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539B1 - 쓰리포지션 단로기 - Google Patents

쓰리포지션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539B1
KR101075539B1 KR1020100046515A KR20100046515A KR101075539B1 KR 101075539 B1 KR101075539 B1 KR 101075539B1 KR 1020100046515 A KR1020100046515 A KR 1020100046515A KR 20100046515 A KR20100046515 A KR 20100046515A KR 101075539 B1 KR101075539 B1 KR 10107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fixed
bla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중
Original Assignee
윤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중 filed Critical 윤석중
Priority to KR102010004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Abstract

본 발명은 쓰리포지션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로, 폐로 및 접지 상태의 포지션으로 동작가능하면서도 접점 단자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복수 극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단자의 절연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구동메카니즘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수동레버로 조작시에 전동 모터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함과 아울러, 수동 조작시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오동작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쓰리포지션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쓰리포지션 단로기{3-POSITION DISCONNECTOR}
본 발명은 쓰리포지션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로, 폐로 및 접지 상태의 포지션으로 동작가능하면서도 접점 단자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복수 극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단자의 절연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구동메카니즘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수동레버로 조작시에 전동 모터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함과 아울러, 수동 조작시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오동작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쓰리포지션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단로기는 선로, 배전반, 큐비클 등에서 전원의 개폐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2차측의 충전전류를 방전시키기 위해 접지기능도 추가 구성하고 있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들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5106호 "쓰리포지션 단로기의 조작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572 "가스 배전반의 단로기 구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65901호 "가스배전반용 단로기의 구동메카니즘",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98340호 "단모선, 복모선 겸용 단로기 및 접지장치" 등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1,2 차측 단자와 접지 단자를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1차측 단자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아니면 어느 단자에도 접촉되지 아니하게 구동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2차측 단자에 장착하여서 접점부를 구성하며, 가동 블레이드를 움직이는 구동메카니즘을 접점부 케이스에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접점부의 단자들을 부싱을 이용하여 케이스에 고정하거나 아니면 모선에 연결한 부스바에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어서, 접점부를 복잡하게 구성할 수밖에 없고 구동메카니즘의 내부 구성도 복잡하여 전체적으로 단로기의 크기도 커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더욱이, 단자들 간의 이격거리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규정된 값을 확보해야 하는 데, 종래기술들은 단자들 간의 이격거리를 부싱의 고정위치나 부스바의 고정위치에 구애받게 되어서 부싱 및 부스바의 고정위치도 제작과정에서 정확하게 맞춰야 하는 불편함도 갖게 되고, 결국 생산성도 낮게 되는 문제점도 수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 및 문제점은 단극이 아닌 복수 극으로 단로기를 구성할 때에 더욱 커지게 되며, 이격거리 확보 및 절연 확보를 위해 부싱이나 부스바를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해야 하는 어려움도 갖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건물 내의 공간활용 측면에서 수배전반에 할애되는 공간도 줄이려는 경향인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접점부 및 구동메카니즘의 복잡성에 의해서 단로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데 한계를 갖게 되었다.
한편, 구동메카니즘은 모터에 의한 전동으로 구동시키기도 하지만 점검시에 수동 레버로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동 레버에 의한 구동과 모터에 의한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종래기술들 중에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65901호는 인터록기구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종래의 복잡한 구동메카니즘에 추가 설치하게 구성되고 있어서 비록 컴팩트하게 구성하려고 했지만 구동메카니즘의 크기를 키우고 더욱 복잡하게 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프론트 플레이트를 별도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도 갖는다.
또 한편, 구동메카니즘은 모터에 의한 구동을 정확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리밋스위치를 장착하게 되므로, 동작되는 리밋스위치를 육안으로 보면 현재 개로, 폐로 및 접지 중에서 어느 상태로 있는지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의 확인은 특히 수동 레버로 조작할 때에 오판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리밋스위치를 통해 현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아니하며, 더욱이 추가적인 구성으로 육안 식별을 할 수 있게 해야만 하였다.
