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959B1 -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959B1
KR102350959B1 KR1020210003004A KR20210003004A KR102350959B1 KR 102350959 B1 KR102350959 B1 KR 102350959B1 KR 1020210003004 A KR1020210003004 A KR 1020210003004A KR 20210003004 A KR20210003004 A KR 20210003004A KR 102350959 B1 KR102350959 B1 KR 10235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ata
product
count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740A (ko
Inventor
이충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자피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자피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자피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00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9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959B1/ko
Priority to KR1020230103844A priority patent/KR10262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품의 구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overseas direct search ser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품의 구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인터넷에 기반하여 제공되고 있다. 상기 서비스는, 예를 들어, 인터넷에 기반하여 상품의 구입 및/또는 배송을 수행하는 전자 상거래(e-commer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특허공보 제10-2016-0000092호에는 병행수입상품 쇼핑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병행수입상품에 대해 인터넷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와, 상기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병행수입상품에 대해 모바일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쇼핑몰 서버와, 병행수입상품의 정보, 병행수입상품의 판매자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비롯한 쇼핑몰 운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쇼핑몰 운영 관련 정보를 인터넷 쇼핑몰 서버와 모바일 쇼핑몰 서버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병행수입상품을 수입하는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운영하며, 수입된 병행수입상품이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와 모바일 쇼핑몰 서버를 통해 판매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통합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행수입상품 쇼핑 시스템을 제안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0092호 (공개일자 2016년01월04일)
사용자의 언어 장벽 및/또는 통관 절차를 고려하여, 외국의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구입하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bly coupled to)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 내에 제1 국가에서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웹 페이지와 관련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함,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에서 상기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웹 페이지로부터 상기 상품과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제3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데이터 및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는 제3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는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상기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표시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한 이후, 상기 제3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의 주문과 관련된 제4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4 데이터는 상기 제1 국가의 제1 지역으로 상기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4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국가에 포함된 제2 지역으로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제5 데이터를 송신하고; 및 상기 제1 국가 및 상기 제2 국가 사이의 배송(shipment)과 관련된 제5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국가의 상기 제1 지역으로 상기 제2 국가의 상기 제2 지역으로 도착할(to be arrived) 상기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제6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6 데이터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상품의 주문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7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메모리 내에서, 상기 상품의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블록을 식별하고;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한 블록 내에 상기 제4 데이터, 상기 제5 데이터, 상기 제6 데이터 또는 상기 제7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지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상호 연결되고(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정된 순서에 의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웹 페이지와 관련된 웹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한 제4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제2 데이터를 변경하고;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변경된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는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언어 장벽 및/또는 통관 절차를 고려하여, 외국의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을 구입하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상거래와 관련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또는 통신 회로(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또는 통신 회로(130)는 통신 버스(a communication bus)와 같은 전자 소자(electronic component)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및/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electronically and/or operably coupled with each other).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타입 및/또는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컴포넌트 중 일부만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ALU(Arithmetic and Logic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듀얼 코어(dual core), 쿼드 코어(quad core) 또는 헥사 코어(hexa core)와 같은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 및/또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RAM(Random-Access Memory)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Cache RAM, PSRAM (Pseudo S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PROM(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P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 내에서, 프로세서(110)가 데이터에 수행할 동작을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하나 이상 저장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의 집합은, 펌웨어, 운영 체제, 프로세스, 루틴, 서브-루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 및/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10)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배포된 복수의 인스트럭션의 집합(set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s)을 실행하여, 도 2 및/또는 도 4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통신 회로(130)는 전자 장치(101) 및 전자 장치(101)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전기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통신 