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16B1 -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16B1
KR102351716B1 KR1020200111525A KR20200111525A KR102351716B1 KR 102351716 B1 KR102351716 B1 KR 102351716B1 KR 1020200111525 A KR1020200111525 A KR 1020200111525A KR 20200111525 A KR20200111525 A KR 20200111525A KR 102351716 B1 KR102351716 B1 KR 10235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composition
weight
curing agent
bis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조기은
Original Assignee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일 filed Critical 이상일
Priority to KR102020011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제1 조성물와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으로서, 상기 제1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및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화제는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제2 경화제는 폴리에테르 아민인,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SOLVENT-FREE TWO-PART PRIMER COMPOSITION FOR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 병원, 공항, 백화점, 학교 등의 콘크리트 건물을 준공한 후에는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바닥면을 보호하면서도 외형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닥재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재는 통상 고체 수지를 유기 용제에 용해시키고, 롤러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도포한 후, 일정 시간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며, 고체 수지로서는 타 제품 대비 시공비가 저렴하며 기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바닥재의 경우, 고체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켜 사용함에 따라, 이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용제가 휘발되며, 그 결과 콘크리트 바닥면으로의 함침이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의 바닥면이 습윤 상태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균열이 발생하거나, 바닥재가 들뜨는 현상이 왕왕 발생했다.
또한, 기존의 바닥재로 이용되는 에폭시 수지의 경우, 인장 강도는 비교적 우수하지만 내충격성이 낮아, 국지적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바닥재가 박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콘크리트 바닥면으로의 함침이 용이하고, 습윤면에의 접착이 우수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조성물와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으로서, 상기 제1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및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화제는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제2 경화제는 폴리에테르 아민인,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1.5:1 내지 2.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40~70중량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10~30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1~8중량부 및 반응성 희석제 10~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경화제 60~80중량부 및 경화 촉진제 0.5~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80~200g/eq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1,000~1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200~300g/eq이고, 25℃에서의 점도가 3,500~1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는 NBR 변성 에폭시 수지이고, 에폭시 당량은 250~350g/eq이며, 25℃에서의 점도가 6,000~1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에폭시 당량이 220~28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2~25cps인 모노에폭시계 희석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다이 아민은 1개의 1차 아미노기와 적어도 1개의 2차 아미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다이 아민은 1개의 1차 아미노기와 적어도 1개의 2차 아미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50~200g/eq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500~6,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진제는 3차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계 경화 촉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화제는, 상기 지방족 다이 아민과 상기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를 10:1 내지 10:3의 비율로 혼합한 후, 100~120℃에서 1~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하나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 도막은 콘크리트 바닥면으로의 함침이 용이하고, 습윤면에의 접착이 우수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포함되는 두 성분(후술할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하지 않고 저장, 수송 등을 할 때의 상태를 가리키는 동시에, 상기 두 성분을 혼합한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에도 사용한다. 특히, 후자의 혼합된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혼합도료」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은 이액형 조성물이므로, 주제에 해당하는 제1 조성물과 경화제에 해당하는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도료를 목적물인 콘크리트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은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1.5:1 내지 2.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1 내지 2.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정 수준의 점도 특성을 나타내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내구성, 접착성 등 기타 제반 물성이 우수한 프라이머 도막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은 무용제형 조성물로서, 용제형 조성물과는 구별되며, 이는 유기 용제 또는 수성 용제 등의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바닥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용제의 휘발에 의해 야기되는 다양한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여기서,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용제의 함량이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중량%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조성물)
제1 조성물은 액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및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한다.