KR, 10-2005-0065106, A, 2005.06.29. KR, 20-0365572, Y1, 2004.10.27. KR, 10-2003-0065901, A, 2003.08.09. KR, 10-2004-0098340, A, 2004.11.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들 사이의 이격거리 및 절연도 확보하면서 복수 극의 접점을 갖도록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쓰리포지션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메카니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접점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차지하는 공간도 작게 하여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쓰리포지션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 레버로 동작시킬 때에 별도의 복잡한 추가 구성 및 조작 없이 수동 레버를 장착하기만 하면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차단시키게 하여서, 수동 조작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확인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리밋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오판에 의한 오조작의 위험도 차단할 수 있는 쓰리포지션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로, 폐로 및 접지 중에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에 있어서, 각각 절연재(140)의 사이에 개재시켜 양측 절연재(140)를 전면판(10)의 배면과 배면판(20)의 정면에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고정단자부(110), 접지단자부(120) 및 가동단자부(130)로 구성되며, 블레이드(131)를 가동단자부(130)에 회동 가동하게 장착한 접점부(100)와; 가동단자부(130)의 블레이드(131)를 회동시켜 개로, 폐로 및 접지 중에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로 있게 하는 블레이드 가동부(200)와; 블레이드 가동부(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메카니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는, 일단을 상기 블레이드(131)의 중간에 힌지(211) 결합한 링크(210); 전면판(10)과 배면판(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되, 전방 끝단을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링크(210)의 타단에 힌지(212) 결합한 회전대(221)를 외주면에 고정한 드라이브 샤프트(220);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 끝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종동기어(23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는, 모터(32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322); 구동기어(3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330 : 331, 332); 수동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11)에 제1 기어(315) 및 제2 기어(316)를 장착하되, 제1 기어(315)는 상기 감속기어(331)에 치합시키고, 제2 기어(316)는 상기 종동기어(230)에 치합시킨 수동기어부(3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제1 기어(315)는, 중심에 축관통구(315b)를 조성하되 회전축(311)을 축관통구(315b)에 여유있게 끼워지게 하고, 회전축(311)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축관통구(315b) 내주면에 홈(315a)을 조성하며,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회전축(311)은, 상기 홈(315a)의 방향으로 출몰하는 고정체(313)를 구비하여서,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홈(315a)에 끼워질 때에만 상기 제1 기어(3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기어부(310)는, 전방측이 개구되고 후방측이 폐구된 중공관의 형상으로 회전축(31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313)를 회전축(311) 주면의 관통구(311c)에 끼우며, 회전축(311)의 중공(311b)에 피스톤(312)을 장착하여 피스톤(31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체(313)가 밀리거나 밀림해제되어 회전축(311)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출몰하게 하는 것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체(313)는 구(球, spher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315)의 내주면에 조성되는 홈(315a)은 축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면의 형상이 원호(圓弧)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312)은, 회전축(311)의 폐구 내면에 탄성지지되는 원통형 몸체(312a); 원통형 몸체(312a)에 이어지는 로드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가압판(312b); 원통형 몸체(312a)와 가압판(312b)의 사이에 조성되는 중간링(312c);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3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판(312b) 및 중간링(312c)에 걸리는 스토퍼(314)를 조성하여서, 상기 스토퍼(314)가 상기 중간링(312c)에 걸릴 때에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원통형 몸체(312a)에 의해서 회전축(311)의 외주면 방향으로 밀리고, 상기 스토퍼(314)가 상기 가압판(312b)에 걸릴 때에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원통형 몸체(312a)와 중간링(312c)의 사이에 있게 하는 것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외주면에 돌기 형상으로 조성되는 리밋돌기(410);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드라이브 샤프트(220) 부위에 여유있게 외삽되는 관의 형상으로 조성되되,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를 절개(421)하여서 상기 리밋돌기(410)가 끼워져 절개(421)된 부위 내에서 회동하게 하는 회동제한부(420); 상기 절개(421)의 절반 각 위치의 상부 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탄성지지시킨 이동체(431)로 상기 리밋돌기(410)를 가압하며, 리밋돌기(410)에 닿는 부위에 홈(432)을 조성한 돌기고정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지션 리밋부(40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지션 리밋부(400)는,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443); 상기 회동체(443)의 회전각 범위에 등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는 3개의 리밋스위치(440); 상기 회동체(443)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측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레버(441, 444); 두개의 상기 레버(441, 444)에 양단을 힌지(442a, 442b) 결합한 커넥팅로드(4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밋스위치부(440)을 구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자부(110), 접지단자부(120) 및 가동단자부(130)는, 각각 복수개의 절연재(140)를 적층하고 절연재(140)의 사이마다 단자(111, 121, 132)를 개재시켜 복수의 극(極)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단자부(130)는, 각 단자(132)마다 블레이드(131)를 장착하며,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는, 