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213A -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213A
KR20200044213A KR1020180121253A KR20180121253A KR20200044213A KR 20200044213 A KR20200044213 A KR 20200044213A KR 1020180121253 A KR1020180121253 A KR 1020180121253A KR 20180121253 A KR20180121253 A KR 20180121253A KR 20200044213 A KR20200044213 A KR 20200044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detection
uni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식
Original Assignee
(주)금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성계전 filed Critical (주)금성계전
Priority to KR102018012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4213A/ko
Publication of KR2020004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이나 지진발생시 소방관제센터로 화재상황을 전송하고 건물의 도어들을 제어하면서 소방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건물에서 건물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0)를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부재(200)와, 도어작동부재(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어작동표시부재(300)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는 건물공간들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재(400)와,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재(500)와,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된 상태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진화부재(600)와,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폐쇄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면서 도어작동표시부재(3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작동시키고, 인체감지부재(50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개방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는 화재관리서버(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NB-IoT}
본 발명은 화재발생이나 지진발생시 소방관제센터로 화재상황을 전송하고 건물의 도어들을 제어하면서 소방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있어서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가 작동되면, 사람들은 이를 확인하여 화재를 진화하거나 대피하게 된다.
그러나, 건물에서는 화재가 발생된 건물공간에 설치된 도어가 개방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산소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화재가 번지는 문제점이 있고, 건물공간들이 분할되어 있어서 화재가 발생된 건물공간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어가 폐쇄된 경우에는 다수의 피난자들이 피난하지 못하게 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703190호(2017.01.31.)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발생이나 지진발생시 소방관제센터로 화재상황을 전송하고 건물의 도어들을 제어하면서 소방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은, 건물에서 건물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0)를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부재(200)와, 도어작동부재(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어작동표시부재(300)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는 건물공간들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재(400)와,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재(500)와,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된 상태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진화부재(600)와,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폐쇄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면서 도어작동표시부재(3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작동시키고, 인체감지부재(50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개방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는 화재관리서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도어작동부재(200)는 실린더(210)를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신호를 수신하는 실린더신호수신부(220)와, 수신되는 실린더신호에 의해 조작되어서 도어(100)에 연결된 상태로 도어(100)가 밀려지거나 당겨지도록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210)를 포함하고, 화재감지부재(400)는 화재감지센서(410)와, 화재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되는 화재신호와 함께 해당 화재감지센서(410)에 미리 설정된 화재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하는 화재전송부(420)를 포함하며, 인체감지부재(500)는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감지신호와 함께 미리 설정된 인체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화재관리서버(700)는 하나의 건물공간에 위치되는 화재감지ID, 인체감지ID, 도어작동부재(2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매칭시키는 화재매칭부(710)와, 화재감지ID나 인체감지ID를 인식하는 ID인식부(720)와, ID인식부(720)에서 화재감지ID가 인식되면 매칭된 화재진화부재(600) 및 도어작동표시부재(300)를 조작하고,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를 조작하여 도어(100)가 폐쇄되게 하며, ID인식부(720)에서 인체감지ID가 인식되면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를 조작하여 도어(100)가 개방되게 하는 화재조작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화재진화부재(600)는 도어(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도어(100)의 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부(610)와, 분사부(610)가 도어(100)에 근접되도록 분사부(6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620)를 포함하고, 화재관리서버(700)는 ID인식부(720)에서 인체감지ID가 인식됨에 따라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가 작동되어 도어(100)가 개방되면, 해당 도어(100)에 설치된 분사부(610)를 통해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소화물질공급부(620)를 조작하는 소화물질공급조작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건물에 설치되어 지진을 감지하면 지진감지신호를 외부로 발신하는 지진감지부재(800)를 포함하고, 화재관리서버(700)는 지진감지부재(800)의 지진감지신호를 확인하는 지진감지확인부(780)를 포함하며, 도어조작부(730)는 지진감지확인부(780)에서 지진감지신호를 확인하면 모든 도어(100)가 개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화재관리서버(700)는 화재감지ID에 해당되는 건물공간에 대한 실내정보를 관리하는 실내정보관리부(750)와, 모바일번호를 관리하는 모바일번호관리부(760)와,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해당 건물공간에 대한 실내정보와 함께 메시지를 모바일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770)를 포함하고, 실내정보는 해당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수, 호수, 도어들의 개폐상태가 표시된 약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은, 건물에서 화재발생시 화재가 발생된 건물공간의 도어를 폐쇄하여 산소공급을 차단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건물공간의 도어를 개방하여 피난자들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를 작동시켜서 자동으로 화재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소방관제센터로 화재상황을 전송하여 관리자나 소방관의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진발생시 화재가 발생된 건물공간의 도어를 제외한 다른 건물공간의 도어들을 개방하여 지진에 대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작동부재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감지부재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재관리서버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건물공간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화재진화부재가 도어에 소화물질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은, 도어작동부재(200)와, 도어작동표시부재(300)와, 화재감지부재(400)와, 인체감지부재(500)와, 화재진화부재(600)와, 화재관리서버(700)와, 지진감지부재(800)를 포함한다.
