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350B1 -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350B1
KR102349350B1 KR1020210035096A KR20210035096A KR102349350B1 KR 102349350 B1 KR102349350 B1 KR 102349350B1 KR 1020210035096 A KR1020210035096 A KR 1020210035096A KR 20210035096 A KR20210035096 A KR 20210035096A KR 102349350 B1 KR102349350 B1 KR 10234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water
fire
front surface
discharg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주)하나종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종합테크 filed Critical (주)하나종합테크
Priority to KR102021003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소방표시장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하여 대피자의 용이한 대피를 안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도 물분사장치와, 안료분사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신체가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소방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된 매립함과, 상기 매립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물투입공이 형성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물배출펌프와, 상기 물배출펌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이송파이프와, 상기 물이송파이프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물배출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의 전면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장치와, 상기 물분사장치와 인접하게 매립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안료투입공이 형성된 안료탱크와, 상기 안료탱크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안료배출펌프와, 상기 안료배출펌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료이송파이프와, 상기 안료이송파이프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료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안료배출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의 전면으로 안료를 분사시키는 안료분사장치와, 상기 매립함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배출펌프 및 안료배출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진동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매립함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에는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모듈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노즐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물분사노즐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분사노즐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안료분사노즐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Fire fighting equipment for emergency evacuation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소방표시장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하여 대피자의 용이한 대피를 안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도 물분사장치와, 안료분사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신체가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화재나 지진 따위의 갑작스러운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된 사람이 대피를 이룰 수 있는 비상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건축물에는 대피를 이루는 사람이 비상구의 방향으로 올바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점등을 이루고 있는 비상구 표시장치 등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비상구 표시장치 등은 건축물의 실외 방향으로 사람을 안내하거나,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된 각종 통로와 안전한 장소의 방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비상구 표시장치 등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루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며, 대개는 비상구의 위치를 가리키는 화살표의 문양을 사용하거나, 사람이 걷거나 뛰고 있는 문양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비상구 표시장치는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복도, 통로 또는 지하도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대피를 이루는 사람에게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과 같은 비상구 표시장치 등은,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발광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안내문자 등을 통하여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비상구의 위치를 대피 과정에 있는 사람에게 알려줄 수는 있으나, 비상구 표시장치가 위치된 장소의 화제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려워 비상구의 방향으로 대피를 이루는 사람의 신속한 대피를 도모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는 대피를 이루는 사람의 이동 동선을 용이하게 안내하기에는 어려운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1859(2019.10.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본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소방표시장치 주변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고, 이를 통한 대피자의 대피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도, 안료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형광안료가 소방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바닥면이나,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신체에 분사되도록 하여, 소방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통하여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이동 동선을 용이하게 확인하며 다수의 사람이 안정적인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구비된 물분사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소방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방표시장치의 주위에서 발생 된 화재가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의 초기 진압 실패에 따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방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된 매립함과, 상기 매립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물투입공이 형성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물배출펌프와, 상기 물배출펌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이송파이프와, 상기 물이송파이프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물배출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의 전면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장치와, 상기 물분사장치와 인접하게 매립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안료투입공이 형성된 안료탱크와, 상기 안료탱크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안료배출펌프와, 상기 안료배출펌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료이송파이프와, 상기 안료이송파이프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료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안료배출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의 전면으로 안료를 분사시키는 안료분사장치와, 상기 매립함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배출펌프 및 안료배출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진동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매립함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에는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모듈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노즐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물분사노즐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분사노즐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안료분사노즐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상기 덮개판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전면에는 이동표시문양이 형성된 표시함과,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함의 후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복수개의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탱크에 수용되는 안료는 야광안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본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소방표시장치 주변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고, 이를 통한 대피자의 대피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도, 안료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형광안료가 소방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바닥면이나,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신체에 분사되도록 하여, 소방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통하여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이동 동선을 용이하게 확인하며 다수의 사람이 안정적인 대피를 이룰 수 있다.
