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465B1 -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465B1
KR102351465B1 KR1020207008198A KR20207008198A KR102351465B1 KR 102351465 B1 KR102351465 B1 KR 102351465B1 KR 1020207008198 A KR1020207008198 A KR 1020207008198A KR 20207008198 A KR20207008198 A KR 20207008198A KR 102351465 B1 KR102351465 B1 KR 10235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gas
slag
solidified
carbo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516A (ko
Inventor
코닌크 에릭 데
이폰네 인판테
도스 산토스 라파엘 마토스
가니아 우누게네
헤르펀 토마스 판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Publication of KR2020004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5/00Treatment of  metallurgical  slag ; Artificial stone from molten  metallurgical  slag 
    • C04B5/06Ingredients, other than water, added to the molten slag or to the granulating medium or before remelting; Treatment with gases or gas generating compounds, e.g. to obtain porous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5/00Treatment of  metallurgical  slag ; Artificial stone from molten  metallurgical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4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with the direct use of steam or liquid coolants, e.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6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using air, inert gases or removable conductive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34Stirring or agitating by pressurised fluids or by moving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5Apparatus features
    • C21B2400/062Jet nozzles or pressurised fluids for cooling, fragmenting or atomising sla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직경이 1 mm 미만인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 중량% 의 유리 석회를 포함하는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응고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융된 제강 슬래그는 이러한 응고화 동안 적어도 제 1 카보네이션 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응고화하는 단계, 및 - 폐쇄 챔버에서 300℃ 이하의 온도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은 이러한 냉각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보네이션 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련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강 루트에서, 선철은 고로에서 생성된 다음, 예를 들어 전로 (converter) 에서 강으로 만들어진다. 전로에서, 산소는 용융된 선철을 통해 취입되고, 이는 선철의 탄소 함량을 낮추고 이것을 강으로 변화시킨다. 석회 및/또는 백운석과 같은 미네랄 첨가물들은 규소, 인광, 및 망간과 같이 선철 내에 함유된 불순물들을 제거하고 또한 필요한 강 조성에 도달하기 위해 전로 내에 첨가된다. 선철로부터 추출된 불순물들과 함께 이러한 첨가물들은 전로 슬래그를 형성한다.
따라서 형성된 용강은 그런 다음 고품질의 강 그레이드에 대한 강 조성 요건을 달성하기 위해 정제 프로세스를 거칠 수도 있다. 용강은 레이들 내에 주입되고, 합금화 요소가 용강에 첨가되는 동안 불순물들은 특히 석회 및/또는 백운석과 같은 미네랄 첨가물들의 주입에 의해 제거된다. 레이들 슬래그는 이러한 정제 프로세스의 부산물이다.
대형 제강 플랜트는 연간 수십만개의 제강 슬래그를 생성하여, 저장 비용 및 가용 장소의 필요성을 발생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슬래그들은 특히 인성 및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져서, 이것들을 토목 공학에서 또는 도로 건설에서 사용하는 것은 특히 흥미롭다. 도로 건설은 골재의 사용을 요구하는 모든 도로 보수 작업, 특히 아스팔트, 지반, 기층, 도로 시스템용 보조 기층, 충전재 (fill) 의 제조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재료의 주요 문제는 유리 석회의 상당한 함량으로부터 비롯되고, 이는 골재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용어 제강 슬래그는 본문의 나머지에서 사용될 것이다. 이는 전술한 레이들 및 전로 슬래그 모두를 포함하지만, 또한 임의의 슬래그는 제강 플랜트의 부산물이고 또한 2 % 초과의 유리 석회 함량을 갖는다.
