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304B1 -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304B1
KR102349304B1 KR1020210058645A KR20210058645A KR102349304B1 KR 102349304 B1 KR102349304 B1 KR 102349304B1 KR 1020210058645 A KR1020210058645 A KR 1020210058645A KR 20210058645 A KR20210058645 A KR 20210058645A KR 102349304 B1 KR102349304 B1 KR 10234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installation box
lamp
fi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5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비상구 위치 변화에 따라 설치 위치를 변경하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방향의 비상구로 사람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전면 하단에는 내측에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함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는 도어가 힌지 결합된 설치함과, 상기 설치함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야광도료통과, 상기 야광도료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분사펌프와, 상기 분사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의 설치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설치함의 전면으로 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와, 상기 설치함의 좌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램프와, 상기 설치함의 우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램프와, 상기 분사펌프, 제1램프, 제2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램프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램프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램프가 점등되게 작동되고,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램프가 점등되게 작동되며,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 제2화재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를 작동시키게 작동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Emergency exit guide device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비상구 위치 변화에 따라 설치 위치를 변경하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방향의 비상구로 사람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전기장치와 연결된 비상구가 구비되어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구를 통하여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건축물에는 비상구의 위치를 사람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유도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유도등은 건축물의 형태나 환경에 따라, 벽체, 천장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위와 같은 유도등은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건축물에 구비된 전기장치를 통하여 점등되거나, 항시 점등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유도등은 화재와 같은 상황에서는 화염과 연기로 인하여 유도등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건축물에 구비된 비상구의 방향으로 사람의 대피를 용이하게 안내하기 어려워 되려, 인명피해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유도등의 기능을 개선하여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서 대피를 이루는 사람이 유도등을 용이하게 확인하며 대피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유동등과 같은 장치들은 유도등을 통하여 비상구가 설치된 방향만을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것으로, 비상구에 화재가 확산되어 있는 경우에도 화재가 발생된 비상구의 방향으로 사람의 대피를 유도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보통으로, 유도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형태나 환경에 대응하며 다양한 설치 상태를 이루도록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유도등은 화재의 연기로 인하여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대처할 수단이 미치하여 유도등의 근처로 사람이 접근한 이후에만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177호(2003.07.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비상구의 방향으로 사람의 대피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의 형태나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비상구 유도장치의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화재의 연기로 인하여 비상구 유도장치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비상구 유도장치의 설치 위치 주변으로 야광 물질이 분사되게 하여 비상구 유도장치를 이용한 사람의 대피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를 피하여 사람이 대피를 이루는 경우에도 화재가 확산 된 비상구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대피시간의 증대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전면 하단에는 내측에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함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의 전면에는 도어가 힌지 결합된 설치함과, 상기 설치함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야광도료통과, 상기 야광도료통에 일단이 연결되는 분사펌프와, 상기 분사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의 설치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설치함의 전면으로 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와, 상기 설치함의 좌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램프와, 상기 설치함의 우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램프와, 상기 분사펌프, 제1램프, 제2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램프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램프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램프가 점등되게 작동되고,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램프가 점등되게 작동되며,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 제2화재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를 작동시키게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기와,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기와, 상기 제1수신기로 전달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제2램프로 전달하는 제1제어모듈과, 상기 제2수신기로 전달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제1램프로 전달하는 제2제어모듈과, 상기 제1수신기, 제2수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로 배터리의 전원을 전달하는 제3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함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이동수단이 더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상면에 구비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함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삽입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탈착 결합되는 지지돌기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벽체고정바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비상구의 방향으로 사람의 대피를 안내할 수 있다.