먼저, 화재관리서버(700)는 사물인터넷(NB-IoT)을 이용하여 도어작동부재(200)와, 화재감지부재(400)와, 인체감지부재(500)와, 화재진화부재(600)와, 지진감지부재(800)에 통신할 수 있다.
도어(100)는 건물에서 건물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00)는 복수로 구성되어 하나의 건물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도어작동부재(200)는 도어(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어(100)가 개폐시키기 위해 도어(100)에 연결된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210)와, 실린더(210)를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신호를 수신하는 실린더신호수신부(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재관리서버(700)에 의해 실린더가 작동되어서 실린더축이 신장되면 도어(100)가 폐쇄되고 실린더축이 수축되면 도어(100)가 개방된다. 또한, 도어작동부재(200)는 도어(100)를 개폐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어작동표시부재(300)는 도어작동부재(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화재발생시 도어작동부재(200)의 작동에 의해 도어(100)의 개폐상태를 소리로 표시하는 알람 및 빛으로 표시하는 경광등으로 구성되어 도어(100)에 근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해당 도어(10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어도 도어작동표시부재(300)가 표시되지 않지만, 도어작동부재(200)에 의해 도어(100)의 개방된 상태나 도어(100)의 폐쇄된 상태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게 된다. 즉,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소리나 빛이 길게 반복적으로 표시되고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소리나 빛이 짧게 반복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피난자들은 원거리에서도 소리나 빛을 확인하여 개방된 도어(100)를 통해서 신속하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화재감지부재(400)는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는 건물공간들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감지센서(410)와, 화재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되는 화재신호와 함께 해당 화재감지센서(410)에 미리 설정된 화재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하는 화재전송부(420)를 포함한다. 화재감지센서(410)는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이 혼용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관리서버(700)에 화재감지ID와 함께 화재신호가 전송되면 화재관리서버(700)에서는 해당 화재감지부재(400)가 설치된 건물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부재(400)는 복수로 구성되어 하나의 건물공간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인체감지부재(500)는 건물공간마다 설치되어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감지신호와 함께 미리 설정된 인체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광센서나 적외선센서로 구성되어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감지신호와 함께 미리 설정된 인체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감지부재(500)는 도어(100)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도어(100)를 출입하는 사용자들을 감지하고 감지여부를 화재관리서버(700)로 전송한다. 즉, 화재관리서버(700)는 사용자들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위치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화재진화부재(600)는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된 상태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것으로, 물과 같은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진화부재(600)는 도어(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도어(100)의 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부(610)와, 분사부(610)가 도어(100)에 근접되도록 분사부(6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620)를 포함한다.
분사부(610)는 도어(100)의 상부에 대략 수평되게 설치되는 관체와, 관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노즐과, 관체에 연통되는 주름관과 같은 승강관체로 구성되어, 승강관체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물질이 관체를 따라 관류되어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도어(10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므로 피난하는 피난자가 화재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승강부(620)는 분사부(61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화재관리서버(700)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에서 실린더축이 신장되면 분사부(610)가 도어(100)의 상부에 근접된다. 여기서, 승강부(620)는 실린더뿐만 아니라 분사부(610)를 승강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620)에 의해 분사부(610)가 하강되어 도어(100)의 상부에 근접되면 분사부(610)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물질이 도어(10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620)에 의해 분사부(610)가 상승되어서 도어(100)로부터 이격되면서 천정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천정에 케이스(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분사부(610)가 내장되어서 보관될 수 있다.
