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483B1 - 승강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승강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483B1
KR102351483B1 KR1020210058026A KR20210058026A KR102351483B1 KR 102351483 B1 KR102351483 B1 KR 102351483B1 KR 1020210058026 A KR1020210058026 A KR 1020210058026A KR 20210058026 A KR20210058026 A KR 20210058026A KR 102351483 B1 KR102351483 B1 KR 102351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lifting
frame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원
Original Assignee
대양비엔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비엔티(주) filed Critical 대양비엔티(주)
Priority to KR102021005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인 승강식 작업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본체부에 상하 양단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와이어와, 승강와이어가 1회 이상 감기며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드럼이 회전하면 승강부가 승강드럼과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식 작업대{Lifting Working Device}
본 발명은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동력 없이 작업자가 필요한 높이로 승강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정확하게 높이 조절되며, 안전한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해서는 고소 작업대가 필요하다. 고소 작업대로 일반적으로 사다리가 이용되고 있다. 또는, 외부전기 또는 배터리에 의한 모터의 동력으로 하거나 엔진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승강식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사다리는 불안정하며, 작업자가 공구나 중량물을 들고 오르내리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모터나 엔진과 같은 동력(주로 내연기관을 이용한 동력)을 이용한 승강식 작업대는 전기나 엔진을 동력원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구조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 져 이동 및 이용에 많은 제한이 있었다. 또한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138281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경량인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본체부에 상하 양단이 결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와이어와, 승강와이어가 1회 이상 감기며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드럼이 회전하면 승강부가 승강드럼과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체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하단이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본체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단이 본체프레임에 결합된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와이어는 상단이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드럼을 1회 이상 감고 하향하여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강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베이스와, 하단이 상기 승강베이스에 결합되며 상향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승강프레임과, 승강베이스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된 승강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드럼은 승강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설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드럼에 축 결합된 회전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단이 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이 승강부에 결합된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하단이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와이어는 상단이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드럼을 1회 이상 감고 하단이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승강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베이스와, 하단이 상기 승강베이스에 결합되며 상향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승강프레임과, 승강베이스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결합된 승강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드럼은 승강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드럼에 연결된 회전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에는 전환롤러가 더 포함되어, 상기 승강와이어는 전환롤러를 걸쳐 폭 방향 내향하여 승강드럼에 감기고 하향하여 하단이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하단이 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연결와이어를 통하여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휠을 감아 하향하여 승강부에 결합된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전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도어는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방으로 도어핀공이 형성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이 삽입되어 회전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된 도어손잡이와, 상기 도어핀공에 후방단부가 삽입되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도어손잡이 내에 위치하는 도어핀과, 상기 도어손잡이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슬라이더와, 전후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절개된 도어손잡이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핀을 지나 양측이 도어슬라이더에 결합된 걸림부재와, 상기 도어핀과 도어손잡이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는 도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는 승강드럼에 감긴 승강와이어의 감김수는 유지되면서, 승강부가 승강되는 구조로 카운터 웨이트와 같은 중량물을 구비하지 않아 경량화가 가능하고 승강 후 승강 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며, 와이어 풀림 등에 의한 추락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강식 작업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승강식 작업대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하며, 도 2의 가로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120)와, 상기 승강부(1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0)과, 완충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본체프레임부와, 보조프레임(117)과, 이동휠(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상 또는 사각형 틀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하부에는 복수의 이동휠(115)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이동휠(115)은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휠(115)은 캐스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본체프레임(113)과, 설치프레임(114)과, 보조프레임(1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이며, 상하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에서 하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승강안내홀(1131)이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서로 마주하는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상단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의 폭 방향 양단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승강안내홀(1131)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7)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7)은 막대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보조프레임(117)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7)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7)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7)은 베이스프레임(111)과 본체프레임(113)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한다.