둘째, 건축물의 형태나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비상구 유도장치의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화재의 연기로 인하여 비상구 유도장치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비상구 유도장치의 설치 위치 주변으로 야광 물질이 분사되게 하여 비상구 유도장치를 이용한 사람의 대피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를 피하여 사람이 대피를 이루는 경우에도 화재가 확산 된 비상구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대피시간의 증대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전면 하단에는 내측에 수납공간(12a)을 갖는 수납함(12)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12)의 전면에는 도어(13)가 힌지(h) 결합된 설치함(10)과, 상기 설치함(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1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야광도료통(21)과, 상기 야광도료통(21)에 일단이 연결되는 분사펌프(22)와, 상기 분사펌프(22)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23)와, 상기 배출파이프(23)의 설치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으로 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24)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20)와, 상기 설치함(10)의 좌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램프(30)와, 상기 설치함(10)의 우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램프(40)와, 상기 분사펌프(22), 제1램프(30), 제2램프(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램프(30)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화재감지센서(60)와,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램프(40)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화재감지센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램프(40)가 점등되게 작동되고,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램프(30)가 점등되게 작동되며,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 제2화재감지센서(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22)를 작동시키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치함(10)은 도 1 내지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수납함(12)은 설치함(10)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수납함(12)의 전면에 힌지(h)로 설치되는 도어(13)의 개폐에 따라 수납함(10)의 수납공간(12a)이 외부로 선택적인 노출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료분사장치(20)는 상기 설치함(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야광도료통(21)은 상기 수납함(12)의 수납공간(1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료분사장치(20)를 이루는 분사펌프(22), 배출파이프(23), 분사노즐(24)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함(10)의 전면으로 야광도료통(21)의 내측에 수용된 야광도료가 분사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야광도료통(2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함(12)에 교체가 가능하게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분사펌프(22)는 상기 수납함(12)의 수납공간(12a) 내측으로 야광도료통(21)이 삽입되는 경우, 야광도료통(21)과 연결되도록 설치함(10)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파이프(23)는 상기 분사펌프(2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함(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분사노즐(24)은 상기 배출파이프(23)의 설치 방향에 복수개 구비되되, 단부가 설치함(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분사펌프(22)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의 조절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50)의 조절에 따라, 상기 분사펌프(22)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야광도료통(21)에 수용된 야광도료를 분사펌프(22)가 배출파이프(23)의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분사노즐(24)을 통하여 설치함(10)의 전면으로 분사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설치함(10)의 주변으로 야광도료통(21) 내측에 수용된 야광도료가 뿌려지게 하여, 화재의 연기로 인하여 설치함(10)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대피를 이루는 사용자가 설치함(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램프(30)와 제2램프(4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1램프(30)는 설치함(10)의 좌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램프(40)는 설치함(10)의 우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설치함(10)의 전면 중심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1램프(30)와 제2램프(40)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설치를 이루는 경우에도 제1램프(30)와 제2램프(40)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는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램프(30)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고,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60)는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램프(40)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램프(40)가 점등되게 작동되고,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램프(30)가 점등되게 작동되며,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 제2화재감지센서(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22)를 작동시키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제1램프(30), 제2램프(40), 제1화재감지센서(60), 제2화재감지센서(70)가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로 건축물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램프(30)가 점등되는 것이며,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로 건축물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램프(40)가 점등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 된 지점의 비상구 방향으로 위치된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피를 이루는 사람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비상구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0)는 배터리(51)와,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기(52)와,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기(53)와, 상기 제1수신기(52)로 전달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51)의 전원을 제2램프(40)로 전달하는 제1제어모듈(54)과, 상기 제2수신기(53)로 전달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51)의 전원을 제1램프(30)로 전달하는 제2제어모듈(55)과, 상기 제1수신기(52), 제2수신기(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22)로 배터리(51)의 전원을 전달하는 제3제어모듈(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가 건축물의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수신기(52)가 제1제어모듈(54)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2램프(40)를 점등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가 건축물의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수신기(54)가 제2제어모듈(55)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1램프(40)를 점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건축물에 구비된 비상구의 방향으로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와 제2화재감지센서(70)를 복수개 설치하여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나, 제2화재감지센서(70)로 건축물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모듈(54)과 제2제어모듈(55)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를 감지한 센서의 위치와 반대되는 방향의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 된 지점의 비상구로 사람이 이동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제어모듈(56)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수신기(52), 제2수신기(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펌프(22)로 배터리(51)의 전원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램프(30), 제2램프(40)의 점등과 동시에 설치함(10)의 전면으로 야광도료통(21)의 내측에 수용된 야광도료가 분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램프(30)와 제2램프(40)에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 지시문구가 표시되도록 하여 대피를 이루는 사용자가 비상구의 방향을 더욱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와 제2화재감지센서(70)의 방향으로 건축물의 화재가 동시에 확산 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에 설치된 제1램프(30)와 제2램프(40)가 모두 점등되어 제1화재감지센서(60)와 제2화재감지센서(70)의 방향에 설치된 비상구의 방향으로 사람이 이동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 된 장소의 비상구 방향으로 사람이 대피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명피해가 