실제로, 석회 및/또는 백운석의 첨가로 인해, 전로 및 레이들 슬래그 모두는 최대 25 % 의 높은 함량의 유리 석회 (CaO) 를 갖는다. 이러한 유리 석회는 단기적으로 수화 반응 (1) 에 따라 수산화칼슘을 형성하기 위해 빗물과 반응할 수도 있고:
(1) CaO + H2O → Ca(OH)2
그리고 장기적으로 카보네이션 반응 (2) 에 따라 탄산칼슘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로부터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할 수 있다:
(2) CaO + CO2 → CaCO3
부피가 유리 석회보다 더 큰 수산화칼슘 및 탄산칼슘 모두에는, 부피 팽창이 최대 10 % 인 이러한 슬래그의 부피 불안정성이 존재하고, 이는 이들이 사용되는 도로에 손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는 도로 공사에서 전로 슬래그의 통상적인 재활용을 방지한다. 여러 해결책들이 유리 석회 함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제강 슬래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JP-B2-5327184 는 슬래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여기에서 제강 슬래그는 폐쇄 용기에서 용융된 상태로 유지되고, CO2 가 용융된 슬래그 내로 취입되어서, CO2 의 취입량이 슬래그 톤당 ≥ 0.07 톤이 된다. 반응 (2) 에 따른 탄산칼슘으로 유리 석회를 변환시킴으로써 슬래그를 용융된 상태로 안정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취입 프로세스는 10 ~ 60 분 동안 지속된다. 용융된 슬래그는 그런 다음 응고화 디바이스로 이동되고, 여기에서 슬래그는 응고화되도록 860 ℃ 미만의 온도로 냉각된다. 이러한 방법은 응고화된 슬래그 내 유리 석회 함량이 1.5 % 미만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는 취입 동안 용융된 상태로 슬래그를 유지시키기 위한 에너지, 냉각 장비에 더하여 주입 수단을 전용 챔버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이는 냉각 디바이스를 향한 안정화된 용융된 슬래그의 이동을 의미한다.
JP-B2-5040257 는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여기에서 슬래그는 이것이 분쇄 및 냉각되는 회전 드럼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응고화된 슬래그는 그런 다음 반응 (2) 에 따른 카보네이션을 위해 CO2 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전용 장비로 카보네이션의 추가 단계를 필요로 한다.
US-A-5569314 는 예를 들어 도로 건설에서의 골재로서 치수 안정성을 요구하는 적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적으로 안정적인 제강 슬래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우선 수화 반응 (1) 에 따라 유리 석회가 물과 반응하기 위해 제강 슬래그의 미세한 입자에는 약 100 ℃ ~ 400 ℃ 의 온도에서 물이 분무된다. 그 후, 수화된 슬래그 입자는 약 500 ℃ ~ 900 ℃ 의 온도에서 CO2 의 존재 하에 탄산화되고, 그에 따라 슬래그 입자 내에 실질적으로 남아있는 모든 유리 석회는 탄산칼슘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핫 카보네이션 단계를 위해 슬래그를 재가열하기 위한 추가의 에너지와 수화를 위한 물을 필요로 한다.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3 (2012) pages 239-250 에서 공개된 R.M.Santos & al. 의 "Stabilization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by hot-stage carbonation treatment" 라는 제목의 논문은, 과립화된 슬래그가 냉각되고, 이러한 냉각 단계 동안, CO2 와 접촉하게 되는 핫 스테이지 카보네이션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이러한 논문은 과립화된 슬래그 내로의 CO2 흡입에 대한, 따라서 냉각된 슬래그 내의 유리 석회의 최종 함량에 대한 온도 및 슬래그 입자 크기의 영향을 연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면서 제강 슬래그의 안정화를 허용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상기 방법의 전반적인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짧은 처리 시간을 유지하면서 낮은, 우선적으로 1 % 미만의 유리 석회 함량을 갖는 응고화된 슬래그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설비 투자뿐만 아니라 물 및 에너지의 소비를 특히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 직경이 1 mm 미만인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 중량% 의 유리 석회를 포함하는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응고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용융된 제강 슬래그는 제 1 카보네이션 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응고화시키는 단계,
- 폐쇄 챔버에서 300 ℃ 이하의 온도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은 제 2 카보네이션 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9 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6 에 따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정독한다면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제 1 예시적인 설비를 도시한다.