하나의 드라이브 샤프트(220)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대(221)를 고정하여서 블레이드(131)마다 마련된 링크(210)를 회전대(221)에 하나씩 힌지결합하는 것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절연재(140)의 사이에 단자(111, 121, 132)를 장착하고 양측의 절연재(140)를 전면판(10) 및 배면판(20)에 고정하므로, 절연재(140)의 적층 개수를 늘리기만 하면 복수의 극을 접점할 수 있는 단로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전압의 크기에 따른 이격거리에 맞게 절연재(140)를 선택하여 조립하므로 다른 전압용 단로기에도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리밋부(400)를 전면판(10)의 정면에 장착하되 차지하는 면적 및 두께도 작고, 수동조작을 위한 수동기어부(310) 및 3포지션(폐로, 개로 및 접지 포지션)의 동작위치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420) 및 걸림부(430)도 최소화하여서,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도 갖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기어부(310)의 수동레버끼움부(311a)에 수동레버를 끼우기만 하면 모터(321)의 구동력을 자동 차단하므로, 수동 조작시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수동기어부(310)의 구성도 회전축(311)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추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리밋스위치(440)를 전면판(10)에 장착하여 접점부(100)의 동작상태를 리밋스위치(440)로 확인할 수 있게 하므로, 오판 없이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결국, 별도의 확인수단을 장착할 필요도 없어서 더욱 컴팩트한 단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접점부(100) 및 블레이드 가동부(200)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리밋부(400)의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리밋부(400)를 장착한 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수동기어부(310)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수동기어부(31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는,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가동되는 구동메카니즘부(300), 구동메카니즘부(300)의 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블레이드 가동부(200),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회동에 의해 접점 동작하여 전기의 소통을 단속하는 접점부(100),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포지션 리밋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100)는 고정단자부(110), 접지단자부(120) 및 가동단자부(130)로 구성되어서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도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에 장착되되, 전후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동기어(230)가 구비되는 전방측 끝부분은 전면판(10)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는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종동기어(230)을 회동시킨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메카니즘부(300)의 구성들 중에 모터(321)만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접점부(100) 및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을 장착하고 남는 여유공간에 장착하여서, 전체적으로 단로기의 부피를 줄였다. 그리고, 상기 모터(321)의 회전축(321a)은 후술하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전면판(10)을 관통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의 정면측에는 보조 전면판(30)을 장착하여서 후술하는 각각의 기어 회전축을 축설하되, 후술하는 수동기어부(310)의 회전축(311)과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 끝부분을 상기 보조 전면판(30)의 정면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회전축(311)은 수동레버(미도시)를 끼워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부분이므로 정면측으로 돌출시킨 것이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 끝부분은 리밋스위치부(440)를 장착하기 위해 돌출시킨 것이다.
상기 포지션 리밋부(400)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회동각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전면판(10)의 정면에 장착되며, 특히, 도 4를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할 리밋스위치부(440)를 전방측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 전면판(30)에 의해 가려지지 아니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는 명판(12)과, 각종 제어선(미도시) 및 동력선(미도시)의 연결을 위한 단자대(11)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는, 부피가 큰 접점부(100) 및 블레이브 가동부(200)를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에 배치하고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미닛부(400)를 전면판(10)의 정면에 배치하여서, 전체적으로 단로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그러면서도 고전압이 흐르는 접점부(100)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 전기 사고로부터 안정하다. 또한, 리밋스위치부(440)의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접점부(100) 및 블레이드 가동부(20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에서, 접점부(100)는 각각 2극으로 구성되는 고정단자부(110), 접지단자부(120) 및 가동단자부(130)로 이루어지고, 블레이드 가동부(200)는 가동단자부(130)의 2극을 동시에 폐로, 개로 및 접지 중에 어느 하나의 상태로 동작시킨다.
상기 고정단자부(110)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는 외부 전선에 단자 연결되는 1차측 주단자(111)가 조성되고 타단에는 가동단자부(130)의 블레이드(13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고정접점(112)이 조성되며, 2개가 마련하여 3개의 절연재(140)를 일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절연재(140)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 개재한 후에 고정한 형태를 갖춘다. 또한, 상기 1차측 주단자(111)는 상부 방향을 향하게 하여서 전선(미도시)에 단자연결할 수 있게 하고, 고정접점(112)은 하부 방향을 향하게 하여서 후술하는 블레이드(131)에 접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자부(110)는 양측의 절연재(140)를 전면판(10)의 배면과 배면판(20)의 정면에 볼트(미도시) 고정하는 형태로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접지단자부(120)는, 상기 고정단자부(110)와 동일한 형태를 갖추되 측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단자부(120)와의 사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 및 장착된다. 