액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bisphenol A)형 수지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형 에폭시 수지로서, 도막에 접착성을 부여함과 더불어, 도막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80~20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184~190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25℃에서의 점도는 11,000~1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00~13,500cp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YD-128(국도화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제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정 수준의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는, 도막의 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후술할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와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도막의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효과는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각각이 갖는 효과의 단순한 조합은 아니고, 이들을 병용했을 때에 비로소 생기는 상승 효과이다.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200~30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270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의 25℃에서의 점도는 3,500~1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12,000cp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UME-305(국도화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40~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6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막의 인장강도를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적정 수준의 충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와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도막의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는, 내한성이 우수하여 조성물의 점도의 경시(經時) 변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타다이엔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주성분으로 하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변성 에폭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250~35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270~330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의 25℃에서의 점도는 6,000~15,000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0~12,000cp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KR-208(국도화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막의 인장강도를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적정 수준의 충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의 중량비는 2:1 내지 4:1인 것이 바람직하고, 5:2 내지 7: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막의 충격 특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기재와 도막 간의 밀착력과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 예컨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및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이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KBM-403(신에츠 화학공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6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반응성 희석제는 에폭시 수지의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점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막의 기계적인 강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도막에 탄성을 부여하고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재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노에폭시계 반응성 희석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에폭시계 반응성 희석제의 에폭시 당량은 220~28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240~265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에폭시계 반응성 희석제의 25℃에서의 점도는 2~25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cp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eotohto-E(국도화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성 희석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1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침전 방지 및 증점제, 소포제, 흐름 방지제 및 부착력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제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합계로 5중량% 이하일 수 있다.
침전 방지 및 증점제는 제1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의 침전을 방지함과 더불어 점도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침전 방지 및 증점제는 첨가제 총 함량을 기준으로 5~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9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포제는 혼합도료의 도포시 기포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포제는 첨가제 총 함량을 기준으로 3~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흐름 방지제는 혼합 도료의 도포시 도막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흐름 방지제는 첨가제 총 함량을 기준으로 35~6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2~6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착력 증진제는 도막의 가교 밀도를 높여 부착력을 증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착력 증진제는 첨가제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10~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조성물)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포함한다.
제1 경화제는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로서,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막에 탄성을 부여하고, 습기에 강해 습윤면에 대해서도 시공이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경화제의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족 다이 아민은, N-메틸-1,2-에탄다이아민, N-에틸-1,2-에탄다이아민, N-부틸-1,2-에탄다이아민, N-헥실-1,2-에탄다이아민, N-부틸-1,6-헥산다이아민, N-메틸-1,3-프로판다이아민, N-에틸-1,3-프로판다이아민, N-부틸-1,3-프로판다이아민, N-헥실-1,3-프로판다이아민, N-(2-에틸헥실)-1,3-프로판다이아민, N-도데실-1,3-프로판다이아민, N-올레일-1,3-프로판다이아민과 같이 1개의 1차 아미노기와 적어도 1개의 2차 아미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uomeen O(뉴리온) 등이 사용될 수 있따.
