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893B1 -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 Google Patents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893B1
KR102353893B1 KR1020200183572A KR20200183572A KR102353893B1 KR 102353893 B1 KR102353893 B1 KR 102353893B1 KR 1020200183572 A KR1020200183572 A KR 1020200183572A KR 20200183572 A KR20200183572 A KR 20200183572A KR 102353893 B1 KR102353893 B1 KR 102353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nnel
fluid
microdroplet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김병일
이지수
박찬민
임원래
강현우
김소영
백송이
최지현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18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893B1/ko
Priority to EP21162620.5A priority patent/EP4019132A1/en
Priority to US17/206,124 priority patent/US202202033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 B01L3/502776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or laminating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 B01L3/502784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roplet or plug flow, e.g. digital microfluidics
    • B01L3/50279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roplet or plug flow, e.g. digital microfluidics for moving individual droplets on a plate, e.g. by locally altering surfac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 B01L3/502784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multiphase flow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roplet or plug flow, e.g. digital microfluid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30Micromixers
    • B01F33/301Micromixers using specific means for arranging the streams to be mixed, e.g. channel geometries or dispositions
    • B01F33/3011Micromixers using specific means for arranging the streams to be mixed, e.g. channel geometries or dispositions using a sheathing stream of a fluid surrounding a central stream of a different fluid, e.g. for reducing the cross-section of the central stream or to produce droplets from the central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30Micromixers
    • B01F33/301Micromixers using specific means for arranging the streams to be mixed, e.g. channel geometries or dispositions
    • B01F33/3012Interdigital streams, e.g.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30Micromixers
    • B01F33/302Micromixers the materials to be mixed flowing in the form of drop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7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icrofluidic devices, e.g. used for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56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 G01N15/1459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the analysis being performed on a sample stre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8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microstructur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4Exchange or ejection of cartridges, container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6Focussing flows, e.g. to laminate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2Filling fluids into wells by specific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73Handling of plugs of fluid surrounded by immiscibl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63Whol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6Cards, e.g. flat sample carriers usually with flow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2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67Multiple inlets and one sample wells, e.g. mixing, di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7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fluid pressure, pneuma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8Regulating or influencing the flow resistance
    • B01L2400/084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손상에 대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를 개시한다.
가이드 장치는, 일면에 복수의 홈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와 접하여 복수의 채널이 구획되며, 제1 플레이트는,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복수의 미세액적이 통과되고, 복수의 유로 중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을 통해 유체가 통과되며,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통해 미세액적간의 사이가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Guide apparatus and det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액적 검출 시스템은 미세액적(Microdroplet)들이 광학 또는 방사선 소스를 통과하기 위해 광학 또는 방사선 소스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체 초점 매커니즘을 포함한다.
유체 초점 매커니즘은 샘플이 함유된 미세액적(Microdroplet)들이 수용되는 액적 입력 채널, 액적 입력 채널에 수용된 미세액적(Microdroplet)들과 미세액적(Microdroplet)들의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접촉되는 포커싱 유체(Focusing fluid)를 수용하는 포커싱 유체 입력 채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체 초점 매커니즘은, 액적 입력 채널과 포커싱 유체 입력 채널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액적 입력 채널과 포커싱 유체 입력 채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면, 액적 입력 채널과 포커싱 유체 입력 채널 모두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액적 입력 채널과 포커싱 유체 입력 채널이 관 형태로 마련되므로, 액적 입력 채널과 포커싱 유체 입력 채널이 만나는 교차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US9132394호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에 대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개선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미세액적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미세액적과 복수의 미세액적과 접촉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가이드 장치는, 일면에 복수의 홈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여 복수의 채널이 구획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이 통과되고,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을 통해 상기 유체가 통과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를 