다만, 상기 1차측 주단자(111)에 대응되는 접지단자(121)는 접지측 전선(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단자부(130)는, 상기 고정단자부(110)(또는 상기 접지단자부(120))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고 장착되되, 1차측 주단자(111)에 대응되는 2차측 주단자(132)는 하부 방향을 향하고 고정접점(112)에 대응되는 부위는 블레이드(131)을 힌지(133)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자부(110)와 상기 접지단자부(120)의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배치되어서 회동하는 블레이드(131)의 끝부분이 상기 고정단자부(110)와 상기 접지단자부(120)의 고정접점(112, 12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차이를 갖는다. 즉, 상기 가동단자부(130)는 2극에 맞게 2개가 마련되어 절연재(140)의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되고, 2개의 가동단자부(130)마다 하나씩 힌지(133) 결합되는 블레이드(131)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채용된 상기 블레이드(131)는 두개의 판을 2차측 주단자(132)의 전후에 배치하고 힌지(133)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게 하되 스프링으로 두개의 판을 힌지(133) 결합 방향으로 눌리게 하여서 회동하더라도 2차측 주단자(132)와의 전기적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고정접점(112, 122)에 접촉되는 부위도 두개의 판이 이격된 상태로 스프링으로 눌리게 하여서 두개의 판 사이에 고정접점(112, 122)이 끼워질 때에 전기적 접촉을 양호하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는 블레이드(131)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는, 양쪽을 전면판(10)과 배면판(20)에 회동가능하게 하되, 포지션 리밋부(400)의 회동제한부(420)에 의해서 회동각 범위가 제한되며, 전방 끝단을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시켜서 종동기어(230) 및 포지션 리밋부(400)의 리밋돌기(410)를 장착할 수 있게 하고, 회전대(221)를 블레이드(131)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외주면에 고정한 드라이브 샤프트(220); 블레이드(131)의 개수에 맞게 마련하여 일단을 상기 블레이드(131)의 중간에 힌지(211) 결합하고 타단을 회전대(221)에 힌지(212) 결합한 링크(210);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끝단 외주면에 외삽되되 외삽되는 면에 홈(231, 222)을 조성하고 양 홈(231, 222)에 걸쳐지는 핀(223)을 끼워 드라이브 샤프트(220)에 고정(222, 223, 231)되는 종동기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는 전면판(10)을 관통시키되 후술하는 회동제한부(420)도 관통시키고 리밋돌기(410)도 종동기어(230)를 끼우기에 앞서서 먼저 끼워 회동제한부(420)에 결합되게 한 후에, 리밋돌기(410)를 회동제한부(420)와 함께 고정시키며, 보조 전면판(30)에 지지되는 베어링(224)을 전방측 끝단에 외삽시켜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리밋돌기(410)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에 외삽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된 몸체(411)의 외주면에 돌기 상으로 조성되며, 이때 몸체(4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핀(223)을 끼울 수 있는 홈(412)이 조성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가동부(200)를 구성 및 장착함에 따라, 종동기어(230)를 회동시키면,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외주면에 고정된 회전대(221)들도 회동하여 링크(210)을 측면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게 되므로, 복수의 블레이드(131)를 동일 회동각도로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31)를 회동시켜 고정단자부(110)의 고정접점(112)에 접촉되게 하면 폐로상태로 되고, 블레이드(131)를 회동시켜 고정단자부(110)와 접지단자부(1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개로상태로 되고, 블레이드(131)를 회동시켜 접지단자부(120)의 고정접점(122)에 접촉시키면 2차측 주단자(132)를 접지상태로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극 접점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극, 3극, 4극 접점에도 적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5극 이상의 접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극 접점용 단로기에 적용되면 2개의 절연재(140) 사이에 단자(111, 121, 132)를 개재하고 블레이드 가동부(200)에는 1개의 회전대(221) 및 1개의 링크(210)만 장착하며, 3극 접점용 단로기에 적용되면 4개의 절연재(140)를 전후방향으로 적층하고 절연재(140)의 사이 마다 단자(111, 121, 132)를 개재하고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드라이브 샤트프(220)에는 3개의 회전대(221) 및 3개의 링크(210)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용되는 극 수에 맞게 절연재(140)를 적층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재(140)는 단자들 간의 절연 및 이격거리 확보와 케이스(전면판 및 배면판)와의 절연 및 이격거리 확보를 위한 구성으로서 애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리밋부(400)의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리밋부(400)를 장착한 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서는 기어의 맞물림 및 축결합의 위치를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는, 전면판(10) 및 배면판(20)의 사이에 접점부(100) 및 블레이드 가동부(200)를 장착한 후에, 사용자가 바라볼 수 있는 전면판(10)의 정면에 구동메카니즘부(300) 및 포지션 리밋부(400)를 장착하여서 구동메카니즘부(300)의 수동 조작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는, 전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에 장착된 모터(321)의 회전축(321a)에 축결합되어서 모터(32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322)를 포함한 모터구동기어부(320); 상기 구동기어(3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330 : 331, 332); 수동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11)의 외주면에 제1 기어(315) 및 제2 기어(316)를 장착하되, 제1 기어(315)는 상기 감속기어(331)에 치합되게 장착하고, 제2 기어(316)는 상기 종동기어(230)에 치합되게 장착한 수동기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330)는, 동일축에 서로 다른 반경의 기어를 장착한 제1,2 감속기어(331, 332)로 구성되며, 제1 감속기어(331)의 큰 기어는 구동기어(322)에 치합되고 작은 기어는 제2 감속기어(332)의 큰 기어에 치합되며, 제2 감속기어(332)의 작은 기어는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제1 기어(315)에 치합된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322)로부터 제1 기어(315)에 이르는 치합부분에 의해 기어비는 점차 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속기어부(330)는 구동기어(32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수동기어부(31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모터(321)의 정격속도 및 수동기어부(310)의 회전속도를 감안하여 필요한 기어비를 갖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전방 끝단에는 사용자가 수동조작 레버를 끼워 돌릴 수 있는 수동레버끼움부(311a)가 조성되며, 상기 감속기어부(330), 수동기어부(310) 및 구동기어(322)는 전면판(10)과 보조전면판(30)에 축설되어 회전되게 한다.
