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33B1 -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533B1
KR102349533B1 KR1020210039626A KR20210039626A KR102349533B1 KR 102349533 B1 KR102349533 B1 KR 102349533B1 KR 1020210039626 A KR1020210039626 A KR 1020210039626A KR 20210039626 A KR20210039626 A KR 20210039626A KR 102349533 B1 KR102349533 B1 KR 10234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weight
parts
amino acids
small intes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순미
이다연
신진나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주)깊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주)깊은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04Animal proteins
    • A23J3/08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7/00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42Zin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52Whey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V2250/5488Soybean protein

Abstract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화 흡수력을 높이면서 소장 세포벽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레시틴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산화아연 0.02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 및 식이유황 4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Protein composition with increased absorption of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단백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은 지방 및 탄수화물과 함께 3대 영양 성분 중의 하나로서 생체 내 효소, 호르몬, 항체 등을 구성하여 생명 활동을 유지하며, 근육 등의 체조직을 구성한다. 상기 단백질은 생체를 구성하고 생체 내의 반응 및 에너지 대사에 참여하는 중요한 유기물이며,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중에서도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어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의 섭취를 위해,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은 단백질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예를 들어, 운동선수는 단백질을 많이 섭취할수록 근육이 더 증강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한편, 인간은 노화로 인해 소화력과 흡수력이 떨어지고, 특히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40대부터는 해마다 1%씩 체내 근육량이 감소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극심한 다이어트나 격렬한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체중이 감소하면서 근육도 함께 감소하는 ‘근손실’을 겪게 된다. 근육이 감소하면 척추나 무릎에 무리가 가 관절 건강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근육 합성에 도움이 되는 단백질을 섭취해 소화력을 높임으로써 근육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단백질의 섭취를 통해 근육 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미노산의 소화성 및 소장 내 흡수력을 증대시키면서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이 첨가된 단백질 보충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133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적정 비율로 사용하여 아미노산의 소화력 및 흡수력을 높이면서 소장 세포벽 보호 효과를 갖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필수 아미노산 중 근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화력 및 흡수력을 높이면서 소장 세포벽 보호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두레시틴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산화아연 0.02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 또는 식이유황 4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은 농축 유청 단백질 및 분리유 단백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1 : 1 내지 2 : 1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2 : 1 내지 1 : 2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1.2 : 1 내지 1 : 1.2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단백질은 분리대두단백질(soy protein isolate, SPI)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소장 세포내 분지쇄 아미노산의 흡수 촉진용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적정 비율로 사용하여 분지쇄 아미노산의 소화 흡수력을 높이면서 관절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5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생체 소화 모사 시스템에 활용하여 상기 조성물 내 분지쇄 아미노산의 소화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5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소화 산물 상층액의 소장 세포(Caco-2) 처리 후 류신, 이소류신, 발린, 총 BCAA의 소장 세포 투과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5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소화 산물 상층액의 소장 세포(Caco-2) 처리후 배양 시간 동안의 세포강직도(TEER)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험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시틴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아연 0.02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 또는 식이유황 4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전유단백질,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분리유 