통해 상기 미세액적간의 사이가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이 유입되는 제1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제1 홈;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제2 홈;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3 채널을 구획하며, 상기 제1 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홈의 형상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3 홈;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이 만나는 조인트로부터 연장된 제4 채널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4 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복수의 홈을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향해 점점 개방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채널로 유입되는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유입부; 및 상기 제1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조인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채널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유입부; 상기 제2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제1 축소부; 및 상기 제1 축소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채널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채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 축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홈은, 상기 제3 채널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3 유입부; 상기 제3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경사부; 상기 제3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경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제3 축소부; 및 상기 제3 축소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채널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3 채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4 축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홈은, 상기 제4 채널로 유입된 각각의 미세액적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4 유입부; 상기 제4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넓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 경사부; 및 상기 제4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4 경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확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4 유입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2 축소부는, 상기 제4 축소부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급튜브를 통해 복수의 미세액적과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튜브를 통해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과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는, 가이드 장치; 상기 가이드 장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공급튜브와 상기 가이드 장치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튜브와 상기 가이드 장치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커버하도록 구성된 제1 누름판;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커버하도록 구성된 제2 누름판; 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 노출홀;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름판은,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공급튜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누름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누름판은,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튜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누름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장치가 검출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으므로 부품교체 및 부품수리로 인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 및 제3 채널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통해 복수의 미세액적이 일정하게 이격되므로 미세액적을 이용한 유전자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를 이루는 제1 플레이트의 내부를 투시한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제1 누름판 및 제2 누름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를 포함하는 유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글래스 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를 이루는 제1 플레이트의 내부를 투시한 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10)는 DDPCR(Droplet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을 통해 자기 복제된 복수의 미세액적(Microdroplet)(MD) 및 복수의 미세액적(MD)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유체(F)를 수용한다.
가이드 장치(10)는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20)는 복수의 미세액적(MD)을 검출하기 위한 광원(미도시)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플레이트(30)는 유리, 쿼츠, 실리콘 등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는 제2 플레이트(30)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20)에 제2 플레이트(30)가 접하여 제1 채널(C1), 제2 채널(C2), 제3 채널(C3) 및 제4 채널(C4)이 구획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홈(21)이 마련된다.
제1 플레이트(20)는 복수의 홈(21)을 포함한다.
복수의 홈(21)은 제1 플레이트(20)의 일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홈(21)은 제1 플레이트(20)에 제2 플레이트(30)가 접하면, 제2 플레이트(30)에 의해 그 일부가 폐쇄되도록 커버된다. 제2 플레이트(30)의 일면에 의해 일부가 커버된 복수의 홈(21)은 제2 플레이트(30)의 일면과 함께 제1 채널(C1), 제2 채널(C2), 제3 채널(C3) 및 제4 채널(C4)을 구획한다.
제1 플레이트(20)에 제2 플레이트(30)가 접하여 구획된 제1 채널(C1), 제2 채널(C2), 제3 채널(C3) 및 제4 채널(C4)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조인트(J)가 형성된다.
복수의 미세액적(MD)은 제1 채널(C1)에서 조인트(J)를 통과하여 제4 채널(C4)로 유입되며, 유체(F)는 제2 채널(C2) 및 제3 채널(C3)에서 배출되어 조인트(J)를 통과하는 각각의 미세액적(MD)과 접촉하게 된다.
복수의 홈(21)은 제1 홈(23), 제2 홈(25), 제3 홈(27) 및 제4 홈(29)을 포함한다. 복수의 홈(21)은 복수의 홈(21)을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제2 플레이트(30)를 향해 점점 개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홈(23)은 제1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홈(23)은 제2 플레이트(30)의 일면과 함께 복수의 미세액적(MD)이 유입되는 제1 채널(C1)을 형성한다.
제1 홈(23)은 제1 유입부(23a) 및 제1 경사부(23b)를 포함한다.
제1 유입부(23a)는 제1 채널(C1)에 유입되는 복수의 미세액적(MD)을 가이드한다.
제1 경사부(23b)는 제1 유입부(23a)와 연결된다.
제1 경사부(23b)는 제1 경사부(23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경사부(23b)는 제1 경사부(23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므로, 복수의 미세액적(MD)은 제1 채널(C1) 중 제1 경사부(23b)를 통과할 때 제1 채널(C1)의 외부로 복수개씩 배출되지 않는다.
제1 경사부(23b)는 제2 홈(25)의 제2 축소부(25d) 및 제3 홈(27)의 제4 축소부(27d)와 연결되며, 제1 경사부(23b)는 제4 홈(29)의 제4 유입부(29a)와 대향 배치된다.