상기 포지션 리밋부(400)는, 상기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리밋돌기(410);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드라이브 샤프트(220) 부위의 주면에 여유있게 외삽되는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를 절개(421)하여서 상기 리밋돌기(410)가 끼워져 절개(421)된 부위 내에서 회동하게 하는 회동제한부(420); 상기 절개(421)의 절반 각 위치의 상부 방향에 배치되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된(434a) 고정체(434)의 저면에 탄성체(433) 및 이동체(431)를 장착하여서 상기 이동체(431)가 탄성체(433)에 탄성지지되면서 상기 리밋돌기(410)를 가압하게 하고, 이때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된 가이드(435)에 의해서 이탈됨 없이 상기 이동체(431)가 상하이동하게 하고, 상기 리밋돌기(410)의 접촉면에는 홈(432)이 조성된 돌기고정부(430);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 끝단(225)에 고정되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리밋스위치부(4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밋돌기(410)는 드라이브 샤프트(220)가 회동할 때에 회동제한부(420)의 절개(421) 범위 내에만 있게 되므로 절개(421) 범위의 중간에 있게 되면 개로 상태, 즉 상기 블레이드(131)의 끝단이 고정단자부(110)와 접지단자부(120)의 사이에 있는 상태가 되고, 절개(321) 범위의 양쪽에 있게 되면 상기 블레이드(131)의 끝단이 고정단자부(110)나 아니면 접지단자부(120)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리밋돌기(410)가 이동체(431)의 홈(432)에 끼워졌을 때가 개로 상태가 되는 것이고 탄성체(433)로 이동체(431)를 가압하므로 개로 상태에서 외부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드라이브 샤프트(220)가 회동하지 아니므로 개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폐로 또는 접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리밋돌기(410)가 홈(432)에서 이탈되어 이동체(431)의 측방향 하단에 의해 가압되므로 폐로 또는 접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리밋스위치부(440)는,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443); 상기 회동체(443)의 회전각 범위에 등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어서 상기 회동체(443)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3개의 리밋스위치(445); 상기 회동체(443)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측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441a, 444a) 레버(441, 444); 양단을 두개의 상기 레버(441, 444)에 힌지(442a, 442b) 결합한 커넥팅로드(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밋스위치(440)는 보조전면판(30)에 가려지지 아니하는 전면판(10) 부분에 장착되어서 육안으로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리밋스위치(440)에 의해 감지된 회동체(443)의 회동 위치를 제어선(미도시)을 통해 외부에 전달하며, 이와 같이 감지된 회동 위치에 따라 램프(미도시)를 점등시키거나 모터(321)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동기어부(310)는, 감속기어부(330)에 치합되는 제1 기어(315)를 회전축(311)으로부터 분리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수동기어부(310)는 중공관 형태의 회전축(311), 회전축(311)의 중공(311b)에 끼워지는 피스톤(312), 회전축(311)의 중공(311b)에 끼워져서 피스톤(312)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17), 회전축(311)의 외주면 중에서 전방측에 외삽되게 끼워져서 감속기어부(330)에 치합되는 제1 기어(315), 회전축(311)의 외주면 중에서 후방측에 외삽되게 끼워져서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종동기어(230)에 치합되는 제2 기어(316), 제1 기어(315)를 회전축(311)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시키는 고정체(313), 피스톤(31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1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312)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의 후방측에 원통형 상으로 조성되는 원통형 몸체(312a), 로드의 전방측에 판상으로 조성되는 가압판(312b), 로드의 중간에 조성되는 중간링(312c), 을 갖추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원통형 몸체(312a)와 중간링(312c)의 사이(312e), 및 중간링(312c)과 가압판(312b)의 사이(312d)는 원통형 몸체(312a), 중간링(312c) 및 가압판(312b)의 직경보다 작은 로드의 직경을 갖게 된다.