발생 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함(10)의 하면에는 결합홈(14)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14)에는 이동수단(8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수단(80)은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되는 결합돌기(81a)가 상면에 구비된 이동판(81)과, 상기 이동판(81)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설치함(10)의 하면에 이동수단(80)을 결합하여 설치함(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운반하여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판(81)의 하단에 위치된 바퀴(82)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이동판(81)이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의 상부에 고정되게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 도 2,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함(10)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삽입홈(15)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15)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91)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에 탈착 결합되는 지지돌기(92)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벽체고정바(9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설치함(10)을 건축물의 벽체(1)에 고정되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홈(15)에 벽체고정바(90)의 지지돌기(92)가 삽입되도록 한 후, 결합공(9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설치함(10)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형태나 환경에 따라, 상기 설치함(10)의 설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10: 설치함
12: 수납함 12a: 수납공간
13: 도어 14: 결합홈
15: 삽입홈 20: 도료분사장치
21: 야광도료통 22: 분사펌프
23: 배출파이프 24: 분사노즐
30: 제1램프 40: 제2램프
50: 제어부 51: 배터리
52: 제1수신기 53: 제2수신기
54: 제1제어모듈 55: 제2제어모듈
56: 제3제어모듈 60: 제1화재감지센서
70: 제2화재감지센서 80: 이동수단
81: 이동판 81a: 결합돌기
82: 바퀴 90: 벽체고정바
91: 결합공 92: 지지돌기
P: 볼트

Claims (4)

  1.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전면 하단에는 내측에 수납공간(12a)을 갖는 수납함(12)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함(12)의 전면에는 도어(13)가 힌지(h) 결합된 설치함(10)과,
    상기 설치함(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12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야광도료통(21)과, 상기 야광도료통(21)에 일단이 연결되는 분사펌프(22)와, 상기 분사펌프(22)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배출파이프(23)와, 상기 배출파이프(23)의 설치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설치함(10)의 전면으로 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24)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20)와,
    상기 설치함(10)의 좌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램프(30)와,
    상기 설치함(10)의 우측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전면에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램프(40)와,
    상기 분사펌프(22), 제1램프(30), 제2램프(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설치함(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램프(30)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화재감지센서(60)와,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램프(40)와 인접한 건축물의 벽체(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화재감지센서(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램프(40)가 점등되게 작동되고,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램프(30)가 점등되게 작동되며,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 제2화재감지센서(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22)를 작동시키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배터리(51)와,
    상기 제1화재감지센서(60)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기(52)와,
    상기 제2화재감지센서(70)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기(53)와,
    상기 제1수신기(52)로 전달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51)의 전원을 제2램프(40)로 전달하는 제1제어모듈(54)과,
    상기 제2수신기(53)로 전달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51)의 전원을 제1램프(30)로 전달하는 제2제어모듈(55)과,
    상기 제1수신기(52), 제2수신기(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신기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사펌프(22)로 배터리(51)의 전원을 전달하는 제3제어모듈(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함(10)의 하면에는 결합홈(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4)에는 이동수단(80)이 더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단(80)은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되는 결합돌기(81a)가 상면에 구비된 이동판(81)과,
    상기 이동판(81)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함(10)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수직 방향으로 삽입홈(15)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5)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91)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에 탈착 결합되는 지지돌기(92)가 일측에 돌출 구비된 벽체고정바(9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0210058645A 2021-05-06 2021-05-06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349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5A KR102349304B1 (ko) 2021-05-06 2021-05-06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645A KR102349304B1 (ko) 2021-05-06 2021-05-06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304B1 true KR102349304B1 (ko) 2022-01-11

Family

ID=7935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645A KR102349304B1 (ko) 2021-05-06 2021-05-06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77A (ko) 2002-01-16 2003-07-23 김윤석 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
KR20110003107U (ko) * 2009-09-21 2011-03-29 이석재 비상구 안내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2117975B1 (ko) * 2018-08-27 2020-06-02 (주)유성인젝션 비상구 안내등
KR20210002914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피에스테크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31148B1 (ko) * 2020-02-06 2021-03-23 민각기 터널용 피난구 통로 유도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77A (ko) 2002-01-16 2003-07-23 김윤석 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
KR20110003107U (ko) * 2009-09-21 2011-03-29 이석재 비상구 안내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2117975B1 (ko) * 2018-08-27 2020-06-02 (주)유성인젝션 비상구 안내등
KR20210002914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피에스테크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31148B1 (ko) * 2020-02-06 2021-03-23 민각기 터널용 피난구 통로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037256B1 (ko)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20160103408A (ko) 주차장용 라인 조명 장치
KR10212120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349304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200415901Y1 (ko) 계단 핸드레일을 이용한 피난유도시스템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JP2016047313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20190037410A (ko) 안개 분사가 가능한 가로등
KR101890068B1 (ko) 식별용 led 장치를 구비한 방화셔터
KR10234935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유도용 소방표시장치
KR102054319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20190137244A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1685524B1 (ko)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KR102069292B1 (ko) 화재 및 비상시 피난을 위한 유도난간
KR20140075119A (ko) 화재 감지수단이 탑재된 led 조명 통합 관리시스템
KR102376406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유무선 시스템 제공방법
KR200359722Y1 (ko)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KR102137400B1 (ko) 방화 및 방연 시스템
KR200441710Y1 (ko) 착탈식 다기능 비상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