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29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295B1
KR102350295B1 KR1020150020861A KR20150020861A KR102350295B1 KR 102350295 B1 KR102350295 B1 KR 102350295B1 KR 1020150020861 A KR1020150020861 A KR 1020150020861A KR 20150020861 A KR20150020861 A KR 20150020861A KR 102350295 B1 KR102350295 B1 KR 10235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ight collecting
optical member
dispos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148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295B1/ko
Priority to US15/018,626 priority patent/US9784891B2/en
Publication of KR2016009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7/3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01L2227/32

Abstract

표시부와 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의 중심은 상기 투과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으로 분류된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투명 표시 장치는 시각적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투명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소자로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소자, 및 마리 전기 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EPD) 소자 등이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소자는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투명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투명 표시 장치는 표시부 및 투과부로 구분된다.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각종 신호 연결 배선, 전극 배선, 및 유기 발광 물질 등이 배치되고, 투과부는 투명 기판, 및 투명 절연막 등이 배치된다.
투명 표시 장치는 스위치 오프 상태일 때,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명 표시 장치를 투과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인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비록 투명 표시 장치라 하더라도 표시부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각종 배선들의 투과율이 높지 않고, 투과부가 차지하는 공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체 투명 표시 장치의 투과율이 높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투과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표시부와 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의 중심은 상기 투과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 부재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의 중심은 상기 투과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광부는 볼록 렌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오목 렌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와 상기 함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와 상기 함몰부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는 상기 함몰부보다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중심과 상기 집광부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광부는 상기 투과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투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는 1mm 이상 내지 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는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및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광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트립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는 도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부로 입사되는 외광을 표시 패널의 투과부로 투과시킴으로서, 전체적인 외광 투과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미감이 우수하고, 생산 단가가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학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은 종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서로 인접한 4개의 화소(Px)가 2*2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 화소(Px)는 표시부(DA)와 투과부(TA)를 포함한다. 표시부(DA)는 예를 들어, 적색 표시부(DA_r), 녹색 표시부(DA_g), 및 청색 표시부(DA_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스위치 온(on) 상태인 경우 표시부(DA)를 통해서 화상이 구현되고, 표시 장치가 스위치 오프(off) 상태인 경우 투과부(TA)를 통해서 표시 장치 뒤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 이미지가 투과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 장치가 투명하게 인식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투명 표시 장치는 기판(10), 기판(10) 상의 표시 소자부(20), 및 표시 소자부(20) 상의 봉지 기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 및 봉지 기판(3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표시 소자부(20)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각종 신호 연결 배선, 전극 배선, 및 유기 발광 물질 등이 배치되는 표시부(DA), 및 투명 절연막 등이 배치되는 투과부(DA)로 구분된다.
도 2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표시 장치로 입사되어 투과되는 광경로를 나타낸다. 표시부(DA)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각종 배선들은 투과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DA)로 수직 입사되는 광은 투과되지 못하고, 투과부(TA)로 수직 입사되는 광만이 투과된다.
그런데, 전체 표시 장치에서 투과부가 차지하는 공간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투과율이 높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투과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서로 인접한 4개의 화소(Px)가 2*2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 화소(Px)는 표시부(DA)와 투과부(TA)를 포함한다. 표시부(DA)는 예를 들어, 적색 표시부(DA_r), 녹색 표시부(DA_g), 및 청색 표시부(DA_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A)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각종 신호 연결 배선, 전극 배선, 및 유기 발광 물질 등이 배치되며, 투과부(DA)는 투명 절연막 등이 배치된다. 또한, 투과부(TA)와 표시부(DA) 사이의 영역은 각종 신호 연결 배선 등이 배치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투과부(TA)를 제외한 표시부(DA), 및 투과부(TA)와 표시부(DA) 사이의 영역을 통칭하여 불투과부라 한다.
하나의 화소(Px) 내의 투과부(T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표시부(DA)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표시부(DA) 각각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DA)를 구성하는 적색 표시부(DA_r), 녹색 표시부(DA_g), 및 청색 표시부(DA_b) 각각의 크기 및 배치 순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표시부(DA_r), 녹색 표시부(DA_g), 및 청색 표시부(DA_b) 각각은 다양한 크기를 갖거나,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00), 기판(100) 상의 표시 소자부(200), 및 표시 소자부(200) 상의 봉지 기판(30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광학 부재(400)가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광학 부재(400)가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이 전면 발광형인 경우 광학 부재(400)는 기판(100) 배면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이 배면 발광형인 경우 광학 부재(400)는 봉지 기판(300) 상면에 배치된다.
기판(100), 및 봉지 기판(3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표시 소자부(200)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각종 신호 연결 배선, 전극 배선, 및 유기 발광 물질 등이 배치되는 표시부(DA), 및 투명 절연막 등이 배치되는 투과부(TA)로 구분된다. 표시 소자부(2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광학 부재(400)는 일정한 두께(t)를 갖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400)는 1mm 이상 내지 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광학 부재(400)는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및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400)는 표시 패널과 마주하는 일면(4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411), 및 함몰부(411)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면(412)을 갖는다. 또한, 광학 부재(400)는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광부(420)를 갖는다.
함몰부(4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갖는 오목 렌즈 형태이며, 집광부(4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갖는 볼록 렌즈 형태를 갖는다.