회로(1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외부 전자 장치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통신 회로(130)는, 예를 들어, 모뎀(MODEM), 안테나, O/E(Optic/Electronic)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0)는,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전기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선 네트워크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5g NR(New Radio),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BLE(Bluetooth Low-Energy)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통신 회로(13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되는(owned by) 서버 및/또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PC 및/또는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전자 장치(101)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전자 상거래(e-commerce)와 관련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게 상기 전자 상거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페이지는 HTML(Hyper Text Marked-up Language), XML(eXtended Marekd-up Language), CSS(cascaded style sheet),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와 관련된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및/또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존재하는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에서 판매 중인 상품의 구매(예를 들어, 해외 직구)와 관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제2 국가 내에서의 전자 상거래를 지원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정보의 수신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전자 장치(101), 제2 전자 장치(202) 및 제3 전자 장치(204)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의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통신 회로(130)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202) 및/또는 제3 전자 장치(204)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제3 전자 장치(204)는 사용자에 의해 소유되는(be owned by)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은, 예를 들어, 랩톱 및 데스크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워치(smartwatch) 및 HMD(Head-Mounted Device)와 같은 스마트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제1 국가에 거주하면서, 상기 제1 국가 내에서 제3 전자 장치(204)를 이용하여 제1 전자 장치(101)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동작(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웹 페이지와 관련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제1 전자 장치(101)를 이용하여 사용자(예, 제3 전자 장치(204)의 사용자)의 단말(예, 제3 전자 장치(204))에서 보여지는(viewable by)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웹 페이지의 표시를 위한 마크업 언어(Marked-up Language)와 관련될 수 있다. 제1 웹 페이지는, 예를 들어, 제1 국가에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1)가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210)은 쇼핑몰의 개설(set up)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동작(210)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다른 웹 서비스(예, 세무 서비스)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연동(interlock)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동은, 상기 API의 사용을 위한 권한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동작(210)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전자 상거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웹 서비스(예, 배송 서비스, 상품 판매 사이트)에 가입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동작(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에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제2 전자 장치(202)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가 제2 전자 장치(202)를 식별하는 것은, 예를 들어, 웹 크롤링(web crawling)과 같은 네트워크 탐색 방법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웹 크롤링이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및/또는 상기 알고리즘, 상기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식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s) 및/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s)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202)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2)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220)로 제2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신호(230)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230)는 제2 전자 장치(202)의 식별자 또는 제2 전자 장치(202)의 웹 페이지의 네트워크 내에서의 주소(예, URL)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웹 페이지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전자 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신호(230)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202)는 제1 전자 장치(101)로 제2 웹 페이지와 관련된 신호(235)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235)는 제2 웹 페이지와 관련된 마크업 언어에 기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235)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신호(235)에 대응하는 제2 웹 페이지 내에서 상품과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웹 페이지와 관련되고 신호(235)에 포함된 마크업 언어를 파싱하여(by parsing), 상기 제2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파싱이란, 예를 들어, 신호(235)에 포함된 문자열 시퀀스(character sequence) 및/또는 문자열 스트림(character stream)을 지정된 토큰(token)으로 분할한 다음, 지정된 데이터 구조(예를 들어, 파스 트리(parse tree))로 상기 분할된 토큰을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조는 신호(235)와 관련된 제2 웹 페이지의 표시 및/또는 콘텐트 추출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2)는 상기 데이터 구조에 기반하여, 제2 웹 페이지 내에서 상품과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2 웹 페이지에 포함된 상품의 이미지 및/또는 상품의 설명(description)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의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2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제2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제2 웹 페이지 내에서 추출된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2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동작(210)의 제1 웹 페이지 및/또는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웹 페이지 내에서 상품과 관련된 일부분의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데이터 내에서 상품을 설명하고, 제2 국가의 언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자연어 문장을, 제1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번역과 관련된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자연어 문장을 번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수치 값(numeric values)의 단위 및/또는 도량형을, 제1 국가에 대응하는 단위 및/또는 도량형에 따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250)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를 저장한 이후,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동작(210)의 제1 데이터 또는 동작(250)의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동작(260)에서, 