제1 경사부(23b)는 조인트(J)와 직접 연결된다. 제1 경사부(23b)가 별도의 가이드 구간 없이 직접 조인트(J)와 연결되므로, 제1 채널(C1)의 외부로 배출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경사부(23b)와 조인트(J) 사이에 별도의 가이드 구간이 있다면, 각각의 미세액적(MD)이 가이드 구간의 내부에서 부딪혀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각각의 미세액적(MD)이 가이드 구간의 내부에서 부딪히면, 일정하게 간격이 유지되던 각각의 미세액적(MD)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므로 유전자 검사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2 홈(25)은 'ㄱ'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 홈(23)과 연결된다. 제2 홈(25)은 제2 플레이트(30)의 일면과 함께 유체(F)가 유입되는 제2 채널(C2)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 홈(25, 27)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조인트(J)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홈(25)은 제2 유입부(25a), 제2 경사부(25b), 제1 축소부(25c) 및 제2 축소부(25d)를 포함한다.
제2 유입부(25a)는 제2 채널(C2)에 유입되는 유체(F)를 가이드한다.
제2 경사부(25b)는 제2 유입부(25a)와 연결된다.
제2 경사부(25b)는 제2 경사부(25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경사부(25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므로, 제2 채널(C2) 중 제2 경사부(25b)를 통과하는 유체(F)의 속도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해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제1 축소부(25c)는 제2 경사부(25b)와 연결된다. 제1 축소부(25c)는 그 폭이 제2 경사부(25b)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제1 축소부(25c)의 폭이 제2 경사부(25b)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면, 제2 채널(C2) 중 제1 축소부(25c)를 통과하는 유체(F)의 압력과 속도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해 제2 채널(C2) 중 제2 경사부(25b)를 통과할 때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제2 채널(C2)에 유입되는 유체(F)는 제1 축소부(25c)를 통과하면서 제1 채널(C1)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을 일시적으로 홀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속도와 충분한 압력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제2 축소부(25d)는 제1 축소부(25c)와 연결된다. 제2 축소부(25d)는 제2 채널(C2)을 통과하는 유체(F)가 제2 채널(C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축소부(25c)와 연결되지 않은 제2 축소부(25d)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 축소부(25d)는 제3 홈(27)의 제4 축소부(27d)와 대향 배치되며, 제1 홈(23)의 제1 경사부(23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제4 홈(29)의 제4 유입부(29a)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연결된다.
제3 홈(27)은 제1 홈(23)을 사이에 두고 제2 홈(25)과 이격배치된다. 제3 홈(27)은 제1 홈(23)을 기준으로 제2 홈(25)의 형상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3 홈(27)은 제3 홈(27)을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제2 플레이트(30)를 향해 점점 개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홈(25)은 제2 플레이트(30)의 일면과 함께 유체(F)가 유입되는 제3 채널(C3)을 형성한다.
제3 홈(27)은 제3 유입부(27a), 제3 경사부(27b), 제3 축소부(27c) 및 제4 축소부(27d)를 포함한다.
제3 유입부(27a)는 제3 채널(C3)에 유입되는 유체(F)를 가이드한다.
제3 경사부(27b)는 제3 유입부(27a)와 연결된다.
제3 경사부(27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므로, 제3 채널(C3) 중 제3 경사부(27b)를 통과하는 유체(F)의 속도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해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제3 축소부(27c)는 제3 경사부(27b)와 연결된다. 제3 축소부(27c)는 그 폭이 제3 경사부(27b)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제3 축소부(27c)의 폭이 제3 경사부(27b)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면, 제3 채널(C3) 중 제3 축소부(27c)를 통과하는 유체(F)의 압력과 속도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해 제3 채널(C3) 중 제3 경사부(27b)를 통과할 때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제3 채널(C3)에 유입되는 유체(F)는 제3 축소부(27c)를 통과하면서 제1 채널(C1)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을 일시적으로 홀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속도와 충분한 압력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제4 축소부(27d)는 제3 축소부(27c)와 연결된다. 제4 축소부(27d)는 제3 채널(C3)을 통과하는 유체(F)가 제3 채널(C3)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3 축소부(27c)와 연결되지 않은 제4 축소부(27d)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4 축소부(27d)는 제2 홈(25)의 제2 축소부(25d)와 대향 배치되며, 제1 홈(23)의 제1 경사부(23b)를 구성하는 타측면과 제4 홈(29)의 제4 유입부(29a)를 구성하는 타측면과 연결된다.
