190056671 A KR20190056671 A KR 20190056671A KR 102354087 B1 KR102354087 B1 KR 10235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y
greek yogurt
support part
heating container
gre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970A (ko
Inventor
유승익
Original Assignee
유승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익 filed Critical 유승익
Priority to KR102019005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0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2Apparatus for preparing or treating fermented milk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릭요거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쉽고 간편하게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열원이 내설되어 온열기능을 하는 온열용기와, 온열용기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본체부; 온열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되는 거름부; 본체부와 거름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릭요거트원료가 온열용기의 온열기능에 의해 그릭요거트로 발효된 후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분리하여 받치는 유청받침부; 유청받침부의 양측 내면에 저면으로부터 일정 위치까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단턱과, 거름부의 양측 외면에 돌기단턱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된 함몰라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릭요거트원료 발효시 돌기단턱이 함몰라인에 끼움 결합되어 유청받침부에 거름부가 수용되도록 하고,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 제거시 유청받침부를 기준으로 거름부를 90°회전시켜 돌기단턱의 끝상단에 거름부의 저면을 받쳐 유청받침부보다 거름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하여 유청이 분리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그릭요거트 제조장치{Greek yogurt maker}
본 발명은 그릭요거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쉽고 간편하게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릭요거트는 발효유(fermentated milk)를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일반 요거트에 비해 질감이 단단하고 원유의 진한 맛을 갖고 있으며, 단백질과 칼슘이 2~3배 이상 높아 면역력을 높여주고 장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정에서 직접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한 매체 등을 통해 소개되어 있는데, 그 방법은 원유와 유산균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거름망에 걸러 농축하고, 거름망에 걸러진 발효유만을 긁어 모아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등록번호: 10-1101249)'에서는 제1용기(52)와 제2용기(54) 사이에 요구르트로부터 분리된 유청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다공홀을 가지는 거름부(56)가 설치된 요구르트 치즈의 제조장치를 제시한바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용기(52)에 액상의 유제품을 넣고 발효시킨 후, 제1용기(52)와 제2용기(54)를 뒤집어 놓으면 거름부(56)를 통해 유청을 제거할 수 있게 되긴 하나, 제1용기(52)와 제2용기(54)를 뒤집어야지만 제1용기(52)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가압판(60)에 의해 유청이 분리되는 방식으로, 제1용기(52)와 제2용기(54)의 위치를 바꿔줘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제1용기(52)와 제2용기(54)의 위치가 바뀌도록 뒤집는 과정에서 발효된 유제품이 외부로 유실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쉽고 간편하게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01249호, 2011.12.26.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가정에서 쉽고 간편하게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열원이 내설되어 온열기능을 하는 온열용기와, 상기 온열용기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온열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되는 거름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거름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릭요거트원료가 상기 온열용기의 온열기능에 의해 그릭요거트로 발효된 후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분리하여 받치는 유청받침부; 및 상기 유청받침부의 양측 내면에 저면으로부터 일정 위치까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단턱과, 상기 거름부의 양측 외면에 상기 돌기단턱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된 함몰라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릭요거트원료 발효시 상기 돌기단턱이 상기 함몰라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유청받침부에 상기 거름부가 수용되도록 하고,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 제거시 상기 유청받침부를 기준으로 상기 거름부를 90°회전시켜 상기 돌기단턱의 끝상단에 상기 거름부의 저면을 받쳐 상기 유청받침부보다 상기 거름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하여 유청이 분리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거름부에는 상기 온열용기의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에 의해 pH 4.1 내지 4.3의 범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pH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열용기의 바닥면에는 제1간격유지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4개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청받침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간격유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간격유지돌기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열용기의 상면과 상기 유청받침부의 하면 간 접촉되지 않게 하여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시 과열 반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부는, 바닥관통홈이 4개로 분할되도록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을 이루고, 상기 바닥관통홈에 바닥메시망이 형성된 바닥면체; 및 상기 바닥면체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절곡된 측면대가 측면을 이루고, 상기 측면대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측면관통홈에 측면메시망이 형성된 측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 그릭요거트 제조시 10시간 정도 소요되었던 반면, 본 발명을 통한 그릭요거트 제조시 5시간 정도 줄임으로써, 그릭요거트 제조에 따른 시간 절감 효과가 있다.