제3 전자 장치(204)는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3 전자 장치(204)로 제1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URL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204)는 제1 전자 장치(101)로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웹 페이지와 관련된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270)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270)는 제1 웹 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동작(280)에서, 신호(270)의 수신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에 기반하는 제3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3 전자 장치(204)로 제3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290)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290)에 기반하여, 제3 전자 장치(204)는 사용자에게 제1 웹 페이지와 적어도 일부 관련되고, 동작(250)에서 저장된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04)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웹 페이지는, 동작(210)에서 저장된 제1 웹 페이지의 일부분(예를 들어, 상품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동작(250)에서 저장된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채워진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04)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웹 페이지는, 상품 문의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1)의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가 동작(240)의 제2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작 및 제1 전자 장치(101)가 동작(280)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제3 데이터를 설명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상거래와 관련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또는 도 2의 제1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다른 전자 장치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전자 장치의 동작은 도 2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예, 동작(240, 280))와 관련되거나, 및/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312)이 표시된 웹 브라우저(310)가 도시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에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의 동작(240)에 기반하여,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312)에서 상품과 관련된 데이터(예, 도 2의 동작(240)의 제2 데이터)를 추출 및/또는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웹 페이지 내에서 상품의 이미지(314) 또는 상품의 설명(316)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상품과 관련된 데이터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동작(250)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는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322)이 표시된 웹 브라우저(320)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의 동작(280)에 기반하여, 도 2의 제3 전자 장치(204)와 같은 사용자의 단말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322)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는 상품과 관련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지정된 영역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 영역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추출 및/또는 파싱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추출 및/또는 파싱된 상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웹 브라우저(3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의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이미지(314)를 확대하여 저장할 수 있고, 확대된 이미지(324)가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322)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324)의 크기는 이미지(314)의 크기와 다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에 적어도 기반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의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상품의 설명(316)을, 전자 장치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국가의 도량형에 기반하여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상품의 설명(316)은 다른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제2 국가의 도량형(예, USD, 파운드, 인치)와 관련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국가의 도량형에 기반하는 설명(316)을, 제1 국가의 도량형(예, KRW, 킬로그램, 미터)에 기반하여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된 웹 페이지의 일부분(322)은 제1 국가의 도량형에 기반하는 상품의 설명(32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320) 내에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322)을 식별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품의 구입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상품의 구입 요청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전자 장치(101), 제2 전자 장치(202), 제3 전자 장치(204) 및 제4 전자 장치(402)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4의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통신 회로(130)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202), 제3 전자 장치(204) 및/또는 제4 전자 장치(402)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제2 전자 장치(202)는 도 2의 제2 전자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2)는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하는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의 쇼핑몰 서버일 수 있다. 도 4의 제3 전자 장치(204)는 도 2의 제3 전자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04)는 제1 국가에서 제1 전자 장치(101)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제4 전자 장치(402)는 상기 제1 국가 및 상기 제2 국가 사이의 배송(shipment)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 상태에서, 제2 전자 장치(202) 및/또는 제4 전자 장치(402) 각각의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410)에서, 제3 전자 장치(204)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구입과 관련된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자 장치(204)는 도 3의 웹 브라우저(320) 내에 웹 페이지(예, 제1 전자 장치(101)가 제공한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된 일부분 내에서 상품의 구입과 관련된 입력(예, "구매" 버튼을 클릭 및/또는 터치)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410)의 입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3 전자 장치(204)는 제1 전자 장치(101)로 상품의 구입과 관련된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420)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420)는 상품의 구입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사용자의 금융 정보 및/또는 생체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420)는 제3 전자 장치(204)의 사용자에게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420)는 제1 국가의 제1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예, 사용자의 집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420)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202)와 상품의 구입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430).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202)로 상품을 제2 국가의 제2 지역으로 배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지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2)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역은, 제4 전자 장치(402)에 기반하는 배송 대행 서비스와 관련된 지역일 수 있다(예, 배송 대행지).