제4 홈(29)은 제1 채널(C1)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이 유입되어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4 홈(29)은 제2 플레이트(30)의 일면과 함께 제4 채널(C4)을 형성한다.
제4 홈(29)은 제4 유입부(29a), 제4 경사부(29b) 및 확장부(29c)를 포함한다.
제4 유입부(29a)는 제4 채널(C4)로 유입된 각각의 미세액적(MD)을 가이드한다. 제4 유입부(29a)는 제1 홈(23)의 제1 경사부(23b)와 대향 배치된다.
제4 경사부(29b)는 제4 유입부(29a)와 연결된다. 제4 경사부(29b)는 제4 경사부(29b)를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4 유입부(29a)를 통과하면서 검출이 끝난 각각의 미세액적(MD)은 제4 경사부(29b)를 통해 확장부(29c)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확장부(29c)는 제4 경사부(29b)와 연결된다. 확장부(29c)는 제4 경사부(29b)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확장부(29c)는 제4 유입부(29a)에서 제4 경사부(29b)를 통해 유입되는 검출이 끝난 각각의 미세액적(MD)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확장부(29c)에 수용된 복수의 미세액적(MD)은 폐기되거나 재사용 되기 위해 제1 플레이트(20)와 제2 플레이트(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2 플레이트(30)는 제1 플레이트(20)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플레이트(30)는 제1 채널(C1), 제2 채널(C2), 제3 채널(C3) 및 제4 채널(C4)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20)의 복수의 홈(21)의 일부분을 폐쇄한다.
제2 플레이트(30)는 복수의 미세액적(MD)을 검출하기 위한 광원(미도시)에서 발산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플레이트(3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0)는 제1 플레이트의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진다.
제2 플레이트(30)의 제2 두께(T2)가 제1 플레이트(30)의 제1 두께(T1)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면, 제4 채널(C4)을 통과하는 미세액적(MD)을 검출하기 위해 광원(미도시)에서 발산되는 광의 굴절이 적게 일어나 광이 각각의 미세액적(MD)에 정확히 도달될 수 있으므로 유전자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다.
제2 채널(C2)과 제3 채널(C3)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F)는 제1 채널(C1)을 통해 통과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을 가압한다. 각각의 미세액적(MD)은 유체(F)에 의해 가압되어 그 모양이 찌그러면서 일시적으로 홀딩될 수 있다. 유체(F)에 의해 일시적으로 홀딩되는 미세액적(MD)과 유체(F)를 통과하여 제4 채널(C4)에 유입된 미세액적(MD)은 유체(F)에 의해 일시적으로 홀딩되는 미세액적(MD)에 의해 그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또한, 가이드 장치(10)는, 제2 채널(C2)과 제3 채널(C3)에서 배출되는 유체(F)에 의해 미세액적(MD)을 일시적으로 홀딩시킨다. 따라서, 가이드 장치(10)는 제4 채널(C4)에 유입된 미세액적(MD)이 제4 채널(C4)을 통과하면서 광원(미도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검출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100)는 가이드 장치(10)가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 장치(10)를 고정시킨다. 검출기(100)에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튜브(Supply tube)(ST)와 검출이 끝난 복수의 미세액적(MD) 또는 사용된 오일이 폐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출튜브(Discharge tube)(DT)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검출기(100)는 제1 채널(C1)로 공급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을 제2 채널(C2) 및 제3 채널(C3)에 각각 공급되는 유체(F)를 통해 일시적으로 홀딩시키도록 구성된다.
검출기(100)는 가이드 장치(10), 메인 프레임(110), 제1 커넥터(130), 제2 커넥터(150), 제1 누름판(170) 및 제2 누름판(190)을 포함한다.
가이드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가이드 장치(10)를 고정시키며, 광원(미도시)에서 발산되는 광이 각각의 미세액적(MD)에 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12), 복수의 기둥(114)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가이드 장치(1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일부분에는 광원(미도시)에서 발산되는 광이 플레이트(112)의 제4 채널(C4)을 통과하는 복수의 미세액적(MD)에 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 장치(10)의 제2 플레이트(3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노출홀(112a)이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커넥터 안착면(112b)을 포함한다.