화재관리서버(700)는 소방관제센터에 구비된 상태로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폐쇄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면서 도어작동표시부재(3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작동시키고, 인체감지부재(50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개방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한다.
이러한, 화재관리서버(700)는 하나의 건물공간에 위치되는 화재감지ID, 인체감지ID, 도어작동부재(2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매칭시키는 화재매칭부(710)와, 화재감지ID나 인체감지ID를 인식하는 ID인식부(720)와, ID인식부(720)에서 화재감지ID가 인식되면 매칭된 화재진화부재(600) 및 도어작동표시부재(300)를 조작하고,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를 조작하여 도어(100)가 폐쇄되게 하며, ID인식부(720)에서 인체감지ID가 인식되면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를 조작하여 도어(100)가 개방되게 하는 화재조작부(730)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재가 감지되면 도어(100)가 폐쇄되므로 해당 건물공간으로 산소가 유입됨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화재진화부재(600)에 의해 화재가 신속하게 진화될 수 있다. 이때, 인체가 감지되면 도어(100)가 개방되어 화재가 발생된 해당 건물공간을 개방하므로 피난자들이 신속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화재관리서버(700)는 ID인식부(720)에서 인체감지ID가 인식됨에 따라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가 작동되어 도어(100)가 개방되면, 해당 도어(100)에 분사부(610)를 통해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승강부(620)를 조작하는 승강조작부(7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조작부(740)가 승강부(620)를 조작하면 분사부(610)로부터 개방된 도어(100)의 내측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므로, 도어(100)를 통과하는 피난자가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다.
또한, 화재관리서버(700)는 화재감지ID에 해당되는 건물공간에 대한 실내정보를 관리하는 실내정보관리부(750)와, 모바일번호를 관리하는 모바일번호관리부(760)와,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해당 건물공간에 대한 실내정보와 함께 메시지를 모바일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770)를 포함한다.
실내정보는 해당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수, 호수, 도어들의 개폐상태가 표시된 약도로 이루어진다. 즉, 건물관리자나 소방대원이 소지한 모바일로 화재가 발생된 건물주소, 층수, 호수, 약도가 메시지로 전송되므로 건물관리자나 소방대원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진감지부재(800)는 건물에 설치되어 지진을 감지하는 것으로 가속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재관리서버(700)는 지진감지부재(800)의 지진감지신호를 확인하는 지진감지확인부(7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조작부(730)는 지진감지확인부(780)에서 지진감지신호를 확인하면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도어(100)를 제외한 다른 모든 도어(100)들이 개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된 경우에는 도어(100)가 모두 개방되므로 피난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발생이나 지진발생시 소방관제센터로 화재상황을 전송하고 건물의 도어들을 제어하면서 소방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 및 안전관리시스템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도어 200 : 도어작동부재
210 : 실린더 220 : 실린더신호수신부
300 : 도어작동표시부재 400 : 화재감지부재
410 : 화재감지센서 420 : 화재전송부
500 : 인체감지부재 600 : 화재진화부재
610 : 분사부 620 : 승강부
700 : 화재관리서버 710 : 화재매칭부
720 : ID인식부 730 : 화재조작부
740 : 승강조작부 750 : 실내정보관리부
760 : 모바일번호관리부 770 : 메시지전송부
780 : 지진감지확인부 800 : 지진감지부재

Claims (5)

  1. 건물에서 건물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0)를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부재(200)와,
    도어작동부재(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도어작동표시부재(300)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는 건물공간들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재(400)와,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재(500)와,
    건물에서 건물공간마다 설치된 상태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화재진화부재(600)와,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폐쇄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면서 도어작동표시부재(3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작동시키고, 인체감지부재(500)에서 인체를 감지하면 도어(100)가 개방되도록 도어작동부재(200)를 제어하는 화재관리서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작동부재(200)는
    실린더(210)를 제어하기 위한 실린더신호를 수신하는 실린더신호수신부(220)와,
    수신되는 실린더신호에 의해 조작되어서 도어(100)에 연결된 상태로 도어(100)가 밀려지거나 당겨지도록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210)를 포함하고,
    화재감지부재(400)는
    화재감지센서(410)와,