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120)는 승강베이스(121)와, 승강프레임(123)과, 승강설치부(125)와, 승강롤러(1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과 나란하여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작업자가 탑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하단이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며 상향 연장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단면은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나란한 막대 형상이며, 후방 단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복수개이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폭 방향 내측 단부가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에는 승강프레임(123)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승강부연결로드(129)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연결로드(129)의 단부는 본체프레임(113)의 개구부를 지나 승강안내홀(1311)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부연결로드(129)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개구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상기 승강부연결로드(129)에 의해 본체프레임(113)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는 상기 승강베이스(12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승강프레임(123)의 폭 방향 내측면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폭 방향 외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폭 방향 외측에는 폭 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승강롤러설치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본체프레임(113)의 개구부를 지나 승강안내홀(1131)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상기 승강안내홀(1131) 내에 위치하는 승강롤러설치부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승강안내홀(1311)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1개의 승강안내홀(1311)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각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하부에 구비된 승강롤러(127)는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승강부(120)가 승강할 때 상기 승강롤러(127)가 승강안내홀(1131)을 따라 구름 접촉 운동을 하며, 승강부(120)이 흔들림이 억제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면부호 122는 승강식 작업대(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손잡이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프레임(113)의 전방으로 위치하며, 바(bar) 형태로 폭 방향 양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본체프레임(11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130)은 승강와이어(131)와, 승강드럼(133)과, 회전손잡이(135)와, 회전전달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기 본체부(110)에 상하 양단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승강와이어(131)는 2개 구비되어, 상부가 폭 방향 중심부에서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승강드럼(133)을 1회 이상 감고 하부가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단이 상기 설치프레임(114)에 결합되거나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결합되며, 승강드럼(133)을 1회 이상 감고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이나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는 고리를 가진 볼트가 나사 체결되어 구비되고, 승강와이어(131)의 상부에는 볼트에 걸리는 고리가 구비되어, 승강와이어(131)가 설치프레임(114)이나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와이어(131)의 하단에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베이스프레임(111)에는 브라켓이 고정되어, 결합부재가 브라켓에 결합되며 베이스프레임(111)에 승강와이어(1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드럼(133)은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은 승강설치부(125)의 전방(외측)에 가로 방향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에는 상기 승강와이어(131)가 감기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은 상기 승강와이어(131)가 1회 이상 감기며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면 승강부(120)가 승강드럼(133)과 함께 승강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여 승강부(120)와 함께 승하강 할 때 승강드럼(133)에 감긴 승강와이어(131)의 권회수는 유지된다. 상기 승강드럼(133)과 승강와이어(131)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승강드럼(133)에는 승강와이어(131)가 2회 이상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120)와 함께 승강드럼(133) 및 회전손잡이(135)도 일체로 승강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회전전달부(137)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승강설치부(125)의 전방(외측)에 승강드럼(133)의 가로 방향 일측으로 위치하여 설치되며 승강드럼(133)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양측이 상기 회전손잡이(135)와 승강드럼(133)에 연결되어 회전손잡이(135)의 회전을 승강드럼(133)으로 전달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웜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웜과 치합하는 웜휠을 포함할 수 있다. 웜의 축이 입력축이 되어 웜의 축에 회전손잡이(135)가 결합된다. 상기 웜휠의 회전축에 승강드럼(133)이 축결합되어 웜휠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웜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웜과 치합하는 웜휠과, 웜휠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승강드럼(133)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1베벨기어와 축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회전전달부(137)가 베벨기어 쌍을 포함함으로써 회전손잡이(135)의 회전은 90°로 방향이 바뀌어 승강드럼(133)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승강설치부(125)의 후방(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상기 회전전달부(137)를 매개로 상기 승강드럼(133)에 연결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에는 회전손잡이(135)와 베벨기어 축이 연결되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를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여 승강부(120)가 승강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의 회전은 회전전달부(137)를 통하여 승강드럼(133)으로 전달되어 승강드럼(133)이 회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탑승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135)를 돌리면, 회전전달부(137)를 통하여 승강드럼(133)으로 회전이 전달되어 승강와이어(131)에서 회전드럼(133)의 위치가 변경되며 승강부(120)가 승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40)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40)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40)는 제1스프링(141)과, 제2스프링(143)과, 연결와이어(145)와, 완충로드(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와이어(145)는 