넷째, 구비된 물분사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소방표시장치가 설치된 위치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방표시장치의 주위에서 발생 된 화재가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의 초기 진압 실패에 따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된 매립함(10)과,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물투입공(21a)이 형성된 물탱크(21)와, 상기 물탱크(2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물배출펌프(22)와, 상기 물배출펌프(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이송파이프(23)와, 상기 물이송파이프(23)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사노즐(24)로 구성되어 상기 물배출펌프(2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장치(20)와, 상기 물분사장치(20)와 인접하게 매립함(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안료투입공(31a)이 형성된 안료탱크(31)와, 상기 안료탱크(3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안료배출펌프(32)와, 상기 안료배출펌프(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료이송파이프(33)와, 상기 안료이송파이프(33)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료분사노즐(34)로 구성되어 상기 안료배출펌프(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으로 안료를 분사시키는 안료분사장치(30)와,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배출펌프(22) 및 안료배출펌프(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1)와,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2)과,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43)와,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진동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44)로 구성된 제어부(40)와,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체결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51)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에는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모듈(42)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부(52)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노즐(24)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물분사노즐(24)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분사노즐(34)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안료분사노즐(34)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54)이 형성된 덮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립함(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본 발명인 소방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매립함(10)은 견고하면서도 가벼운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습기 등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분사장치(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물투입공(21a)이 형성된 물탱크(21)와, 상기 물탱크(2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물배출펌프(22)와, 상기 물배출펌프(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이송파이프(23)와, 상기 물이송파이프(23)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사노즐(24)로 구성되어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물탱크(21)는 상측에 형성된 물투입공(21a)으로 물을 투입하는 경우, 투입된 물이 내측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배출펌프(22)는 일단이 상기 물탱크(2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물이송파이프(23)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물배출펌프(22)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 물탱크(21) 내측의 물이 물이송파이프(23)로 이송을 이룬 후, 상기 물분사노즐(24)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배출펌프(22)와 물이송파이프(23)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물이송파이프(23)와, 물분사노즐(2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쉽게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노즐(24)은 상기 물이송파이프(23)의 전면에 복수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덮개판(50)의 끼움공(53)에 전면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물분사노즐(24)의 전면이 덮개판(50)에 형성된 끼움공(53)에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물배출펌프(22)를 통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는 물을 덮개판(50)의 전면으로 배출시키는 경우에도 물분사노즐(24)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분사장치(20)의 구성을 통하여,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으로 물탱크(21) 내측의 물이 분사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인 소방표시장치 주변의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한, 대피자의 대피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료분사장치(30)는 상측에 안료투입공(31a)이 형성된 안료탱크(31)와, 상기 안료탱크(3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안료배출펌프(32)와, 상기 안료배출펌프(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료이송파이프(33)와, 상기 안료이송파이프(33)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료분사노즐(34)로 구성되어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료탱크(31)는 상측에 안료가 투입될 수 있는 안료투입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안료탱크(31)의 내측으로 안료가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료배출펌프(32)는 일단이 상기 안료탱크(3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안료이송파이프(33)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안료배출펌프(32)가 작동을 이루게 되는 경우, 안료탱크(31)의 내측에 수용된 안료가 상기 안료이송파이프(33)로 이송된 후, 안료이송파이프(33)에 구비된 복수개의 안료분사노즐(34)을 통하여 매립함(10)의 전면으로 분사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료배출펌프(32)와 안료이송파이프(33)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안료배출펌프(32)와 연결되는 안료이송파이프(33), 안료분사노즐(3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쉽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료분사노즐(34)의 전면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덮개판(50)의 지지공(54)에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안료분사노즐(34)을 통하여 안료탱크(31)의 내측에 구비된 안료를 매립함(10)의 전면으로 분사하는 경우에도, 상기 안료분사노즐(34)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안료탱크(31)로 투입되는 안료는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하는 야광안료로 구성됨으로써, 안료분사노즐(34)을 통하여 매립함(10)의 전면으로 안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으로 야광안료가 분사되게 하여, 본 발명인 소방표시장치를 인식하며 대피를 이루는 사람이 야광안료의 빛을 통하여 대피를 이룰 수 있는 통로를 더욱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안료분사노즐(34)을 통하여 분사되는 야광안료가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의복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에 발생된 화재나, 지진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내부 공간이 어두운 경우에도, 본 발명인 소방표시장치를 인식하며 대피를 이루는 대피자의 이동동선을 다수의 대피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표시장치를 통한 비상구의 안내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분사장치(20)와, 안료분사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물배출펌프(22) 및 안료배출펌프(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1)와,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2)과,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43)와,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진동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44)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기(41)는 건축물에 기설치된 전력선(미도시)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모듈(4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물배출펌프(22)와 안료배출펌프(32)로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2)은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기(41)의 전원이 물배출펌프(22)와 안료배출펌프(32)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것이며, 이러한 제어모듈(42)의 구성은 종래의 제어모듈(42)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센서(43)와, 