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386B1 -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386B1
KR102350386B1 KR1020140131819A KR20140131819A KR102350386B1 KR 102350386 B1 KR102350386 B1 KR 102350386B1 KR 1020140131819 A KR1020140131819 A KR 1020140131819A KR 20140131819 A KR20140131819 A KR 20140131819A KR 102350386 B1 KR102350386 B1 KR 10235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fork
gear
fork ro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579A (ko
Inventor
최진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13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3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Abstract

농용 작업차의 변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용 작업차의 변속장치는, 1차 변속을 위한 주변속부와, 2차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를 포함하며, 주변속부는,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평행한 제1, 제2 포크로드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축결합된 제1, 제2 변속포크와, 제1, 제2 변속포크를 통해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변속축 상의 제1, 제2 변속시프터를 포함하고, 기어 중립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1, 제2 포크로드 둘레 일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사이에 변속아암의 입력단이 위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포크로드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변속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Transmission of agriculture vehicle}
본 발명은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 라 불리우는 농업용 작업차는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耕作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작의 용도로 활용을 위해 기체 후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농업용 작업차를 통한 작업 능률의 향상을 위해서는, 작업 대상부의 토질에 맞춰 주행 속도 및 동력인출축(PTO 축, Power Take Off)의 회전속도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변속구간 폭이 넓어야 하며, 따라서 농용 작업차에는 일반 차량과는 다르게 폭넓은 변속단수를 갖는 복잡한 형태의 변속장치(transmission)가 채택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고 있는 변속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농업용 작업차의 미션조합은 크게, 미션부(1)와 뒷차동부(6)로 구성된다. 미션부(1)는 전, 후진 변속과 관련한 셔틀변속부(2), 폭넓은 변속단수 구현을 위한 주변속부(3)와 부변속부(4), 배속턴과 전륜 구동을 위한 전륜구동부(5)로 구분되고, 뒷차동부(6)는 미션부(1)에 의해 변속된 동력을 좌, 우측 후륜에 적절히 분배한다.
미션부(1)를 구성하는 셔틀변속부(2)는 운전자 레버조작으로 흐름이 허용되는 압유에 의해 선택적 동력접속을 구현하는 유압식 다판 클러치 방식이며, 주변속부(3)는 싱크로나이저 타입의 4단 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변속부(4)는 기어비가 서로 다른 여러 쌍의 기어가 레버조작으로 좌우로 움직이면서 선택적으로 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륜구동부(5)는 상기 셔틀변속부(2)와 마찬가지로 유압식 다판 클러치 방식이 적용되며, 미션부(1)와 뒷차동부(6)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들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는 미션 케이스(8) 내에 배치되어 보호되고, 미션 케이스(8)에는 기어 간 원활한 동력전달과 원활한 축의 회전을 도모하고 부품 간 마찰과 마모를 줄이는 윤활제로서 오일이 채워져 있다.
부변속부(4)는 상기 주변속부(3)를 거치면서 1차로 변속이 행해진 엔진동력을 제공받아 다시 한번 변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부변속부(4)를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변속이 완료된 변속동력은 상기 뒷차동부(6)에 제공되고 이 뒷차동부(6)를 거쳐 구동륜이 되는 좌측과 우측 후륜에 적절히 분배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7은 엔진에서 출력된 동력을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체 밖으로 엔진 동력을 인출시키는 PTO 구동부를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농업용 작업차의 미션조합에서 싱크로나이저 타입의 상기 주변속부의 경우,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변속용 포크로드와 변속아암을 상호 연동되게 연결하고 있다. 예컨대 주변속의 변속단수가 4단인 경우, 1, 3단 포크로드와 변속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필요하고 2, 4단 포크로드와 변속아암을 연결하는 또 하나의 연결부재가 필요하다(한국공개특허 제2011-0008758호 참조).