커넥터 안착면(112b)은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다.
커넥터 안착면(112b)은 제1 안착면(112b1) 및 제2 안착면(112b2)을 포함한다.
제1 안착면(112b1)에는 제1 커넥터(130)가 안착된다.
제2 안착면에(112b2)는 제2 커넥터(150)가 안착된다.
복수의 기둥(114)은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기둥(114)은 가이드 장치(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접촉되어 가이드 장치(10)가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장치(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
복수의 기둥(114)은 복수의 제1 고정홈(114a) 및 복수의 제2 고정홈(114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고정홈(114a)은 각각의 기둥(114)의 일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복수의 제1 고정홈(114a)은 제1 커넥터(130) 및 제2 커넥터(150)가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커넥터(130)의 복수의 제1 고정홀(114) 및 제2 커넥터(150)의 복수의 제2 고정홀과 연통된다.
복수의 제2 고정홈(114b)은 각각의 기둥(114)의 상면에 각각 마련된다. 복수의 제2 고정홈(114b)은 제1 누름판(170)이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누름판(170)의 제3 고정홀(172)과 연통된다. 또한, 복수의 제2 고정홈(114b)은 제2 누름판(190)이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누름판(190)의 제4 고정홀(192)과 연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30)는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커넥터 안착면(112b)의 제1 안착면(112b1)에 안착된다. 제1 커넥터(130)는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를 제1 채널(C1) 내지 제3 채널(C3)에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공급튜브(ST)와 가이드 장치(10)를 연결시킨다.
제1 커넥터(130)는 제1 바디(132) 및 제2 바디(134) 및 제1 실링블록(136)을 포함한다.
제1 바디(132)는 복수의 공급튜브(ST)와 연결되며, 제1 커넥터(1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기둥(114)에 접촉된다.
제1 바디(132)는 복수의 제1 고정홀(132a) 및 복수의 제1 튜브수용홈(132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고정홀(132a)은 제1 바디(132)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된다. 복수의 제1 고정홀(132a)은 기둥(114)의 복수의 제1 고정홈(114a)과 연통된다. 복수의 제1 고정홀(132a)과 기둥(114)의 복수의 제1 고정홈(114a)에 결합부재(미도시)가 수용되면, 제1 커넥터(1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튜브수용홈(132b)은 복수의 공급튜브(ST)를 수용하며, 복수의 공급튜브(ST)의 일측을 커버한다. 복수의 제1 튜브수용홈(132b)은 제2 바디(134)의 복수의 제1 공급홀(134b)과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튜브수용홈(132b)에 수용되는 복수의 공급튜브(ST)는 제2 바디(134)의 복수의 제1 공급홀(134b)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바디(134)는 제1 바디(13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2 바디(134)는 복수의 기둥(114)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바디(134)는 복수의 기둥(114)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공급튜브(ST)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가 제1 채널(C1) 제2 채널(C2) 및 제3 채널(C3)에 공급될 수 있다.
제2 바디(134)는 제1 실링블록 수용홈(134a) 및 복수의 제1 공급홀(134b)을 포함한다.
제1 실링블록 수용홈(134a)은 제2 바디(134)의 일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실링블록 수용홈에(134a)는 제1 실링블록(136)이 수용된다.
복수의 제1 공급홀(134b)은 제1 실링블록 수용홈(134a)을 구성하는 일면으로부터 복수의 제1 튜브수용홈(132b)과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제1 공급홀(134b)은 복수의 제1 튜브 수용홈(132b)과 연결되며, 제1 실링블록(136)의 복수의 제2 공급홀(136a)과 연통된다.
제1 실링블록(136)은 제2 바디(134)의 제1 실링블록 수용홈(134a)에 수용된다. 제1 실링블록(136)은 복수의 공급튜브(ST)로부터 제1 채널(C1) 내지 제3 채널(C3)로 공급되는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가 제1 커넥터(130) 또는 메인 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1 실링블록(136)은 복수의 제2 공급홀(136a)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공급홀(136a)은 제1 실링블록(136)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제2 공급홀(136a)은 복수의 제1 공급홀(134b) 및 가이드 장치(10)의 제1 플레이트(20)의 제1 홈(23), 제2 홈(25) 및 제3 홈(27)과 연결된다.
