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9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99B1
KR102349799B1 KR1020207015148A KR20207015148A KR102349799B1 KR 102349799 B1 KR102349799 B1 KR 102349799B1 KR 1020207015148 A KR1020207015148 A KR 1020207015148A KR 20207015148 A KR20207015148 A KR 20207015148A KR 102349799 B1 KR102349799 B1 KR 10234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face
connector
rear end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090A (ko
Inventor
마코토 신야마
타카아키 히라야마
유야 사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8/05796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089438A1/en
Publication of KR2020006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액밀성 및 기밀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단자가 활주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다. 후방 관통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부분; 전방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단부가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단자 저장 케이스; 축 부분, 접촉 부분, 및 플랜지를 포함하는 단자 - 축 부분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은 후방 관통 구멍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접촉 부분은 전방 관통 구멍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됨 -; 축 부분의 원주 상에 장착되고 플랜지에 전방으로 동력공급하는 동력공급 부재(energizing member); 및 동력공급 부재의 팁 단부와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밀봉 부재, 동력공급 부재의 후방 단부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제1 밀봉 부재를 제2 밀봉 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중심 실린더를 포함하는 원통형 밀봉 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커넥터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09952호 및 2018년 4월 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7179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둘 모두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 장비, 전기 장비 등과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 조립체로서, 코일 스프링에 의해 동력공급(energize)되는 이동가능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안되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 27은 종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811은 커넥터 내에 포함된 하우징의 벽 부분을 나타내고, 812는 벽 부분(811) 상에 장착된 하우징의 단자 저장 부분을 나타낸다. 추가로, 851은 전후 방향(도면에서 우좌 방향)으로 단자 저장 부분(812) 내에 활주가능하게 저장되는 단자를 나타낸다. 더욱이, 전력 라인(881)이 단자(85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전력 라인(881)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전원에 연결된 급전기(feeder)이고, 그의 팁 단부는 벽 부분(81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단자 저장 부분(812) 내로 삽입되어 단자(851)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더욱이, 단자(851)는 플랜지(853) 및 플랜지(853)로부터 전방(도면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접촉 돌출부(854)를 포함한다. 접촉 돌출부(854)의 전방 단부 면(854a)은 전자 장비, 전기 장비 등(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정합 커넥터의 정합 하우징(911) 상에 로딩된 정합 단자(951)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더욱이, 플랜지(853)는 단자 저장 부분(812) 내에 로딩된 코일 스프링(871)의 동력공급력을 수용하여 전방으로 동력공급되는 부분이다. 추가적으로, 커넥터가 정합 커넥터에 연결될 때, 단자 저장 부분(812)과 정합 하우징(911)은 서로 가까워지고 서로 접촉하며, 접촉 돌출부(854)의 전방 단부 면(854a)은 정합 단자(951)와 접촉하고, 단자(851)는 후방(도면에서 우측)으로 가압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871)은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단자(851)는 후방으로 활주하는 한편, 전방 단부 면(854a)은 정합 단자(951)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추가로, 방수 및 방진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커넥터 내에 밀봉 부재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밀봉 부재(833)가 플랜지(853)에 대해 전방으로 접촉 돌출부(854)의 원주 상에 배치되고, 후방 밀봉 부재(834)가 벽 부분(81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력 라인(881)의 원주 상에 배치된다.
전방 밀봉 부재(833)의 외부 원주는 단자 저장 부분(812)의 내부 원주 면 상에 고정되고, 전방 밀봉 부재(833)의 내부 원주는 밀봉 립(lip)으로서 기능하는 접촉 돌출부(854)의 외부 원주 면과 접촉한다. 더욱이, 후방 밀봉 부재(834)는 벨로우즈 형상을 갖는 원통형 부재이다. 더욱이, 후방 밀봉 부재(834)의 전방 단부 부분(834a)의 외경은 단자 저장 부분(812)의 내경보다 작고, 전방 단부 부분(834a)의 내부 원주는 밀봉 립으로서 기능하는 전력 라인(881)의 외부 원주 면과 접촉하고, 후방 밀봉 부재(834)의 후방 단부 부분(834b)의 내경은 전력 라인(881)의 외경보다 크고, 후방 단부 부분(834b)의 외부 원주는 밀봉 립으로서 기능하는 단자 저장 부분(812)의 내부 원주 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전방 밀봉 부재(833)는 접촉 돌출부(854)의 원주 상에 배치되고, 후방 밀봉 부재(834)는 전력 라인(881)의 원주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단자(851) 및 단자(851)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881)이 단자 저장 부분(812) 내에서 활주하는 경우에도, 방수 및 방진 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43810호
그러나, 종래 커넥터와 관련하여, 전방 밀봉 부재(833) 및 후방 밀봉 부재(834)의 구조는 복잡하며, 이는 높은 비용으로 이어진다. 더욱이, 전방 밀봉 부재(833) 및 후방 밀봉 부재(834)의 장착 구조는 또한 복잡하고, 따라서, 장착 작업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추가로, 전방 밀봉 부재(833)의 내부 원주는 접촉 돌출부(854)의 외부 원주 면과 활주 접촉하고, 후방 밀봉 부재(834)의 전방 단부 부분(834a)의 내부 원주는 마찰을 일으키기 쉬운 전력 라인(881)의 외부 원주 면과 활주 접촉하며, 장기간 사용될 때, 밀봉 립으로서의 기능이 감소될 가능성이 높다.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한 구조, 용이한 조립, 및 낮은 비용으로 종래 커넥터의 문제를 해결하고, 액밀성 및 기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단자를 활주가능하게 보유할 수 있고,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에 대해 전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커넥터는, 후방 관통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부분, 및 전방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단부가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단자 저장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축 부분, 축 부분의 팁 단부에 연결되는 접촉 부분, 및 접촉 부분과 축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단자 - 축 부분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이 후방 관통 구멍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도성 몸체가 후방 단부 근접 부분의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부는 베이스 부분의 후방 면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되고, 접촉 부분은 전방 관통 구멍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 플레이트 부분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촉 부분의 전방 단부는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와 접촉가능함 -; 축 부분의 주연부 상에 장착되고 플랜지에 전방으로 동력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동력공급 부재; 및 동력공급 부재의 팁 단부와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밀봉 부재, 동력공급 부재의 후방 단부와 베이스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제1 밀봉 부재를 제2 밀봉 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중심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제2 밀봉 부재의 후방 단부 면이 베이스 부분의 전방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후방 단부 면과 전방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제1 밀봉 부재의 전방 단부 면이 플랜지의 후방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전방 단부 면과 후방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동력공급 부재는 원통형 밀봉 부재 내에 매설되고, 동력공급 부재의 전방 단부에 대한 원통형 밀봉 부재의 전방 부분은 제1 밀봉 부재이고, 동력공급 부재의 후방 단부에 대한 원통형 밀봉 부재의 후방 부분은 제2 밀봉 부재이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원통형 밀봉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을 포함하고, 단자와 원통형 밀봉 부재는 축 부분이 중심 구멍 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조합되고, 단자 저장 케이스의 단자 저장 공동 내에 저장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원통형 밀봉 부재 내의 적어도 제1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부분 및 적어도 제2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부분은 동력공급 부재 내측에 위치된 내측 부분 및 동력공급 부재 외측에 위치된 외측 부분을 포함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은 원통형이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내측 부분은 원통형이고, 외측 부분의 외부 원주 면의 단면은 대략 정사각형이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내측 부분의 단면의 면적과 외측 부분의 단면의 면적은 동일하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접촉 부분의 전방 단부가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력공급 부재에 예비부하(preload)가 인가되고, 제1 밀봉 부재의 전방 단부 면은 플랜지의 후방 면에 대해 가압되고, 제2 밀봉 부재의 후방 단부 면은 베이스 부분의 전방 면에 대해 가압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가 제1 밀봉 부재의 원주 내에 배치되고, 제1 밀봉 부재의 내부 원주 면의 적어도 일부가 축 부분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내부 원주 면과 외부 원주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커넥터는 제1 밀봉 부재, 제2 밀봉 부재, 및 제1 밀봉 부재 및 제2 밀봉 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양 단부를 갖는 중심 실린더를 포함하는 원통형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밀봉 부재의 외경은 중심 실린더의 외경보다 크고,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가 제1 밀봉 부재의 외부 원주 상에 형성되고, 동력공급 부재는 중심 실린더의 외측 상에 배치되고, 동력공급 부재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 및 제2 밀봉 부재에 맞닿는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원통형 밀봉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을 포함하고, 축 부분은 중심 구멍 내에 저장되고, 제1 밀봉 부재의 내부 원주 면의 일부는 중심 구멍의 중심으로 돌출되는 밀봉 링이고, 밀봉 링은 축 부분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된다.