진동감지센서(44)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된 건축물에 화재나,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재감지센서(43)와, 진동감지센서(44)가 이러한 화재와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제어모듈(42)로 전달된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이 전원공급기(41)를 제어하여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물배출펌프(22) 및 안료배출펌프(32)로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5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위치된 물분사장치(20), 안료분사장치(30), 제어부(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50)은 상기 매립함(10)의 체결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고정공(51)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공(5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매립함(10)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52)는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판(50)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전면에는 이동표시문양(52a-1)이 형성된 표시함(52a)과,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함(52a)의 후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복수개의 램프(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이동표시문양(52a-1)을 통하여 비상구의 방향을 대피자에게 알리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공급기(41)가 제어모듈(42)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램프(52b)를 점등시켜, 이동표시문양(52a-1)의 인식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공(53)과 지지공(54)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판(5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물분사노즐(24)과 안료분사노즐(34)의 전면이 각각 끼움 결합되게 형성되어, 상기 물분사노즐(24)과 안료분사노즐(34)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매립함 11: 체결공
20: 물분사장치 21: 물탱크
21a: 물투입공 22: 물배출펌프
23: 물이송파이프 24: 물분사노즐
30: 안료분사장치 31: 안료탱크
31a: 안료투입공 32: 안료배출펌프
33: 안료이송파이프 34: 안료분사노즐
40: 제어부 41: 전원공급기
42: 제어모듈 43: 화재감지센서
44: 진동감지센서 50: 덮개판
51: 고정공 52: 표시부
52a: 표시함 52a-1: 이동표시문양
52b: 램프 53: 끼움공
54: 지지공 P: 볼트

Claims (3)

  1. 소방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된 매립함(10)과,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물투입공(21a)이 형성된 물탱크(21)와, 상기 물탱크(2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물배출펌프(22)와, 상기 물배출펌프(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이송파이프(23)와, 상기 물이송파이프(23)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사노즐(24)로 구성되어 상기 물배출펌프(2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장치(20)와,
    상기 물분사장치(20)와 인접하게 매립함(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안료투입공(31a)이 형성된 안료탱크(31)와, 상기 안료탱크(31)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안료배출펌프(32)와, 상기 안료배출펌프(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료이송파이프(33)와, 상기 안료이송파이프(33)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료분사노즐(34)로 구성되어 상기 안료배출펌프(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으로 안료를 분사시키는 안료분사장치(30)와,
    상기 매립함(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배출펌프(22) 및 안료배출펌프(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1)와,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기(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2)과,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화재감지센서(43)와, 상기 제어모듈(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매립함(10)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건축물의 진동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4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44)로 구성된 제어부(40)와,
    상기 매립함(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체결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51)이 형성되고, 전면 상측에는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모듈(42)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부(52)가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노즐(24)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물분사노즐(24)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안료분사노즐(34)과 대응되는 전면 하단에는 안료분사노즐(34)의 전면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공(54)이 형성된 덮개판(50)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52)는
    상기 덮개판(50)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전면에는 이동표시문양(52a-1)이 형성된 표시함(52a)과,
    상기 전원공급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함(52a)의 후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복수개의 램프(52b)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탱크(31)에 수용되는 안료는 야광안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35096A 2021-03-18 2021-03-18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KR10234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96A KR102349350B1 (ko) 2021-03-18 2021-03-18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96A KR102349350B1 (ko) 2021-03-18 2021-03-18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350B1 true KR102349350B1 (ko) 2022-01-11

Family

ID=7935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096A KR102349350B1 (ko) 2021-03-18 2021-03-18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412B1 (ko) * 2022-05-31 2022-12-29 문장범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표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079Y1 (ko) * 2001-11-16 2002-02-27 새샘일렉컴 주식회사 비상구 표시등
KR20130022876A (ko) * 2011-08-26 2013-03-07 기정희 비상구 안내시스템
KR102031859B1 (ko)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102053701B1 (ko) * 2019-03-07 2019-12-09 이광흠 분리가능한 피난구 유도장치
KR20200023840A (ko) * 2018-08-27 2020-03-06 (주)유성인젝션 비상구 안내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079Y1 (ko) * 2001-11-16 2002-02-27 새샘일렉컴 주식회사 비상구 표시등
KR20130022876A (ko) * 2011-08-26 2013-03-07 기정희 비상구 안내시스템
KR20200023840A (ko) * 2018-08-27 2020-03-06 (주)유성인젝션 비상구 안내등
KR102053701B1 (ko) * 2019-03-07 2019-12-09 이광흠 분리가능한 피난구 유도장치
KR102031859B1 (ko) 2019-06-04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412B1 (ko) * 2022-05-31 2022-12-29 문장범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표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63067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US20100309004A1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KR10234935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031859B1 (ko)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101864735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기구
KR101679705B1 (ko) 신속 작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를 갖춘 소방장치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68367A (ko)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2041778B1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20200044213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102134913B1 (ko) 소방용 방수총 안전 차단장치
KR101848600B1 (ko)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
KR102349304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WO2015186881A1 (ko)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KR102069292B1 (ko) 화재 및 비상시 피난을 위한 유도난간
KR102137400B1 (ko) 방화 및 방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