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139B1 -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139B1
KR102349139B1 KR1020170181689A KR20170181689A KR102349139B1 KR 102349139 B1 KR102349139 B1 KR 102349139B1 KR 1020170181689 A KR1020170181689 A KR 1020170181689A KR 20170181689 A KR20170181689 A KR 20170181689A KR 102349139 B1 KR102349139 B1 KR 10234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ormula
crystal composition
group
polymeriz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761A (ko
Inventor
강태현
민창수
배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8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1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at least two benzene rings directly linked, e.g. bipheny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과 2개의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서,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은 기판의 별도 처리 없이도 기판 표면에 대한 액정 조성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수직정렬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가교제로서 작용하여 중합기의 길이가 짧은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을 가교하여 중합물질의 분자량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액정의 배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LIQUID CRYSTAL COMPOSITION HAVING VERTICAL ALIGNMENT STABILITY}
본 발명은 중합성 성분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합성 성분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evice, LCD) 기판에 결합하여 별도의 처리 없이 액정의 수직(호메오트로픽(homeotrophic)) 정렬을 유도하는 자가-정렬 반응성 메조겐(self-aligning reactive mesogen)을 포함하여 수직 정렬을 위한 배향막을 대신할 수 있으며, 노광 공정 시 안정화되어 장기간의 수직 정렬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가교제의 역할을 하여 액정의 배향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평판성, 휴대 용이성, 낮은 소비전력, 고화질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모니터, TV,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응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구성하는 구성성분 중 배향막은 LCD에서 액정의 초기 정렬 상태를 확립하고 전압 미인가시 액정을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향막 없이도 액정을 정렬시킬 수 있다면 LCD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에, 배향막 없이도 액정을 수직 정렬시킬 수 있는 자가-정렬 반응성 메조겐(중합성 자가-정렬 첨가제)이 도입되어 사용되었다.
이와 관련해 대한민국 특허원 제10-2015-0032438호는 중합성 자가-정렬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존에 사용된 배향막을 대신하는 물질의 경우 한 개의 물질을 사용하고 그 물질은 기판 표면에 결합되어 있고, 중합기의 길이가 길지 않아 중합력이 저하되어 중합된 성분의 분자량이 크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판에 대한 결합력이 높으면서도 중합력을 개선시켜 중합된 성분의 분자량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액정의 배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결합을 통해 기판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가교제(crosslinker)를 도입하여,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의 기판과의 결합성 및 중합도를 개선시키는 물질을 첨가제로서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물질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수직 배향성을 갖는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및
(B)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대 상기 첨가제가 1:0.01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액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P1 및 P2는 중합성 작용기이고,
A는 CH2-CH(OH)-CH2-O이며,
n은 0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P1 및 P2는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알릴기, 에폭시기, 옥세탄기, 비닐 에테르기 및 비닐 에스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2
[화학식 1b]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3
[화학식 1c]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를 액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을 액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첨가제는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의 기판과의 결합성 및 중합도를 개선시켜 액정의 배향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종래의 배향막을 대신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경우 배향성을 갖는 물질로서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기존의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은 중합기의 길이가 길지 않아 중합성이 떨어짐으로써, 중합된 물질의 분자량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수직배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A) 수직 배향성을 갖는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및
(B)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대 상기 첨가제가 1:0.01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액정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P1 및 P2는 중합성 작용기이고,
A는 CH2-CH(OH)-CH2-O이며,
n은 0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P1 및 P2는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알릴기, 에폭시기, 옥세탄기, 비닐 에테르기 및 비닐 에스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6
[화학식 1b]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7