또 다른 커넥터와 관련하여, 추가로, 접촉 부분의 전방 단부가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력공급 부재에 예비부하가 인가되고, 제2 밀봉 부재의 후방 단부 면은 베이스 부분의 전방 면에 대해 가압된다.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저비용을 달성하고, 액밀성 및 기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단자를 활주가능하게 보유할 수 있으며,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에 대해 전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a는 대각선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b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양방향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2a는 저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1 분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2 분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베이스 부분이 도 5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부재들이 도 6으로부터 추가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7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6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단자가 도 7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7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1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이 매설된 탄성 원통형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8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8b는 측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1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이 매설된 탄성 원통형 부재의 변형된 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9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9b는 측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가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0a는 대각선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0b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가 연결되는 상태의 양방향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1a는 저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선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의 정합 커넥터에 연결된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2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3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b는 베이스 부분이 도 13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부재들이 도 13a 및 도 13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4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13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b는 단자가 도 14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14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3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6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6b는 베이스 부분이 도 16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부재들이 도 16a 및 도 16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7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16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b는 단자가 도 17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17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4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19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9b는 베이스 부분이 도 19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부재들이 도 19a 및 도 19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20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16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b는 단자가 도 20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20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5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양방향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21a는 저면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선 C-C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5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1 분해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2 분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제2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24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4b는 베이스 부분이 도 24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부재들이 도 24a 및 도 24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25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24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5b는 동력공급 링이 도 25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부재들이 도 25a 및 도 25b로부터 추가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본 명세서에서, 도 26a는 단자가 도 25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b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26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종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양방향 도면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1 분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2 분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의 베이스 부분이 도 5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부재들이 도 6으로부터 추가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제1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이 매설된 탄성 원통형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제1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이 매설된 탄성 원통형 부재의 변형된 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 1a는 대각선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b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에서, 도 2a는 저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측단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에서, 도 7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6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단자가 도 7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7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에서, 도 8a 및 도 9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8b 및 도 9b는 측단면도인 것에 유의한다.
도면에서, 1은 제1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베이스 부분(11) 및 베이스 부분(11)에 연결된 단자 저장 케이스(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및 하우징(10) 상에 로딩된 단자(51)를 포함한다. 더욱이, 101은 단자(51)와 접촉가능한 정합 단자(151) 및 정합 단자(151)가 장착되는 정합 하우징(111)을 포함하는 정합 커넥터를 나타낸다. 커넥터(1)는 전자 장비, 전기 장비 등에서 전력을 소모하는 부재와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력 라인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커넥터(1)는 또한 신호 라인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1)가 장착되는 전자 장비, 전기 장비 등은 임의의 종류의 장비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개인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정도로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장비임에 유의한다. 추가적으로, 본 설명에서,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의 커넥터(1)의 치수는 대략 1.5 [cm]인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 및 정합 커넥터(101)의 부분들의 작동 및 구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및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들은 절대적이 아니라 오히려 상대적인 방향인 것에 유의한다. 이러한 표현들은 커넥터(1)와 정합 커넥터(101)의 부분들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적절하지만, 커넥터(1) 및 정합 커넥터(101)의 부분들의 위치가 변할 때, 표현들은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하우징(10)의 베이스 부분(11)은 수지 등과 같은 절연 특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부재이고,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Y-Z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형 부재이다. 베이스 부분(11)은 장비의 주연부를 덮는 케이싱의 벽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 부분(11)의 전방(양의 X-축 방향)은 케이싱의 외측에 대응하고, 베이스 부분(11)의 후방(음의 X-축 방향)은 케이싱의 내측에 대응하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연결 부분(16)이 연결되는 전방 리세스 부분(18)이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면 상에 형성된다.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은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면의 일부이고 주연 면에 대해 리세스된 방식으로 후방으로 형성된 평면이고, 후방 관통 구멍(11a)은 단자(51)의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이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13)는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우측 및 좌측 단부들 둘 모두 상에 배치된다. 더욱이, 후방 리세스 부분(17)이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면 상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에 대응하는 섹션 상에 형성된다. 후방 리세스 부분(17)의 하부 면(17a)은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면의 일부이고 주연 면에 대해 리세스된 방식으로 전방으로 형성된 평면이고, 베이스 부분(11)을 두께 방향(X-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방 관통 구멍(11a)의 후방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더욱이, 전도성 몸체로서의 전도성 금속 피팅(fitting)(81)이 장착되는 금속 피팅 리세스 부분(17b)이 후방 리세스 부분(17)의 우측 및 좌측 측벽 둘 모두 상에 형성된다.