단백질(milk protein isolate, MPI), 카세인, 및 카세인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동물성 단백질은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동물성 단백질은 유청 단백질(whey protein)과 분리유 단백질(MPI)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은 우유 단백질의 성분으로 수분에 잘 녹고 빠르게 소화 및 흡수되며 면역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 중 근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분지쇄 아미노산(branched-chain amino acid, BCAA)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근육성장에 지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은 보통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맑은 액체인데, 이 액체에 담긴 단백질의 품질은 소고기나 콩 단백질에 비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단백질보다 우수할 수 있다. 이는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이 다른 여타의 단백질보다 근육 내 흡수되는 비율이 더 뛰어나고 근육 합성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아미노산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의 종류는 크게 단백질 순도와 흡수도에 따라 농축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s, WPC), 분리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isolates, WPI) 및 가수분해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hydrolysates, WPH)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청 단백질(whey protein)은 상기 농축 유청 단백질(WPC)일 수 있다. 상기 농축 유청 단백질(WPC)은 우유를 농축시켜 만든 분말로 원재료인 우유에 대하여 침전, 여과, 투석의 물리적인 분리과정을 통해 단백질의 성분을 높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리유 단백질(MPI)는 탈지유에서 유청 단백질(whey protein)과 카세인을 침전시킨 것으로 분리유 단백질은 불순물 제거과정을 거쳐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단백질은 주로 곡류나 두류에 포함된 단백질일 수 있으며, 분리대두단백질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대두단백질(soy protein isolate, SPI)은 대두에서 단백질 부분만을 분리하여 제품화한 것으로서, 탄수화물, 지방이 제거되어 영양학적으로 완벽한 식물성 단백질원이며 식품제조시 사용 및 응용범위가 매우 넓은 식품소재일 수 있다. 특히, 분리대두단백질(SPI)은 90 중량%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고 필수아미노산을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로써 동물성 단백질과 비교하여 동물성 단백질의 대체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서 상기 단백질 공급원에 포함된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함량비는 2:1 내지 1:2 일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1.5:1 내지 1: 1.5일 수 있고, 더욱 자세하게는 1.2:1 내지 1:1.2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서 상기 단백질 공급원의 소장 세포 내로의 투과력, 흡수력 및 소장 세포벽의 보호를 통한 흡수 촉진을 위해 상기 레시틴, 아연 또는 식이유황(MSM)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인체내 생체막의 구성 성분으로 투과성, 유화성 등 생체막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생명 현상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서 레시틴은 유화제로 사용되어 단백질 조성물의 소화를 도우며,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단백질 조성물이 소화되어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수용화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시틴은 담즙염(bile salt)의 활성을 억제하여 소장 세포막의 손상을 막음으로써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를 도울 수 있다. 상기 담즙염(bile salt)는 소화 과정에서 지방의 흡수를 도우나, 상기 담즙염(bile salt)이 소장 세포막을 공격해 손상하면,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레시틴의 종류는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으로, 상기 대두 레시틴(soybean lecithin)은 대두유를 여과하여 수소화하여 분리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서 상기 레시틴은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4 중량부 내지 6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자세하게는 4.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아연은 굴이나 육류 등의 동물성 식품에 많이 들어있는 미네랄로, 성인의 체내에는 약 2.5g 정도의 아연이 모든 세포에 존재한다. 특히, 상기 아연은 뼈와 근육, 피부, 눈 등 신진 대사가 활발한 세포에 특히 많이 존재하며, 핵산과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하고 새로운 세포를 만들기 위해 성장과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성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아연은 산화아연으로, 상기 산화아연은 체내에서 인지질합성에 필요한 무기질로 체내에서 단백질의 합성과 세포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상기 산화아연은 식품첨가물로서도 스낵과자류, 영양 보충식품 등에 영양강화제의 목적으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첨가물로서 사용된 산화아연은 세포신호물질의 역할을 하여 호르몬분비나 신경자극을 전달할 때 필요한 성분이다. 상기 산화아연은 특정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소장 내 장벽기능을 향상시켜 영양소의 수송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산화아연의 신호전달 특성에 의해 단백질의 흡수가 촉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0.03 중량부 내지 0.06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자세하게는 0.04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식이유황(MSM)은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의 산화과정에서 생성되는 천연물로서, 통증 완화작용, 염증 억제작용, 우수한 약물 전달계에서 약물 전달 담체로서의 용도, 혈관팽창 및 혈액 흐름의 개선작용, 노화 방지 및 장의 연동작용에 의한 변비 개선작용을 도우며, 콜라겐(Collagen)의 교차 결합 과정을 변화시켜 흉터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켜 준다. 