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045B1 -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045B1
KR102350045B1 KR1020200053774A KR20200053774A KR102350045B1 KR 102350045 B1 KR102350045 B1 KR 102350045B1 KR 1020200053774 A KR1020200053774 A KR 1020200053774A KR 20200053774 A KR20200053774 A KR 20200053774A KR 102350045 B1 KR102350045 B1 KR 10235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wheel
detection plat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749A (ko
Inventor
김현진
김동철
강용구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Priority to KR102020005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wheel-load sca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되는 계근장치,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를 포함하여 차량 계근 시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축 조작과 부정진입을 판단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Shaft-Operated Vehicl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계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조작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차량 계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물 차량이 공차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계근 시스템에서 계근을 함으로서 차량에 실린 화물의 무게를 알 수 있으며, 차량의 축 중량을 알기 위해서는 차량 바퀴를 하나씩 차례로 계근대에 올려 수회에 걸쳐 계근이 이루어지게 하여야 한다.
종래의 경우, 차량이 계근 시스템에 위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축 조작에 따른 중량 조작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차량 계근 시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축 조작과 부정진입을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되는 계근장치,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를 포함하여 차량 계근 시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축 조작과 부정진입을 판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되는 계근장치,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근장치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이 진입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바퀴의 가압에 의해 축중량을 계근하는 축중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축하중 검출판은,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다수의 바퀴가 위치하는 제1 축 검출판 내지 제5 축 검출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 판단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과 상기 거리 측정 센서와의 거리를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측정값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부, 상기 임계값과 상기 측정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 받아, 외부로 상기 차량의 계근 측정 이탈 사실을 경고하는 경고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서 상기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축을 제1 기준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축과 평행하며, 상기 거리 측정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축을 제2 기준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를 상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제2 기준축과 상기 차량의 바퀴 사이의 거리를 상기 측정값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여기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의 다수의 지점과 상기 제2 기준축과의 거리를 상기 임계값과 각각 비교하며,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의 다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근장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근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축하중 검출판과 어긋나게 위치하여, 상기 축하중 검출판을 벗어난 상기 차량의 바퀴를 감지하는 압전 소자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값 입력부가 상기 압전 소자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바퀴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가 차량 이탈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라이다 모듈은, 송신광을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광이 상기 차량의 바퀴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광을 획득하는 수신부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차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광의 빔스티어링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되는 계근장치,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를 포함하여 차량 계근 시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축 조작과 부정진입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 모니터링 현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위치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탈 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압전 소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 모니터링 현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물 차량이 공차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계근 시스템에서 계근을 함으로서 차량에 실린 화물의 무게를 알 수 있으며, 차량의 축 중량을 알기 위해서는 차량 바퀴를 하나씩 차례로 계근대에 올려 수회에 걸쳐 계근이 이루어지게 하여야 한다.
도 1의 (a)에서 표시된 위치까지 부정진입 하는 경우 차량이 무게값을 줄이기 위해 계근대를 이탈하게 되므로 무게가 적게 측정된다.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근대에 정상 진입해야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차량이 계근 시스템에 위치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축 조작에 따른 중량 조작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차량 계근 시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축 조작과 부정진입을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1)은 계근장치(10), 위치 감지부(20), 이탈 판단부(30), 영상 촬영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1)은 화물 차량이 공차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계근 시스템에서 계근을 하는 경우, 축 조작 또는 부정 진입을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계근장치(10)는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110)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된다.
계근장치(10)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이 진입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상기 축하중 검출판(110)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바퀴의 가압에 의해 축중량을 계근하는 축중계(미도시)를 포함한다.
축하중 검출판(110)은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패드부(110a) 및 제2 패드부(1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다수의 바퀴가 위치하는 제1 축 검출판 내지 제5 축 검출판을 포함한다.
축 조작 차량의 경우 표 1과 같은 데이터로 기기 고장의 민원이 제기된다.
Figure 112020045697816-pat00001
표 1의 경우 제1 패드(1PAD)에서 차량의 축이 조작되고, 제2 패드(2PAD)에서 정상으로 진입한 경우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제1 패드와 제2 패드에서 총 중량과 각 축 별로 중량의 차이가 나므로 축조작 의심 차량임을 확인할 수 있으나, 영상 자료가 미흡하다.