단자 저장 케이스(12)는 수지 등과 같은 절연 특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부재이고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X-Y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넓은 폭을 갖는 연결 부분(16)이 단자 저장 케이스의 후방 단부(음의 X-축 방향에 있는 단부)에 형성된다. 연결 부분(16)은 우측 및 좌측 측부들 둘 모두 상에 형성된 연결 리세스 부분(16a) 및 후방 단부 면(16c)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16b)를 포함한다. 더욱이, 연결 부분(16)이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에 연결될 때, 연결 돌출부(13)는 연결 리세스 부분(16a)에 진입하여 그와 결합하고, 연결 돌출부(16b)는 전방 리세스 부분(18) 내에 형성된 연결 리세스 부분(도시되지 않음)에 진입하여 그와 결합하고, 후방 단부 면(16c)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맞닿는다. 장착 금속 피팅(소위 못(nail))이 연결 돌출부(16b) 대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단자 저장 케이스(12)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자 저장 공동(15) 및 전방 단부(양의 X-축 방향으로의 단부)에 위치된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을 포함한다. 커넥터(1)가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될 때,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전방 단부 면(14b)은 정합 커넥터(101)의 피팅 면에 맞닿거나 그에 가까워지는 커넥터(1)의 피팅 면으로서 기능한다. 단자 저장 공동(15)은 원통형 긴 공동이고, 그의 후방 단부는 연결 부분(16)의 후방 단부 면(16c) 상에서 개방되지만, 그의 전방 단부는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나, 단자 저장 공동(1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전방 관통 구멍(14a)은 전방 플레이트 부분(14) 내의 단자 저장 공동(15)에 대응하는 섹션으로 형성되고, 단자 저장 공동(15)은 전방 관통 구멍(14a)을 통해 전방 단부 면(14b) 전방의 공간과 연통한다. 예를 들어,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경은 대략 1.8 [mm]이지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2개의 단자 저장 공동(15)은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지만, 단자 저장 공동(15)의 개수는 커넥터(1) 내에 포함된 단자(51)의 개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고,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이, 단자 저장 공동(15)의 배열 형태는 정합 단자(151)의 배열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단자 저장 공동(15)에는, 하나의 단자(51), 및 동력공급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71)을 포함하는 하나의 원통형 밀봉 부재로서의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저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금속 등과 같은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단자(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긴 원통형 축 부분(52), 축 부분(52)의 팁 단부에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접촉 부분(54), 및 접촉 부분(54)과 축 부분(52)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된 칼라 플랜지(53)를 포함한다. 더욱이,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는 정합 단자(151)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부분이고, 접촉 부분(54)의 외경은 축 부분(52)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플랜지(53)의 외경은 접촉 부분(54)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축 부분(52)의 외경은, 예를 들어, 대략 0.6 [mm]이지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자(5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축 부분(52), 플랜지(53), 및 접촉 부분(54)은 별개로 성형되고 나사결합, 용접, 접착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원통형 부재(31) 및 금속 코일 스프링(71)은 오버몰딩(삽입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 내에 매설되는데, 이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다.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부재이고, 원형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32)을 포함한다. 중심 구멍(32)의 양 단부는 전방 단부 면(33a) 및 후방 단부 면(34a) 상에서 개방되고, 중심 구멍(32)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내경이 일정한 관통 구멍이고, 여기서 축 부분(52)이 저장된다. 추가적으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의 외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치수에 관하여, 예를 들어, 전후 방향 길이는 대략 9.0 [mm]이고, 외경은 대략 1.7 [mm]이고, 중심 구멍(32)의 내경은 대략 0.8 [mm]이지만,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후 방향 길이는 축 부분(5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재료로서의 탄성중합체는 스티렌, 올레핀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로 제한되지 않고, 고무 등과 같은 열경화성 탄성중합체일 수 있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71)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측에 노출되지 않으며, 즉,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 전방 단부 면(33a), 후방 단부 면(34a), 및 중심 구멍(32)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의 외경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에 가까워지지만, 코일 스프링(71)의 내경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71)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내부 원주 면(31b)에 가까워지게 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결과적으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일체로 연속되고, 탄성중합체는 후술되는 제1 밀봉 부재(33)로부터, 중심 실린더(35), 그리고 더 멀리 제2 밀봉 부재(34)로 연속되어,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원통형 밀봉 부재로서 기능하게 한다.
따라서, 탄성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금속 코일 스프링(71)과 통합되고, 이는 금속 코어가 포함됨에 따라 강건성을 제공하고 부재의 형상을 안정하게 한다. 추가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체 스프링 특성이 개선되고, 그에 의해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좌굴 - 이는 굽힘을 야기함 - 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51)와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축 부분(52)이 중심 구멍(32) 내에 저장되고, 플랜지(53) 및 접촉 부분(54)은 전방 단부 면(33a)의 전방에 위치되고,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52a) 및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은 후방 단부 면(34a)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조립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5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으로부터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 저장된다. 더욱이, 접촉 부분(54)은 전방 관통 구멍(14a)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는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전방 단부 면(14b)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지만, 플랜지(53)의 외경이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경보다 작고 전방 관통 구멍(14a)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플랜지의 전방 면(53b)은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후방 면(14c)에 맞닿고, 이는 플랜지(53)가 정지하게 한다. 더욱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후 방향 길이는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된다. 더욱이,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52a) 및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은 연결 부분(16)의 후방 단부 면(16c)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분(52)의 외경은 중심 구멍(32)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경은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따라서, 축 부분(52)은 중심 구멍(32) 내에서 매끄럽게 활주할 수 있고,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서 매끄럽게 활주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단자(5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 저장되는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11)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연결 부분(16)은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에 연결되고, 연결 부분(16)의 후방 단부 면(16c)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맞닿는다. 더욱이, 후방 단부 면(16c)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은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52a)는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리세스 부분(17)의 하부 면(17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더욱이, 하부 면(17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의 부분들은 후방 리세스 부분(17)의 측벽 상에 형성된 금속 피팅 리세스 부분(17b) 상에 장착된 전도성 금속 피팅(81)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 상의 후방 단부 면(34a) 부근에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경보다 큰 부분의 외경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는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 저장된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돌출부에 의해 일시적으로 후크결합된 상태를 생성하여,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가 베이스 부분(11)에 연결될 때, 단자(5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단자 저장 공동(15)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전도성 금속 피팅(81)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에 굽힘을 인가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부재이고, 금속 피팅 리세스 부분(17b) 상에 장착된 본체 피스(piece)(81b),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접촉하는 접촉 피스(81a), 및 접촉 피스(81a)를 본체 피스(81b)와 결합시키는 결합 피스(81c)를 포함한다. 전력 라인의 전도체(도시되지 않음)가 본체 피스(81b)에 연결된다. 더욱이, 결합 피스(81c)는 플레이트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플레이트형 접촉 피스(81a)를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의 측면으로 가압하고, 접촉 피스(81a) 및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이 확실하게 서로 접촉하게 한다. 전도성 금속 피팅(81)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부재가 하부 면(17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으로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종류의 부재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1)과 통합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후 방향 길이는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고,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가 베이스 부분(11)에 연결될 때, 후방 단부 면(34a)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의해 전방으로 변위된 상태로 되고, 따라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고, 코일 스프링(7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예비부하(preload)가 인가된 상태에 있다.
코일 스프링(71)의 전체 길이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체 길이보다 짧고,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는 전방 단부 면(33a)에 대해 후방으로 위치되고,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는 후방 단부 면(34a)에 대해 전방으로 위치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에 대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부분은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로 가압함으로써 탄성 변형되는 제1 밀봉 부재(33)로서 기능하고,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에 대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후방 부분은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로 가압함으로써 탄성 변형되는 제2 밀봉 부재(34)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제1 밀봉 부재(33)와 제2 밀봉 부재(34) 사이의 부분은 제1 밀봉 부재(33)와 제2 밀봉 부재(34)를 연결하기 위한 중심 실린더(35)로서 역할한다. 따라서, 예비부하가 코일 스프링(71)에 인가될 때, 전방 단부 면(33a)은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으로 가압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플랜지(53) 사이에 밀봉 접촉(접착)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밀봉 면으로서 기능하고, 후방 단부 면(34a)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으로 가압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베이스 부분(11)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밀봉 면으로서 기능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오버몰딩(삽입 성형)에 의해 코일 스프링(71)과 통합되고, 따라서, 중심으로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는 탄성중합체가 충전되는 성형용 다이의 공동(cavity)에서 축 방향으로 양 단부에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71)은 임의의 돌출부가 공동 내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71)의 축 방향으로 양 단부와 맞닿게 함으로써 그리고 코일 스프링(71)을 지지함으로써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71)이 매설되는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상세히 관찰되는 경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돌출부로 형성되는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후방 리세스 부분(34c)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 후방 단부 면(34a) 상의 복수의 섹션에서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임의의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임의의 후방 리세스 부분(34c)으로부터 노출된다.