-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제 2 예시적인 설비를 도시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제강 단계로부터 나오는 용융된 제강 슬래그 (1) 는 응고화 단계 (21) 를 거치고, 용융된 슬래그 온도는 슬래그의 조성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1300 ~ 1600 ℃ 에 포함된다. 이러한 응고화 단계 동안, 슬래그는 입자들 (6) 내에서 응고화되고, 그의 온도는 1000 ℃ 까지 감소한다. 슬래그는 입자들 (6) 의 크기는 1 mm 미만, 우선적으로 0.5 mm 미만이다. 이러한 특정 입자 크기에 대한 이유는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응고화 단계 동안, 용융된 슬래그는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는, 예를 들어, 적어도 20 부피%, 우선적으로 50 부피% 이상의 CO2 를 포함한다.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의 나머지 부분은 수소, 메탄, 일산화탄소, 질소, 산소 또는 스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는, 우선 세정 단계를 거칠 수도 있는 코크스로, 고로 또는 전로 가스와 같은 제철, 제강, 소결 또는 코킹 플랜트로부터의 배기 가스일 수도 있거나 이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는 예를 들어 적어도 20 부피% 의 CO2, 5 ~ 30 부피% 의 CO, 1 ~ 55 부피% 의 H2, 1 ~ 55 부피% 의 N2, 1 ~ 5 부피% 의 O2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는 또한 CO2 에 더하여 스팀을 포함하고, 가스 내 스팀의 부피는 20 ~ 70 부피% 이다.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는 예를 들어 적어도 20 부피% 의 CO2, 5 ~ 30 부피% 의 CO, 1 ~ 55 부피% 의 H2, 1 ~ 55 부피% 의 N2, 1 ~ 5 부피% 의 O2, 스팀인 잔부를 함유한다. 이러한 제 1 가스 (31) 의 주입은 카보네이션 반응 (2) 에 따른 슬래그 내에 함유된 유리 석회와 CO2 사이의 제 1 카보네이션 반응을 허용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카보네이션 가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슬래그 입자들 (6) 은 그런 다음 온도가 300 ℃ 까지 하강하는 냉각 단계 (22) 를 거친다. 냉각 속도는 우선적으로 1 ℃/min ~ 100 ℃/min 에 포함된다. 이는 짧은 처리 시간을 유지하기 위해서 1 ℃/min 초과여야 하지만, 카보네이션 반응을 위해 충분한 CO2 흡입을 얻기 위하여 100 ℃/min 미만이어야 한다. 이러한 냉각 단계는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가 주입되는 폐쇄 챔버 내에서 수행되고,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는 예를 들어 적어도 25 부피%, 우선적으로 50 부피% 이상의 CO2 을 포함한다. 제 2 카보네이션 가스의 나머지 부분은 수소, 메탄, 일산화탄소, 질소, 산소 또는 스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는, 우선 세정 단계를 거칠 수도 있는 코크스로, 고로 또는 전로 가스와 같은 제철, 제강, 소결 또는 코킹 플랜트로부터의 배기 가스일 수도 있거나 이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는 예를 들어 적어도 25 부피% 의 CO2, 5 ~ 30 부피% 의 CO, 1 ~ 55 부피% 의 H2, 1 ~ 55 부피% 의 N2, 1 ~ 5 부피% 의 O2 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의 온도는 원하는 냉각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되지만; 이는 우선적으로 300 ~ 500℃ 의 온도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는 또한 CO2 에 더하여 스팀을 포함하고, 가스 내 스팀의 부피는 20 ~ 70 부피% 이다. 이러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는 예를 들어 적어도 25 부피% 의 CO2, 5 ~ 30 부피% 의 CO, 1 ~ 55 부피% 의 H2, 1 ~ 55 부피% 의 N2, 1 ~ 5 부피% 의 O2, 스팀인 잔부를 함유한다. 1 mm 미만, 우선적으로 0.5 mm 미만의 과립화된 슬래그 입자들의 크기는 입자들의 더 높은 CO2 흡입을 가지는 것을 허용하고, 이는 카보네이션 반응 (2) 에 따라 슬래그 내에 함유된 석회와 CO2 사이의 반응 속도 (kinetics of reaction) 를 증가시킨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카보네이션 가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냉각 단계 이후에, 용융된 슬래그 내에 초기에 함유된 적어도 60 %, 우선적으로 75 % 이상의 유리 석회가 반응 (2) 에 따라 탄산염으로 변형되었다. 용융된 슬래그의 주입과 냉각된 슬래그 입자들 (11) 의 회수 사이의 제조 시간은 30 분 미만, 우선적으로 15 분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연속 방법이고, 모든 단계들은 중단 없이 차례로 수행된다. 이는 짧은 처리 시간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설비에서, 제강 디바이스 (2) 로부터의 용융된 슬래그 (1) 는 슬래그의 용융된 입자들 (6) 을 형성하기 위하여 과립화 디바이스 (4) 상의 폐쇄 챔버 (3) 내로 주입된다. 이러한 과립화 디바이스 (4) 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휠일 수도 있다. 도 2 의 구성에서, 회전 휠 (4) 은 수평 휠이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는 수직 휠일 수도 있다. 동시에 슬래그 주입에 인접하여,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가 제 1 가스 주입 수단 (미도시) 을 통해 용융된 슬래그를 향해 주입된다. 이러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의 특성은 도 1 의 응고화 단계 (21) 에서 사용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에 대해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폐쇄 챔버 (3) 는 절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형성된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은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이 전술한 냉각 단계 (22) 에 따라 냉각되는 폐쇄 챔버 (3) 내에 머무른다. 