제2 커넥터(150)는 커넥터 안착면(112b)의 제2 안착면(112b2)에 안착된다. 제2 커넥터(150)는 제4 채널(C4)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검출이 마무리된 복수의 미세액적(MD)과 유체(F)를 검출기(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배출튜브(DT)와 가이드 장치(10)를 연결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150)는 제3 바디(152) 및 제4 바디(154) 및 제2 실링블록(156)을 포함한다.
제3 바디(152)는 배출튜브(DT)와 연결되며, 제2 커넥터(150)가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기둥(114)에 접촉된다.
제3 바디(152)는 복수의 제2 고정홀(152a) 및 복수의 제2 튜브수용홈(152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고정홀(152a)은 제3 바디(152)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된다. 복수의 제2 고정홀(152a)은 기둥(114)의 복수의 제1 고정홈(114a)과 연통된다. 복수의 제2 고정홀(152a)과 기둥(114)의 복수의 제1 고정홈(114a)에 결합부재(미도시)가 수용되면, 제2 커넥터(150)가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튜브수용홈(152b)은 배출튜브(DT)를 수용하며, 배출튜브(DT)의 일측을 커버한다. 복수의 제2 튜브수용홈(152b)은 제4 바디(154)의 복수의 제1 배출홀(154b) 중 어느하나와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튜브수용홈(152b)에 수용되는 배출튜브(DT)는 제4 바디(154)의 복수의 제1 배출홀(154b) 중 어느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제4 바디(154)는 제3 바디(15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4 바디(154)는 복수의 기둥(114) 사이에 배치된다. 제4 바디(154)는 복수의 기둥(114)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배출튜브(DT)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가 제4 채널(C4)을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4 바디(154)는 제2 실링블록 수용홈(154a) 및 복수의 제1 배출홀(154b)을 포함한다.
제2 실링블록 수용홈(154a)은 제4 바디(154)의 일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실링블록 수용홈에(154a)는 제2 실링블록(156)이 수용된다.
복수의 제1 배출홀(154b)은 제2 실링블록 수용홈(154a)을 구성하는 일면으로부터 복수의 제2 튜브수용홈(152b)과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배출홀(154b)은 복수의 제2 튜브 수용홈(152b)과 연결되며, 제2 실링블록(156)의 복수의 제2 배출홀(156a)과 연통된다.
제2 실링블록(156)은 제4 바디(154)의 제2 실링블록 수용홈(154a)에 수용된다. 제2 실링블록(156)은 제4 채널(C4)에서 배출튜브(DT)로 배출되는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가 제2 커넥터(150) 또는 메인 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2 실링블록(156)은 복수의 제2 배출홀(156a)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배출홀(156a)은 제2 실링블록(156)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배출홀(156a)은 복수의 제1 배출홀(154b) 및 가이드 장치(10)의 제4 홈(29)과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가 포함하는 제1 누름판 및 제2 누름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누름판(170)은 제1 커넥터(130)가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제1 커넥터(130)와 복수의 기둥(114) 중 두개의 기둥(114)을 동시에 커버한다.
제1 누름판(170)은 제3 고정홀(172) 및 제1 누름돌기(174)를 포함한다.
제3 고정홀(172)은 복수의 기둥(114)의 복수의 제2 고정홈(114b)와 연통된다. 제3 고정홀(172)과 복수의 제2 고정홈(114b)에 수용되는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제1 누름판(170)이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제1 누름판(170)이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누름돌기(174)는 제1 누름판(17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1 누름돌기(174)는 복수의 제1 튜브수용홈(132b)에 수용되는 복수의 공급튜브(ST)를 가압한다. 따라서, 복수의 공급튜브(ST)는 제1 누름돌기(174)를 통해 강하게 고정되어 검출기(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2 누름판(190)은 제2 커넥터(150)가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제2 커넥터(150)와 복수의 기둥(114) 중 제1 누름판(170)이 커버하지 않는 다른 두개의 기둥(114)을 동시에 커버한다.
제2 누름판(190)은 제4 고정홀(192) 및 제2 누름돌기(194)를 포함한다.