차량결함, 유압시스템 오동작으로 과적발생시 민원인이 영상 자료를 요청하므로,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또한, 5축 차량으로 4축 진입하는 경우와 6축 차량으로 5축 진입하는 경우의 진입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좌, 우측 밀착진입으로 실 중량을 조작하는 경우 판별할 필요가 있다. 도 2에서는 4열 축하중 검출판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축하중 검출판의 배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열을 달리하여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 별로 위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하므로, 데이터에 따른 축조작 의심 차량의 실제 축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축별로 위치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일부만 어긋나는 경우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모듈을 포함한다.
라이다 모듈은, 송신광을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광이 상기 차량의 바퀴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광을 획득하는 수신부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차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광의 빔스티어링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송신광의 빔스티어링의 각도를 조정하여 라이다 모듈의 화각 또는 측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차량의 정보에 따라 차량의 바퀴가 계근 장치에 위치하는 부분이 매번 달라지므로 라이다 모듈의 데이터가 이상적인 설정값과 다를 경우 또는 라이다 모듈이 어긋나게 되는 경우 제어 모듈이 빔스티어링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량에 이상이 없으나, 거리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라이다 모듈이 어긋남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빔스티어링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라이다 모듈의 구동도 제어하여 위치 감지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이탈 판단부(30)는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이탈 판단부(30)는 별도의 프로세서로서 위치 감지부와 함께 설계되거나, 외부의 별도 제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50)는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근장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을 촬영한다.
영상 촬영부는 카메라로 구현되어 차량과 차량 주변의 전체적인 영상을 촬영하며, 녹화기를 포함하여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 외부의 모니터에 영상을 표출한다.
또한,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고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POE 허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계근 장치는 지중식으로 설계되며 지중은 지중매립형으로 좁은공간에 설치가 용이하여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다. 계량구조물이 지중으로 매립되어 지면과 일치한 설치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계근 측정 이탈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바닥 계근대와 센서와의 거리를 설정하여 거리값이 초과할 경우 신호를 출력하며, 카메를 상시 녹화로 차량의 앞 뒤를 촬영하여 녹화한다. 이후 영업소 모니터로 상시 모니터링 하며, 필요 시 녹화 영상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추후 데이터 오류에 따라 입증이 필요한 경우 거리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위치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변위 센서, 라이더 센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더센서를 이용하여 축하중 검출판을 이탈한 차량 단속하며, 부정진입차량의 통과를 제한하기 위해 알림 정보를 표출한다.
라이다 센서는 주사식 스캐너를 이용하며 라이다에서 나온 레이저 광선이 피사체에서 반사된 뒤 다시 라이더 센서로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해 센서로부터 주변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여기서, 피사체는 각 바퀴이며, 바퀴의 다수의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축의 어긋남을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서 상기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축을 제1 기준축(L1)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축과 평행하며, 상기 거리 측정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축을 제2 기준축(L2)으로 설정하고, 상기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S1)를 상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제2 기준축과 상기 차량의 바퀴 사이의 거리(M1, M2, M3, M4)를 상기 측정값으로 입력 받는다.
여기서, 거리 측정 센서(210)가 축하중 검출판(11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상적인 경우 바퀴가 축하중 검출판(110)을 벗어나지 않고 안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도 4는 바퀴가 어긋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만일 바퀴가 제1 기준축(L1)과 평행하게 놓여진다면 제2 기준축과 상기 차량의 바퀴 사이의 거리(M1, M2, M3, M4)가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S1)와 오차가 없으므로 정상으로 판단되지만, 도 4의 경우는 바퀴가 축하중 검출판(110)을 벗어난 경우로 M1의 경우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S1) 보다 작고, M4의 경우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S1)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임계값은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S1)에 오차를 반영하여 계산되며, M1의 경우는 임계값 보다 작으므로 축조작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M4와 같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축조작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축하중 검출판(110)은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패드부(110a) 및 제2 패드부(1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다수의 바퀴가 위치하는 제1 축 검출판 내지 제5 축 검출판을 포함하며, 거리 감지 센서가 제1 패드부(110a) 및 제2 패드부(110b)의 각각의 검출판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제1 패드부에서는 정상이더라도 제2 패드부에서 축 조작된 경우까지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탈 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이탈 판단부(30)는 임계값 설정부(310), 측정값 입력부(320), 비교부(330), 경고 메시지 생성부(340)를 포함한다.
이탈 판단부(30)는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임계값 설정부(31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과 상기 거리 측정 센서와의 거리를 임계값으로 설정한다.