상기 본체프레임(113) 내에서 본체프레임(1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은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은 하향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은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연통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은 상기 설치프레임(114)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4)에 형성된 홀과 연통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승강안내홀(1131)과 연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의 하단에는 스프링하우징(142)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421)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4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1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완충로드(147)는 상기 스프링하우징(142) 내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로드(14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완충로드(147)보다 단면적이 넓은 로드플랜지(1471)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로드(147)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설치프레임(114)의 홀을 관통하여 본체프레임(113)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은 상기 본체프레임(113)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은 하단이 상기 연결와이어(145)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단은 완충로드(147)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의 상단은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은 상기 연결화이어(145)에 의하여 승강부(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에 의하여 승강부(120)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력이 작용하여 승강부(120)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므로, 회전손잡이(135)를 돌려 승강부(120)를 올리는 것이 쉬워지고, 승강와이어(131)가 끊어져 승강부(120)가 추락하는 경우 제1스프링(141)이 완충 작용을 한다.
상기 제2스프링(143)은 상기 스프링하우징(142)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스프링(143)의 상단은 상기 로드플랜지(1471)의 하부로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스프링하우징(142)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설치프레임(114)의 상단에 걸리어 위치한다. 상기 제2스프링(143)은 상기 완충로드(147)가 삽입되어 제1스프링(141)이 인장되면 설치프레임(114)과 로드플랜지(1471) 사이에서 가압되며 완충된다. 상기 제2스프링(143)은 제1스프링(141)에 고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스프링(141)이 과도하게 늘어나 탄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완충부(140)는 승강부(120)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승하강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감이 있으며, 제1스프링(141)과 제2스프링(143)의 연쇄작용에 의해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1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식 작업대(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120)와, 상기 승강부(1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0)과, 완충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본체프레임부와, 이동휠(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상 또는 사각형 틀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하부에는 복수의 이동휠(115)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이동휠(115)은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휠(115)은 캐스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본체프레임(113)과, 설치프레임(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이며, 상하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에서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구비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본체프레임(113)은 서로 마주하는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14)은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상단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120)는 승강베이스(121)와, 승강프레임(123)과, 승강설치부(125)와, 승강롤러(127)와, 전환롤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나란하여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베이스(121)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하단이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며 상향 연장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단면은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나란한 막대 형상이며, 후방 일측 단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복수개이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폭 방향 내측 단부가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에는 승강프레임(123)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승강부연결로드(129)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연결로드(129)의 단부는 본체프레임(113)의 개구부를 지나 본체프레임(113) 내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부연결로드(129)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개구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은 상기 승강부연결로드(129)에 의해 본체프레임(113)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에는 상기 승강베이스(121)와 승강프레임(123)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보조프레임(123-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23-2)은 상기 승강베이스(121)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23-2)은 막대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23-2)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23-2)은 상기 승강베이스(12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23-2)의 하단은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보조프레임(123-2)은 승강베이스(121)와 승강프레임(123)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는 상기 승강베이스(12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설치부(125)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연장된 승강프레임(123)의 폭 방향 내측 단부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폭 방향 외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폭 방향 외측에는 폭 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승강롤러설치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본체프레임(113)의 개구부를 지나 본체프레임(113) 내에 위치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상기 본체프레임(113) 내에 위치하는 승강롤러설치부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상기 본체프레임(113) 내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각각의 본체프레임(113) 내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승강롤러(127)는 각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하부에 구비된 승강롤러(127)는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승강부(120)가 승강할 때 상기 승강롤러(127)는 본체프레임(113) 내부를 따라 구름 접촉 운동을 하며, 승강부(120)이 흔들림이 억제된다.