즉 종래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에 적용된 주변속부는 변속용 포크로드와 변속아암를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호 연동되게 연결함으로써, 주변속부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연결부재 사용으로 인한 부피 증가로 인해 변속장치의 구성을 콤팩트하게 구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08758(2011. 01. 27) 한국등록특허 제10-0988155호(등록일자 2010. 10. 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속아암과 포크로드의 연동 가능한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으며, 따라서 변속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고, 변속장치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엔진이 출력한 동력을 1차 변속시키는 주변속부와, 주변속부가 출력하는 1차 변속된 동력을 전달받아 2차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로서, 상기 주변속부는,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평행한 제1, 제2 포크로드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축결합된 제1, 제2 변속포크와; 상기 제1, 제2 변속포크를 통해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변속축 상의 제1, 제2 변속시프터;를 포함하고, 기어 중립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1, 제2 포크로드 둘레 일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사이에 변속아암의 입력단이 위치하며, 상기 홈 사이를 상기 입력단이 왕복 운동하면서 제1 포크로드의 홈에 물려 제1 변속시프터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포크로드의 홈에 물려 제2 변속시프터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의 상기 주변속부에 의한 변속단수는 4단이며, 상기 주변속축 상의 1단 변속기어와 3단 변속기어 사이에 상기 제1 변속시프터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변속축 상의 2단 변속기어와 4단 변속기어 사이에 상기 제2 변속시프터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 ~ 4단 변속기어는 상기 주변속축에 대해 회전 자유롭고, 상기 제1, 제2 변속시프트는 주변속축과 일체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단은 제1, 제2 포크로드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홈은 상기 입력단이 어느 한 홈에 삽입됐을 때 반대편 다른 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포크로드 인접 측 상기 제1 변속포크의 측면에는 상기 제2 포크로드와의 간섭 회피를 위한 제1 요면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포크로드 인접 측 상기 제2 변속포크의 측면에는 제1 포크로드와의 간섭 회피를 위한 제2 요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의 외면 일부를 감싸 축방향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지지관부를 형성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주변속부와 부변속부 사이에서 주변속부와 부변속부를 분리 구획하는 것을 판상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에 의하면, 제1, 제2 포크로드 둘레 일부에 홈을 형성하고 홈 사이에 변속아암의 입력단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변속아암을 통한 변속 조작력이 연결부재를 거치지 않고 포크로드에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아암과 포크로드의 연동 가능한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어 변속조작의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변속아암과 포크로드 사이의 연결부재 생략으로 인하여 변속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져, 제작비 절감 및 변속장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가 생략된 만큼 두 개의 포크로드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좁힐 수 있어 변속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농업용 작업차 변속장치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 변속장치의 주변속부를 개략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변속부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크로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크로드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주변속부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포크로드 전방 측에서 바라본 제1 변속포크의 정단면도.
도 8은 포크로드 전방 측에서 바라본 제2 변속포크의 정단면도.
도 9, 도 10은 주변속을 위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 변속장치의 주변속부를 개략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변속부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는, 엔진이 출력한 동력을 전달받아 1차 변속을 수행하는 주변속부(3)를 포함한다. 주변속부(3)를 거쳐 1차 변속이 완료된 동력은 동력전달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주변속부(3) 후방에 배치되는 부변속부(미도시)로 전달되고, 부변속부를 거치면서 주행 또는 작업에 적합한 속도로 다시 한번 변속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주변속부(3)는 동기 치합식(Synchromesh type) 수동 변속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변속부(3)는, 주변속축(30)과, 상기 주변속축(30) 상에 설치된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주변속기어들(31a~31d)과, 상기 주변속축(30) 상의 기어 사이를 직선 운동하면서 어느 한 주변속기어와 상기 주변속축(30) 사이의 동력 접속을 단속하는 2개의 변속시프터(32)(33)를 포함한다.