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939B1 -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939B1
KR102352939B1 KR1020200061289A KR20200061289A KR102352939B1 KR 102352939 B1 KR102352939 B1 KR 102352939B1 KR 1020200061289 A KR1020200061289 A KR 1020200061289A KR 20200061289 A KR20200061289 A KR 20200061289A KR 102352939 B1 KR102352939 B1 KR 10235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part
rotating
loa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236A (ko
Inventor
김도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939B1/ko
Priority to KR1020210162062A priority patent/KR102352484B1/ko
Priority to KR1020210162065A priority patent/KR102352487B1/ko
Priority to KR1020210162064A priority patent/KR102352486B1/ko
Priority to KR1020210162061A priority patent/KR102352483B1/ko
Priority to KR1020210162063A priority patent/KR1023524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에 구비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가동접촉부와,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제1 가동접촉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가동접촉부와,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제1 가동접촉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제2 가동접촉부에 결합되는 확관연결부와, 회전축부와 확관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가동접촉부와 제2 가동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부하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제1 가동접촉부와 제2 가동접촉부는 회전에 의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LOAD BREAK SWITCH DEVICE FOR PAD MOUNTED TRANSFORMER}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순간 정전 발생을 방지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하개폐기는 전기회로에 있어서 전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제어하는 장치이고, 전기회로의 개폐 및 선로 절체를 할 수 있도록 전원과 부하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이다. 지상변압기는 부하개폐기를 구비하여 부하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부하개폐기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부하개폐기는 삼각형상의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3개의 꼭지점에 조립되고 전원(A,B)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21,22)와 부하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23)와 중심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T형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T형 회전자가 90도씩 회전하면서 전원 측 고정접촉자(21,22)와 부하 측 고정접촉자(23)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다양한 유형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T형 회전자를 회전하여 접점을 변경하는 시점에서 무가압(무접점) 구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순간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정상운전 상태의 접점에서, 도 2와 같이 A 전원을 절분하는 접점으로 변환하는 사이에, 무접점 구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변압기 조작에 따른 민원이 발생하여, 변압기를 포함한 전력 계통의 신뢰를 하락시킬 수 있다. 또한 담당자의 업무가 과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10-0790559호(2007.12.24. 등록, 발명의 명칭: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하 개폐를 위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1 개의 회전자가 아닌 2 개의 회전자인 제1 가동접촉부와 제2 가동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구간인 개폐시간이 제거됨으로써, 지상변압기의 장치의 신뢰성을 상승시키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는 변압기에 구비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가동접촉부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 가동접촉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가동접촉부와, 상기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접촉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접촉부에 결합되는 확관연결부와,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확관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가동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부하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가동접촉부는 회전에 의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동접촉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본체와,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본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관통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본체 각각에 고정되는 제1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제1 회전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회전블레이드의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제1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회전블레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관연결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2 가동접촉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본체와,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본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관통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본체 각각에 고정되는 제2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제2 회전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회전블레이드의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제2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관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회전블레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확관연결부는 상기 탱크에 구비된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회전 조작되는 제1 핸들과, 상기 확관연결부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제2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1 핸들과 상기 제2 핸들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는, 부하 개폐를 위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1 개의 회전자가 아닌 2 개의 회전자인 제1 가동접촉부와 제2 가동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구간인 개폐시간이 제거됨으로써, 지상변압기의 장치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부하개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부하개폐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의 제2 가동접촉부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제1 가동접촉부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d)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에 따른 접점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의 제2 가동접촉부 방향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제1 가동접촉부 방향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8의 (a) 내지 도 8의 (d)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에 따른 접점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장착되어 스위칭에 따라 부하 측과 전원 측에 접속된 상태를 변환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100)는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와, 회전축부(400)와, 확관연결부(500) 및, 조작부(600)를 포함한다.