또한, 노화로 인하여 체내에서 황의 결핍이 누적되면 관절 등의 신체 조직의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때 체내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연골 형성에 필요한 요소인 상기 식이유황(MSM)을 섭취하면 관절염 증상지수가 낮아져 통증이 줄고 관절의 불편했던 부분도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이유황(MSM)을 단백질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소장 세포벽의 보호 효과 및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흡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서 상기 식이유황(MSM)은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내지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7 중량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백질 공급원인 동물성 단백질 및 식물성 단백질의 혼합물에 상기 대두레시틴,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MS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공급원에 대두레시틴만을 단독으로 추가한 것 대비, 추가로 산화아연 또는 식이유황(MSM)을 첨가한 경우 소장으로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흡수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소장 세포벽을 보호하여 상기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흡수가 극대화된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MSM)을 동시에 추가한 경우 소장 세포내 아미노산의 소화력 및 흡수력을 높이면서 소장 세포벽 보호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험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험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백질 원료 혼합물 함유 조성물 제조
[제조예 1]
동물성 단백질로 농축유청단백질 분말 0.96 g과 분리유단백질 분말 0.35 g을 사용하고, 식물성 단백질은 분리대두단백질 분말 1.18 g을 사용하였다. 상기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혼합하여 단백질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 따른 단백질 원료 혼합물에 대두 레시틴 0.12 g(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비 4.8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분말 형태의 단백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2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 산화아연 0.0011 g(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비 0.044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분말 형태의 단백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제조예 2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 식이유황 0.15 g(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비 6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분말 형태의 단백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2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에 산화아연 0.0011 g(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비 0.044 중량부)와 식이유황 0.15 g(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비 6 중량부)를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단백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분지쇄 아미노산(BCAA) 함량 분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40 ℃의 컬럼(Intrada Amino Acid, 3.0x150mm, 3μm, Imtakt Corporation, Japan)이 장착된 UPLC-ESI-MS/MSn(LCQ flee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약 6 mg의 농축유청단백질 분말, 분리유단백질 분말 또는 분리대두단백질 분말 각각에 6 N 염산 3 mL를 가한 후 105 내지 11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이후 4 ℃에서 식혀 가수분해를 종결시킨 다음 질소농축기를 이용해 염산을 모두 증발시켰다. 염산이 증발한 후 남은 잔여물에 5 mL 물을 가해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0.45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필터로 여과시킨 여과액을 UPLC 분석 샘플로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Acetonitrile/formic acid=100/0/3, HPLC grade)와 B(Acetonitrile/100mM ammonium formate=20/80, HPLC grade)가 사용되었으며, 유속은 0.6 mL/min, 주입량은 5 μL로 설정되었다. 농도 구배(gradient)는 이동상 B를 0분 내지 5분(20 %), 5분 내지 11분(20 % 내지 35 %), 11분 내지 20분(35 % 내지 100 %), 20분 내지 24분(100 %), 24분 내지 24.1분(20 % 내지 100 %), 24.1분 내지 30분(20 %)로 설정하였다.
이온화는 양이온 모드(positive ion-mode)에서 전기분무이온화(Electrospray ionization, ESI)의 선택이온검출모드(Selected ion monitoring, SIM)를 사용하였고, 모세혈관 전압(capillary voltage)은 35 V, 모세혈관 온도(capillary temperature)는 275 ℃로 설정하여 검출하였다. 모든 샘플은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UPLC) 분석기에 주입되기 전 0.45 ㎛ PVDF 필터로 여과시킨 후 분석하였다. 이 때, 상기 분지쇄 아미노산(BCAA) 3종은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이다.
함량(mg/g powder)
농축유청단백질 분리유단백질 분리대두단백질
류신 76.68 ± 8.58ab 97.02 ± 8.84a 62.38 ± 3.80b
이소류신 62.45 ± 4.57a 52.38 ± 6.45a 45.92 ± 2.88a
발린 77.20 ± 4.07a 86.02 ± 4.63a 78.24 ± 5.55a
총 BCAA 216.33 ± 19.12a 235.45 ± 15.26a 186.54 ± 14.90a