둘째, 그릭요거트 제조장치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가정에서 쉽고 간편하게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거름부에 수용된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가 완료된 후 유청받침부를 기준으로 거름부를 90° 회전시켜 돌기단턱의 끝상단에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그릭요거트원료로부터 발효가 완료된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으므로,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그릭요거트의 유실률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열용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청받침부 및 거름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시 유청받침부 및 거름부의 결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청 분리시 유청받침부 및 거름부의 결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00), 유청받침부(200), 거름부(300) 및 높이조절수단(400)이 상호 결합된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이루는 본체부(100), 유청받침부(200), 거름부(300) 및 높이조절수단(400)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는 본체부(100), 유청받침부(200), 거름부(300) 및 높이조절수단(40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내부에 제1공간(111)이 형성되고 열원(112)이 내설되어 온열기능을 하는 온열용기(110)와, 온열용기(110)를 개폐하는 커버(12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본체부(100)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써,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함몰 형성된 제1공간(111)에 유청받침부(200)가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온열기능을 갖는 온열용기(110)와, 온열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상면에 한 쌍의 커버손잡이홈(121)이 함몰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한 커버(120)로 이루어져 거름부(300)의 제3공간(324)에 수용된 그릭요거트가 발효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열용기(11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공간(111)이 형성된 온열용기(11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온열용기(110)의 바닥면 등에 열원(112)이 내설됨으로써 온열용기(110)가 온열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의 열원(112)은 열선일 수 있으며, 반드시 열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열원(112)이라면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참고로, 온열용기(110)에는 온열기능을 수행하는 열원(112)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컨트롤러(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온열용기(110)에 내설된 열원(112)은 컨트롤러(10)의 제어를 받아 가열되는 것으로, 컨트롤러(10)는 ON/OFF 작동을 위한 전원부(11), 40. 41, 42 및 43℃ 중 온도를 선택하는 온도조절부(12) 및 전원부(11)와 온도조절부(12)를 제어하는 제어부(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청받침부(200)는 본체부(100)와 거름부(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릭요거트원료가 온열용기(110)의 온열기능에 의해 그릭요거트로 발효된 후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분리하여 받치는 것으로, 내부에 제2공간(201)이 형성되어 제1공간(111)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유청받침부(200)는 그릭요거트원료가 투입된 거름부(300)와 결합되어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릭요거트원료가 온열용기(110)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가 완료된 후 높이조절수단(400)에 의해 유청받침부(200) 내부에서 거름부(300)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발효된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유청받침부(200)의 바닥면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그릭요거트로부터 유청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부가적으로, 온열용기(110)의 바닥면에는 제1간격유지돌기(113)가 일정 간격으로 4개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유청받침부(200)의 하면에는 제1간격유지돌기(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간격유지돌기(202)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온열용기(110)의 상면과 유청받침부(200의 하면 간 접촉되지 않게 하여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시 과열 반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유청받침부(200)와, 이러한 유청받침부(200)의 제2공간(201) 내에 삽입되는 거름부(300)는, 온열용기(110)의 제1공간(111)과 함께 상면 또는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상이 아닌 원형이면 유청 분리시 거름부(300)가 의도치않게 회전되면서 돌기단턱(410)이 함몰라인(420)에 끼움 결합되어 돌기단턱(410)의 상끝단에 받쳐져있던 거름부(300)가 유청받침부(200)와 완전 결합으로 유청받침부(200)의 바닥면으로 거름부(300)가 하향 이동될 염려가 있어 유청 분리가 쉽지않으므로, 온열용기(110)의 제1공간(111), 유청받침부(200)의 제2공간(201) 및 거름부(300)의 제3공간(324)은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의 거름부(300)는 제2공간(201)에 안착되고 내부에 형성된 제3공간(324)에 유청이 함유된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우선 그릭요거트원료라 함은 우유, 유산균 및 락타아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그릭요거트원료를 미리 데운 후 제3공간(324)에 투입하여도 되고, 혹은 제3공간(324)에 우유, 유산균 및 락타아제를 함께 투입하여도 되는바, 거름부(300)의 제3공간(324)에 우유, 유산균 및 락타아제의 투입 순서 여부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우유에는 락토오스라는 유당이 있는데, 이는 이당류에 해당한다. 