    화재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되는 화재신호와 함께 해당 화재감지센서(410)에 미리 설정된 화재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하는 화재전송부(420)를 포함하며,
    인체감지부재(500)는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감지신호와 함께 미리 설정된 인체감지ID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화재관리서버(700)는
    하나의 건물공간에 위치되는 화재감지ID, 인체감지ID, 도어작동부재(200) 및 화재진화부재(600)를 매칭시키는 화재매칭부(710)와,
    화재감지ID나 인체감지ID를 인식하는 ID인식부(720)와,
    ID인식부(720)에서 화재감지ID가 인식되면 매칭된 화재진화부재(600) 및 도어작동표시부재(300)를 조작하고,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를 조작하여 도어(100)가 폐쇄되게 하며, ID인식부(720)에서 인체감지ID가 인식되면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를 조작하여 도어(100)가 개방되게 하는 화재조작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화재진화부재(600)는
    도어(1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물질을 도어(100)의 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부(610)와,
    분사부(610)가 도어(100)에 근접되도록 분사부(6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620)를 포함하고,
    화재관리서버(700)는 ID인식부(720)에서 인체감지ID가 인식됨에 따라 매칭된 도어작동부재(200)가 작동되어 도어(100)가 개방되면, 해당 도어(100)에 설치된 분사부(610)를 통해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소화물질공급부(620)를 조작하는 소화물질공급조작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건물에 설치되어 지진을 감지하면 지진감지신호를 외부로 발신하는 지진감지부재(800)를 포함하고,
    화재관리서버(700)는 지진감지부재(800)의 지진감지신호를 확인하는 지진감지확인부(780)를 포함하며,
    도어조작부(730)는 지진감지확인부(780)에서 지진감지신호를 확인하면 모든 도어(100)가 개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재관리서버(700)는
    화재감지ID에 해당되는 건물공간에 대한 실내정보를 관리하는 실내정보관리부(750)와,
    모바일번호를 관리하는 모바일번호관리부(760)와,
    화재감지부재(400)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해당 건물공간에 대한 실내정보와 함께 메시지를 모바일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770)를 포함하고,
    실내정보는 해당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된 층수, 호수, 도어들의 개폐상태가 표시된 약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1020180121253A 2018-10-11 2018-10-11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20200044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53A KR20200044213A (ko) 2018-10-11 2018-10-11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53A KR20200044213A (ko) 2018-10-11 2018-10-11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13A true KR20200044213A (ko) 2020-04-29

Family

ID=7046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53A KR20200044213A (ko) 2018-10-11 2018-10-11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42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7629A (zh) * 2021-07-21 2021-11-02 长江大学 一种智慧消防系统
KR102491333B1 (ko) * 2022-07-12 2023-01-26 송유진 건물 내 가스 누출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소방감지 시스템
KR102531913B1 (ko) * 2022-11-29 2023-05-12 주식회사 인포인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7629A (zh) * 2021-07-21 2021-11-02 长江大学 一种智慧消防系统
KR102491333B1 (ko) * 2022-07-12 2023-01-26 송유진 건물 내 가스 누출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소방감지 시스템
KR102531913B1 (ko) * 2022-11-29 2023-05-12 주식회사 인포인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20200044213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8060578A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513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1845009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2226530B1 (ko) 소방피난유도장치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175419B1 (ko) 와이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RU2448752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пуск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09663258B (zh) 一种智能控制消防系统
KR102531913B1 (ko)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2100819A (ja) 泡消火装置
JP2023068011A (ja) 消火設備
CN214912941U (zh) 一种楼宇消防系统
KR20200092619A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2162488B1 (ko) 무인 화재진화 자동제어시스템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