표 1은 분지쇄 아미노산(BCAA) 함량 분석예에 따른 농축유청단백질, 분리유단백질 및 분리대두단백질 분말에 함유된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발린(valine) 및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분리유 단백질에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농축유청단백질과 분리대두단백질이 그 뒤를 이었다. 더욱 자세하게는 분리유단백질에 류신(leucine)과 발린(valine)의 함유량이 다른 원료에 비해 높으며, 농축유청단백질에는 이소류신(isoleucine)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생체 소화 모사 시스템을 통한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화성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 따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in vitro에서의 생체 소화 모사 평가 모델인 인공 소화액에서 3 시간 가량 동안 연속 배양하였고, 소장 단계 후의 최종 소화 산물을 취한 후 UPLC-ESI-MS/MSn 장비 분석 조건은 상기 BCAA 함량 분석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단백질 원료 혼합물 함유 조성물 제조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6 mL의 인상 완충용액에 녹이고, 8 mL의 펩신 용액을 첨가한 후 염산으로 pH를 2.0으로 조절한 뒤 37 ℃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소장 전 단계의 조건을 위해 탄산수소나트륨(NaHCO3)용액을 가해 pH 5.3으로 조정하고, 소장 내 소화 효소인 판크레아틴(pancreatin), 담즙산(bile acid), 리파아제(lipase) 용액을 각각 4 mL씩 첨가한 후,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이용하여 pH 7.0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37 ℃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를 거쳐 상등액만 취하여 LC-MS를 이용하여 분지쇄 아미노산(BCAA) 3종의 함량을 분석한 후 소화성(Bioaccessibility, % of control)을 평가하였다. 상기 소화성(Bioaccessibility)은 생체접근성이라고도 하며, 활성성분이 생체 내부의 소화과정에서 용출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5에 따른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화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조예 1의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발린(valine) 또는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화성을 100 %로 가정하였다. 먼저, 류신(leucine)의 소화성은 제조예 2에서 109.36 %, 제조예 3에서 103.13 %, 제조예 4에서 97.53 %, 제조예 5에서 107.91 %로 나타났으며, 제조예 3과 제조예 5가 95 %의 유의성에서 대조군인 제조예 1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소류신(isoleucine)의 경우, 제조예 5가 109.69 %로 대조군과 1 %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제조예 2 내지 4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발린(valine)의 소화성은 제조예 4를 제외한 나머지 제조예에서 소폭 증가했으나 제조예 1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함량을 고려했을 때, 제조예 2가 107.51 %, 제조예 5가 107.14 %로 99 %의 유의성에서 제조예 1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제조예 4는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 및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에서 모두 제조예 1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소화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백질 원료 혼합물에 제조예 2와 같이 대두레시틴만 단독으로 첨가되거나, 제조예 5와 같이 대두레시틴,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이 모두 첨가된 경우, 단백질 원료 혼합물이 단독으로 사용된 제조예 1에 비하여 좋은 소화성(bioaccessibility)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장 세포 내 수송 평가>
소장 내 상피세포(Caco-2)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얻은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는 10 % 송아지혈청(FBS), 1% 항생제(penicillin/streptomycin)를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양액을 통해 37 ℃, CO2 5 %의 대기조건에서 배양되었다. 계대 번호(passage number) 46 ~ 50번 사이의 Caco-2 세포 2 x 105개를 각각 미세기공 멤브레인(microporous membrane)을 구비하는 12 transwell에 7~14일간 배양하여 90~100 % confluency 상태를 만들었다. TEER(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값은 Millicel ERS-2 system(Merck Millipore Corporation, USA)을 이용해서 측정했고, TEER 값이 250 Ω/cm2을 초과하는 세포를 분지쇄 아미노산(BCAA) 수송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예 2의 소화 모사 시스템을 거친 소화 산물 샘플의 상층액을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양액을 사용해 1 : 10의 비율로 희석시킨 후, 0.2 ㎛ PVDF 필터를 이용해 여과시킨 희석액 0.5 mL를 상기 confluency 상태에 있는 장내 상피 세포의 상층부(apical area)에 처리하였다. 배양 30분 후, 상기 세포에 일정량의 기저액을 취하여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수송량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배양하는 2시간 동안 매 30분의 간격으로 TEER 값을 측정하여 도 3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소장세포의 세포강직도, TEER of epitherial membrane (% of control)
Time(min) 0 30 60 90 120
제조예 1 평균 100.0 80.6 80.1 79.4 81.1
표준편차 0.3 2.4 1.1 0.8 0.5
제조예 2 평균 100.0 85.3 82.5 82.0 83.1
표준편차 0.3 2.7 0.9 0.3 0.3
제조예 3 평균 100.0 95.5 86.9 83.8 84.9
표준편차 0.8 0.6 1.1 0.6 1.2
제조예 4 평균 100.0 97.3 90.2 87.6 89.9
표준편차 1.1 0.5 1.4 1.8 1.9
제조예 5 평균 100.0 97.9 90.6 90.0 92.8
표준편차 0.6 1.1 0.6 0.2 0.5
표 2는 제조예 1 내지 5의 TEER 값을 매 30분 간격으로 총 3번씩 실험하여 얻은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이다.