따라서 락타아제가 이당류를 끊어주게 되면서 그릭요거트로 발효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부(3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면체(310)와 측면체(320)로 이루어진 거름부(3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거름부(300)는 바닥관통홈(311)이 4개로 분할되도록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을 이루고 바닥관통홈(311)에 바닥메시망(312)이 형성된 바닥면체(310)와, 바닥면체(310)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절곡된 측면대(321a)가 측면을 이루고 측면대(321a)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측면관통홈(321b)에 측면메시망(322)이 형성된 측면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거름부(300)는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된 제3공간(324)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330)를 거름부(300)의 제3공간(324)에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된 후 거름부(300)의 상면에 덮은 다음, 발효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30)의 경우 상면에 한 쌍의 덮개함몰홈(331)이 형성되어 필요시 손으로 한 쌍의 덮개함몰홈(331)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덮개(330)의 양단은 측면체(320) 상면의 양단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돌기(323)에 의해 제3공간(324)을 덮는 덮개(330)의 이동성을 제한함으로써, 덮개(330)를 측면체(32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참고로, 거름부(300)의 바닥면 즉, 바닥면체(310)에는 컨트롤러(10)와 연동된 pH감지센서(S)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pH감지센서(S)는 거름부(300) 내부의 제3공간(324)에서 온열용기(110)의 온열기능에 의해 발효되고 있는 그릭요거트원료의 pH가 4.1~4.3 범위에 도달하게 되면 그릭요거트가 완성된 것이기 때문에 컨트롤러(10) 상에서 이를 감지하어 알림 등으로 신호를 받아 발효를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pH감지센서(S)는 거름부(300)의 바닥면체(310) 뿐만 아니라 거름부(300)의 측면에 해당되는 측면체(320)에 구비될 수도 있는바, pH감지센서(S)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400)은 유청받침부(200)의 양측 내면에 저면으로부터 일정 위치까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단턱(410)과, 거름부(300)의 양측 외면에 돌기단턱(410)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된 함몰라인(42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릭요거트원료 발효시 돌기단턱(410)이 함몰라인(420)에 끼움 결합되어 유청받침부(200)에 거름부(300)가 수용되도록 하고,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 제거시 유청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거름부(300)를 90°회전시켜 돌기단턱(410)의 끝상단에 거름부(300)의 저면을 받쳐 유청받침부(200)보다 거름부(30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하여 유청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높이조절수단(400)은 거름부(300)의 제3공간(324)에 수용된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가 완료된 후,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부산물인 액상의 유청을 제거하기 위하여 거름부(300)를 별도로 뒤집거나 할 필요없이, 유청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거름부(300)를 90° 회전시켜 거름부(300)의 저면이 돌기단턱(410)의 높이만큼 상향 이동되어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이 바닥메시망(312)을 통하여 유청받침부(200)의 제2공간(201) 바닥면으로 낙하되어 보관되는 방식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가 완료된 상태를 '그릭요거트'라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400)에 의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청받침부(200) 및 거름부(300)의 평면도로써, 도 5-(a)는 유청받침부(200)의 내부 모습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거름부(300)의 내부 모습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인즉 도 5-(a)에는 유청받침부(200)의 양측 내부로 돌기단턱(410)이 돌출 형성됨이 나타나 있고, 도 5-(b)에는 거름부(300) 즉, 측면체(320)를 이루는 측면대(321a)의 양측 외부에 함몰라인(420)이 내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나타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유청받침부(200)의 일측 내면에는 단일의 돌기단턱(410)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유청받침부(200)의 타측 내면에는 한 쌍의 돌기단턱(41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거름부(300)의 일측 외면에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단일의 함몰라인(420)이 형성되어 있고, 거름부(300)의 타측 외면에는 함몰라인(420)이 내부 방향으로 한 쌍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시 유청받침부(200) 및 거름부(300)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6-(a)는 거름부(300) 내부의 제3공간(324)에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된 후 발효시킬 때 거름부(300)에 유청받침부(200)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도 6-(a)의 결합되는 과정이 완료된 거름부(300)와 유청받침부(2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제3공간(324)에 투입된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시, 유청받침부(200)의 일측 내면에 돌출 형성된 단일의 돌기단턱(410)이 거름부(300)의 일측 외면에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단일의 함몰라인(420)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유청받침부(200)의 타측 내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단턱(410)은 거름부(300)의 타측 외면에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한 쌍의 함몰라인(420)에 결합되는 방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청 분리시 유청받침부(200) 및 거름부(300)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7-(a)는 발효가 완료된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청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거름부(300)의 각도를 90° 회전시킨 후 유청받침부(200)의 내부에 거름부(300)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결합되는 과정이 완료된 거름부(300)와 유청받침부(200)를 나타낸 것이다.