제1 가동접촉부(200)는 변압기에 구비된 탱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가동접촉부(300)는 탱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제1 가동접촉부(20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는 회전에 의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는 회전에 의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원 측 단자에 연결된 전원 고정접촉자(미도시)와 부하 측 단자에 연결된 부하 고정접촉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는 회전에 의해 전원 고정접촉자와 부하 고정접촉자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하 측과 전원 측에 접속된 상태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어느 하나가 정지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부(400)는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제1 가동접촉부(200)에 결합된다. 즉 회전축부(400)는 제1 가동접촉부(200)와 동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부(400)는 회전 시에 제2 가동접촉부(3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확관연결부(500)는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제2 가동접촉부(3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확관연결부(500)는 제2 가동접촉부(300)와 동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확관연결부(500)는 회전 시에 제2 가동접촉부(3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 가동접촉부(300)는 확관연결부(500)에 고정됨으로써, 확관연결부(5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관연결부(500)는 회전축부(40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확관연결부(500)는 회전축부(4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축부(40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는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조작부(600)는 회전축부(400)와 확관연결부(500)에 연결되어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부하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조작부(60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게 구비되거나 자동으로 조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600)는 회전축부(400)와 확관연결부(500)를 개별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됨으로써, 이들에 연결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를 개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6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부하의 개폐상태 즉, 전원과의 접속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100)는, 부하 개폐를 위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1 개의 회전자가 아닌 2 개의 회전자로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를 구비함으로써,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부하개폐장치는 T형 회전자가 90도씩 회전하며 전원 측 또는 부하 측과 접점을 형성하였다. 그런데 T형 회전자를 회전하여 접점을 변경하는 시점에서 무가압(무접점) 구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 순간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부하 개폐 시에 무접점 구간인 개폐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변압기를 포함한 전력계통의 신뢰를 하락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T형 회전자가 아닌,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개폐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구간인 개폐시간이 제거됨으로써, 지상변압기의 장치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가동접촉부(200)는 제1 회전프레임과,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와, 제1 접촉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프레임은 회전축부(400)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회전축부(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본체(210)와, 한 쌍의 제1 회전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프레임은 제1 프레임본체(210)와 제1 연결부(220)가 연결되어 U자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제1 프레임본체(210)는 회전축부(4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본체(210)와 제1 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는 회전축부(4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회전축부(400)가 관통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제1 프레임본체(210)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는 일단부가 한 쌍의 제1 프레임본체(21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제1 프레임본체(21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는 회전축부(400)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231a, 232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400)는 제1 연결부(220)와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부(400)는 복수의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 중 어느 하나(일례로 제1 연결부(220)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는 제1 회전블레이드(233)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회전축부(400)와 제1 가동접촉부(200)의 결합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제1 회전블레이드 (231,232) 또는 제1 연결부(2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접촉돌기(240)는 제1 회전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의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돌기(240)는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를 연장한 가상의 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돌기(240)는 각각의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의 양 측 단부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촉돌기(240)는 제1 회전블레이드(231, 232, 233)의 회전에 따라 전원 측 단자 또는 부하 측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접촉부(300)는 제2 회전프레임과,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 및, 제2 접촉돌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프레임은 회전축부(400)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회전축부(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본체(310)와, 한 쌍의 제2 회전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프레임은 제2 프레임본체(310)와 제2 연결부(320)가 연결되어 U자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제2 프레임본체(310)는 회전축부(40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레임본체(310)와 제2 연결부(3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는 회전축부(4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회전축부(400)가 관통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제2 프레임본체(310)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는 일단부가 한 쌍의 제2 프레임본체(31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제2 프레임본체(31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는 회전축부(400)가 관통되는 제2 관통홀(332a, 333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확관연결부(500)는, 제2 연결부(320)와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확관연결부(500)는 복수의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 중 어느 하나(일례로 제2 연결부(32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회전블레이드(331))와, 제2 연결부(3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확관연결부(500)와 제2 회전프레임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2 접촉돌기(340)는 제2 회전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의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촉돌기(340)는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를 연장한 가상의 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돌기(340)는 각각의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의 양 측 단부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돌기(340)는 제2 회전블레이드(331, 332, 333)의 회전에 따라 전원 측 단자 또는 부하 측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축부(400)와 확관연결부(500)는 탱크에 구비된 측벽(1)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조작부(600)는 탱크의 외부 즉, 측벽(1)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부(400)와 확관연결부(500)는 측벽(1)에 관통 형성된 측벽홀(2)을 통해, 측벽(1)의 내외부로 관통될 수 있다.