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상기 주변속기어들(31a~31d)은 주변속축(30) 상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엔진이 출력한 동력으로 회전하는 주변속 입력축(도시 생략) 상에서 일체 회전되는 구동기어들과 하나씩 맞물린다. 이에 따라 엔진 구동으로 상기 주변속 입력축과 구동기어들이 회전하면, 상기 주변속기어들(31a~31d) 역시 상기 주변속축(30) 상에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주변속부에 의한 변속단수는 4단이며, 따라서 주변속축(30) 상에는 4개의 주변속기어(31a~31d)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4개의 주변속기어(31a~31d)는 바람직하게,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차례대로 1단, 3단, 2단, 4단 기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1단 변속기어(31a)와 3단 변속기어(31b) 사이에 상기 제1 변속시프터(32)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2단 변속기어(31c)와 4단 변속기어(31d) 사이에 상기 제2 변속시프터(33)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변속시프터(32)와 제2 변속시프터(33)는 상기 주변속축(30)에 스플라인으로 연결되어 주변속축(30) 상의 상기 주변속기어(31a~31d) 사이를 직선 운동한다. 따라서 주변속레버를 조작해 1 ~ 4단 주변속기어 중 어느 한 주변속기어에 치합되도록 제1 변속시프터(32) 또는 제2 변속시프터(3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변속단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주변속축(30) 상을 직선 운동하는 상기 제1, 제2 변속시프터(32)(33) 각각은, 제1, 제2 변속포크(34)(35)를 통해 주변속축(30)과 평행한 축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1, 제2 포크로드(36)(37)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36)(37)는 서로 평행하며, 제1, 제2 변속포크(34)(35)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 제2 포크로드(36)(37) 각각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1, 제2 변속시프터(32)(33) 각각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주변속레버 조작으로 제1 포크로드(36) 또는 제2 포크로드(37)가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제1 변속포크(34) 또는 제2 변속포크(35)를 통해 상기 포크로드의 축방향 운동이 제1 변속시프터(32) 또는 제2 변속시프터(33)에 전달되고, 제1 변속시프터(32) 또는 제2 변속시프터(33)가 이동해 그 이동방향 쪽에 위치한 주변속기어와 치합됨으로써 1차 주변속이 구현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해 주변속부에 적용된 상기 포크로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크로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크로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포크로드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제2 포크로드(36)(37) 둘레 일부에는 홈(360)(3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360)(370) 사이에 주변속레버에 연결된 변속아암(38)의 입력단(39)이 위치한다. 홈(360)(370)은 기어 중립 상태에 있을 때 같은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1, 제2 포크로드(36)(37)에 각각 형성된다.
변속아암(38)의 상기 입력단(39)은 제1, 제2 포크로드(36)(37)의 상기 홈(360)(370) 사이를 이동하면서 제1 포크로드(36) 또는 제2 포크로드(37)와 연동 가능하게 물린다.
즉 주변속레버의 조작으로 변속아암(38)의 상기 입력단(39)이 제1 포크로드(36) 측으로 이동하여 제1 포크로드(36)의 홈(360)에 삽입되면 상기 변속아암(38)과 제1 포크로드(36)가 서로 연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변속아암(38)의 상기 입력단(39)이 제2 포크로드(37) 측으로 이동하여 제2 포크로드(37)의 홈(370)에 삽입되면 상기 변속아암(38)과 제2 포크로드(37)가 연동 가능한 연결상태가 되는 것이다.
변속아암(38)이 제1 포크로드(36)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변속아암(38)을 제1 포크로드(36)의 축방향으로 진퇴 조작하면, 변속아암(38)의 진퇴 조작에 연동해 제1 포크로드(36)가 직선 운동하고, 제1 변속포크(34)를 통해 제1 포크로드(36)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변속시프터(32)가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1단 또는 3단 중 원하는 변속단수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변속아암(38)이 제2 포크로드(37)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상기 변속아암(38)을 제2 포크로드(37)의 축방향으로 진퇴 조작하면, 변속아암(38)의 진퇴 조작에 연동해 제2 포크로드(37)가 직선 운동하고, 제2 변속포크(35)를 통해 제2 포크로드(37)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변속시프터(33)가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2단 또는 4단 변속 중 원하는 변속단수를 선택할 수 있다. .
도 6과 같이, 상기 입력단(39)은 제1, 제2 포크로드(36)(37) 사이의 최소거리(d1)보다 큰 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36)(37)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홈(360)(370)은 상기 입력단(39)이 어느 한 홈에 삽입됐을 때 반대편 다른 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반대편 포크로드와 간섭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제1 변속포크와 제2 변속포크 각각을 포크로드 전방 측에서 바라본 정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포크로드(37)와 인접한 측의 상기 제1 변속포크(34)의 측면에는 상기 제2 포크로드(37)가 제1 변속포크(34)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제1 요면부(340)가 형성되며, 제1 포크로드(36)와 인접한 측의 상기 제2 변속포크(35)의 측면에도 마찬가지로 제1 포크로드(36)와의 간섭 회피를 위한 제2 요면부(350)가 형성된다.