말하자면 도 7은 도 6과는 달리, 제3공간(324)에 투입된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가 완료된 후의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 제거시, 유청받침부(200)의 일측 내면에 돌출 형성된 단일의 돌기단턱(410) 끝상단에 거름부(300)의 일측이 아닌, 거름부(300) 전측의 저면 둘레 끝단이 받쳐지도록 하고, 유청받침부(200)의 타측 내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단턱(410) 끝상단에 거름부(300)의 타측이 아닌, 거름부(300) 후측의 저면 둘레 끝단이 이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유청받침부(200)의 내부에 수용된 거름부(300)의 높이가 돌기단턱(410)의 높이만큼 더 높아지도록 하여 거름부(300)의 바닥메시망(312)을 통해 낙하되는 유청이 유청받침부(200)에 낙하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우유, 유산균 및 락타아제를 혼합한 그릭요거트원료를 유청받침부(200)와 거름부(300)를 결합한 상태에서 거름부(300) 내부의 제3공간(324)에 투입한 후, 이를 온열용기(110) 내부의 제1공간(111)에 삽입시켜 커버(120)로 덮은 다음, 온열용기(110)의 온열기능에 의해 그릭요거트원료가 발효되면서 그릭요거트로 제조된다.
이렇게 완성된 그릭요거트에는 액상의 유청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유청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거름부(300)를 90° 회전시켜 돌기단턱(410)의 상끝단에 거름부(300) 일측 및 타측의 함몰라인(420)이 형성되지 않은 전측 및 후측의 저면 둘레 끝단이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액상의 유청을 하향으로 낙하시켜 유청받침부(200)에 보관하여 유청으로부터 분리된 그릭요거트가 완성된다.
이에 따라 기존 그릭요거트 제조시 10시간 정도 소요되었던 반면, 본 발명을 통한 그릭요거트 제조시 5시간 정도 줄임으로써, 그릭요거트 제조에 따른 시간 절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쉽고 간편하게 그릭요거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거름부(300)의 제3공간(324)에 수용된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가 완료된 후 유청받침부(200)를 기준으로 거름부(300)를 90° 회전시켜 돌기단턱(410)의 끝상단에 받쳐지도록 함으로써, 그릭요거트원료로부터 발효가 완료된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으므로, 그릭요거트 제조장치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그릭요거트의 유실률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컨트롤러
11: 전원부
12: 온도조절부
13: 제어부
S: pH감지센서
100: 본체부
110: 온열용기
111: 제1공간
112: 열원
113: 제1간격유지돌기
120: 커버
121: 커버손잡이홈
200: 유청받침부
201: 제2공간
202: 제2간격유지돌기
300: 거름부
310: 바닥면체
311: 바닥관통홈
312: 바닥메시망
320: 측면체
321a: 측면대
321b: 측면관통홈
322: 측면메시망
323: 손잡이돌기
324: 제3공간
330: 덮개
331: 덮개함몰홈
400: 높이조절수단
410: 돌기단턱
420: 함몰라인

Claims (2)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열원이 내설되어 온열기능을 하는 온열용기와, 상기 온열용기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온열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릭요거트원료가 수용되는 거름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거름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릭요거트원료가 상기 온열용기의 온열기능에 의해 그릭요거트로 발효된 후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을 분리하여 받치는 유청받침부; 및
    상기 유청받침부의 양측 내면에 저면으로부터 일정 위치까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단턱과, 상기 거름부의 양측 외면에 상기 돌기단턱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된 함몰라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릭요거트원료 발효시 상기 돌기단턱이 상기 함몰라인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유청받침부에 상기 거름부가 수용되도록 하고, 그릭요거트에 함유된 유청 제거시 상기 유청받침부를 기준으로 상기 거름부를 90°회전시켜 상기 돌기단턱의 끝상단에 상기 거름부의 저면을 받쳐 상기 유청받침부보다 상기 거름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하여 유청이 분리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거름부에는 상기 온열용기의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에 의해 pH 4.1 내지 4.3의 범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pH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열용기의 바닥면에는 제1간격유지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4개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청받침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간격유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간격유지돌기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온열용기의 상면과 상기 유청받침부의 하면 간 접촉되지 않게 하여 그릭요거트원료의 발효시 과열 반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바닥관통홈이 4개로 분할되도록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을 이루고, 상기 바닥관통홈에 바닥메시망이 형성된 바닥면체; 및