상기 회전축(311)은, 전체적으로 중공관의 형상을 갖추고, 전방측을 개구하여서 수동 레버를 끼울 수 있는 수동레버끼움부(311a)를 조성하고, 후방측을 폐구하여서 상기 스프링(317)이 폐구 내면에 지지되어 전방측의 중공(311b)에 끼워지는 피스톤(312)의 원통형 몸체(312a)를 전방측으로 탄성가압하게 하며, 상기 가압판(312b) 및 중간링(312c)에 걸리는 스토퍼(314)를 끼울 수 있는 관통구(316d)를 조성하여서 스토퍼(314)의 끝단이 상기 회전축(3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315)가 외삽되는 부분에도 복수의 관통구(311c)를 조성하여서 상기 고정체(313)를 관통구(311c)마다 끼울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기어(315)가 외삽되는 위치, 즉, 상기 고정체(313)가 끼워지는 관통구(311c)의 조성 위치는, 상기 스토퍼(314)가 상기 중간링(312c)의 정방측 면에 걸릴 때에 상기 피스톤(312)의 원통형 몸체(312a)가 있게 되는 위치로 선정되어서 원통형 몸체(312a)에 의해 상기 고정체(313)가 외주면 방향으로 밀리게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311c)의 조성 위치는, 상기 가압판(312b)을 후방측으로 눌러 상기 스토퍼(314)가 상기 가압판(312b)의 후방측 면에 걸릴 때에 상기 원통형 몸체(312a)가 상기 관통구(311c)의 위치보다는 후방측에 있도록 선정되어서 상기 고정체(313)를 밀던 가압력이 해제되게 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원통형 몸체(312a)와 중간링(312c)의 사이(312e)에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기어(315)는 중심에 축관통구(315b)를 조성한 평기어로서 축관통구(315b)에 상기 회전축(311)을 여유있게 끼울 수 있게 하고, 회전축(311)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축관통구(315b) 부분의 내주면에는 홈(315a)를 조성하여서 상기 고정체(313)의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어(315)가 모터(321)의 구동력에 의해 감속기어부(3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때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13)의 일부분이 홈(315a)에 끼워진 상태이면 상기 회전축(311)도 회전시킬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13)가 홈(315a)으로부터 빠진 상태이면 상기 제1 기어(315)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축(311)은 회전하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315c와 316d는 보조전면판(30)의 전면에 축설하기 위한 베어링이고, 미설명부호 316c는 베어링(316d)를 전면판(10)에 축설할 때에 제2 기어(316)와 전면판(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채우기 위한 스페이스 관이며, 상기 제2 기어(316)는 상기 제2 기어(316)의 내주면에 조성되는 홈(316a)과 회전축(311)의 외주면에 조성되는 홈(314e)에 고정핀(316b)을 걸쳐서 회전축(311)에 항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311)의 중공(311b)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2)이 배면측으로 밀리는 한계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314f)을 추가 조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동기어부(310)는, 피스톤(312)의 전후 이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체(313)가 회전축(311)의 외주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출몰하게 하고,상기 고정체(313)가 회전축(3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때에 끼워지는 홈(315a)을 제1 기어(315)에 조성하여서, 고정체(313)의 출몰에 따라 제1 기어(315)를 회전축(311)에 고정하거나 아니면 헛돌게 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12)에 수동 레버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탄성체(317)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312)이 전방측으로 밀리고 원통형 몸체(312a)가 고정체(313)를 회전축(311)의 주면 방향으로 밀어내어서 회전축(311)이 제1 기어(315)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므로, 모터(321)에 의해 구동기어(322)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은 감속기어부(330), 수동기어부(310)의 제1 기어(315), 수동기어부(310)의 제2 기어(316) 및 블레이드 가동부(200)의 종동기어(23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서 드라이브 샤프트(220)를 회동시킨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레버끼움부(311a)를 통해서 수동 레버(미도시)로 상기 피스톤(312)을 배면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체(313)는 원통형 몸체(312a)와 중간링(312c)의 사이(312e)에 있게 되므로, 감속기어부(330)에 의해 제1 기어(315)가 회전하더라도 그 회전력은 회전축(311)에 전달되지 아니하게 되고, 결국, 회전축(311)의 수동레버끼움부(311a)에 끼워진 수동 레버(미도시)에 의해서만 상기 회전축(3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쓰리포지션 단로기는, 사용자가 수동 레버(미도시)를 수동레버끼움부(311a)에 끼우기만 하면 모터(321)에 의한 구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체(313)는 구(球, spher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어(315)의 내주면에 조성되는 홈(315a)은 축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면의 형상이 원호(圓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축(311)이 본 발명의 실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상에 평행하게 장착하였을 때에, 하부측에 장착되는 고정체(313)는 피스톤(312)을 눌러도 중력에 의해서 상기 제1 기어(315)의 홈(315a)에 끼워진 상태로 있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수동 레버(미도시)로 회전축(311)을 잡고 있으면 제1 기어(315)가 감속기어부(330)에 의해 회전되더라도 상기 고정체(313)가 홈(315a)으로부터 걸림 없이 자연스럽게 빠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312)의 원통형 몸체(312a)는 중간링(312c)에 가까운 부분을 중간링(312c)으로 갈수록 관경을 점차 작게 하여서, 원통형 몸체(312a)의 전후 이동시 상기 고정체(313)의 출몰이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전면판 20 : 배면판 30 : 보조 전면판