상기 전환롤러(124)는 상기 본체프레임(113) 내에 회전축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환롤러(124)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을 향하여 본체프레임(113)에 설치된다. 상기 전환롤러(124)에서는 승강와이어(145)가 전환롤러(124)의 폭 방향 외측을 지나 하부를 거쳐간다. 상기 전환롤러(124)는 승강와이어(145)의 연장 방향을 상하 방향에서 폭 방향, 폭 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면부호 122는 승강식 작업대(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손잡이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프레임(113)의 전방으로 위치하며, 바(bar) 형태로 폭 방향 양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본체프레임(113)에 고정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130)은 승강와이어(131)와, 승강드럼(133)과, 회전손잡이(135)와, 회전전달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기 본체부(110)에 상하 양단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승강와이어(131)는 2개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 본체프레임(113)에 각각 결합되고, 승강드럼(133)을 1회 이상 감고 하부가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단이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본체프레임(113)의 내측 상부에 고리를 가진 볼트가 나사 체결되어 구비되고, 승강와이어(131)의 상부에는 볼트의 고리에 걸리는 고리인 와이어고정부(131-1)가 구비되어, 승강와이어(131)가 본체프레임(113)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와이어(131)의 하단에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베이스프레임(111)에는 브라켓이 고정되어, 결합부재가 브라켓에 결합되며 베이스프레임(111)에 승강와이어(1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단이 중공체인 본체프레임(113)의 내측에 결합되고, 본체프레임(113)의 내측을 따라 하향하고 전환롤러(124)를 거쳐 폭 방향 내향하여 승강드럼(133)에 감기고 하향하여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되므로, 승강설치부(125)의 상부로는 승강와이어(131)가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드럼(133)은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은 회전축이 전후 방향을 향하며, 승강설치부(125)의 전방(외측)에 전후 방향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에는 상기 승강와이어(131)가 감기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은 상기 승강와이어(131)가 1회 이상 감기며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면 승강부(120)가 승강드럼(133)과 함께 승강된다.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여 승강부(120)와 함께 승하강 할 때 승강드럼(133)에 감긴 승강와이어(131)의 권회수는 유지된다. 상기 승강드럼(133)과 승강와이어(131)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승강드럼(133)에는 승강와이어(131)가 2회 이상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드럼(133)은 회전전달부(137)의 하우징(137a)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와 함께 승강드럼(133) 및 회전손잡이(135)도 일체로 승강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회전전달부(137)에 연결 구비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승강설치부(125)의 전방(외측)에 승강드럼(133)의 일측으로 위치하여 설치되며 승강드럼(133)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양측이 상기 회전손잡이(135)와 승강드럼(133)에 연결되어 회전손잡이(135)의 회전을 승강드럼(133)으로 전달한다.
상기 회전전달부(137)는 하우징(137a)과, 하우징(137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웜(137-1)과, 하우징(137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웜(137-1)과 치합하는 웜휠(137-2)로 이루어진 감속기이다. 상기 웜(137-1)의 웜축(137-11)이 입력축이 되어 웜축(137-11)에 회전손잡이(135)가 결합되고, 상기 웜휠(137-2)의 회전축에 승강드럼(133)이 축결합되어 웜휠(137-2)과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손잡이(135)를 돌리면, 웜(137-1)이 회전하고, 웜(137-1)과 치합하는 웜휠(137-2)이 회전하며, 윔휠(137-2)에 축 결합된 승강드럼(133)이 웜휠(137-2)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회전전달부(137)의 상부로 위치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상기 회전전달부(137)를 매개로 상기 승강드럼(133)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는 웜(137-1)의 웜축(137-11)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를 회전시키면 회전전달부(137)가 회전하고,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여 승강부(120)가 승강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35)의 회전은 회전전달부(137)를 통하여 승강드럼(133)으로 전달되어 승강드럼(133)이 회전된다. 상기 웜축(137-11)은 단부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손잡이(135) 대신 육각렌치, 스패너, 전동드릴 등이 연결되어 웜(137-1)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탑승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135)를 돌리면, 회전전달부(137)를 통하여 승강드럼(133)으로 회전이 전달되어 승강와이어(131)에서 승강드럼(133)의 위치가 변경되며 승강부(120)가 승강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40)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40)는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40)는 제1스프링(141)과, 스프링부재(144)와, 연결와이어(145)와, 스프링휠(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프링(141)은 상기 본체프레임(113)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은 본체프레임(113)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은 복수로 구비되어 하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되고, 연결와이어(145)를 통하여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휠(146)을 감아 하향하여 승강부(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이 연결와이어(145)를 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승강부(120)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므로, 회전손잡이(135)를 돌려 승강부(120)를 올리는 것이 쉬워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13)의 내측 하부에는 완충스프링(14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141-1)은 본체프레임(113) 내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롤러(127)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완충스프링(141-1)은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상기 완충스프링(141-1)은 승강와이어(131)가 끊어져 승강부(120)가 추락하는 경우 완충스프링(141-1)이 완충 작용을 한다.
