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252B1 -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252B1
KR102351252B1 KR1020200093421A KR20200093421A KR102351252B1 KR 102351252 B1 KR102351252 B1 KR 102351252B1 KR 1020200093421 A KR1020200093421 A KR 1020200093421A KR 20200093421 A KR20200093421 A KR 20200093421A KR 102351252 B1 KR102351252 B1 KR 10235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kbill valve
patient
tracheostomy tube
tub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종
김주홍
Original Assignee
김효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종 filed Critical 김효종
Priority to KR102020009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61M16/0468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with valves at the proximal end limiting exhalation, e.g. during speaking or coug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0Epiglottis; Larynxes; Tracheae combined with larynxes or for use therewith
    • A61F2002/206Speech aids with external actuators, e.g. electrical laryn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며, 상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흡기 시 상기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상기 환자의 배기 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차단하는 덕빌밸브;를 포함함으로써, 기관 절개술 튜브에 장착하여 기관 절개술 환자의 발성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DEVICE FOR ASSISTING VOCALIZATION OF TRACHEOSTOMY TUBE USING DUCKBILL VALVE}
본 발명(Disclosure)은,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몸체 내부에 구비된 덕빌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반면,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기관 절개술 튜브에 장착하여 기관 절개술 환자의 발성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기관 절개술은 경부의 앞부분을 절개하여 기관에 구멍을 만들고, 그곳에 기관 절개술 튜브를 삽입하여 기관강과 외기를 연결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관 절개술은 상부기도, 특히 인두, 후두의 협착 또는 폐색 때문에 호흡곤란이 발생할 경우에 시술하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기관지 내부의 분비물이 객출되지 않는 경우나,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에도 시술되고 있다.
그러나, 기관 절개술 환자는 기관 절개술로 인해 호흡 공기가 성문(glottis)을 더 이상 통과하지 않고 기관 절개술 튜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말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글로 쓰거나, 기관 절개술 튜브를 폐색하는 폐색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나, 객담 석션이나 산소공급 등의 처치가 필요한 경우 폐색구를 반복적으로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교체 사용으로 인한 감염 관리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관 절개술 튜브에 유연한 판막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결합시킴으로써, 환자의 흡기 시 판막이 내측으로 휘어져 외부와 연통되면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보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지만, 판막이 휘어진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지 않아 내외부가 연통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환자의 발성을 보조하는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9236호(2014.06.12.등록)
본 발명(Disclosure)은, 몸체 내부에 구비된 덕빌밸브(duck bill valve)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반면,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기관 절개술 튜브에 장착하여 기관 절개술 환자의 발성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몸체의 내부 수직 방향으로 석션 튜브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측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덕빌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객담 석션, 산소 공급 등의 의료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며, 상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흡기 시 상기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상기 환자의 배기 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차단하는 덕빌밸브;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상기 덕빌밸브는, 유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횡방향의 통공과 상하로 면접된 개폐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흡기 또는 배기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상기 덕빌밸브는, 상부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되, 링 형상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상부 내부면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측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어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는 연결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석션 튜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산소 공급 튜브가 결합되는 개폐관; 및 상기 몸체의 내부 측면에 구비되어 환자의 흡기 시 상기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상기 환자의 배기 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차단하는 덕빌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상기 덕빌밸브는, 유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횡방향의 통공과 상하로 면접된 개폐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흡기 또는 배기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상기 덕빌밸브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통공 및 개폐막이 구비된 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상기 덕빌밸브는, 링 형상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상부 내측면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상기 덕빌밸브는, 상기 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구에 하향 경사진 하부면이 고정되되, 상기 지지구는 만곡된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구비된 덕빌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반면,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기관 절개술 튜브에 장착하여 기관 절개술 환자의 발성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내부 수직 방향으로 석션 튜브가 관통하여 삽입될수 있도록 내부 측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덕빌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객담 석션, 산소 공급 등의 의료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덕빌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환자의 흡기 시 동작과 배기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덕빌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환자의 흡기 시 동작과 배기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덕빌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환자의 흡기 시 동작과 배기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몸체(110), 덕빌밸브(duck bill valve, 120), 고정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며, 상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유입구(111)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는 원통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각형 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덕빌밸브(120)는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환자의 흡기 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환자의 배기 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차단하는 것으로, 유연성 재질(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등)로 제조되며, 횡방향의 통공(121)과 상하로 면접된 개폐막(122)이 형성된 상태에서 환자의 흡기 또는 배기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덕빌밸브(120)는 상부가 몸체(110)의 상부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되,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에서 하부 끝단부에 통공(121)과 개폐막(122)이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흡기 시에 개폐막(122)이 벌어지면서 통공(121)이 개방될 수 있고, 환자의 배기 시에 개폐막(122)이 서로 면접하게 되면서 통공(121)이 폐쇄될 수 있다.