폐쇄 챔버 (3) 는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을 향해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를 주입하도록 디자인된 주입 수단 (미도시) 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의 특성은 도 1 의 냉각 단계 (22) 에서 사용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에 대해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폐쇄 챔버에는 폐쇄 챔버의 내부로부터 배기 가스 (34) 를 수집하도록 수집 수단 (미도시) 이 장착된다. 이러한 배기 가스 (34) 는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및/또는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로서 또는 그의 일부로서 폐쇄 챔버에서의 재주입에 의해 추가로 재순환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설비에서, 제강 장비 (2) 로부터의 용융된 슬래그 (1) 는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가 아토마이저 (7) 에 의해 분사되는 폐쇄 챔버 (3) 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의 특성은 도 1 의 응고화 단계 (21) 에서 사용된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에 대해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아토마이저 (7) 는 예를 들어 Ecomaister-Hatch 사에 의해 개발된 SAT (슬래그 아토마이저 기술) 일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이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이 전술한 냉각 단계 (22) 에 따라 냉각되는 폐쇄 챔버 (3) 내에 머무른다. 폐쇄 챔버 (3) 는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을 향해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를 주입하도록 디자인된 주입 수단 (미도시) 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의 특성은 도 1 의 냉각 단계 (22) 에서 사용된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에 대해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또한 폐쇄 챔버 (3) 에는 폐쇄 챔버의 내부로부터 배기 가스 (34) 를 수집하도록 수집 수단 (미도시) 이 장착된다. 이러한 배기 가스 (34) 는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31) 및/또는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32) 로서 또는 그의 일부로서 폐쇄 챔버에서 추가로 재주입될 수도 있다.
양자의 실시형태들에서, 폐쇄 챔버 (3) 는 냉각 단계 동안 슬래그 입자들을 모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CO2 와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사이의 접촉을 강화시키는 것, 따라서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에 의한 CO2 흡입을 향상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챔버 (3) 의 저부 벽 (5) 은 다공성일 수도 있고, 제 3 가스 (33) 는 유동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다공성 벽 (5) 을 통해 주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3 가스 (33) 의 유속은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 (6) 을 모션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제 3 가스 (33) 는 적어도 25 부피% 의 CO2 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나머지 부분은 공기와 스팀이다. 슬래그 입자들을 모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이러한 수단은 또한 예를 들어 회전 드럼을 사용함으로써 폐쇄 챔버 (3) 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 3 가스는, 우선 세정 단계를 거칠 수도 있는 코크스로, 고로 또는 전로 가스와 같은 제철, 제강, 소결 또는 코킹 플랜트로부터의 배기 가스일 수도 있거나 이를 함유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는 또한 폐쇄 챔버 (3) 로부터 수집된 배기 가스 (34) 일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고화 및 냉각 단계 모두는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슬래그 입자들은 동일한 폐쇄 챔버 내에서 처리되고, 이는 처리 시간과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Claims (26)

  1.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 (solidified steelmaking slag) 의 연속 제조 방법으로서,
    a. 직경이 1 mm 미만인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 중량% 의 유리 석회 (free lime) 를 포함하는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응고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용융된 제강 슬래그는 이러한 응고화 동안 적어도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carbonation gas) 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응고화시키는 단계,
    b. 폐쇄 챔버에서 300 ℃ 이하의 온도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은 이러한 냉각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보네이션 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20 부피% 의 CO2 를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50 부피% 의 CO2 를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보네이션 가스는 스팀을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20 부피% 의 스팀을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20 부피% 의 CO2, 5 ~ 30 부피% 의 CO, 1 ~ 55 부피% 의 H2, 1 ~ 55 부피% 의 N2 및 1 ~ 5 부피% 의 O2 를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25 부피% 의 CO2 를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보네이션 가스는 단계 b) 동안 300 ~ 500 ℃ 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보네이션 가스는 스팀을 추가로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25 