측정값 입력부(320)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측정값을 입력받는다.
비교부(330)는 상기 임계값과 상기 측정값을 비교한다.
비교부(330)는, 상기 차량의 바퀴의 다수의 지점과 상기 제2 기준축과의 거리를 상기 임계값과 각각 비교한다.
경고 메시지 생성부(340)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경고 메시지 생성부(340)는, 상기 차량의 바퀴의 다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경고 메시지 생성부(340)는 경고 알림부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경고 상황을 알리며, 구체적으로 부정 진입 시 과적 사이렌이 동작한다. 여기서 사이렌은 관리자실과 현장에 위치한다.
이후, 제한차량표지판에 부정진입이 표출되고, 관리자실 경보장치가 발생한다. 또한, 부정진입차량을 알리는 보고서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압전 소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근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축하중 검출판과 어긋나게 위치하여, 상기 축하중 검출판을 벗어난 상기 차량의 바퀴를 감지하는 압전 소자부(130)를 더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전 소자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진입 방향과 진출 방향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축하중 검출판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압전소자 센서의 작동원리는 물리적인 작용이 힘으로 변환되어 센서 감지기의 양 면에 작용하는 것이다. 차량의 바퀴가 압전 소자부를 가압함에 따라 외력에 비례하는 얌, 음의 전하를 감지하게 된다. 센서의 디자인에 따라 세로방향, 가로방향 등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압전 소자를 탑재할 수 있다.
측정값 입력부가 상기 압전 소자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바퀴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가 차량 이탈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압전 소자부는 축하중 검출판 이외 지역에 매립되며, 부정진입차량의 통과를 제한하기 위해 알림 정보를 표출한다.
구체적으로, 이탈 판단부의 경고 메시지 생성부는 경고 알림부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경고 상황을 알리며, 구체적으로 부정 진입 시 과적 사이렌이 동작한다. 여기서 사이렌은 관리자실과 현장에 위치한다.
이후, 제한차량표지판에 부정진입이 표출되고, 관리자실 경보장치가 발생한다. 또한, 부정진입차량을 알리는 보고서를 출력한다.
또한, 압전 소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경고 알림부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압전 소자가 가압될 경우 바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근장치(10), 위치 감지부(20), 이탈 판단부(30), 경고 알림부(40), 영상 촬영부(50), 모니터링부(60)를 포함한다.
계근장치(10)는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110)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된다.
계근장치(10)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이 진입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상기 축하중 검출판(110)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바퀴의 가압에 의해 축중량을 계근하는 축중계(미도시)를 포함한다.
축하중 검출판(110)은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패드부(110a) 및 제2 패드부(11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다수의 바퀴가 위치하는 제1 축 검출판 내지 제5 축 검출판을 포함한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20)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이탈 판단부(30)는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경고 알림부(40)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 받아, 외부로 상기 차량의 계근 측정 이탈 사실을 경고한다.
경고 알림부는 모니터, 스피커, 전광판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피커의 경우 진입 금지 음성을 출력하고 전광판의 경우 축조작 경고 신호를 차량에게 알림과 동시에 모니터링부(6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이탈 판단부의 경고 메시지 생성부는 경고 알림부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경고 상황을 알리며, 구체적으로 부정 진입 시 과적 사이렌이 동작한다. 여기서 사이렌은 관리자실과 현장에 위치한다.
이후, 제한차량표지판에 부정진입이 표출되고, 관리자실 경보장치가 발생한다. 또한, 부정진입차량을 알리는 보고서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부정진입차량을 즉시 재검측할 수 있고, 획득한 데이터를 축조작차량 증빙자료와 고발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60)는 외부의 차로 사무실을 의미하여 직접 사용자가 계근 장치를 확인하지 않고도 전송되는 데이터로 즉시 축조작과 부정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민원대응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무인으로 운영이 가능하므로 야간 축조작차량의 단속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축수간 유압조정 차량 증빙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축조작 차량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화물차 운전자들에게 축조작 경각심을 부여한다.