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202)로 신호(420)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의 금융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송신하여, 상품과 관련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420)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제4 전자 장치(402)와 상품의 배송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440).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202)와 통신한 결과에 기반하여, 제4 전자 장치(402)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국가의 제2 지역으로 상품이 배송될 것임을, 제4 전자 장치(402)에게 알릴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지역으로 배송된 상품을, 제1 국가의 제1 지역으로 배송할 것을 제4 전자 장치(402)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2) 및 제4 전자 장치(402)와 통신한 이후, 동작(4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상품을 구입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결과는, 신호(420)과 관련된 데이터(예, 상품의 주문 정보), 제2 전자 장치(202) 사이에서의 통신과 관련된 데이터(예, 제2 국가의 제2 지역으로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정보), 제4 전자 장치(402) 사이에서의 통신과 관련된 데이터(예, 제2 국가의 제2 지역에서 제1 국가의 제1 지역으로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는 블록 체인에 기반하여, 상품을 구입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블록 체인은, 제1 전자 장치(101)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 내에, 지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상호 연결 가능한 복수의 블록을 분산 저장하고, 저장된 블록 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상호 연결은, 상기 순서에 따른 제k 블록이 제k-1 블록의 해시 값을 포함함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내에서, 어느 한 블록은 상기 순서에 의해 연결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해시 값은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변조를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bly coupled to)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 내에 제1 국가에서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웹 페이지와 관련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함,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에서 상기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웹 페이지로부터 상기 상품과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제3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데이터 및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는 제3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는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상기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표시되게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한 이후, 상기 제3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의 주문과 관련된 제4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4 데이터는 상기 제1 국가의 제1 지역으로 상기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4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국가에 포함된 제2 지역으로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제5 데이터를 송신하고, 및 상기 제1 국가 및 상기 제2 국가 사이의 배송(shipment)과 관련된 제5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국가의 상기 제1 지역으로 상기 제2 국가의 상기 제2 지역으로 도착할(to be arrived) 상기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제6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6 데이터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상품의 주문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7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메모리 내에서, 상기 상품의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블록을 식별하고,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한 블록 내에 상기 제4 데이터, 상기 제5 데이터, 상기 제6 데이터 또는 상기 제7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지정된 순서에 기반하여 상호 연결되고(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정된 순서에 의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웹 페이지와 관련된 웹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한 제4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제2 데이터를 변경하고, 및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변경된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는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 개인정보 별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어휘 데이터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어휘 또는 표현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 분류 인공 신경망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분류 인공 신경망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 별 어휘 데이터로 학습될 수 있다. 사용자 분류 인공 신경망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집한 텍스트 데이터(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해당 데이터를 생성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는, 예를 들면,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 특정의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분류 인공 신경망에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분류 인공 신경망은 텍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어휘 또는 표현을 분석하여 특정 사용자의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에 대한 연령, 성별, 지역, 결혼 유무 및 자녀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 분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SNS에 글을 작성한 사용자 A의 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 사용자 A가 특정 지역(예; 서울, 강남구, 송파구, 또는 지역 D, E 등)에 거주하거나 생활하는(예; 직장)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성향 정보(propensity information)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성향 정보는 사용자의 홈웨어에 대한 성향(즉, 사용자가 집 안에서 입는 옷에 대한 성향)을 나타내는 홈웨어 성향과 아웃웨어에 대한 성향(즉, 사용자가 집 밖에서 입는 옷에 대한 성향)을 나타내는 아웃웨어 성향을 구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가 야외에서 촬영된 이미지(야외 이미지)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가 외출복을 착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성향 정보는 아웃웨어 성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가 실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실내 이미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성향 정보는 홈웨어 성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가 야외에서 촬영된 야외 이미지인지 실내에서 촬영된 실내 이미지인지 구분(또는 분석 또는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휘도값이 기준치(예; 제1 휘도 임계치) 이상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luminance)값은 어떤 표면에서 방사되거나 반사된 빛이 우리의 눈에 얼마나 들어오는지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그 단위는 [lm/m^2/sr] 또는 [cd/m^2]일 수 있다).