100 : 접점부 110 : 고정단자부 111 : 1차측 주단자
112 : 고정접점 120 : 접지단자부 121 : 접지단자
122 : 고정접점 130 : 가동단자부 131 : 블레이드
132 : 2차측 주단자 133 : 힌지 140 : 절연재
200 : 블레이드 가동부 210 : 링크 211, 212 : 힌지
220 : 드라이브 샤프트 221 : 회전대 230 : 종동기어
300 : 구동메카니즘부
310 : 수동기어부 311 : 회전축 311a : 수동레버끼움부
312 : 피스톤 312a : 원통형 몸체 312b : 가압판
312c : 중간링 313 : 고정체 314 : 스토퍼
315 : 제1 기어 316 : 제2 기어 317 : 스프링
320 : 모터구동기어부 321 : 모터 322 : 구동기어
330 : 감속기어부 331 : 제1 감속기어 332 : 제2 감속기어
400 : 포지션 리밋부 410 : 리밋돌기 420 : 회동제한부
421 : 절개 430 : 걸림부 431 : 이동체
432 : 홈 433 : 탄성체 440 : 리밋스위치부
441 : 제1 레버 442 : 커넥팅로드 443 : 회동체
444 : 제2 레버 445 : 리밋스위치

Claims (8)

  1. 각각 절연재(140)의 사이에 개재시켜 양측 절연재(140)를 전면판(10)의 배면과 배면판(20)의 정면에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고정단자부(110), 접지단자부(120) 및 가동단자부(130)로 구성되며, 블레이드(131)를 가동단자부(130)에 회동 가동하게 장착한 접점부(100)와; 가동단자부(130)의 블레이드(131)를 회동시켜 개로, 폐로 및 접지 중에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로 있게 하는 블레이드 가동부(200)와; 블레이드 가동부(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메카니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는,
    일단을 상기 블레이드(131)의 중간에 힌지(211) 결합한 링크(210);
    전면판(10)과 배면판(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되, 전방 끝단을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링크(210)의 타단에 힌지(212) 결합한 회전대(221)를 외주면에 고정한 드라이브 샤프트(220);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 끝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종동기어(23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메카니즘부(300)는,
    모터(32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322);
    구동기어(3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330 : 331, 332);
    수동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11)에 제1 기어(315) 및 제2 기어(316)를 장착하되, 제1 기어(315)는 상기 감속기어(331)에 치합시키고, 제2 기어(316)는 상기 종동기어(230)에 치합시킨 수동기어부(310);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제1 기어(315)는,
    중심에 축관통구(315b)를 조성하되 회전축(311)을 축관통구(315b)에 여유있게 끼워지게 하고, 회전축(311)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축관통구(315b) 내주면에 홈(315a)을 조성하며,
    상기 수동기어부(310)의 회전축(311)은,
    상기 홈(315a)의 방향으로 출몰하는 고정체(313)를 구비하여서,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홈(315a)에 끼워질 때에만 상기 제1 기어(3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기어부(310)는,
    전방측이 개구되고 후방측이 폐구된 중공관의 형상으로 회전축(31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313)를 회전축(311) 주면의 관통구(311c)에 끼우며, 회전축(311)의 중공(311b)에 피스톤(312)을 장착하여 피스톤(31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체(313)가 밀리거나 밀림해제되어 회전축(311)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출몰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313)는 구(球, spher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어(315)의 내주면에 조성되는 홈(315a)은 축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면의 형상이 원호(圓弧)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12)은,
    회전축(311)의 폐구 내면에 탄성지지되는 원통형 몸체(312a);
    원통형 몸체(312a)에 이어지는 로드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가압판(312b);
    원통형 몸체(312a)와 가압판(312b)의 사이에 조성되는 중간링(312c);
    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3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판(312b) 및 중간링(312c)에 걸리는 스토퍼(314)를 조성하여서,
    상기 스토퍼(314)가 상기 중간링(312c)에 걸릴 때에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원통형 몸체(312a)에 의해서 회전축(311)의 외주면 방향으로 밀리고,