고정구(130)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몸체(110)의 상부 내부면에 덕빌밸브(120)를 지지 고정시키는 것으로, 오염에 강한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덕빌밸브(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몸체(110)의 상부 내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평상시에는 몸체(110)의 내부 상부면에 고정구(240)를 통해 지지 고정되는 덕빌밸브(12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덕빌밸브(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폐막(122)이 면접되어 통공(121)이 폐쇄되기 때문에 몸체(110)의 내외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발성 보조 장치는 몸체(110)의 하부가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 일단에 결합될 경우 환자의 호흡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흡기 시에는 덕빌밸브(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폐막(122)이 벌어지게 되어 통공(121)이 개방되고, 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구(1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관 절개술 튜브로 이동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배기 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빌밸브(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폐막(122)이 서로 면접하게 되어 통공(121)이 폐쇄되고, 몸체(110)의 내외부는 폐쇄되어 공기 배출이 차단됨으로써, 환자가 쉽게 발성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 내부에 구비된 덕빌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반면,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기관 절개술 튜브에 장착하여 기관 절개술 환자의 발성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덕빌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에서 환자의 흡기 시 동작과 배기 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몸체(210), 덕빌밸브(duck bill valve, 220), 고정구(230), 지지구(240), 연결관(250), 개폐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며, 측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구비되는 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각형 형상의 양측면에 유입구(111)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0)는 필요에 따라 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몸체(210)의 유입구(211)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덕빌밸브(220) 또한 양측면에 하나씩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몸체(210)의 유입구(211)와 덕빌밸브(220)는 필요에 따라 같은 측면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덕빌밸브(220)는 몸체(210)의 내부 측면에 구비되어 환자의 흡기 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환자의 배기 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차단하는 것으로, 유연성 재질(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등)로 제조되며, 횡방향의 통공(221)과 상하로 면접된 개폐막(222)이 형성된 상태에서 환자의 흡기 또는 배기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덕빌밸브(220)는 몸체(210)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통공(221) 및 개폐막(222)이 구비된 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덕빌밸브(120)는 상부가 몸체(110)의 내부 측면 상부에 위치하되,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덕빌밸브(220)는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상태에서 하부 끝단부에 통공(221)과 개폐막(222)이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흡기 시에 개폐막(222)이 벌어지면서 통공(221)이 개방될 수 있고, 환자의 배기 시에 개폐막(222)이 서로 면접하게 되면서 통공(221)이 폐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덕빌밸브(220)는 양측면에 구비된 각각의 덕빌밸브(220)는 각 하부 끝단부의 위치가 중앙부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석션 튜브가 개폐관(260)을 통해 삽입될 경우 석션 튜브가 방해물이 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기 설정된 거리는 석션 튜브의 폭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길이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고정구(230)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몸체(210)의 내부 측면 상부에 덕빌밸브(220)를 지지 고정시키는 것으로, 오염에 강한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덕빌밸브(2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몸체(210)의 상부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덕빌밸브(220)의 상부와 고정구(230)는 몸체(210)의 내부면 형태에 대응하여 평평한 직선 형상, 원형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구(240)는 고정구(23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으로 갈수록 만곡된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덕빌밸브(220)의 하부면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덕빌밸브(220)의 하향 경사진 하부면이 지지구(240)에 고정됨으로써, 덕빌밸브(220)의 하부면(즉, 개폐막(222)의 하부면)은 고정된 상태에서 덕빌밸브(220)의 상부면(즉, 개폐막(222)의 상부면)이 상부로 이동하여 통공(221)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구(240)를 통해 덕빌밸브(220)가 몸체(210)의 중앙부(즉, 개폐관(260)의 수직 방향)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석션 튜브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250)은 몸체(210)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어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몸체(21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원통 형태로 몸체(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관(250)은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개폐관(260)은 몸체(2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석션 튜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산소 공급 튜브가 결합되는 것으로, 석션 튜브 또는 산소 공급 튜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개폐캡(26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캡(261)을 장착할 경우 몸체(210)의 상부면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개폐캡(261)이 탈착될 경우 몸체(210)의 상부면이 개방된 상태로 변경되어 석션 튜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산소 공급 튜브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몸체(210)의 내부 상부 양측면에 고정구(230)를 통해 지지 고정되면서 하향 경사진 하부면이 지지구(240)에 지지 고정되는 각각의 