그 다음,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추출된 영역에 대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 제2 휘도 임계치)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야외 이미지인지 결정(또는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값(예; 제2 휘도 임계치)은 야외에서 하늘이나 태양 등에 대한 평균 휘도값을 측정하여 획득(또는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야외 이미지로 결정(또는 판단)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야외 이미지로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획득한 성향 정보는 아웃웨어 성향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획득한 성향 정보는 홈웨어 성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각각은 제1 사용자 또는 (복수의) 제2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 획득 위치(즉,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산출된 평균 휘도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 제2 휘도 임계치)보다 높은지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조건과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복수의) 제2 사용자의 생활 반경을 나타내는 생활 반경 위치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 위치를 비교하는 제2 조건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조건과 제2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이미지 데이터가 야외 이미지인 것으로 결정(또는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앞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및/또는 (복수의) 제2 사용자의 생활 반경 위치를 파악(또는 판단)하기 위해(또는 생활 반경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생활 반경 위치를 파악(또는 판단)하거나 생활 반경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계 학습부(machine learning unit)(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 학습부에서 수행되는 학습은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또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계 학습부는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상술한 상관 관계의 경우, 입력(input)은 관찰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사용자 및/또는 (복수의) 제2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출력(output)은 상기 제1 사용자 및/또는 (복수의) 제2 사용자에 대한 생활 반경 위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관찰 기간은, 사용자(예; 제1 사용자 및/또는 (복수의) 제2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수면 시작 시간 및 예상 기상 시간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면 시작 시간은 특정 시간(예; 22시, 23시, 24시, 01시 등)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단말을 소정의 임계 시간 동안 조작하지 않기 시작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싱 기상 시간은 상기 단말에 설정된 알람 시간 직후(또는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단말을 조작하기 시작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결국 기계 학습부는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고 상품 추천 서비스를 받는 특정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이고, 상기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이되 정보 수집의 대상이며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사용자를 복수의 제2 사용자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추천 플랫폼 운영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에 관한 복수의 제2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한 성향 정보를 결정(또는 판단)하고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2 이미지들 중에서 홈웨어 성향으로 분류된 성향 정보에 대응되는 홈웨어 이미지들 분석하고, 상기 홈웨어 이미지들에 포함된 수입 의류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홈웨어 수입 의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2 이미지들 중에서 아웃웨어 성향으로 분류된 성향 정보에 대응되는 아웃웨어 이미지들 분석하고, 상기 아웃웨어 이미지들에 포함된 수입 의류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아웃웨어 수입 의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예;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홈웨어 수입 의류 또는 아웃웨어 수입 의류를 추천 상품로서 결정하고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성향 정보가 홈웨어 성향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제2 사용자들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들 중에서 홈웨어 이미지에서 추출된 홈웨어 수입 의류 중에서 상품을 선택(또는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성향 정보가 아웃웨어 성향을 나타내면, (상기 제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제2 사용자들에 대한) 복수의 제2 이미지들 중에서 아웃웨어 이미지에서 추출된 아웃웨어 수입 의류 중에서 상품을 선택(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홈웨어 수입 의류는 파자마, 잠옷, 홈드레스, 이너웨어(속옷), 면원피스 등의 실내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웃웨어 수입 의류는 아우터, 코트, 패딩, 자켓, 트레이닝복, 바람막이, 등산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웨어 수입 의류는, 예를 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되는 외부 데이터에서 추출된 수입 의류로써 ‘오리털’, ‘구스’, ‘겨울’ 등의 키워드와 함께 상기 외부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관련되는 수입 의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에 제1 국가에서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웹 페이지와 관련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하고, -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함 -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국가와 구별되는 제2 국가에서 상기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웹 페이지로부터 상기 상품과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3 전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3 전자 장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 기반하는 제3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신되는 제3 데이터는, 상기 제3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상기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표시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데이터를 송신한 이후, 상기 제3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의 주문과 관련된 제4 데이터를 수신하고, - 상기 제4 데이터는 상기 제1 국가의 제1 지역으로 상기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4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로 상기 제2 국가에 포함된 제2 지역으로 상기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제5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국가 및 상기 제2 국가 사이의 배송(shipment)과 관련된 제5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국가의 상기 제1 지역으로 상기 제2 국가의 상기 제2 지역으로 도착할(to be arrived) 상기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제6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propensity information)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되는 복수의 휘도 값으로부터 평균 휘도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 값이 소정의 휘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아웃웨어 성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평균 휘도 값이 소정의 휘도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홈웨어 성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가 상기 아웃웨어 성향으로 설정되면, 상기 아웃웨어 성향에 상응하는 제1 추천 상품이 상기 제1 웹 페이지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향 정보가 상기 홈웨어 성향으로 설정되면, 상기 홈웨어 성향에 상응하는 제2 추천 상품이 상기 제1 웹 페이지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6 데이터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전자 장치로 