조작부(600)는 회전축부(400)와 확관연결부(500) 중 측벽(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600)는 제1 핸들(610)과 제2 핸들(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610)은 회전축부(400)에 결합되고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제2 핸들(620)은 확관연결부(500)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핸들(610)과 제2 핸들(620)은 회전축부(40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고, 제1 핸들(610)과 제2 핸들(620)은 개별로 조작될 수 있다. 제1 핸들(610)과 제2 핸들(620)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제1 핸들(610)은 회전축부(400)에 고정되고, 회전축부(400)는 제1 가동접촉부(200)에 고정되므로, 제1 핸들(610)이 회전 조작되면 제1 가동접촉부(200)가 회전축부(40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핸들(620)은 확관연결부(500)에 고정되고 확관연결부(500)는 제2 가동접촉부(300)에 고정되므로, 제2 핸들(620)이 회전 조작되면 제2 가동접촉부(300)가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벽(1)의 외면에 돌출되어 제1 핸들(610)과 제2 핸들(6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제1 스토퍼(630)와 제2 스토퍼(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630)와 제2 스토퍼(640)는 회전축부(400)를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기둥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핸들(610)과 제2 핸들(620)은, 제1 스토퍼(630)와 제2 스토퍼(640)의 서로 이격된 공간 사이에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도 8의 (a) 내지 도 8의 (d)는 도 3에 도시된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100)에 따른 접점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에 따라 4개의 상태변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측에는 A측 단자(710)와 B측 단자(720)를 구비하고, 부하(C) 측에서 분기된 2개의 단자(730,7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정상상태 운전, 도 8의 (b)는 A측 전원 단자(710)의 절분(개방) 상태, 도 8의 (c)는 B측 전원 단자(720)의 절분(개방) 상태, 도 8의 (d)는 변압기 회로의 개방상태(정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가 회전하면서 각 단자과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4가지 유형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동접촉부(200)와 제2 가동접촉부(300)가 개별로 회전하므로, 각 접점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무접점 구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8의 (a) 상태에서 도 8의 (b) 상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제2 가동접촉부(300)가 회전하여도 제1 가동접촉부(200)가 접점 상태를 유지하므로 변환하는 동안 정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순간 정전 상태가 되는 구간인 개폐시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는, 부하 개폐를 위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1 개의 회전자가 아닌 2 개의 회전자인 제1 가동접촉부와 제2 가동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압기 조작 시에 순간 정전이 발생하는 구간인 개폐시간이 제거됨으로써, 지상변압기의 장치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200: 제1 가동접촉부
210: 제1 프레임본체 220: 제1 연결부
231, 232, 233: 제1 회전블레이드 231a 232a: 제1 관통홀
240: 제1 접촉돌기 300: 제2 가동접촉부
310: 제2 프레임본체 320: 제2 연결부
331, 332, 333: 제2 회전블레이드 332a 333a: 제2 관통홀
340: 제2 접촉돌기 400: 회전축부
500: 확관연결부 600: 조작부
610: 제1 핸들 620: 제2 핸들
630: 제1 스토퍼 640: 제2 스토퍼
710: 전원 A측 단자 720: 전원 B측 단자
730,740: 부하 측 단자

Claims (7)

  1. 변압기에 구비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가동접촉부;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 가동접촉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가동접촉부;
    상기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동접촉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
    상기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동접촉부에 결합되는 확관연결부; 및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확관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가동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부하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접촉부와 상기 제2 가동접촉부는 회전에 의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가동접촉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본체와,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본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관통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본체 각각에 고정되는 제1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제1 회전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회전블레이드의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제1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회전블레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연결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2 가동접촉부는