덕빌밸브(22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덕빌밸브(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폐막(222)이 면접되어 통공(221)이 폐쇄되기 때문에 몸체(210)의 내외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발성 보조 장치는 몸체(210)의 하부가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 일단에 결합될 경우 환자의 호흡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흡기 시에는 각 덕빌밸브(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폐막(222)이 벌어지게 되어 통공(221)이 개방되고, 몸체(2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유입구(2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기관 절개술 튜브로 이동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배기 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덕빌밸브(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폐막(222)이 서로 면접하게 되어 통공(221)이 폐쇄되고, 몸체(210)의 내외부는 폐쇄되어 공기 배출이 차단됨으로써, 환자가 쉽게 발성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에서는 개폐관(260)에서 개폐캡(261)이 탈착되고, 개폐관(260)을 통해 석션 튜브가 삽입될 경우에도 방해됨이 없이 원활하게 석션 튜브가 기관 절개술 튜브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의 내부 수직 방향으로 석션 튜브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측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덕빌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객담 석션, 산소 공급 등의 의료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측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어 기관 절개술 튜브의 외기측 일단에 장착되는 연결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석션 튜브가 삽입되거나, 또는 산소 공급 튜브가 결합되는 개폐관; 및
    상기 몸체의 내부 측면에 구비되어 환자의 흡기 시 상기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되, 상기 환자의 배기 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차단하는 덕빌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덕빌밸브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통공 및 개폐막이 구비된 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링 형상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상부 내측면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구에 하향 경사진 하부면이 고정되되, 상기 지지구는 만곡된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덕빌밸브의 하부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빌밸브의 상부면이 상부로 이동하여 통공이 개방되면서 석션 튜브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덕빌밸브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덕빌밸브는, 유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횡방향의 통공과 상하로 면접된 개폐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흡기 또는 배기에 따라 개폐되는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93421A 2020-07-28 2020-07-28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KR10235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21A KR102351252B1 (ko) 2020-07-28 2020-07-28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21A KR102351252B1 (ko) 2020-07-28 2020-07-28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252B1 true KR102351252B1 (ko) 2022-01-14

Family

ID=7934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421A KR102351252B1 (ko) 2020-07-28 2020-07-28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775A (en) * 1994-03-22 1995-02-28 Adkins, Jr.; Claude N. Duckbill valve for a tracheostomy tube that permits speech
US20050072431A1 (en) * 2001-03-19 2005-04-07 Inge Blomquist Breathing-speaking valve
JP2012055472A (ja) * 2010-09-08 2012-03-22 Arao Ichi 発声補助器具
KR101409236B1 (ko) 2012-09-20 2014-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
CN107261286A (zh) * 2017-08-17 2017-10-20 天津美迪斯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辅助发声阀
EP3650069A1 (en) * 2018-11-09 2020-05-13 Fogless International AB Tracheostomy val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775A (en) * 1994-03-22 1995-02-28 Adkins, Jr.; Claude N. Duckbill valve for a tracheostomy tube that permits speech
US20050072431A1 (en) * 2001-03-19 2005-04-07 Inge Blomquist Breathing-speaking valve
JP2012055472A (ja) * 2010-09-08 2012-03-22 Arao Ichi 発声補助器具
KR101409236B1 (ko) 2012-09-20 2014-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
CN107261286A (zh) * 2017-08-17 2017-10-20 天津美迪斯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辅助发声阀
EP3650069A1 (en) * 2018-11-09 2020-05-13 Fogless International AB Tracheostomy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9980B2 (en) Valved fenestrated tracheotomy tube having outer and inner cannulae
US7987851B2 (en) Valved fenestrated tracheotomy tube having outer and inner cannulae
AU2001255707A1 (en) Integral balloon tracheostomy tube
JP5215365B2 (ja) 発声補助器具
KR101409236B1 (ko) 기관절개술 튜브용 폐색구
KR101955699B1 (ko) 기관절개술 튜브용 발성보조장치
KR102351252B1 (ko) 덕빌밸브를 이용한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US10729866B2 (en) Laryngeal mask with gastric drainage feature in sealing ring
CN104799985B (zh) 一种气管切开患者语音训练康复的装置
US20090235936A1 (en) Valved Fenestrated Tracheotomy Tube Having Inner and Outer Cannulae with Pressure Relief
KR102351251B1 (ko) 기관 절개술 튜브용 발성 보조 장치
CN204618501U (zh) 一种气管切开患者语音训练康复的装置
JP2007050020A (ja) 声門下狭窄患者用会話可能な気管切開チューブ
JP7078957B2 (ja) 側孔が開閉自由な気管切開チューブ
WO2018020466A1 (en) A double cannula tracheostomy tube
CN219630365U (zh) 一种麻醉科用多功能喉罩
CN208389141U (zh) 一种多功能鼻咽通气道
JPS61232842A (ja) 発声補助装置
AU2012200683B2 (en) Valved fenestrated tracheotomy tube having outer and inner cannulae
JP2002345961A (ja) 気管切開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