도 2는 제조예 1 내지 5에 따른 단백질 원료 혼합물 함유 조성물을 소장 세포 내 수송 평가를 위하여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 및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장세포 내 투과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 모두 투과량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조군인 제조예 1과 비교하여 제조예 2 내지 5 모두 유의적으로 투과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조예 2에 따른 단백질 조성물 내 류신(leucine)의 투과량은 제조예 1과 비교하여 95%의 유의성 기준에서 증가하였으나 제조예 3 내지 5를 비롯하여 이소류신(isoleucine) 및 발린(valine)의 소장 세포 투과량은 99 %의 유의성 기준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발린(valine)은 류신(leucine) 및 이소류신(isoleucine)에 비하여 높은 투과량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분지쇄 아미노산(BCAA) 3종의 총 함량을 고려했을 때 제조예 2 내지 5 모두 제조예 1과 비교하여 99 %의 유의성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며, 투과량은 제조예 5가 가장 높고, 제조예 4, 제조예 3, 제조예 2, 제조예 1의 순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소장 세포 내 투과량의 경향이 총 분지쇄 아미노산(BCAA)의 투과량에도 반영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제조예 1 내지 5의 단백질 조성물의 희석된 소화 산물의 소장 세포의 세포 강직도(TEER)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소장 세포의 세포 강직도(TEER) 값은 높게 유지될수록 소장세포벽이 튼튼함을 나타내며, 분지쇄 아미노산(BCAA)과 같은 유효성분의 흡수 증대 및 불순물의 흡수를 막을 수 있다.
도 3 및 표 2를 참조하면, 소화 산물 처리 직후(0 분)의 소장 세포의 세포 강직도(TEER) 값을 100 %로 하였을 때, 소화 산물 처리 30분 후 제조예 1과 2의 소장 세포의 세포 강직도(TEER) 값은 각각 80.6 %와 85.3 %로 다소 크게 감소하였으나, 향후 90분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마지막 120분에서 각각 81.1 %, 83.1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조예 3 내지 5는 소화 산물 처리 30 분 후 2.1~4.5 % 감소하여 제조예 1과 2에 비해 감소폭이 적었으며, 60 분 후 7.1~8.6 %가량 더 감소하였다. 특히, 소화 산물 처리 90 분 후 제조예 3과 4는 각각 3.1 %와 2.6 % 더 감소하였고, 마지막 120 분에 이르렀을 때, 제조예 1 내지 5 모두에서 90 분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화 산물을 처리 후 90 분 후 소장 세포의 세포 강직도(TEER) 값을 비교했을 때, 대두레시틴을 첨가(제조예 2)한 경우와 대두레시틴에 산화아연을 추가로 첨가한 경우(제조예 3), 각각 82.0 %, 83.8 %로 측정되어 그 차이가 1.8 %로 산화아연에 의한 TEER 증가가 관찰되었고, 대두레시틴에 식이유황(MSM)을 추가로 첨가한 경우(제조예 4)는 87.6 %로 측정되어 상기 제조예 2와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5.6 %로 식이유황(MSM)에 의한 TEER 값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한편, 대두레시틴에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MSM)이 동시에 첨가된 경우(제조예 5) 90.0 %로 측정되어 상기 제조예 2와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8.0 %로 나타났으며, 상기 제조예 2와 3의 차이인 1.8 %(산화아연에 의한 TEER 증가값) 및 상기 제조예 2와 4의 차이인 5.6 %(식이유황에 의한 TEER 증가값)를 더한 값인 7.4 %보다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MSM)에 의한 더 높은 TEER 값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화아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 대비 식이유황(MSM)과 산화아연을 동시에 사용할 때 소장 세포의 보호에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화 산물을 처리한 직후(0 분)와 120분 후 소장 세포의 세포 강직도(TEER) 값을 비교했을 때, 제조예 5에서 약 7.18 % 가장 낮은 감소폭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백질 원료 혼합물이 단독으로 사용(제조예 1)되는 것에 비해 대두레시틴, 산화아연 및 식이유황을 복합적으로 사용(제조예 5)할 때, 소장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대두레시틴이 포함되었을 때는 산화아연과 식이유황의 단독처리(제조예 3, 4) 또는 복합처리(제조예 5)시 모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험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험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단백질 공급원 100 중량부;
    대두레시틴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산화아연 0.02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 및
    식이유황 4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동물성 단백질과 상기 식물성 단백질은 1.2 : 1 내지 1 : 1.2의 비율로 함유되고,