추가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변형된 예로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의 일부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71)의 외경과 성형을 위한 다이의 공동의 내경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은 공동의 원통형 내부 원주 면에 맞닿아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을 지지하여,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의 일부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에 노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 밀봉 부재(33)는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와 단자(51)의 플랜지(53) 사이에 개재되고, 제2 밀봉 부재(34)는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와 하우징(10)의 베이스 부분(11) 사이에 개재되고, 제1 밀봉 부재(33)와 제2 밀봉 부재(34)는 연결되어, 단자(51)가 하우징(10) 상에 전후 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장착될 때에도,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및 후방은 액밀성 및 기밀성으로 차단될 수 있고,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베이스 부분(11)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부분(1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단자(51)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전도성 금속 피팅(81)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 전도가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밀봉 부재(33)의 전방 단부 면(33a)은 제1 밀봉 면으로서 기능하고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에 대해 가압되어, 이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플랜지(53) 사이의 밀봉 접촉을 확실하게 제공하여,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접촉 부분(54)과 전방 관통 구멍(14a) 사이의 갭(gap)을 통해 단자 저장 공동(15)에 진입할 때에도,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주연 공간, 즉 중심 구멍(32) 내의 공간에 진입할 수 없다. 더욱이, 제2 밀봉 부재(34)의 후방 단부 면(34a)은 제2 밀봉 면으로서 기능하고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대해 가압되고, 이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베이스 부분(11) 사이의 밀봉 접촉을 확실하게 제공하여,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접촉 부분(16)의 외부 원주 면과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내부 원주 면 사이의 갭에 진입할 때에도,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주연 공간에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사이의 갭을 통해 베이스 부분(11)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지 않는다. 더욱이, 예를 들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경이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경우,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부는 그가 두께를 갖는 탄성 원통형 부재(31)로 충전되는 것처럼 제공되고, 따라서 단자 저장 공동(15)에서의 밀봉 능력이 개선되어, 먼지, 수분, 가스 등이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1)가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되는 상태가 설명될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가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가 연결되는 상태의 양방향 도면이고, 도 12는 제1 실시예의 정합 커넥터에 연결된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도 10a는 대각선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10b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11a 및 도 11b에서, 도 11a는 저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선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측단면도인 것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커넥터(101)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는 커넥터는 상대적으로 정합 커넥터(101)에 가까워지고, 이어서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된 상태로 된다. 커넥터(1)가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되는 경우, 단자(51)의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는 정합 커넥터(101)의 정합 단자(151)에 대해 가압되는 상태에 있게 되어, 하우징(10)의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이 정합 하우징(111)에 가까워지게 하고, 단자(51)가 하우징(10)에 대해 활주되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변위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후방으로의 단자(51)의 활주량은 대략 1.5 [mm]이지만, 이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후속하여, 접촉 부분(54)은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전방 관통 구멍(14a) 내에서 후방으로 활주되고,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전방 단부 면(14b)으로부터의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의 돌출량이 감소되는 한편, 플랜지(53)는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서 후방으로 활주된다. 따라서, 플랜지(53)의 전방 면(53b)은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후방 면(14c)으로부터 후방으로 분리되고, 이는 플랜지(53)의 전방 면(53b)과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의 후방 면(14c) 사이에 갭을 생성한다. 더욱이, 단자(51)의 축 부분(52)은 후방으로 활주하고,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은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내에서 후방으로 활주하여,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리세스 부분(17)의 하부 면(17a)으로부터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의 돌출량이 증가되게 한다.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이 후방으로 활주할 때, 하부 면(17a)으로부터 돌출되는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의 측면은 전도성 금속 피팅(81)의 접촉 피스(81a)와 활주 접촉 상태로 계속되어, 그에 의해 전도성 금속 피팅(81)과의 접촉을 유지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추가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은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서 후방으로 활주하는 플랜지(53)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되고, 따라서 코일 스프링(71)과 통합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전후 방향으로 추가로 압축된다. 결과적으로, 코일 스프링(71)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력이 증가하고, 단자(51)의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는 정합 커넥터(101)의 정합 단자(151)에 대해 강하게 가압되어, 단자(51)와 정합 단자(151) 사이의 전도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가 제1 밀봉 부재(33) 및 제2 밀봉 부재(34)를 가압하는 힘이 추가로 증가하여, 제1 밀봉 면으로서의 전방 단부 면(33a)은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으로 추가로 가압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플랜지(53)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며, 제2 밀봉 면으로서의 후방 단부 면(34a)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으로 추가로 가압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베이스 부분(11)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밀봉 부재(33) 및 제2 밀봉 부재(34)의 밀봉 기능이 개선되고, 먼지, 수분, 가스 등의 유입이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더욱이,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며, 이는 그의 외경을 증가시키고 중심 구멍(32)의 내경을 감소시켜서,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부가 탄성 원통형 부재(31)에 의해 더 높은 밀도로 충전되는 것처럼 제공되고, 먼지, 수분, 가스 등이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1)는 후방 관통 구멍(11a)이 형성된 베이스 부분(11), 및 전방 관통 구멍(14a)이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을 포함하고 후방 단부가 베이스 부분(11)에 연결되는 단자 저장 케이스(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축 부분(52), 축 부분(52)의 팁 단부에 연결되는 접촉 부분(54), 및 접촉 부분(54)과 축 부분(52)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53)를 포함하는 단자(51) -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은 후방 관통 구멍(11a)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도성 금속 피팅(81)은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 내의,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리세스 부분(17)의 하부 면(17a)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접촉 부분(54)은 전방 관통 구멍(14a)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 플레이트 부분(14)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는 정합 커넥터(101)의 정합 단자(151)와 접촉가능함 -; 축 부분(52)의 원주 상에 장착되고 플랜지(53)에 전방으로 동력공급하는 코일 스프링(71); 및 코일 스프링(71)의 팁 단부와 플랜지(53)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밀봉 부재(33),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와 베이스 부분(11)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밀봉 부재(34), 및 제1 밀봉 부재(33)와 제2 밀봉 부재(34)를 연결하기 위한 중심 실린더(35)를 포함하는 탄성 원통형 부재(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커넥터(1)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저비용을 달성하고, 액밀성 및 기밀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베이스 부분(11)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밀봉 접촉을 기밀성 및 액밀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단자(51)는 활주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고, 추가로 정합 커넥터(101)의 정합 단자(151)에 대한 전도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밀봉 부재(34)의 후방 단부 면(34a)은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후방 단부 면(34a)과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와 전방 리세스 부분(18) 사이의 갭에 진입할 때에도,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주연 공간에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액밀성 및 기밀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에 의해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사이의 갭을 통해 베이스 부분(11)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제1 밀봉 부재(33)의 전방 단부 면(33a)은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전방 단부 면(33a)과 후방 면(53a)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접촉 부분(54)과 전방 관통 구멍(14a) 사이의 갭을 통해 진입할 때에도,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주연 공간에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액밀성 및 기밀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에 의해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사이의 갭을 통해 베이스 부분(11)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제1 밀봉 부재(33)의 전방 단부 면(33a)은 플랜지(53)의 후방 면(53a)과 활주 없이 후방 면(53a)에 대해 가압되고, 전방 단부 면(33a)과 후방 면(53a)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데, 이는 제1 밀봉 부재(33)의 전방 단부 면(33a)이 활주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 기능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추가로,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 내에 매설되고,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에 대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부분은 제1 밀봉 부재(33)이고,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에 대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후방 부분은 제2 밀봉 부재(34)이다. 