상기 상품의 주문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7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 내에서, 상기 상품의 거래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블록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한 블록 내에 상기 제4 데이터, 상기 제5 데이터, 상기 제6 데이터 또는 상기 제7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03004A 2020-06-16 2021-01-11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35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04A KR102350959B1 (ko) 2020-06-16 2021-01-11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0230103844A KR102625353B1 (ko) 2020-06-16 2023-08-09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16A KR102203373B1 (ko) 2020-06-16 2020-06-16 상품의 구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210003004A KR102350959B1 (ko) 2020-06-16 2021-01-11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116A Division KR102203373B1 (ko) 2020-06-16 2020-06-16 상품의 구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40A KR20210155740A (ko) 2021-12-23
KR102350959B1 true KR102350959B1 (ko) 2022-01-14

Family

ID=7412717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116A KR102203373B1 (ko) 2020-06-16 2020-06-16 상품의 구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210003003A KR102350956B1 (ko) 2020-06-16 2021-01-11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210003002A KR102350953B1 (ko) 2020-06-16 2021-01-11 병행수입 관련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20210003001A KR102350952B1 (ko) 2020-06-16 2021-01-11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20210003004A KR102350959B1 (ko) 2020-06-16 2021-01-11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0230103844A KR102625353B1 (ko) 2020-06-16 2023-08-09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KR1020230195514A KR20240007741A (ko) 2020-06-16 2023-12-28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116A KR102203373B1 (ko) 2020-06-16 2020-06-16 상품의 구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210003003A KR102350956B1 (ko) 2020-06-16 2021-01-11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210003002A KR102350953B1 (ko) 2020-06-16 2021-01-11 병행수입 관련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20210003001A KR102350952B1 (ko) 2020-06-16 2021-01-11 병행수입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844A KR102625353B1 (ko) 2020-06-16 2023-08-09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KR1020230195514A KR20240007741A (ko) 2020-06-16 2023-12-28 펌프 디스펜서용 탄성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203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253B1 (ko) 2022-12-26 2023-06-29 김예지 병행수입제품 데이터에 대한 크롤링 기법 기반 매입 의사 결정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20A (ko) 1998-09-12 2000-04-15 이정기 잠금 장치를 구비한 개선된 고점도용 수동식 펌프
KR20020035811A (ko) * 2002-04-22 2002-05-15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KR100494351B1 (ko) * 2003-01-02 2005-06-13 이운희 펌프 디스펜서용 스프링
KR20150000950A (ko) * 2013-06-25 2015-01-06 이기택 국내 또는 해외 물품 구매 대행 및 실시간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0092A (ko) 2014-06-23 2016-01-04 주식회사 부띠코리아 병행수입상품 쇼핑 시스템
KR102521785B1 (ko) * 2017-07-14 2023-04-17 십일번가 주식회사 해외 구매 대행을 위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17098A (ko) * 2017-08-09 2019-02-20 주식회사 신스컴퍼니 해외 상품의 직접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개 서버
KR20190114536A (ko) * 2018-03-30 2019-10-10 브이스트로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대금 송금 시스템 및 방법
DE102019132343A1 (de) * 2019-01-29 2020-07-30 Rpc Bramlage Gmbh Spender zur Ausgabe von fließfähigen, beispielsweise flüssigen oder pastösen Massen
KR102172655B1 (ko) * 2020-04-29 2020-11-02 (주)연우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952B1 (ko) 2022-01-14
KR20230121705A (ko) 2023-08-21
KR20240007741A (ko) 2024-01-16
KR20210155737A (ko) 2021-12-23
KR102350953B1 (ko) 2022-01-14
KR20210155738A (ko) 2021-12-23
KR102350956B1 (ko) 2022-01-14
KR102203373B1 (ko) 2021-01-15
KR20210155740A (ko) 2021-12-23
KR20210155739A (ko) 2021-12-23
KR102625353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250B1 (ko) 자동완성 검색 결과에 대한 시간적 요구를 식별하는 기법
US114882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S e-commerce assistant
US8224823B1 (en) Browsing history restoration
CN109313542A (zh) 识别缺失的浏览节点
US20180047074A1 (en) Wearable devices as a service
US201600862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uating an electronic purchase transaction between a consumer device and a merchant
US20160373436A1 (en) Secured application access system and method with frequently changing passwords
US20150317709A1 (e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effectuating an electronic negotiation between a consumer device and a merchant
US20160267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a real-time personalized price adjustment
KR10236080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2350959B1 (ko) 해외직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220151574A (ko) 인공지능 기반 웹사이트 크롤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콘텐츠 게시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07430614A (zh) 到对应资源的应用局部深度链接
US11763376B2 (en) System, manufacture, and method for efficiently identifying and segmenting product webpages on an eCommerce website
KR20220055162A (ko) 병행수입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그 운용방법
US201900192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electronic messages for customer data
KR1023921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타일 추천과 스타일 피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30205825A1 (en) Extracting webpage features using coded data packages for page heuristics
WO2023002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IDENTIFYING AND SEGMENTING PRODUCT WEBPAGES ON AN eCOMMERCE WEBSITE
KR20230138229A (ko) 온라인 사이트 중개를 위한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95761A (ko) 가격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KR20220141732A (ko) Ai 마케팅 솔루션을 위해 특정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94811A (ko) 명품 브랜드의 브랜드 감성을 추출하여 패션상품을 추천하는 방법
KR20100048233A (ko) 방문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00048606A (ko)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