함몰부(411)와 집광부(4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함몰부(411)와 집광부(420)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집광부(420)는 함몰부(411) 작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411) 및 집광부(420)는 표시 패널의 투과부(TA)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투과부(TA)의 중심(C_TA)은, 함몰부(411)의 중심(C1), 및 집광부(420)의 중심(C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은 투과부(TA)의 평면 상에서의 중심과 수직인 가상의 축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함몰부(411) 및 집광부(420)는 표시 패널의 투과부(TA)를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트립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함몰부(411)는 투과부(T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W1)을 가질 수 있으며, 집광부(420)는 투과부(TA)보다 큰 폭(W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집광부(420)의 폭(W2)은 함몰부(411)의 폭(W1)의 2배이다.
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표시 장치로 입사되어 투과되는 광경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함몰부(411), 및 집광부(420)를 갖는 광학 부재(400)를 이용하여 종래 투과되지 못하던 표시부(DA)로 수직 입사되는 광까지도 투과부(TA)로 추출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표시부(DA)로 수직 입사되는 광은 광학 부재(400)의 집광부(420)에 의해 표시 패널의 투과부(TA) 측으로 집광되고, 집광된 광은 광학 부재(400)의 함몰부(411)에 의해 다시 수직광으로 변환되어 표시 패널의 투과부(TA)를 통해 추출된다.
기판(100)과 광학 부재(400)의 지지면(412) 사이에 접착 부재(5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 부재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00)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학 부재(400)가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부재(400)는 사출 공정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광학 부재(400)가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광학 부재(400)가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이 전면 발광형인 경우 광학 부재(400)는 기판 배면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이 배면 발광형인 경우 광학 부재(400)는 봉지 기판 상면에 배치된다.
도 6은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 화소의 투과부를 통합한 구조이다. 이러한 투과부를 갖는 경우, 투과부 사이의 불투과부로 인한 회절 무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부재의 함몰부 및 집광부는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패널의 투과부(TA)에 대응되도록 도트(do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가 도트 형태를 가져야 넓어진 불투과부의 후면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7은 시인성이 민감한 녹색 표시부(DA_g), 투과부(TA), 및 적색 표시부(DA_r) 및 청색 표시부(DA_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화소 구조이다. 여기서 적색 표시부(DA_r) 및 청색 표시부(DA_b)는 각 화소별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 경우, 광학 부재의 함몰부 및 집광부는 각 화소의 투과부(TA)에 대응되도록 도트(do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가 도트 형태를 가져야 불투과부의 후면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00), 기판(100) 상의 표시 소자부(200), 및 표시 소자부(200) 상의 봉지 기판(30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부(200)는 박막 트랜지스터(TR)와 각종 신호 연결 배선, 전극 배선, 및 유기 발광 물질 등이 배치되는 표시부(DA), 및 투명 절연막 등이 배치되는 투과부(TA)로 구분된다.
기판(100)은 유리, 강화 유리, 및 투명한 소재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 절연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소재의 플라스틱은 캡톤(kapto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기판(100)상에 버퍼층(211)이 배치된다. 버퍼층(211)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120)은 질화규소(SiNx)막, 산화규소(SiO2)막, 산질화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버퍼층(211)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기판(100)의 종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211)상에 반도체층(212)이 배치된다. 반도체층(212)은 다결정 규소막, 비정질 규소막, 및 IGZO(Indium-Galuim-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212) 위에 게이트 절연막(213)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213)은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ylOrthoSilicate, TEOS), 질화 규소(SiNx) 및 산화 규소(S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게이트 절연막(213)은 40nm의 두께를 갖는 질화규소막과 80nm의 두께를 갖는 테트라에톡시실란막이 차례로 적층된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3) 위에 게이트 전극(214)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213)은 반도체층(21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213) 상에 게이트 전극(214)을 덮는 층간 절연막(215)이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215)은 게이트 절연막(213)과 마찬가지로,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또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층간 절연막(215)상에 소스 전극(216) 및 드레인 전극(217)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216) 및 드레인 전극(217)은 게이트 절연막(213) 및 층간 절연막(215)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하여 반도체층(212)과 각각 연결된다.
박막트랜지스터(TR)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층간 절연막(160) 상에 소스 전극(216) 및 드레인 전극(217)을 덮는 평탄화막(218)이 배치된다. 평탄화막(218)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탄화막(218)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평탄화막(218)상에 유기 발광 소자(EL)의 제 1 전극(221)이 배치된다. 제 1 전극(221)은 평탄화막(218)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217)과 연결된다.
평탄화막(218)상에 제 1 전극(221)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내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219)이 배치된다. 화소정의막(219)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resin) 및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소 영역 내의 제 1 전극(221)상에 유기 발광층(223)이 배치되고, 화소정의막(219) 및 유기 발광층(223) 상에 제 2 전극(222)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223)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제 1 전극(221)과 유기 발광층(223)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유기 발광층(223)과 제 2 전극(222) 사이에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221) 및 제 2 전극(222)은 투과형 전극, 반투과형 전극 및 반사형 전극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형 전극 형성을 위하여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CO)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산화 아연(ZnO),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투과형 전극 및 반사형 전극 형성을 위하여 마그네슘(Mg), 은(Ag), 금(Au), 칼슘(Ca), 리튬(Li), 크롬(Cr), 알루미늄(Al), 구리(Cu)와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반투과형 전극과 반사형 전극은 두께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반투과형 전극은 약 200n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반사형 전극은 3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진다. 반투과형 전극은 두께가 얇아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지만 저항이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낮아진다.
또한, 반투과형 및 반사형 전극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으로 된 금속층과 금속층상에 적층된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222) 상에 봉지 기판(300)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봉지 기판(300)은 유리 및 투명한 소재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 절연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봉지 기판(300)는 하나 이상의 무기막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박막 봉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부재(400)는 기판(100) 배면에 배치되어, 종래 투과되지 못하던 표시부(DA)로 수직 입사되는 광까지도 투과부(TA)로 추출시킨다.
즉, 표시부(DA)로 수직 입사되는 광은 광학 부재(400)의 집광부(420)에 의해 표시 패널의 투과부(TA) 측으로 집광되고, 집광된 광은 광학 부재(400)의 함몰부(411)에 의해 다시 수직광으로 변환되어 표시 패널의 투과부(TA)를 통해 추출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 상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광학 부재(400)가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기판
200: 표시 소자부
300: 봉지 기판
400: 광학 부재