결과적으로, 코일 스프링(71)을 취급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는 커넥터(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라서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외경을 갖는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원통형 부재이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32)을 포함하며, 단자(5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축 부분(52)이 중심 구멍(32) 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 저장된다. 따라서,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 단자(5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1)를 저장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커넥터(1)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따라서 제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가 정합 커넥터(101)의 정합 단자(151)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71)에 예비부하가 인가되고, 제1 밀봉 부재(33)의 전방 단부 면(33a)은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에 대해 가압되고, 제2 밀봉 부재(34)의 후방 단부 면(34a)은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커넥터(1)가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되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에도, 제1 밀봉 부재(33)의 전방 단부 면(33a)과 플랜지(53)의 후방 면(53a) 사이의 접촉 및 제2 밀봉 부재(34)의 후방 단부 면(34a)과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 사이의 접촉은 확실하게 밀봉되고, 그에 의해 베이스 부분(11)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밀봉 접촉을 기밀성 및 액밀성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대상의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됨으로써 생략될 것임에 유의한다. 추가로, 제1 실시예의 작동 및 영향과 동일한 작동 및 영향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2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부재들이 도 13a 및 도 13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2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도 13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b는 베이스 부분이 도 13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a 내지 도 14c에서, 도 14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13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b는 단자가 도 14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14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인 것에 유의한다.
제1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의 일부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에 노출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으로부터 분리되고, 외부 원주 면(31a)과 내부 원주 면(31b) 사이에 위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 원주 면(31a)과 내부 원주 면(31b)의 중간에 위치되지만, 코일 스프링(71)이 반드시 외부 원주 면(31a)과 내부 원주 면(31b)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 스프링(71)은 외부 원주 면(31a)과 내부 원주 면(31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외부 원주 면(31a)과 내부 원주 면(31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즉,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재료로서의 탄성중합체는 단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반경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에 존재하도록 요구된다. 도 15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후방에서 본 상태, 즉 후방 단부 면(34a)을 도시하지만,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즉 전방 단부 면(33a)에서 본 상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커넥터(1)가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되고 코일 스프링(71)과 통합된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커넥터(1)와 정합 커넥터(101)가 비교적 높은 온도(예컨대, 섭씨 약 85도 이상)의 환경 하에 배치된 후에 대략 실온으로 냉각되는 경우, 커넥터(1)와 정합 커넥터(101) 사이의 연결은 해제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의 원래 길이로 복귀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또는 후방 단부 면(34a)의 평탄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생각건대, 이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재료인 탄성중합체가 냉각될 때,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경화된 탄성중합체가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의 원래 길이로 강제로 복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재료인 탄성중합체는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에 배치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코일 스프링(71)의 내측에 위치된 내측 섹션(31c) 및 코일 스프링(71)의 외측에 위치된 외측 섹션(31d)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의 탄성중합체, 즉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의 탄성중합체는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의 원래 길이로 균일하게 복귀되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또는 후방 단부 면(34a)의 평탄도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에서, 상태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로 경화됨"은 고온 환경 하에서 압축 영구 변형(compression permanent set)으로서 얘기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실온 또는 저온 조건과 같은 임의의 조건 하에서의 압축 영구 변형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반경에서,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 둘 모두 상의 탄성중합체를 가능한 한 많이 균일하게 배치하기 위해, 내측 섹션(31c)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가 외측 섹션(31d)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와 매칭할 수 있거나, 또는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 둘 모두 상의 탄성중합체들의 부피들(도 15의 대응하는 면적들)은 등화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예에서, 탄성중합체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에 배치되지만, 탄성중합체가 단지 전방 단부 면(33a)의 부근 및 후방 단부 면(34a)의 부근에서만, 즉, 단지 제1 밀봉 부재(33) 및 제2 밀봉 부재(34)에서만, 또는 단지 제1 밀봉 부재(33) 부근에서 그리고 제2 밀봉 부재(34) 부근에서만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에 배치되는 한, 탄성중합체는 다른 섹션에서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또는 외측 중 단지 임의의 일 측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탄성중합체가 충전되는 성형을 위한 다이의 공동 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로 형성된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후방 리세스 부분(34c)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제1 밀봉 부재(33) 및 제1 밀봉 부재(33) 상의 복수의 섹션에서 형성되며,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임의의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임의의 후방 리세스 부분(34c) 상에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에 노출되지 않고 그에 근접하지 않아서,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이 탄성 원통형 부재(31)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의 원통형 내부 원주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코일 스프링(71)을 탄성중합체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 축 방향으로 양 단부에 그리고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에 맞닿을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돌출부로 형성된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후방 리세스 부분(34c)은 비교적 얕은 부분인 상측 하부 부분(33c1, 34c1) 및 비교적 깊은 부분인 하측 하부 부분(33c2, 34c2)을 포함하는 단차형 리세스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더욱이,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1)의 축 방향으로의 전방 단부는 임의의 하나의 전방 리세스 부분(33c)의 상측 하부 부분(33c1) 상에서 노출된 상태에 있고, 코일 스프링(71)의 축 방향으로의 후방 단부는 임의의 하나의 후방 리세스 부분(34c)의 상측 하부 부분(34c1) 상에서 노출된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의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후방 리세스 부분(34c)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 후방 단부 면(34a)으로 개방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 내의 적어도 제1 밀봉 부재(33)를 포함하는 부분 및 적어도 제2 밀봉 부재(34)를 포함하는 부분은 코일 스프링(71) 내측에 위치된 내측 섹션(31c) 및 코일 스프링(71) 외측에 위치된 외측 섹션(31d)을 포함한다. 더욱이,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은 원통형이다. 추가로, 내측 섹션(31c)의 단면의 면적 및 외측 섹션(31d)의 단면의 면적은 등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의 탄성중합체는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의 원래 길이로 균일하게 복귀되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또는 후방 단부 면(34a)의 평탄도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한 커넥터(1) 및 정합 커넥터(101)의 다른 태양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은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대상의 설명은 동일한 기호에 의해 상기 대상을 나타냄으로써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작동 및 영향과 동일한 작동 및 영향의 설명은 또한 생략될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3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7a 내지 도 17c는 부재들이 도 16a 및 도 16b로부터 추가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3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에서, 도 16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6b는 베이스 부분이 도 16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a 내지 도 17c에서, 도 17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16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b는 단자가 도 17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17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인 것에 유의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가 원통형 부재이고, 외부 원주 면(31a)은 원형인 단면을 갖는 컬럼형 면(원통형 면)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원형인 단면을 갖는 중심 구멍(32)을 포함하고, 외부 원주 면(31a)은 대략 정사각형인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컬럼형 면이다. 구체적으로, 외부 원주 면(31a)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긴 평면들(31a1), 및 인접한 긴 평면들(31a1)의 긴 측부들을 결합시키는 90도로 만곡된 4개의 긴 만곡된 면들(31a2)을 포함한다.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코일 스프링(71) 내측 상에 위치된 내측 섹션(31c) 및 코일 스프링(71) 외측 상에 위치된 외측 섹션(31d)을 포함하지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외측 섹션(31d)에는 외부 원주 면(31a) 상의 4개의 만곡된 면(31a2) 및 그의 부근의 일부들만이 제공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71)은 외부 원주 면(31a) 상의 4개의 긴 평면(31a1)에 가까워진다. 즉,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는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상화된 외부 원주 면(31a)의 내접원이다.