    소장 세포내 분지쇄 아미노산의 흡수 촉진용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단백질은 농축 유청 단백질 및 분리유 단백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단백질은 분리대두단백질(soy protein isolate, SP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210039626A 2021-03-26 2021-03-26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KR10234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626A KR102349533B1 (ko) 2021-03-26 2021-03-26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626A KR102349533B1 (ko) 2021-03-26 2021-03-26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33B1 true KR102349533B1 (ko) 2022-01-12

Family

ID=7933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626A KR102349533B1 (ko) 2021-03-26 2021-03-26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5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0840A1 (en) * 2005-05-24 2006-12-14 Robertson Marion G Universal protein formulation meeting multiple dietary needs for optimal health and enhancing the human immune system
KR20140129440A (ko) * 2013-04-29 2014-11-07 코오롱제약주식회사 단기 및 장기 운동시 운동 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KR101661333B1 (ko) 2016-04-04 2016-10-13 이더블 주식회사 한끼 식사용 밀웜 쉐이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0840A1 (en) * 2005-05-24 2006-12-14 Robertson Marion G Universal protein formulation meeting multiple dietary needs for optimal health and enhancing the human immune system
KR20140129440A (ko) * 2013-04-29 2014-11-07 코오롱제약주식회사 단기 및 장기 운동시 운동 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KR101661333B1 (ko) 2016-04-04 2016-10-13 이더블 주식회사 한끼 식사용 밀웜 쉐이크와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FCT, 2018 *
Nutrients, 2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ández-Ledesma et al. Bioactive components of ovine and caprine cheese whey
EP2320751B1 (de) Molkenproteinhydrolysate enthaltend tryptophanhaltige peptide aus alpha-lactalbumin und deren verwendung
EP2039365B1 (en) Visceral fat accumulation inhibitor, and agent for promoting the increase in and/or inhibiting the decrease in blood adiponectin level
US7977066B2 (en) Method for preparing tryptophan rich peptides
KR100509681B1 (ko) 포유동물의 초유 또는 유즙 유래의 유청분리분획을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식품 조성물
US11116233B2 (en) Process for producing infant formula products and acidic dairy products from milk
CN104798908A (zh) 一种富锌配方羊奶粉及其制备方法
KR20100108557A (ko) 간기능 보호제
CN102987275B (zh) 一种高生物效价的大豆低聚糖肽的制备方法
KR20180118520A (ko) 마유(馬乳) 가수분해 유청단백질(wph)분말과 베타카제인을 함유한 근소실재활환자 근육강화용 마유 조제분유 조성물 및 조제유
EP2208734B1 (en) Food material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osteoclast
JP3092874B2 (ja) 乳清由来の骨芽細胞増殖・骨強化画分及び該画分を含有する骨強化食品、飼料、薬品類
KR102349533B1 (ko) 유효 성분의 흡수율이 증대된 단백질 조성물
JP2004097021A (ja) ワカメタンパク質含有組成物および食品
CN110973645A (zh) 一种具有脑神经营养作用的蛋白粉
JPH10257867A (ja) 低アルブミン血症改善用食品
CN114947138A (zh) 一种预防与改善钙缺乏病的乳钙组合物、其制法及应用
JPH06165655A (ja) コレステロール低減用組成物
KR101322282B1 (ko) 젤라틴 유래 효소분해물을 함유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CN111374320A (zh) 一种补充优质蛋白质且易吸收的健康食品
RU2713935C1 (ru) Пептиды мор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 нуклеотиды рыб, композици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снижения уровня глюкозы в крови
WO2018221526A1 (ja) 栄養組成物
M I et al. Utilization of milk protein hydrolysate in functional beverages
KR100911064B1 (ko) 트립토판을 함유한 펩티드 혼합물
AU2008200050B2 (en) Method For Preparing Tryptophan Rich Pept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