Claims (15)

  1. 표시부와 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의 중심은 상기 투과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 부재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의 중심은 상기 투과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볼록 렌즈 형태인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오목 렌즈 형태인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와 상기 함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와 상기 함몰부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상기 함몰부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중심과 상기 집광부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상기 투과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투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1mm 이상 내지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및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트립 형태인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도트 형태인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20861A 2015-02-11 2015-02-11 표시 장치 KR10235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61A KR102350295B1 (ko) 2015-02-11 2015-02-11 표시 장치
US15/018,626 US9784891B2 (en) 2015-02-11 2016-02-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61A KR102350295B1 (ko) 2015-02-11 2015-02-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48A KR20160099148A (ko) 2016-08-22
KR102350295B1 true KR102350295B1 (ko) 2022-01-17

Family

ID=565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861A KR102350295B1 (ko) 2015-02-11 2015-02-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4891B2 (ko)
KR (1) KR102350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1696A (ja) * 2019-04-25 2020-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220021081A (ko) * 2020-08-12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4837A1 (en) * 2008-01-04 2009-07-09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ight Utilization and Luminance of a Display
US20090316083A1 (en) * 2008-06-18 2009-12-24 Atsushi Kishiok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38A (ko)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07024970A (ja) * 2005-07-12 2007-02-01 Miyakawa:Kk 液晶表示装置の開口効率を上昇させるための樹脂レンズ製造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467192B1 (ko) 2008-04-04 2014-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영상분리표시장치
JP2010169847A (ja) 2009-01-22 2010-08-05 Sony Corp 空間像表示装置
KR20110062074A (ko) 2009-12-02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769499B1 (ko) 2010-08-24 2017-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JP2013084477A (ja) 2011-10-11 2013-05-09 Panasonic Corp 透明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091786A1 (en) * 2014-09-30 2016-03-31 Google Inc. Screen configuration for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4837A1 (en) * 2008-01-04 2009-07-09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ight Utilization and Luminance of a Display
US20090316083A1 (en) * 2008-06-18 2009-12-24 Atsushi Kishiok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84891B2 (en) 2017-10-10
KR20160099148A (ko) 2016-08-22
US20160231467A1 (en)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724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4740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106882B2 (en) Fingerprin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50621B1 (ko) 표시 장치
US9659966B2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49780B2 (en)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54065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9395842B2 (en) Foldable display
US1024969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81944B1 (ko) 표시장치
EP3130960B1 (en) Display device with curved edge portions
KR102508750B1 (ko) 발광 표시 장치
KR10240897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9978B1 (ko) 표시 장치
KR20210069830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1008503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052016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1091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9608A (ko) 표시 장치
KR10203549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804312B2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50295B1 (ko) 표시 장치
KR1026211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 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33986B1 (ko) 투명 표시 장치
US11469393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