따라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을 포함하고, 따라서,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의 탄성중합체, 즉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의 탄성중합체는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의 원래 길이로 균일하게 복귀되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또는 후방 단부 면(34a)의 평탄도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 둘 모두 상의 탄성중합체를 가능한 한 많이 균일하게 배치하기 위해, 예를 들어,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 둘 모두 상의 탄성중합체들의 부피들(도 18의 대응하는 면적들)은 등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은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 상의 평면(31a1)에 가까이 근접해 있어서, 코일 스프링(71)의 외부 원주 면이 탄성 원통형 부재(31)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의 공동의 내부 원주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공동 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단지 축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71)의 양 단부에만 맞닿을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요구되고, 결과적으로, 복수의 돌출부로 형성된 전방 리세스 부분(33c) 및 후방 리세스 부분(34c)이 제1 실시예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정사각형인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컬럼형 면이고, 따라서 갭이 단자 저장 공동(15)의 원주 면과 외부 원주 면(31a) 사이에 생성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2 밀봉 부재(34)의 후방 단부 면(34a)은 제2 밀봉 면으로서 기능하고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대해 가압되고, 이는 탄성 원통형 부재(31)와 베이스 부분(11) 사이의 밀봉 접촉을 확실하게 제공하여,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과 단자 저장 공동(15)의 내부 원주 면 사이의 갭에 진입할 때에도,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주연 공간에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사이의 갭을 통해 베이스 부분(11)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내측 섹션(31c)은 원통형 부재이고, 외측 섹션(31d)의 외부 원주 면(31a)의 단면은 대략 정사각형이다. 더욱이, 내측 섹션(31c)의 단면의 면적 및 외측 섹션(31d)의 단면의 면적은 등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의 탄성중합체는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의 원래 길이로 균일하게 복귀되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방 단부 면(33a) 및/또는 후방 단부 면(34a)의 평탄도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한 커넥터(1) 및 정합 커넥터(101)의 다른 태양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은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대상의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됨으로써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더욱이, 마찬가지로, 전술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작동 및 영향과 동일한 작동 및 영향에 대한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4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0a 내지 도 20c는 부재들이 도 19a 및 도 19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에서, 도 19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9b는 베이스 부분이 도 19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도 20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19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b는 단자가 도 20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c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20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인 것에 유의한다.
제3 실시예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부 원주 면(31a)의 단면이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컬럼형 면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외부 원주 면(31a)의 단면은 단지 전방 단부 면(33a) 부근에서 그리고 후방 단부 면(34a) 부근에서만, 즉, 단지 제1 밀봉 부재(33) 및 제2 밀봉 부재(34)에서만, 또는 단지 제1 밀봉 부재(33) 부근에서 그리고 제2 밀봉 부재(34) 부근에서만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컬럼형 면이고, 다른 섹션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같이, 외부 원주 면(31a)의 단면은 컬럼형 면(원통형 면)이다.
즉,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단지 제1 밀봉 부재(33) 및 제2 밀봉 부재(34)에서만, 또는 단지 제1 밀봉 부재(33) 부근에서 그리고 제2 밀봉 부재(34) 부근에서만 내측 섹션(31c) 및 외측 섹션(31d)을 포함하고, 탄성중합체는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및 외측 둘 모두 상에 배치되지만, 다른 섹션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는 외측 섹션(31d)을 포함하지 않고, 탄성중합체는 단지 코일 스프링(71)의 내측 상에만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탄성 원통형 부재(31) 내의 적어도 제1 밀봉 부재(33)를 포함하는 부분 및 적어도 제2 밀봉 부재(34)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코일 스프링(71) 내측에 위치된 내측 섹션(31c)은 원통형이고, 코일 스프링(71) 외측에 위치된 외측 섹션(31d)의 외부 원주 면(31a)의 단면은 대략 정사각형이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한 커넥터(1) 및 정합 커넥터(101)의 다른 태양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은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제5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대상의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됨으로써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전술된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작동 및 영향과 동일한 작동 및 영향에 대한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5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양방향 도면이고; 도 22는 제5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1 분해도이고; 도 23은 제5 실시예의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의 제2 분해도이고; 도 24a 및 도 24b는 제5 실시예의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5a 및 도 25b는 부재들이 도 24a 및 도 24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a 및 도 26b는 부재들이 도 25a 및 도 25b로부터 추가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에서 도 21a는 저면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선 C-C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인 측단면도이고, 도 24a 및 도 24b에서, 도 24a는 대각선 후방에서 본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4b는 베이스 부분이 도 24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5a 및 도 25b에서, 도 25a는 단자 저장 케이스가 도 24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5b는 동력공급 링이 도 25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a 및 도 26b에서, 도 26a는 단자가 도 25b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b는 탄성 원통형 부재가 도 26a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인 것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 부재로서 탄성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원통형 부재(331)는 금속 코일 스프링(71)과 통합되지 않는다. 즉, 탄성 원통형 부재(331) 및 코일 스프링(71)은 별개로 제공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외경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지 않고, 탄성 원통형 부재(331)는 코일 스프링(7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심 실린더(335)를 갖고, 제1 밀봉 부재(333) 및 제2 밀봉 부재(334)는 중심 실린더(335)의 전방 및 후방 단부들에 일체로 연결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331)는 또한 원형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32)을 포함하고, 중심 구멍(32)의 양 단부는 전방 단부 면(333a) 및 후방 단부 면(334a) 상에서 개방되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중심 구멍(32)의 내경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2 밀봉 부재(334)의 외경은 제1 실시예의 탄성 원통형 부재(31)의 외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밀봉 부재(334)는 큰 외경을 갖고 작은 외경을 갖는 중심 실린더(335)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이다. 대조적으로, 제1 밀봉 부재(333)의 외경은 전체적으로 중심 실린더(335)의 외경과 동일하지만, 약간 큰 외경을 갖는 전방 단부 플랜지(333b)가 전방 단부 플랜지(333b) 부근에 형성되고, 더 큰 결합 돌출부로서의 링 돌출부(36)가 전방 단부 면(333a)의 후방에 형성되고, 추가로, 중심 구멍(32)의 중심으로 돌출되는 밀봉 링(36a)이 중심 구멍(32)의 내부 원주 면 상의 링 돌출부(36)에 대응하는 섹션에서 형성된다. 링 돌출부(36)의 외부 형상은 제2 밀봉 부재(334)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전방 단부 플랜지(333b)의 외부 형상은 링 돌출부(36)의 외부 형상보다 작게 설정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이,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로서의 동력공급 링(37)이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장착된다. 동력공급 링(37)은 탄성 원통형 부재(331)와는 별개의 부재이고,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재료인 탄성중합체보다 경질인 수지 및 금속과 같은 재료로 성형된 원통형 부재이고, 전후 방향으로의 그의 길이는 짧고, 동력공급 링(37)은 원형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37d)을 포함한다. 더욱이, 동력공급 링(37)의 외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고, 외경은 제2 밀봉 부재(334)의 외경과 동일하다. 더욱이, 중심 구멍(37d)의 내경은 중심 실린더(335)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리세스된 결합 리세스 홈(37c)이 중심 구멍(37d)의 내부 원주 면 상에 형성된다.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공급 링(37)이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장착될 때, 링 돌출부(36)는 결합 리세스 홈(37c)에 진입하고 그와 결합하며, 전방 단부 플랜지(333b)는 중심 구멍(37d) 내에 저장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전방 단부 면(333a)은 동력공급 링(37)의 전방 단부 면(37a)과 대략 동일 평면에 있다.