제4 고정홀(192)은 복수의 기둥(114)의 복수의 제2 고정홈(132b)와 연통된다. 제4 고정홀(192)과 복수의 제2 고정홈(132b)에 수용되는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제2 누름판(190)이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제2 누름판(190)이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누름돌기(194)는 제2 누름판(19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2 누름돌기(194)는 복수의 제2 튜브수용홈(152b)에 수용되는 배출튜브(DT)를 가압한다. 따라서, 배출튜브(DT)는 제2 누름돌기(194)를 통해 강하게 고정되어 검출기(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유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를 포함하는 유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미세액적 및 유체를 가이드하는 유동 시스템은 검출기(100), 액적 생성 장치(2000), 제1 밸브(3000), 유체탱크(4000), 공급펌프(5000), 제2 밸브(6000) 및 폐기 장치(7000)를 포함한다.
검출기는(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1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액적 생성 장치(2000)는 내부에 저장된 시료 및 오일을 이용하여 미세액적(MD)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밸브(3000)는 액적 생성 장치(1000)를 통해 생성된 미세액적(MD)을 검출기(100)의 제1 채널(C1)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유체탱크(4000)는 검출기(100)에 유입되는 각각의 미세액적(MD)의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유체(F)가 저장된다.
공급펌프(5000)는 유체탱크(4000)로부터 유체(F)를 공급받아 제2 밸브(60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2 밸브(6000)는 공급펌프(5000)로부터 전달받은 유체(F)를 검출기(1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2 밸브(6000)는 제1 공급부(6200) 및 제2 공급부(6400)를 포함한다.
제1 공급부(6200)는 유체(F)를 검출기(100)의 제2 채널(C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2 공급부(6400)는 유체(F)를 검출기(100)의 제3 채널(C3)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폐기 장치(7000)는 검출기(100)를 통과하면서 검출이 끝난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가 폐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동 시스템(1000)은 액적 생성 장치(2000)를 통해 생성된 복수의 미세액적(MD)을 제1 밸브(3000)를 통해 검출기(100)의 제1 채널(C1)에 전달한다.
검출기(100)의 제1 채널(C1)에 복수의 미세액적(MD)이 전달되면, 유체탱크(4000)에서 유체(F)를 공급받은 공급펌프(5000)는 유체(F)를 제1 밸브(6000)에 전달한다.
유체(F)를 전달받은 제1 밸브(6000)는 제1 공급부(6200)을 통해 유체(F)를 검출기(100)의 제2 채널(C2)에 전달하고, 제2 공급부(6400)을 통해 유체(F)를 검출기(100)의 제3 채널(C3)에 전달한다.
검출기(100)의 제4 채널(C)에 통과되면서 검출이 끝난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는 검출기(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 장치(7000)로 전달된다. 폐기 장치(7000)로 전달된 복수의 미세액적(MD) 및 유체(F)는 폐기처리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이드 장치
20. 제1 플레이트
30. 제2 플레이트
21. 복수의 홈
23. 제1 홈
25. 제2 홈
27. 제3 홈
29. 제4 홈
100. 검출기
110. 메인 프레임
130. 제1 커넥터
150. 제2 커넥터
170. 제1 누름판
190. 제2 누름판
C1. 제1 채널
C2. 제2 채널
C3. 제3 채널
C4. 제4 채널
F. 유체
MD. 복수의 미세액적

Claims (13)

  1. 복수의 미세액적과 복수의 미세액적과 접촉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복수의 홈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여 복수의 채널이 구획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이 통과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을 통해 상기 유체가 통과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채널들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를 통해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간의 사이가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는, 가이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이 유입되는 제1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제1 홈;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채널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제2 홈;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제3 채널을 구획하며, 상기 제1 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홈의 형상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3 홈;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여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및 상기 제3 채널이 만나는 조인트로부터 연장된 제4 채널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4 홈; 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복수의 홈을 구성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향해 점점 개방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가이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채널로 유입되는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유입부; 및
    상기 제1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조인트와 직접 연결되는, 가이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채널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유입부;
    상기 제2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제1 축소부; 및
    상기 제1 축소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채널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채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 축소부; 를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홈은,
    상기 제3 채널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3 유입부;
    상기 제3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경사부;
    상기 제3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경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제3 축소부; 및
    상기 제3 축소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채널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3 채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4 축소부; 를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홈은,
    상기 제4 채널로 유입된 각각의 미세액적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4 유입부;
    상기 제4 유입부와 연결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점점 넓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 경사부; 및
    상기 제4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4 경사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확장부; 를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제4 유입부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2 축소부는, 상기 제4 축소부에 대향 배치되는, 가이드 장치.