부피% 의 스팀을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의 냉각 속도는 단계 b) 동안 1 ~ 100 ℃/min 인,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은 단계 b) 동안 모션 상태로 (in motion) 유지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은 상기 폐쇄 챔버 내로 제 3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단계 b) 동안 모션 상태로 유지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스는 적어도 20 부피% 의 CO2 를 포함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챔버 내의 가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및/또는 제 3 가스로서 재순환되도록 배기 및 수집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보네이션 가스, 상기 제 2 카보네이션 가스 및/또는 적어도 상기 제 3 가스는 제철, 제강, 소결 또는 코킹 플랜트로부터의 배기 가스이거나 이를 함유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보네이션 가스는 적어도 25 부피% 의 CO2, 5 ~ 30 부피% 의 CO, 1 ~ 55 부피% 의 H2, 1 ~ 55 부피% 의 N2, 1 ~ 5 부피% 의 O2 를 함유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챔버 내의 체류 시간은 30 분 미만인,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된 제강 슬래그의 적어도 60 % 의 유리 석회가 탄산칼슘으로 변형되는,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20. 폐쇄 챔버 (3) 를 포함하는 용융된 제강 슬래그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폐쇄된 챔버 (3) 는
    - 직경이 1 mm 이하인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생성할 수 있는 응고화 디바이스 (4, 7),
    - 상기 폐쇄 챔버 (3) 의 저부 다공성 벽 (5),
    - 상기 폐쇄 챔버 내로 가스를 주입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스 주입 수단,
    - 상기 응고화된 슬래그 입자들을 모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폐쇄 챔버 내로 제 3 가스 (33) 를 주입하는 제 3 가스 주입 수단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수집 수단 (34) 및 가스 재순환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화 디바이스는 아토마이저 (7; atomizer) 인, 디바이스.
  23.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화 디바이스는 과립화 디바이스 (4) 인, 디바이스.
  24.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챔버 (3) 의 상기 주입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제철, 제강, 소결 또는 코킹 플랜트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25. 삭제
  26. 삭제
KR1020207008198A 2017-09-28 2017-09-28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 KR102351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7/055967 WO2019064052A1 (en) 2017-09-28 2017-09-28 PROCES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SOLIDIFIED ACRYLIC LAYER AND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516A KR20200045516A (ko) 2020-05-04
KR102351465B1 true KR102351465B1 (ko) 2022-01-13

Family

ID=6038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198A KR102351465B1 (ko) 2017-09-28 2017-09-28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708302B2 (ko)
EP (1) EP3688199B1 (ko)
JP (1) JP6924330B2 (ko)
KR (1) KR102351465B1 (ko)
CN (1) CN111587296B (ko)
BR (1) BR112020003985B1 (ko)
CA (1) CA3075366C (ko)
MX (1) MX2020003592A (ko)
PL (1) PL3688199T3 (ko)
RU (1) RU2743393C1 (ko)
UA (1) UA124251C2 (ko)
WO (1) WO2019064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2967B (zh) * 2019-12-25 2022-02-11 江西理工大学 利用水和二氧化碳实现钢渣淬化及余热回收的方法与装置
CN113074366B (zh) * 2021-04-16 2022-11-29 太原理工大学 一种燃煤烟气co2固化吸附系统
WO2022264668A1 (ja) * 2021-06-18 2022-1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CaO含有物質の炭酸化方法及び炭酸化物質の製造方法
TWI803197B (zh) * 2022-02-17 2023-05-21 中聯資源股份有限公司 鋼渣蒸氣養生安定化處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233A (ja) * 2003-02-04 2004-08-26 Jfe Steel Kk 風砕ス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風砕スラグの製造設備
JP2009227493A (ja) * 2008-03-20 2009-10-08 Jfe Steel Corp スラグ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803998A1 (ru) * 1987-10-26 1995-01-20 Свердл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расплава
SU1761704A1 (ru) * 1991-01-31 1992-09-15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механизации и автоматизации производства машин для хлопководства "Технолог" Способ гранул ции расплава шлака
LU87896A1 (fr) 1991-03-01 1992-11-16 Wurth Paul Sa Procede de traitement de laitier d'acierie,installation pour sa mise en oeuvre et scories obtenues par le procede
AT398419B (de) * 1993-01-26 1994-12-27 Holderbank Financ Glaru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ment aus metallurgischen schlacken