상기 스프링부재(144)는 본체프레임(113) 내에 구비되며, 상하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44)의 하부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44)의 하부에 형성된 홀에는 각각 제1스프링(141)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141)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링부재(144)의 하부에 형성된 홀에 걸리는 고리가 구비되어 스프링부재(144)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44)의 상부에는 연결와이어(145)의 일측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와이어(145)는 일단이 스프링부재(144)의 상부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되고, 본체프레임(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어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휠(146)을 감아 하향하여 승강부(120)의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140)는 승강부(120)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승하강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감이 있으며, 제1스프링(141)과 완충스프링(141-1)의 연쇄작용에 의하여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100)는 승강드럼(133)에 감긴 승강와이어(131)의 감김수는 유지되면서, 승강부(130)가 승강되는 구조로 카운터 웨이트와 같은 중량물을 구비하지 않아 경량화가 가능하고 승강 후 승강 위치가 유지될 수 있으며, 와이어 풀림 등에 의한 추락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식 작업대(100)에는 안전지지부(160)와 안전도어(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전지지부(160)는 베이스프레임(111)의 전후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전후방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되며, 상기 안전지지부(1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안전지지부(160)는 제1인출부재(161)와, 제2인출부재(163)와, 지지부재(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는 단면이 'ㄷ'자를 이루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는 나란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는 복수로 구비되며, 베이스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전후 방향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의 연결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는 복수의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인출부재(161)는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인출부재(16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전후 방향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인출부재(163)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인출부재(163)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인출부재(161)에 형성된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인출부재(163)의 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홀의 내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65)는 상기 제2인출부재(163)의 단부에 형성된 홀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65)는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태이며, 중심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65)에 형성된 나사산이 제2인출부재(163)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며, 지지부재(165)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지지부재(165)의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부재(165)의 하단에는 단면적이 넓은 플랜지가 구비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지지부(160)가 구비됨으로써 승강식 작업대(100)가 지면에 더욱 안정되게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욱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도어(170)는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3)의 후방에는 상부에 상하로 연장된 판상인 제1프레임부재(123-1)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안전도어(170)는 제1프레임부재(123-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안전도어(170)는 회전프레임(172)과, 회전부재(171)와, 도어손잡이(179), 도어핀(173)과, 도어스프링(177)과, 도어슬라이더(176)와, 걸림부재(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프레임(17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원형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프레임(172)은 상기 제1프레임부재(123-1)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172)은 상기 제1프레임부재(123-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172)의 상부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홀인 도어핀공(172-1)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핀공(172-1)은 후방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71)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71)에는 상기 회전프레임(172)이 삽입되어 회전프레임(17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71)에는 상기 회전프레임(172)의 도어핀공(172-1)이 형성된 위치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171)의 홀은 회전프레임(172)의 홀과 함께 도어핀공(172-1)을 이룬다.
상기 도어손잡이(179)는 중공체이며, 상기 회전부재(171)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 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 형성된다. 상기 도어손잡이(179)는 양단부가 상하로 위치하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도어손잡이(179)의 양단부가 회전부재(171)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 형성된다.