  9. 삭제
  10. 복수의 공급튜브를 통해 복수의 미세액적과 유체가 공급되어 배출튜브를 통해 상기 복수의 미세액적과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장치;
    상기 가이드 장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공급튜브와 상기 가이드 장치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튜브와 상기 가이드 장치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커버하도록 구성된 제1 누름판;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커버하도록 구성된 제2 누름판; 을 포함하는 검출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 노출홀; 을 포함하는 검출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판은,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공급튜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누름돌기; 를 포함하는 검출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판은,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튜브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누름돌기; 를 포함하는 검출기.
KR1020200183572A 2020-12-24 2020-12-24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KR102353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72A KR102353893B1 (ko) 2020-12-24 2020-12-24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EP21162620.5A EP4019132A1 (en) 2020-12-24 2021-03-15 Guide device and detector having the same
US17/206,124 US20220203369A1 (en) 2020-12-24 2021-03-19 Guide apparatus and detec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72A KR102353893B1 (ko) 2020-12-24 2020-12-24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893B1 true KR102353893B1 (ko) 2022-01-20

Family

ID=7487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572A KR102353893B1 (ko) 2020-12-24 2020-12-24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03369A1 (ko)
EP (1) EP4019132A1 (ko)
KR (1) KR1023538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2394B2 (en) 2008-09-23 2015-09-15 Bio-Rad Laboratories, Inc. System for detection of spaced droplets
KR102043161B1 (ko) * 2018-06-07 2019-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액적 병합을 위한 미세 유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액적의 병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686B2 (ja) * 1987-04-08 1995-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ローセル装置
WO2010110843A1 (en) * 2009-03-25 2010-09-30 Eastman Kodak Company Droplet generator
WO2014018562A1 (en) * 2012-07-23 2014-01-30 Bio-Rad Laboratories, Inc. Droplet generation system with features for sample positioning
TWI523684B (zh) * 2014-07-15 2016-03-01 Metal Ind Res & Dev Ct Combined microsphere manufact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2394B2 (en) 2008-09-23 2015-09-15 Bio-Rad Laboratories, Inc. System for detection of spaced droplets
KR102043161B1 (ko) * 2018-06-07 2019-1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액적 병합을 위한 미세 유체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액적의 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3369A1 (en) 2022-06-30
EP4019132A1 (en)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993E1 (en) Fluidic system for reagent delivery to a flow cell
US10092902B2 (en) Fluid interface cartridge for a microfluidic chip
US5980704A (en) Method and system for inhibiting cross-contamination in fluids of combinatorial chemistry device
US20150328637A1 (en) Thermal activated microfluidic switching
US20080107565A1 (en) Modular Biochip Assembly
US20050112036A1 (en) Micro flow passage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devices
JP5246167B2 (ja) マイクロチップ及びマイクロチップの送液方法
KR101138904B1 (ko) 입자 분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시스템
Bohne et al. 3D printed nozzles on a silicon fluidic chip
KR102353893B1 (ko)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검출기
JP5255628B2 (ja) 微細流路および分析用具
JP2012251881A (ja) 液体フローに含まれる生物学的粒子を分析するシステム
US20230256434A1 (en) Cartridge and liquid handling device
JP2016166861A (ja) マイクロチップ、並びに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JP2023023548A (ja) 液体取扱装置および液体取扱システム
US20090272180A1 (en) Continuous testing device and continuous testing system
KR102227970B1 (ko) 미세 액적 생성 장치
US20110203354A1 (en) Continuous Testing Method
JP2006133220A (ja) 試料供給方法および試料供給装置
WO2020178951A1 (en) Fluid handling device
JP2009150810A (ja) マイクロチップ
JP2007271790A (ja) 光コネクタ及びマイクロ化学反応装置
WO2020178947A1 (en) Fluid handling device
JPWO2019013086A1 (ja) 分析装置および流路プレート
US20200122111A1 (en) Fluid flow device and flow error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