제1 요면부(340)는 변속을 위해 제2 포크로드(37)가 축방향 직선 운동을 함에 있어 상기 제2 포크로드(37) 외면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2 포크로드(37)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곡선상의 요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요면부(350) 역시 제1 포크로드(36)의 외면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1 포크로드(36)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곡선상의 요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36)(37)의 외면부 일부를 감싸 제1, 제2 포크로드(36)(37)의 축방향 직선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관부(42)를 형성한 지지부재를 가리킨다. 이때 지지부재(40)는 상기한 주변속부(3)와 부변속부(미도시) 사이에서 주변속부(3)와 부변속부의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판상체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를 통한 1차 주변속 과정을 상기 주변속부의 작동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1단 또는 3단 주변속 구현을 위해 제1 포크로드를 축방향으로 진퇴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의 (a)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주변속에 있어서는 주변속레버를 좌측으로 당겨 변속아암(38)의 입력단(39)이 제1 포크로드(36)의 홈(360)에 물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변속아암(38)을 통해 제1 포크로드(36)를 축방향으로 전진 조작하면, 그 조작력이 제1 변속포크(34)를 통해 제1 변속시프터(32)에 전해져 제1 변속시프터(32)가 1단 주변속기어(31a) 측으로 이동하고 치합됨으로써 1단 변속 상태가 된다.
3단 주변속인 경우에는, 상기 도 9의 (a)와 같이 주변속레버를 좌측으로 당겨 변속아암(38)의 입력단(39)이 제1 포크로드(36)의 홈(360)에 물리게 한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변속아암(38)을 통해 제1 포크로드(36)를 축방향으로 후퇴 조작하여 제1 변속시프터(32)를 3단 주변속기어(31b) 측으로 이동시켜 3단 주변속기어에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2단 또는 4단 주변속 구현을 위해 제2 포크로드를 축방향으로 진퇴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이다.
2단 주변속은 도 10의 (a)와 같이, 주변속레버를 우측으로 밀어 변속아암(38)의 입력단(39)이 제2 포크로드(37)의 홈(370)에 물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변속아암(38)을 통해 제2 포크로드(37)를 축방향으로 전진 조작하면, 그 조작력이 제2 변속포크(35)를 통해 제2 변속시프터(33)에 전해져 제2 변속시프터(33)가 2단 주변속기어(31c) 측으로 이동하고 치합됨으로써 2단 변속이 구현된다.
4단 주변속인 경우에는, 상기 도 10의 (a)와 같이 주변속레버를 우측으로 밀어 변속아암(38)의 입력단(39)이 제2 포크로드(37)의 홈(370)에 물리게 한 상태에서, 도 10의 (b)와 같이 변속아암(38)을 통해 제2 포크로드(37)를 축방향으로 후퇴 조작하여 제2 변속시프터(33)를 4단 주변속기어(31d) 측으로 이동시켜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에 의하면, 제1, 제2 포크로드 둘레 일부에 홈을 형성하고 홈 사이에 변속아암의 입력단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변속아암을 통한 변속 조작력이 연결부재를 거치지 않고 포크로드에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아암과 포크로드의 연동 가능한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어 변속조작의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변속아암과 포크로드 사이의 연결부재 생략으로 인하여 변속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져, 제작비 절감 및 변속장치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가 생략된 만큼 두 개의 포크로드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좁힐 수 있어 변속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3 : 주변속부 30 : 주변속축
31a~31d : 주변속기어 32 : 제1 변속시프터
33 : 제2 변속시프터 34 : 제1 변속포크
35 : 제2 변속포크 36 : 제1 포크로드
37 : 제2 포크로드 38 : 변속아암
39 : 입력단 40 : 지지부재
42 : 지지관부
340, 350 : 요면부
360, 370 : 홈

Claims (7)

  1. 엔진이 출력한 동력을 1차 변속시키는 주변속부와, 주변속부가 출력하는 1차 변속된 동력을 전달받아 2차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로서,
    상기 주변속부는,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평행한 제1, 제2 포크로드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축결합된 제1, 제2 변속포크와;
    상기 제1, 제2 변속포크를 통해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변속축 상의 제1, 제2 변속시프터; 및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의 외면 일부를 감싸 축방향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지지관부를 형성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기어 중립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1, 제2 포크로드 둘레 일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사이에 변속아암의 입력단이 위치하며,