    상기 회전축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본체와,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본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관통되고,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본체 각각에 고정되는 제2 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제2 회전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회전블레이드의 위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제2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회전블레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확관연결부는 상기 탱크에 구비된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회전 조작되는 제1 핸들과, 상기 확관연결부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되는 제2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1 핸들과 상기 제2 핸들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00061289A 2020-05-22 2020-05-22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35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89A KR102352939B1 (ko) 2020-05-22 2020-05-22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2A KR102352484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5A KR102352487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4A KR102352486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1A KR102352483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3A KR102352485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89A KR102352939B1 (ko) 2020-05-22 2020-05-22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061A Division KR102352483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4A Division KR102352486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5A Division KR102352487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2A Division KR102352484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3A Division KR102352485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36A KR20210144236A (ko) 2021-11-30
KR102352939B1 true KR102352939B1 (ko) 2022-01-20

Family

ID=78722426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89A KR102352939B1 (ko) 2020-05-22 2020-05-22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1A KR102352483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4A KR102352486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2A KR102352484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5A KR102352487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3A KR102352485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061A KR102352483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4A KR102352486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2A KR102352484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5A KR102352487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KR1020210162063A KR102352485B1 (ko) 2020-05-22 2021-11-23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3529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95Y1 (ko) * 2005-08-29 2005-12-02 주식회사 평일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
JP2017010656A (ja) *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転操作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9154B1 (fr) * 1994-04-25 1996-06-07 Merlin Gerin Interrupteur électrique moyenne ten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95Y1 (ko) * 2005-08-29 2005-12-02 주식회사 평일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
JP2017010656A (ja) *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回転操作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483B1 (ko) 2022-01-19
KR20210146267A (ko) 2021-12-03
KR102352485B1 (ko) 2022-01-19
KR20210146271A (ko) 2021-12-03
KR20210144236A (ko) 2021-11-30
KR20210146270A (ko) 2021-12-03
KR102352487B1 (ko) 2022-01-19
KR102352486B1 (ko) 2022-01-19
KR20210146269A (ko) 2021-12-03
KR20210146268A (ko) 2021-12-03
KR102352484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1925B2 (ja) 接地開閉器付断路器
CA2322901A1 (en) Gas insulating switchgear
JP5818989B2 (ja) スイッチギヤ
KR102352939B1 (ko)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EP1121738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device
CN204537959U (zh) 一种具有弹性储能组件的断路器
EP1939903A1 (en) Switching mechanism for air circuit breaker and toggle links thereof
CN104795287A (zh) 一种具有弹性储能组件的断路器
KR101075539B1 (ko) 쓰리포지션 단로기
KR940004948B1 (ko) 단로기용 조작기구
CN204516701U (zh) 一种具有脱扣机构的断路器
UA122156C2 (uk) Автоматичний вимикач
AU745224B2 (en) Disconnect feature for interrupter
KR200482204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311532B1 (ko)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장치
CN215933466U (zh) 一种旋转式隔离开关及多相隔离开关装置
JP3142476B2 (ja) 開閉器
CN210489569U (zh) 电动操作机构及断路器
CN219553552U (zh) 多极断路器
CN212570899U (zh) 一种断路器使用的新型手柄结构
CN210039992U (zh) 一种开关柜联锁机构及开关柜
KR100494664B1 (ko) 회로차단기
KR101914871B1 (ko) 가스절연개폐기용 단로기의 구동장치
EP3901976A1 (en) Earthing switch and switchgear comprising such switch
KR20160083736A (ko) 회로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