상기 도어손잡이(179)에는 도어손잡이(179)의 절곡부와 상기 회전부재(171) 사이에 측방으로 관통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의 절개공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공은 도어손잡이(179)의 절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며, 회전부재(17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어핀(173)은 상기 도어손잡이(179) 내에 위치한다. 상기 도어핀(173)은 상기 도어핀공(172-1)에 후방 단부가 삽입되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핀(173)의 전방 단부에는 도어핀(173)보다 단면적이 넓은 핀플랜지(173-1)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스프링(177)은 도어핀(173)의 핀플랜지(173-1)와 도어손잡이(179)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스프링(177)은 도어핀(173)과 도어손잡이(179)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다. 도어스프링(177)과 도어손잡이(179) 사이에는 원형의 판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원형판재는 도어손잡이(179)의 절곡부에 걸리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도어스프링(177)은 도어핀(173)과 원형판재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다.
상기 도어슬라이더(176)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슬라이더(176)는 상기 도어손잡이(179)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도어슬라이더(176)의 후방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75)는 상기 도어슬라이더(176)의 측방에 형성된 홀을 지나 상기 도어손잡이(179)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핀(173)을 지나 양측이 도어슬라이더(176)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재(176)는 상기 핀플랜지(173-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안전도어(170)는 도어슬라이더(176)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회전프레임(172)으로부터 도어핀(173)의 단부가 이탈되고, 도어스프링(177)이 압축되며 도어손잡이(179)가 회전프레임(17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며 안전도어(170)가 오픈된다. 그리고 도어손잡이(179)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시키면 도어핀(173)이 도어핀공(172-1)으로 다시 삽입되며 안전도어(170)가 닫히게 된다.
100: 승강식 작업대
110: 본체부 120: 승강부
130: 승강수단 140: 완충부
160: 안전지지부 170: 안전도어

Claims (8)

  1.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120)와, 상기 승강부(12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130)은 하나 이상의 승강와이어(131)와, 상기 승강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드럼(13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승강드럼(133)을 1회 이상 감고 상단이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하단이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드럼(133)이 회전하면 승강드럼(133)에 감긴 승강와이어(131)의 권회수는 유지되면서 승강부(120)가 승강드럼(133)과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1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본체프레임(113)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단이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된 설치프레임(114)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단이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드럼(133)을 1회 이상 감고 하향하여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20)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베이스(121)와, 하단이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며 상향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승강프레임(123)과, 승강베이스(12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 승강설치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드럼(133)은 승강설치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수단(130)은 승강설치부(125)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드럼(133)에 축 결합된 회전전달부(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4. 제3 항에 있어서, 완충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140)는 상단이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되고 하단이 승강부(120)에 결합된 제1스프링(141)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120)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1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본체프레임(11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상단이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드럼(133)을 1회 이상 감고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20)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베이스(121)와, 하단이 상기 승강베이스(121)에 결합되며 상향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13)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승강프레임(123)과, 승강베이스(12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123)에 결합된 승강설치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드럼(133)은 승강설치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설치부(125)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드럼(133)에 연결된 회전전달부(1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120)에는 전환롤러(124)가 더 포함되어, 상기 승강와이어(131)는 전환롤러(124)를 걸쳐 폭 방향 내향하여 승강드럼(133)에 감기고 하향하여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7. 제5 항에 있어서, 완충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140)는 하단이 본체프레임(113)에 결합되고 연결와이어(145)를 통하여 본체프레임(113)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휠(146)을 감아 하향하여 승강부(120)에 결합된 제1스프링(141)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120)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8. 제2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안전도어(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도어(170)는 승강프레임(123)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방으로 도어핀공(172-1)이 형성된 회전프레임(172)과, 상기 회전프레임(172)이 삽입되어 회전프레임(17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71)와, 상기 회전부재(171)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된 도어손잡이(179)와, 상기 도어핀공(172-1)에 후방단부가 삽입되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도어손잡이(179) 내에 위치하는 도어핀(173)과, 상기 도어손잡이(179)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슬라이더(176)와, 전후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절개된 도어손잡이(179)의 절개공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핀(173)을 지나 양측이 도어슬라이더(176)에 결합된 걸림부재(175)와, 상기 도어핀(173)과 도어손잡이(179)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는 도어스프링(1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작업대(100).