    상기 스토퍼(314)가 상기 가압판(312b)에 걸릴 때에 상기 고정체(313)가 상기 원통형 몸체(312a)와 중간링(312c)의 사이에 있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6. 제 1항 내지 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외주면에 돌기 형상으로 조성되는 리밋돌기(410);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판(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드라이브 샤프트(220) 부위에 여유있게 외삽되는 관의 형상으로 조성되되,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를 절개(421)하여서 상기 리밋돌기(410)가 끼워져 절개(421)된 부위 내에서 회동하게 하는 회동제한부(420);
    상기 절개(421)의 절반 각 위치의 상부 방향에 배치하여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탄성지지시킨 이동체(431)로 상기 리밋돌기(410)를 가압하며, 리밋돌기(410)에 닿는 부위에 홈(432)을 조성한 돌기고정부(4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지션 리밋부(40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리밋부(400)는,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체(443);
    상기 회동체(443)의 회전각 범위에 등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면판(10)의 정면에 고정되는 3개의 리밋스위치(440);
    상기 회동체(443)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220)의 전방측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레버(441, 444);
    두개의 상기 레버(441, 444)에 양단을 힌지(442a, 442b) 결합한 커넥팅로드(4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밋스위치부(44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8. 제 1항 내지 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부(110), 접지단자부(120) 및 가동단자부(130)는, 각각 복수개의 절연재(140)를 적층하고 절연재(140)의 사이마다 단자(111, 121, 132)를 개재시켜 복수의 극(極)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단자부(130)는, 각 단자(132)마다 블레이드(131)를 장착하며,
    상기 블레이드 가동부(200)는, 하나의 드라이브 샤프트(220)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대(221)를 고정하여서 블레이드(131)마다 마련된 링크(210)를 회전대(221)에 하나씩 힌지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리포지션 단로기.
KR1020100046515A 2010-05-18 2010-05-18 쓰리포지션 단로기 KR10107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515A KR101075539B1 (ko) 2010-05-18 2010-05-18 쓰리포지션 단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515A KR101075539B1 (ko) 2010-05-18 2010-05-18 쓰리포지션 단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539B1 true KR101075539B1 (ko) 2011-10-20

Family

ID=4503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515A KR101075539B1 (ko) 2010-05-18 2010-05-18 쓰리포지션 단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54B1 (ko) * 2012-03-05 2013-09-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3-포지션 부하개폐기
KR101542100B1 (ko) 2015-05-06 2015-08-11 (주)두산전력 단로기의 스위칭장치
KR101556570B1 (ko) 2015-04-30 2015-10-02 주식회사 신흥전력 단로기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53Y1 (ko) 2003-12-15 2004-03-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간헐 및 정위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53Y1 (ko) 2003-12-15 2004-03-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간헐 및 정위치 구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54B1 (ko) * 2012-03-05 2013-09-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3-포지션 부하개폐기
KR101556570B1 (ko) 2015-04-30 2015-10-02 주식회사 신흥전력 단로기 개폐장치
KR101542100B1 (ko) 2015-05-06 2015-08-11 (주)두산전력 단로기의 스위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775B2 (en)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CN203589571U (zh) 具有模块化操作机构的高压开关柜
KR20020043787A (ko) 진공 차단기
WO2014010110A1 (ja) スイッチギヤ
KR101075539B1 (ko) 쓰리포지션 단로기
CN106997825B (zh) 环保气体开关柜用一体式弹簧操作机构
CN209691637U (zh) 一种安装机械闭锁装置的隔离式真空断路器
CN102496495B (zh) 低压隔离开关的储能弹簧操作机构
CN214956694U (zh) 一种转换隔离开关
CN213025851U (zh) 一种电动转辙机用手动安全开关及电动转辙机
CN101484960A (zh) 接地断路器
CN210296215U (zh) 永磁真空断路器和充气柜
CN210865978U (zh) 断路器机构与三工位操作机构的联锁装置
CN114582643A (zh) 一种智能自动转换开关
CN209981040U (zh) 负荷开关的操作机构
CN109712832B (zh) 一种防误操作系统及插接箱
KR101542100B1 (ko) 단로기의 스위칭장치
CN110911221A (zh) 一种储能合闸操作机构
CN210837587U (zh) 一种用于接地开关与隔离开关间的机械联锁结构
CN110931305B (zh) 三工位隔离接地机构
CN219066693U (zh) 一种户外断路器用真空灭弧室
KR102352483B1 (ko)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장치
CN103208397A (zh) 一种三工位真空隔离开关用操动机构
CN113327814B (zh) 应用于断路器的弹簧操作机构及断路器
CN212517017U (zh) 一种带弹簧的操作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