결합 리세스 홈(37c)의 형상 및 크기는, 동력공급 링(37)이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장착되어 결합 리세스 홈(37c)과 링 돌출부(36)가 결합된 상태에서 링 돌출부(36)가 중심 구멍(32)의 중심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공급 링(37)이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장착되고, 단자(51)의 축 부분(52)이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중심 구멍(32) 내로 삽입될 때, 링 돌출부(36)에 대응하는 섹션에서 형성된 밀봉 링(36a)은 축 부분(52)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탄성 원통형 부재(331)와 축 부분(52)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즉, 제1 밀봉 부재(333)의 내부 원주 면 상의 적어도 밀봉 링(36a)이 형성되는 부분은 제1 밀봉 면으로서 기능하고, 탄성 원통형 부재(331)와 축 부분(52)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71)은 플랜지(38)인 제2 밀봉 부재(334)와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장착된 동력공급 링(37) 사이의 범위에서 중심 실린더(335)의 외부 원주를 둘러싸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탄성 원통형 부재(331) 상에 장착된다. 더욱이, 코일 스프링(71)이 장착된 탄성 원통형 부재(331)가 단자(51)와 조합되고 단자 저장 공동(15) 내에 저장된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후방 단부가 베이스 부분(11)에 연결된 경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71)이 장착되는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전후 방향 길이는 단자 저장 케이스(12)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고, 따라서, 후방 단부 면(334a)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의해 전방으로 변위된 상태로 되고, 탄성 원통형 부재(331)는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고, 코일 스프링(71) 및 탄성 원통형 부재(331)는 예비부하가 인가되는 상태에 있다. 더욱이, 제2 밀봉 부재(334)는 코일 스프링(71)의 후방 단부에 의해 가압되고, 따라서 후방 단부 면(334a)은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탄성 원통형 부재(331)와 베이스 부분(11)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 제2 밀봉 면으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장착된 동력공급 링(37)의 후방 단부 면(37b)은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에 맞닿고 가압되며, 따라서, 동력공급 링(37)의 전방 단부 면(37a)이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전방 단부 면(333a)과 함께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으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탄성 원통형 부재(331)의 전방 단부 면(333a)은 제1 발명에서보다 작은 면적을 갖지만, 전방 단부 면(333a)은 플랜지(53)의 후방 면(53a)으로 가압되며, 따라서, 탄성 원통형 부재(331)와 플랜지(53) 사이의 보조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 보조 밀봉 면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동력공급 링(37)은 제1 밀봉 부재(333)의 원주 상에 배치되고, 제1 밀봉 부재(333)의 내부 원주 면의 적어도 일부가 축 부분(52)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제1 밀봉 부재(333)의 내부 원주 면과 축 부분(52)의 외부 원주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부분(11) 전방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접촉 부분(54)과 전방 관통 구멍(14a) 사이의 갭을 통해 진입할 때에도, 먼지, 수분, 가스 등은 축 부분(52)의 주연 공간에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액밀성 및 기밀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에 의해 먼지, 수분, 가스 등이 축 부분(52)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52b)과 베이스 부분(11)의 후방 관통 구멍(11a) 사이의 갭을 통해 베이스 부분(11) 후방의 공간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커넥터(1)는 제1 밀봉 부재(333), 제2 밀봉 부재(334), 및 제1 밀봉 부재(333) 및 제2 밀봉 부재(334)에 일체로 연결된 양 단부를 갖는 중심 실린더(335)를 포함하는 탄성 원통형 부재(331)를 포함하고, 제2 밀봉 부재(334)의 외경은 중심 실린더(335)의 외경보다 크고, 동력공급 링(37)과 결합된 링 돌출부(36)는 제1 밀봉 부재(333)의 외부 원주 상에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71)은 중심 실린더(335)의 외측 상에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71)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동력공급 링(37) 및 제2 밀봉 부재(334)에 맞닿는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71)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커넥터(1)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탄성 원통형 부재(33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32)을 포함하고, 축 부분(52)은 중심 구멍(32) 내에 저장되고, 제1 밀봉 부재(33)의 내부 원주 면의 일부는 중심 구멍(32)의 중심으로 돌출되는 밀봉 링(36a)이고, 밀봉 링(36a)은 축 부분(52)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제1 밀봉 부재(333)의 내부 원주 면과 축 부분(52)의 외부 원주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추가로, 접촉 부분(54)의 전방 단부(54a)가 정합 커넥터(101)의 정합 단자(151)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71)에 예비부하가 인가되고, 제2 밀봉 부재(334)의 후방 단부 면(334a)은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커넥터(1)가 정합 커넥터(101)에 연결되기 전의 상태에 있을 때에도, 제2 밀봉 부재(334)의 후방 단부 면(334a)과 베이스 부분(11)의 전방 리세스 부분(18)의 하부 면(18a) 사이의 접촉은 확실하게 밀봉되고, 그에 의해 베이스 부분(11)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밀봉 접촉을 기밀성 및 액밀성으로 제공한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한 커넥터(1) 및 정합 커넥터(101)의 다른 태양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은 생략될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은 바람직한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된 특징을 설명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사상 내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 변형예, 및 변경예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을 요약함으로써 당업자에 의해 자연스럽게 창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커넥터로서,
    후방 관통 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부분, 및 전방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전방 플레이트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단자 저장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축 부분, 상기 축 부분의 팁 단부에 연결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축 부분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단자 -
    상기 축 부분의 후방 단부 근접 부분이 상기 후방 관통 구멍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도성 몸체가 상기 후방 단부 근접 부분의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부는 상기 베이스 부분의 후방 면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전방 관통 구멍 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전방 플레이트 부분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접촉 부분의 전방 단부는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와 접촉가능함 -;
    상기 축 부분의 원주 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에 전방으로 동력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동력공급 부재(energizing member); 및
    상기 동력공급 부재의 팁 단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동력공급 부재의 후방 단부와 상기 베이스 부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상기 제1 밀봉 부재를 상기 제2 밀봉 부재와 연결하기 위한 중심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후방 단부 면이 상기 베이스 부분의 전방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상기 후방 단부 면과 상기 전방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전방 단부 면이 상기 플랜지의 후방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상기 전방 단부 면과 상기 후방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 부재는 원통형 밀봉 부재 내에 매설되고, 상기 동력공급 부재의 전방 단부에 대한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의 전방 부분은 상기 제1 밀봉 부재이고, 상기 동력공급 부재의 후방 단부에 대한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의 후방 부분은 상기 제2 밀봉 부재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와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는 상기 축 부분이 상기 중심 구멍 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조합되고, 상기 단자 저장 케이스의 단자 저장 공동 내에 저장되는,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 내의 적어도 상기 