US5569314A (en) * 1995-01-30 1996-10-29 Energy Mines & Resources-Canada Thermal stabilization of steelmaking slag
JP5040257B2 (ja) 2006-10-22 2012-10-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製鋼スラグの処理方法
CN101269920A (zh) 2007-03-23 2008-09-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钢渣碳酸化处理方法
KR100903638B1 (ko) * 2007-10-09 2009-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슬래그 보유열 회수장치
JP5327184B2 (ja) 2010-10-19 2013-10-3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製鋼ス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1264B1 (ko) 2010-11-30 201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산화탄소의 고정방법
KR101312623B1 (ko) * 2011-10-28 2013-10-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 처리장치 및 슬래그 처리방법
KR101285786B1 (ko) * 2011-12-22 2013-07-22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슬래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감 장치
WO2014005227A1 (en) * 2012-07-03 2014-01-09 Co2 Solutions Inc. Slag stabilization with captured carbon dioxide
GB2505672B (en) * 2012-09-06 2014-09-17 Siemens Plc Dry slag granulation system
GB2528972B (en) 2014-08-08 2016-10-05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Slag granulation system
US20170297113A1 (en) * 2014-09-21 2017-10-19 Hatch Ltd. Gas atomization of molten materials using by-product off-gases
JP6191675B2 (ja) * 2014-11-06 2017-09-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製鋼スラグ粒子、製鋼スラグ、及び製鋼スラグ粒子の製造方法
CN104988264B (zh) * 2015-05-28 2017-07-18 北京科技大学 一种烧结烟气处理和利用的方法
KR102526438B1 (ko) * 2015-09-18 2023-04-26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철 및 강철 슬래그로부터 제품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233A (ja) * 2003-02-04 2004-08-26 Jfe Steel Kk 風砕ス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風砕スラグの製造設備
JP2009227493A (ja) * 2008-03-20 2009-10-08 Jfe Steel Corp スラグ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87296A (zh) 2020-08-25
PL3688199T3 (pl) 2024-05-06
UA124251C2 (uk) 2021-08-11
CA3075366C (en) 2022-07-12
BR112020003985A2 (pt) 2020-09-01
US20200231498A1 (en) 2020-07-23
JP6924330B2 (ja) 2021-08-25
US11708302B2 (en) 2023-07-25
EP3688199A1 (en) 2020-08-05
BR112020003985B1 (pt) 2022-08-16
EP3688199B1 (en) 2024-02-14
CA3075366A1 (en) 2019-04-04
RU2743393C1 (ru) 2021-02-17
JP2020535320A (ja) 2020-12-03
WO2019064052A1 (en) 2019-04-04
CN111587296B (zh) 2022-03-04
MX2020003592A (es) 2020-07-22
KR20200045516A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465B1 (ko) 응고화된 제강 슬래그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관련된 디바이스
CN106191344B (zh) 一种混合熔渣熔融还原生产与调质处理的方法
CN101460638B (zh) 稳定炉渣的方法和由此产生的新材料
JP5573403B2 (ja) 製鋼スラグの資源化方法及び燐酸肥料用原料
JP2008120607A (ja) 製鋼スラグの処理方法
KR101318479B1 (ko) 납 제련 방법 및 장치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slag management & utilization in the steel industry
KR20090023376A (ko)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및 이를 통해 생성된 물품
CN104919061A (zh) 含钛聚集体、它的制造方法及其应用
JP5327184B2 (ja) 製鋼スラ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Moon et al. Carbon mineralization of steel and iron-making slag: Paving the way for a sustainable and carbon-neutral future
JP2003183717A (ja) 製鋼スラグ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鋼スラグ製品
KR101014400B1 (ko)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및 이를 통해 생성된 물품
Wang et al. Analysis of material and energy consumption of COREX C3000
CN113913571A (zh) 使用冶金渣分离高炉煤气中二氧化碳的装置及其分离方法
JP6201736B2 (ja) 脱硫スラグを用いた焼結鉱の製造方法
CA2304337C (en) Steelmaking using magnesium carbonate
JP2018024897A (ja) リサイクルスラグ
KR101364067B1 (ko) 케이슨 채움재용 골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슨 채움재용 골재
Pal Utilization of Microfines in Iron and Steel Making
Yin et al. Molten Slag Bath Reduction: Carbon-Thermal Reduction of Blast Furnace Dust in Molten Blast Furnace Slag
KR20080071740A (ko) 제강 엘에스피 슬래그를 생석회 대용으로 재활용하는 방법.
CN111217548A (zh) 高分子硅铝聚合新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0233952A (ja) 高炉水砕スラグの製造方法
CN104498658A (zh) 含钒铁水提钒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