제1 경화제의 제조에 이용되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F(bisphenol F)형 수지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형 에폭시 수지로서, 이러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50~20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180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25℃에서의 점도는 1,500~6,000cps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5,000cp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YDF-170(국도화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혼합 비율은 10:1 내지 10:3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1.5 내지 10:2.5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의 내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경화제는,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를 혼합한 후, 100~110℃에서 1~2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지방족 다이 아민의 아민기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간의 반응이 적절히 일어나, 습윤면에 대한 시공이 가능해지게 된다.
제1 경화제는 제2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정 수준의 충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경화제는 폴리에테르 아민으로서, 도막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인장 강도 등)을 높이고, 경화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경화제로서의 폴리에테르 아민은, 수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 8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내지 6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0 내지 50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에테르 아민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프로필렌 글리콜) (2-아미노2-메틸) 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프로필렌 글리콜)비스(2-아미노2-메틸)에테르, 트리(2-아미오노-2-메틸에틸)트리메틸올프로판 에테르, 트리(2-아미오노-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글리세린 에테르, 비스(3-아미노프로필)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모노아민, 디아민 및 트리아민 중 어느 하나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Jeffamin T-403(헌츠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경화제는 제1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60~8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막의 충격 특성과 인장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제1 경화제와 제2 경화제의 중량비는 5:3 내지 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습윤면에의 접착이 우수하면서도, 강도 및 내충격성이 현저히 우수한 도막이 얻어질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제1 및 제2 경화제의 반응성을 촉진시켜 동절기의 건조성을 향상시키고, 도막의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화 촉진제는 트리에탄올아민, 디알킬아미노에탄올, 트리에틸렌디아민(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과 같이 3차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계 경화 촉진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ncamine K-54(에어프로덕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제1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아민 블러싱 억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민 블러싱 억제제는 유리 아민이 저온 고습 조건에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수증기를 흡수하여 카바메이트를 생성함으로써 도막이 백화되는 아민 블러싱(amine blushing)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Kumanox 3111F(금호석유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민 블러싱 억제제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25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20중량%일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비반응성 희석제로서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벤질알코올은 주제와의 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혼합도료의 점도를 낮추고 도막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벤질알코올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20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16중량%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성분과의 전체적인 균형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벤질알코올 첨가에 따른 점도 저하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1. 제1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중량%)에 따라,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UME-305, 국도화학) 및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KR-208, 국도화학)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약 1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하기 표 1의 조성(중량%)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KBM-403, 신에츠 화학공업) 및 반응성 희석제(Neothoto-E, 국도화학)를 투입한 후, 약 30분간 교반하여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반응성 희석제
1 50 30 10 2 8
2 50 40 - 2 8
3 50 - 40 2 8
2. 제2 조성물의 제조
지방족 다이 아민(Duomeen O, 뉴리온) 100중량부에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YDF-170, 국도화학) 20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약 10분간 교반한 후, 11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제1 경화제를 얻었다. 그 후, 하기 표 2의 조성(중량%)에 따라, 제2 경화제로서 폴리에테르 아민(Jeffamin T-403, 헌츠만), 경화 촉진제(Ancamine K-54, 에어프로덕츠), 아민 블러싱 억제제(Kumanox 3111F, 금호석유화학) 및 벤질알코올을 교반기에 투입한 후, 약 30분간 교반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경화 촉진제 아민 블러싱 억제제 벤질알코올
4 50 34 1 8 7
5 - 84 1 8 7
3.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2:1의 중량비로 교반기에 투입하고, 약 30분간 교반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이용한 제1 및 제2 조성물의 종류는 하기 표 3과 같다.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비고
실시예 1 제조예 1 제조예 4 발명예
실시예 2 제조예 1 제조예 5 비교예
실시예 3 제조예 2 제조예 4 비교예
실시예 4 제조예 2 제조예 5 비교예
실시예 5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예
실시예 6 제조예 3 제조예 5 비교예
4. 성능 평가
내충격성능 시험
실시예 1 내지 6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각각 300×300×50mm의 콘크리트 시편에 도포한 후 표준 상태에서 1주일 경화시켰다.
KS F 2221에서 규정하는 모래 위 전체면 지지방법으로 수평하게 유지한 시험체 표면에 W2-1000(기호)을 높이 500mm에서 떨어뜨려 구멍 뚫림, 균열, 잔 갈림 및 떨어져 나감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구멍 뚫림, 균열, 잔갈림 및 떨어져나감(밑판과의 벗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 구멍 뚫림, 균열, 잔갈림 및/또는 떨어져나감(밑판과의 벗겨짐) 현상이 발생한 경우는 “X”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내충격성능
실시예 1
실시예 2 X
실시예 3 X
실시예 4 X
실시예 5 X
실시예 6 X
표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도막은 내충격성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습윤면 부착 시험
300×300×50mm의 콘크리트 시편에 물을 분무하여 그 표면의 함수율을 4%, 7%, 10%로 각각 다르게 한 후, 각 시편에 실시예 1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롤러를 이용하여 1회 도포하고, 26시간 동안 양생한 후, 경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상대습도는 85%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콘크리트 표면의 함수율이 4%, 7%, 10%인 경우 모두 충분히 경화되었으며, 콘크리트의 표면 전체에 걸쳐 도막이 유효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제1 조성물와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으로서,