제1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부분 및 적어도 상기 제2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부분은 상기 동력공급 부재 내측에 위치된 내측 부분 및 상기 동력공급 부재 외측에 위치된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 및 상기 외측 부분은 원통형인,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은 원통형이고, 상기 외측 부분의 외부 원주 면의 단면은 정사각형인,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의 단면의 면적과 상기 외측 부분의 단면의 면적은 동일한, 커넥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의 전방 단부가 상기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동력공급 부재에 예비부하(preload)가 인가되고,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전방 단부 면은 상기 플랜지의 후방 면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후방 단부 면은 상기 베이스 부분의 전방 면에 대해 가압되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가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원주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내부 원주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 부분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의해 상기 내부 원주 면과 상기 외부 원주 면 사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밀봉 부재, 상기 제2 밀봉 부재, 및 상기 제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2 밀봉 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양 단부를 갖는 중심 실린더를 포함하는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외경은 상기 중심 실린더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외부 원주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공급 부재는 상기 중심 실린더의 외측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공급 부재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상기 반경 방향 동력공급 부재 및 상기 제2 밀봉 부재에 맞닿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밀봉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축 부분은 상기 중심 구멍 내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내부 원주 면의 일부는 상기 중심 구멍의 중심으로 돌출되는 밀봉 링이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축 부분의 외부 원주 면에 대해 가압되는,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의 전방 단부가 상기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동력공급 부재에 예비부하가 인가되고,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후방 단부 면은 상기 베이스 부분의 전방 면에 대해 가압되는, 커넥터.
KR1020207015148A 2017-10-31 2018-10-29 커넥터 KR102349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9952 2017-10-31
JP2017209952 2017-10-31
JPJP-P-2018-071792 2018-04-03
JP2018071792A JP6960881B2 (ja) 2017-10-31 2018-04-03 コネクタ
PCT/US2018/057964 WO2019089438A1 (en) 2017-10-31 2018-10-29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090A KR20200065090A (ko) 2020-06-08
KR102349799B1 true KR102349799B1 (ko) 2022-01-12

Family

ID=6666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148A KR102349799B1 (ko) 2017-10-31 2018-10-29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8088B2 (ko)
JP (1) JP6960881B2 (ko)
KR (1) KR102349799B1 (ko)
CN (1) CN111279556B (ko)
DE (1) DE112018005241T5 (ko)
TW (1) TWI690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4543B2 (ja) * 2018-12-18 2023-01-3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用シール部材、その製法及びそれを備えるコネクタ
US11081832B2 (en) * 2018-12-18 2021-08-03 Molex, Llc Terminal sealing memb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8848A1 (en) 2003-07-16 2005-03-03 Josef Axenbock Spring-loaded contact connector
US20130149918A1 (en) 2011-03-04 2013-06-1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US20140220801A1 (en) * 2011-09-07 2014-08-07 Ks Consultant Kabushiki Kaisya Connector for Electric Conductor
US20150325943A1 (en) 2014-05-08 2015-11-12 Baker Hughe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ressure on an Elastomeric Se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039A (en) * 1969-09-05 1971-06-28 Bolt Associates Inc Solenoid valve structures and systems
US4245194A (en) * 1979-07-16 1981-01-13 Gte Products Corporation Compact pulsed gas transport laser
JP3750907B2 (ja) 1999-11-16 200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02246128A (ja) * 2001-02-19 2002-08-30 Micronics Japan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5059527B2 (ja) * 2007-09-12 2012-10-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中継コネクタ
US20150125325A1 (en) * 2013-11-05 2015-05-07 Ge Oil & Gas Esp, Inc. Spring-energized seal for high temperature sealing of power cable to connector
JP6458668B2 (ja) * 2015-07-06 2019-01-30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雄コネクタの防水キャップ
LU92790B1 (en) * 2015-08-06 2017-02-14 Ipalco Bv A system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temporary electrical power connection
CN205452682U (zh) * 2015-12-22 2016-08-10 东莞市泰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拆装连接器
US20180040993A1 (en) * 2016-01-13 2018-02-08 Shanghai Radiall Electronics Co., Ltd. Coaxial connection system for rf signals with high rf performance levels
CN107230858B (zh) 2017-07-13 2023-05-23 中国工程物理研究院材料研究所 一种弹碰式密封电插头
WO2019089438A1 (en) 2017-10-31 2019-05-09 Molex, Llc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8848A1 (en) 2003-07-16 2005-03-03 Josef Axenbock Spring-loaded contact connector
US20130149918A1 (en) 2011-03-04 2013-06-1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US20140220801A1 (en) * 2011-09-07 2014-08-07 Ks Consultant Kabushiki Kaisya Connector for Electric Conductor
US20150325943A1 (en) 2014-05-08 2015-11-12 Baker Hughe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ressure on an Elastomeric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5241T5 (de) 2020-09-03
CN111279556B (zh) 2021-10-01
US11128088B2 (en) 2021-09-21
TWI690123B (zh) 2020-04-01
US20200244004A1 (en) 2020-07-30
TW201933696A (zh) 2019-08-16
JP2019083184A (ja) 2019-05-30
CN111279556A (zh) 2020-06-12
JP6960881B2 (ja) 2021-11-05
KR20200065090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7052B2 (en) Waterproof conne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TWI543452B (zh) 連接器
US9893451B2 (en) Plug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rotector
KR102349799B1 (ko) 커넥터
US20220216576A1 (en) Electronic device
CN109038038B (zh) 连接器
US10367293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8200765A (ja) コネクタ
JP5638932B2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EP2665140A1 (en) Electric connector
US10411385B2 (en) Connector structure for device connection
US11081832B2 (en) Terminal sealing memb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9755352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connector
WO2019089438A1 (en) Connector
JP7214543B2 (ja) 端子用シール部材、その製法及びそれを備えるコネクタ
US20100233522A1 (en) Battery connector and holding structure for battery
JP3287046B2 (ja) マグネット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717122U (zh) 一种插头内架及电源插头
JP2018133334A (ja) 取付金具、コネクタ、ヘッダ、及び接続システム
US11381031B2 (en) Connector having a terminal fixed to a housing
CN111342294A (zh) 电连接器的胶垫定位组件
JP2020516023A (ja) 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