    상기 바닥면체의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절곡된 측면대가 측면을 이루고, 상기 측면대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측면관통홈에 측면메시망이 형성된 측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KR1020190056671A 2019-05-15 2019-05-15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KR10235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71A KR102354087B1 (ko) 2019-05-15 2019-05-15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671A KR102354087B1 (ko) 2019-05-15 2019-05-15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70A KR20200131970A (ko) 2020-11-25
KR102354087B1 true KR102354087B1 (ko) 2022-01-20

Family

ID=7364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71A KR102354087B1 (ko) 2019-05-15 2019-05-15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031B1 (ko) * 2022-06-02 2023-08-28 정세희 요거트 제조장치
KR102570010B1 (ko) * 2023-04-04 2023-08-24 엠지엠씨(주) 그릭요거트 제조를 위한 유청분리기
KR102629494B1 (ko) * 2023-04-05 2024-01-29 주식회사 로이첸 유청분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961B1 (ko) * 2014-11-28 2015-08-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발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5049A (ja) * 1988-11-17 1990-05-23 Brother Ind Ltd ヨーグルト製造器
KR101101249B1 (ko) * 2009-02-16 2012-01-0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KR101660421B1 (ko) * 2014-09-22 2016-09-28 (주) 후스타일 가정용 간편 요거트 및 치즈 발효기
KR20160120912A (ko) * 2015-04-09 2016-10-19 서종한 자동 치즈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961B1 (ko) * 2014-11-28 2015-08-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발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70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087B1 (ko) 그릭요거트 제조장치
CN101861114B (zh) 制备乳酪、其他的奶衍生物和豆腐的设备
US7878701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AU2015229066A1 (en) Beverage appliance for use with a remote communication device
KR20140034323A (ko) 쿠커의 핫플레이트 쿠커 커버 그리고 핫플레이트 및 커버 제조 방법
JP7369704B2 (ja) 食品プロセッサ内での制御された位置決め
US20160270581A1 (en) Tea-steeping appliances
KR20160120912A (ko) 자동 치즈 제조 장치
KR20100093351A (ko) 요구르트 치즈 제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KR20150016186A (ko) 치즈 제조장치
CN209090797U (zh) 智能温控的自动炒菜机
CN102379341A (zh) 用于制造凝固型酸奶的方法和家用电动酸奶机
CN209826309U (zh) 过滤组件及养生壶
KR101542148B1 (ko) 요구르트 제조장치
KR20210053632A (ko) 요구르트 치즈 제조장치
CN207544901U (zh) 养生壶
KR101545961B1 (ko) 식품 발효기
CN112869557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养生壶
JP5916003B1 (ja) フレッシュチーズ製造装置
US2023038956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yogurt
US20170251685A1 (en) Greek yogurt making device
KR200478803Y1 (ko) 요구르트 제조장치
CN209885371U (zh) 过滤组件
TWM539317U (zh) 可兼作優格及乳酪之發酵機
JP6071652B2 (ja) チーズ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