    상기 홈 사이를 상기 입력단이 왕복 운동하면서 제1 포크로드의 홈에 물려 제1 변속시프터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포크로드의 홈에 물려 제2 변속시프터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부에 의한 변속단수는 4단이며,
    상기 주변속축 상의 1단 변속기어와 3단 변속기어 사이에 상기 제1 변속시프터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변속축 상의 2단 변속기어와 4단 변속기어 사이에 상기 제2 변속시프터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 4단 변속기어는 상기 주변속축에 대해 회전 자유롭고, 상기 제1, 제2 변속시프트는 주변속축과 일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입력단은 제1, 제2 포크로드 사이의 최소거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포크로드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홈은 상기 입력단이 어느 한 홈에 삽입됐을 때 반대편 다른 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2 포크로드 인접 측 상기 제1 변속포크의 측면에는 상기 제2 포크로드와의 간섭 회피를 위한 제1 요면부가 형성되고,
    제1 포크로드 인접 측 상기 제2 변속포크의 측면에는 제1 포크로드와의 간섭 회피를 위한 제2 요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주변속부와 부변속부 사이에서 주변속부와 부변속부를 분리 구획하는 것을 판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KR1020140131819A 2014-09-30 2014-09-30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KR10235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819A KR102350386B1 (ko) 2014-09-30 2014-09-30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819A KR102350386B1 (ko) 2014-09-30 2014-09-30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579A KR20160038579A (ko) 2016-04-07
KR102350386B1 true KR102350386B1 (ko) 2022-01-13

Family

ID=5578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819A KR102350386B1 (ko) 2014-09-30 2014-09-30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810B1 (ko) 1997-03-20 1999-06-15 한재형 승용이앙기용 모공급부의 가로이송 변속장치
JP2010169187A (ja) 2009-01-22 2010-08-05 Kubota Corp トラクタの変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212Y2 (ko) * 1974-08-24 1979-08-16
JPH077653Y2 (ja) * 1985-12-20 1995-02-22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伝動構造
JPH0830535B2 (ja) * 1986-07-10 1996-03-27 マツダ株式会社 歯車式変速機の変速機構
KR100988155B1 (ko) 2008-01-23 2010-10-18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구조
KR101023481B1 (ko) 2009-07-21 2011-03-21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810B1 (ko) 1997-03-20 1999-06-15 한재형 승용이앙기용 모공급부의 가로이송 변속장치
JP2010169187A (ja) 2009-01-22 2010-08-05 Kubota Corp トラクタの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579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264B1 (ko) 농용 작업차의 미션조합
US8051732B2 (en) Dual clutch group transmission shifttable under load
US7434488B2 (en) Transmission for tractor
JP5492038B2 (ja) トラクタの伝動装置
RU2671887C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с двойным сцеплением и демультипликатором
WO2012043561A1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916570B1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5006778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KR102350386B1 (ko)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JP2017036773A (ja) 副変速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車両
JPS6128847B2 (ko)
KR102080933B1 (ko) 농용 작업차의 부변속장치
KR102282517B1 (ko)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KR20150145041A (ko) 농용 작업차의 미션조합
KR102359686B1 (ko) 작업차용 트랜스미션
CN106385895B (zh) 水田作业机
JP5244154B2 (ja) トラクタ
JP4809492B1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2012207771A (ja) トラクタの変速機構
JP4302603B2 (ja) トラクターの変速装置
US20230121147A1 (en) Agricultural machine transmission, in particular for a farm tractor
KR101963468B1 (ko) 차량 변속기
JP5186032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KR102193745B1 (ko)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 밀림 방지 및 드레그 제어방법
JP2008030688A (ja) 農業用トラクタの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