    상기 제1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및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화제는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제2 경화제는 폴리에테르 아민이고,
    상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1.5:1 내지 2.5: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40~70중량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10~30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1~8중량부 및 반응성 희석제 10~2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경화제 60~80중량부 및 경화 촉진제 0.5~5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2. 삭제
  3. 제1 조성물와 제2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으로서,
    상기 제1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및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화제는 지방족 다이 아민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제2 경화제는 폴리에테르 아민이고,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80~200g/eq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1,000~15,000cps이며,
    상기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200~300g/eq이고, 25℃에서의 점도가 3,500~15,000cps이며,
    상기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는 NBR 변성 에폭시 수지이고, 에폭시 당량은 250~350g/eq이며, 25℃에서의 점도가 6,000~15,000cps이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이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에폭시 당량이 220~28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2~25cps인 모노에폭시계 희석제이며,
    상기 지방족 다이 아민은 1개의 1차 아미노기와 적어도 1개의 2차 아미노기를 갖고,
    상기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150~200g/eq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500~6,000cps이며,
    상기 경화 촉진제는 3차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계 경화 촉진제인,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화제는, 상기 지방족 다이 아민과 상기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를 10:1 내지 10:3의 비율로 혼합한 후, 100~120℃에서 1~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KR1020200111525A 2020-09-02 2020-09-02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KR10235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25A KR102351716B1 (ko) 2020-09-02 2020-09-02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25A KR102351716B1 (ko) 2020-09-02 2020-09-02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716B1 true KR102351716B1 (ko) 2022-01-13

Family

ID=7934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25A KR102351716B1 (ko) 2020-09-02 2020-09-02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136B1 (ko) * 2022-02-07 2022-07-29 이지건설주식회사 미끄럼저항성 에폭시바인더조성물 및 상기 바인더조성물을 이용한 열화 콘크리트도로 포장면 보수방법
CN115521746A (zh) * 2022-10-11 2022-12-27 深圳市郎搏万先进材料有限公司 环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微电子元器件用封装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8029A (zh) * 2014-12-03 2015-03-04 湖南皓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常温固化环氧树脂柔性灌封胶
KR101859736B1 (ko) * 2017-06-30 2018-05-21 한일산업 주식회사 폴리싱 타일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CN111040700A (zh) * 2019-12-28 2020-04-21 长沙索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混凝土修补用环氧胶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8029A (zh) * 2014-12-03 2015-03-04 湖南皓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常温固化环氧树脂柔性灌封胶
KR101859736B1 (ko) * 2017-06-30 2018-05-21 한일산업 주식회사 폴리싱 타일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CN111040700A (zh) * 2019-12-28 2020-04-21 长沙索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混凝土修补用环氧胶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136B1 (ko) * 2022-02-07 2022-07-29 이지건설주식회사 미끄럼저항성 에폭시바인더조성물 및 상기 바인더조성물을 이용한 열화 콘크리트도로 포장면 보수방법
CN115521746A (zh) * 2022-10-11 2022-12-27 深圳市郎搏万先进材料有限公司 环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微电子元器件用封装胶
CN115521746B (zh) * 2022-10-11 2023-08-29 深圳市郎搏万先进材料有限公司 环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微电子元器件用封装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583B2 (en) Curing agent for epoxy resins, and epoxy resin composition obtained using same
JP5021469B2 (ja) アミン組成物
US9624337B2 (en) One-component type curable composition and one-component type waterproofing material
US6528595B1 (en) Adhesive of thiirane and oxirane-containing compound and oxirane-containing compound
CN1088081C (zh) 基于伯-叔二胺的高固体分环氧涂料
US20120142816A1 (en) Novel epoxy hardeners with improved cure and polymers with enhanced coating properties
KR102351716B1 (ko) 콘크리트용 무용제 이액형 프라이머 조성물
TWI579329B (zh) 用於複合材料之掺合物
US20110281117A1 (en) Curable composition based on epoxy resins and hetero-poly-cyclic polyamines
KR100726688B1 (ko)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한 에폭시 페인트조성물
US10287389B2 (en) Furan-based amines as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 in low VOC applications
FI75853C (fi) Haerdbara konsthartsblandningar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polyeteruretanureaaminer, som aer anvaendbara i dessa blandningar.
KR20180052645A (ko) 에폭시 접착제를 위한 블로킹된 폴리우레탄 강인화제
US20150240068A1 (en)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
JP2689941B2 (ja) ポリ−n−メチル化第2級アミンを含む可撓化されたポリエポキシド樹脂
KR100726684B1 (ko) 우레탄 에폭시 수지 및 이를 포함한 에폭시 페인트 조성물
JP4776323B2 (ja) 乳化剤組成物
KR102405009B1 (ko) 친환경 콘크리트 바닥 마감 공법
JP4565935B2 (ja) 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組成物
EP3041878B1 (en) Coating composition
EP0501916B1 (en) Creosote resistant epoxy adhesive system
CN113444227B (zh) 一种水下环氧树脂固化剂及其制备方法
CA1219986A (en) Hardenable urethane-epoxy resin mixtures
JP4124341B2 (ja) 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組成物
JP6483962B2 (ja) 常温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