또한, 과적민원 시인성 향상되므로 좌, 우측 밀착진입으로 중량 조작 단속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지면에 마련되며, 다수의 축하중 검출판을 포함하여 차량의 축중량을 계근하도록 설치되는 계근장치;
    상기 차량의 축중량 계근 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감지한 상기 차량의 바퀴 각각의 축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기 축하중 검출판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송신광을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광이 상기 차량의 바퀴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반사광을 획득하는 수신부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차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광의 빔스티어링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라이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근장치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이 진입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바퀴의 가압에 의해 축중량을 계근하는 축중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하중 검출판은,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부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상기 차량의 다수의 바퀴가 위치하는 제1 축 검출판 내지 제5 축 검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판단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과 상기 거리 측정 센서와의 거리를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차량의 바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측정값을 입력받는 측정값 입력부;
    상기 임계값과 상기 측정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 받아, 외부로 상기 차량의 계근 측정 이탈 사실을 경고하는 경고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축하중 검출판에서 상기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는 축을 제1 기준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축과 평행하며, 상기 거리 측정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축을 제2 기준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임계값 설정부는, 상기 제1 기준축과 상기 제2 기준축 사이의 거리를 상기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값 입력부는, 상기 제2 기준축과 상기 차량의 바퀴 사이의 거리를 상기 측정값으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의 다수의 지점과 상기 제2 기준축과의 거리를 상기 임계값과 각각 비교하며,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의 다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의 측정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근장치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근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축하중 검출판과 어긋나게 위치하여, 상기 축하중 검출판을 벗어난 상기 차량의 바퀴를 감지하는 압전 소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 입력부가 상기 압전 소자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바퀴를 감지한 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가 차량 이탈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13. 삭제
KR1020200053774A 2020-05-06 2020-05-06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5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74A KR102350045B1 (ko) 2020-05-06 2020-05-06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74A KR102350045B1 (ko) 2020-05-06 2020-05-06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49A KR20210135749A (ko) 2021-11-16
KR102350045B1 true KR102350045B1 (ko) 2022-01-11

Family

ID=7871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74A KR102350045B1 (ko) 2020-05-06 2020-05-06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82B1 (ko) * 2023-02-17 2023-07-06 주식회사에스에이티 차량의 윤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저속 축중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510B1 (ko) * 2022-05-20 2024-02-23 (재)한국나노기술원 아이 세이프 적외선 스마트 저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304A (ja) * 2005-08-23 2007-03-08 Omron Corp 軸重計測システムおよび軸重計測方法
KR101169950B1 (ko) * 2012-03-29 2012-08-06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고정식 차량 축중량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7304A (ja) * 2005-08-23 2007-03-08 Omron Corp 軸重計測システムおよび軸重計測方法
KR101169950B1 (ko) * 2012-03-29 2012-08-06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고정식 차량 축중량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82B1 (ko) * 2023-02-17 2023-07-06 주식회사에스에이티 차량의 윤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저속 축중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49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045B1 (ko) 축조작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US8570183B2 (en) Method for detecting gross vehicle weight overload
US5066950A (en) Traffic safety monitoring apparatus
CN101162209B (zh) 对移动目标进行快速成像检查的设备及方法
EP16622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with a radar the passage of a vehicle at a point to be monitored on a road
CN105486243B (zh) 基于可见光成像技术的桥梁挠度监测系统
US20070188321A1 (en) Alarm system
KR101816566B1 (ko)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633683B (zh) 用于车辆超载的非现场执法管理系统
CA2960787C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mass tamper events
CN105501249A (zh) 用于检测车轮状况的系统和方法
KR102140793B1 (ko) 고속도로 제한 차량 단속 시스템에서 과적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고속 축중기
KR101136393B1 (ko) 과중량 차량 적발 및 단속 시스템
US10794753B2 (en) Weighing platform for animals and a process of weighting an animal with a weighing platform
CN104299273A (zh) 公路绿色通道车辆货物判别系统、方法
KR20180136601A (ko) 포트홀 검출장치 및 포트홀 관리 시스템
KR100508762B1 (ko) 철도건널목의 안전 조기 경보 시스템
CN217460370U (zh) 用于铁路桥涵的防撞预警系统
KR101867182B1 (ko) 이미지 프로세싱 및 거리감지를 이용한 열차조성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108883A (zh) 一种防作弊称重系统及自动称重方法
KR100348106B1 (ko) 고정식 축중기
JP2004354151A (ja) 変位計測システム
CN216621417U (zh) 一种用于无人值守地磅称重的区域警示系统
KR200222373Y1 (ko) 고정식 축중기
AU2021105007A4 (en) AN IoT ENABLED HEAVY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RESTRICTED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