KR1020210058026A 2021-05-04 2021-05-04 승강식 작업대 KR102351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026A KR102351483B1 (ko) 2021-05-04 2021-05-04 승강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026A KR102351483B1 (ko) 2021-05-04 2021-05-04 승강식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483B1 true KR102351483B1 (ko) 2022-01-17

Family

ID=8005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026A KR102351483B1 (ko) 2021-05-04 2021-05-04 승강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48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400A (ja) * 1993-05-27 1994-12-06 Komatsu Forklift Co Ltd オーダ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の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284704A (ja) * 2003-03-20 2004-10-14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KR20100062758A (ko) * 2008-12-02 2010-06-10 조종신 물건 이동용 핸디카트
KR20100138281A (ko) 2009-06-25 2010-12-31 하경수 다목적 구동 작업대
KR20170003307U (ko) * 2016-03-15 2017-09-25 이윤경 운반 카트
KR102028043B1 (ko) * 2019-03-18 2019-10-02 (주)자재쿱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JP2020063119A (ja) * 2018-10-16 2020-04-23 日本リフト株式会社 移動式リフト
KR20210029066A (ko) * 2020-02-03 2021-03-15 정중근 기능공 팔 사다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400A (ja) * 1993-05-27 1994-12-06 Komatsu Forklift Co Ltd オーダ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の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284704A (ja) * 2003-03-20 2004-10-14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KR20100062758A (ko) * 2008-12-02 2010-06-10 조종신 물건 이동용 핸디카트
KR20100138281A (ko) 2009-06-25 2010-12-31 하경수 다목적 구동 작업대
KR20170003307U (ko) * 2016-03-15 2017-09-25 이윤경 운반 카트
JP2020063119A (ja) * 2018-10-16 2020-04-23 日本リフト株式会社 移動式リフト
KR102028043B1 (ko) * 2019-03-18 2019-10-02 (주)자재쿱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KR20210029066A (ko) * 2020-02-03 2021-03-15 정중근 기능공 팔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98405U (zh) 一种自动升降机
CN111252674B (zh) 一种汽车装配中吊装装置
KR102351483B1 (ko) 승강식 작업대
CN218665045U (zh) 一种便携式吊装钢架
CN216512711U (zh) 一种可协助作业人员上下塔的自动升降装置的绞索装置
CN212101320U (zh) 一种配网施工用的电缆提升装置
JPH10323131A (ja) 高所作業装置
CN215631427U (zh) 一种建筑电气施工用可升降式脚手架
CN206166549U (zh) 升降式储物架
CN114776210A (zh) 一种平台软梯安全释放装置
CN111115419A (zh) 一种便于维修的电梯轿厢
CN207813471U (zh) 方便操作的电力检修设备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CN114411645B (zh) 一种具备蓄能功能的闸门
CN114232959B (zh) 一种施工安全用多功能升降防护装置
CN111170131A (zh) 一种无机房电梯安装设备
CN216105816U (zh) 一种矿用提升机检修装置
CN220550824U (zh) 一种移动式操作平台
CN219237073U (zh) 一种巡检机器人运载装置
CN209872211U (zh) 一种码头配电箱起升装置
CN211841837U (zh) 一种电锤作业用辅助升降装置
CN112027930B (zh) 一种悬臂起重机上固定装置机构
CN211736273U (zh) 手摇剪叉式升降工作平台
CN219494841U (zh) 一种锻造车间锻造炉用吊门
CN213857225U (zh) 一种屋顶钻孔辅助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