[화학식 1c]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8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는 구조 내에 2개의 작용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향성을 가지는 물질(즉,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과 함께 결합하여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의 중합도를 높여서 배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교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작용기로 인해 기판 표면에 대한 높은 결합력을 가짐으로써,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의 수직정렬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과 첨가제는 1:0.01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5 내지 1:0.7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과 첨가제의 비율을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판과 가교제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PI-less RM(polyimide-less reactive mesogen)과 기판과의 상호작용에 방해를 일으켜, 수직배향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첨가제는 액정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은 액정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액정 조성물로는 통상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한정 없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네마틱 액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즉 반응성 메조겐(RM) 물질이라면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130127589-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H2)a-OH이고, a는 1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어, 3 내지 5의 정수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30 방향족 화합물, 치환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30원 헤테로방향족 화합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8 사이클로알킬기이고,
Z1, Z2 및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O-, -CO-, -O-CO-, -O-CO-O-, -OCH2-, -CH2O- 또는 -CO-이고,
m1 및 m3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m2는 0 내지 5의 정수이되, m1, m2 및 m3가 동시에 0은 아니고,
P3은 중합성 작용기이고,
R2는 C5-30 알킬기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P3는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알릴기, 에폭시기, 옥세탄기, 비닐 에테르기 및 비닐 에스터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A1 및 A2로서의 C6-30 방향족 화합물은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나프틸, 플루오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라세닐, 인데닐, 트리페닐레닐, 피레닐, 테트라세닐, 페릴레닐, 크라이세닐, 나프타세닐 및 플루오란테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A1 및 A2로서의 3원 내지 30원 헤테로방향족 화합물은 푸릴, 티오펜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진일, 테트라진일,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푸라잔일,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피리다진일, 벤조푸란일, 벤조티오펜일, 이소벤조푸란일, 디벤조푸란일, 디벤조티오펜일,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벤조옥사졸릴, 이소인돌릴, 인돌릴, 인다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카바졸릴, 페녹사진일, 페난트리딘일 및 벤조디옥솔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A1 및 A2로서의 C3-8 사이클로알킬기는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및 사이클로옥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A1 및 A2로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30 방향족 화합물, 치환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30원 헤테로방향족 화합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8 사이클로알킬기에서의 치환체는 중수소, 할로겐, 시아노, 카르복실, 니트로, 하이드록시, C1-30 알킬, 할로C1-30 알킬, C2-30 알케닐, C2-30 알키닐, C1-30 알콕시, C1-30 알킬티오, C3-30 사이클로알킬, C3-30 사이클로알케닐, C6-30 아릴옥시, C6-30 아릴티오, 트리C1-30 알킬실릴, 트리C6-30 아릴실릴, 디C1-30 알킬C6-30 아릴실릴, C1-30 알킬디C6-30 아릴실릴,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30 알킬아미노, 모노 또는 디C6-30 아릴아미노, C1-30 알킬C6-30 아릴아미노, C1-30 알킬카보닐, C1-30 알콕시카보닐, C6-30 아릴카보닐, 디C6-30 아릴보로닐, 디C1-30 알킬보로닐, C1-30 알킬C6-30 아릴보로닐, C6-30 아르C1-30 알킬 및 C1-30 알킬C6-30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R2로서의 C5-30 알킬기는 n-펜틸, 이소펜틸, sec-펜틸, tert-펜틸 n-헥실, 이소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및 에이코실(eicos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0
상기 화학식 2a에서,
a는 1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어, 3 내지 5의 정수이고,
b는 4 내지 20의 정수이며, 예를 들어, 10 내지 15의 정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과 2개의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액정층을 구비한 배향 안정화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 셀, 즉 정렬층은 액정 매질의 수직정렬에 대한 폴리이미드 층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는 바람직하게는 음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 매질 및 대향 기판 상에 배열된 전극들을 포함하는 VA 디스플레이(수직 배향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의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 매질 및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 배열된 인터디지털 전극을 포함하는 VA-IPS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화학식 10의 3-하이드록시프로필 4'-((2-((도데사이록시)카보닐)알릴)옥시)-[1,1'-바이페닐]-4-카복실레이트와 하기 화학식 11의 글리세롤 1,3-다이글리세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네마틱 액정 매질에 첨가하고 균일화하여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액정 조성물을 시험셀(폴리이미드 정렬층 없음, 4㎛, ITO 코팅)에 주입하였다.
[화학식 10]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1
[화학식 11]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2
실시예 2 내지 4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 및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셀에 주입하였다.
실시예 5 내지 7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12의 글리세롤 다이메타크릴레이트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셀에 주입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3
비교예 1 내지 8
상기 화학식 10, 화학식 11 또는 화학식 12의 화합물, 또는 아래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셀에 주입하였다.
[화학식 13]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4
실험예 1: 수직배향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시험셀의 액정층 내 액정의 배열상태를 편광현미경 및 코노스코피(conoscopy)를 이용하여 관찰하여 수직배향 여부를 확인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RM 첨가제 수직 배향 여부
성분 함량(중량%) 성분 함량(중량%)
1 화학식 10 2.0 화학식 11 1.5
2 화학식 10 2.0 화학식 11 1.0
3 화학식 10 2.0 화학식 11 0.5
4 화학식 10 2.0 화학식 11 0.1
5 화학식 10 2.0 화학식 12 1.0
6 화학식 10 2.0 화학식 12 0.5
7 화학식 10 2.0 화학식 12 0.1
비교예 기본 조성 첨가제 수직 배향 여부
성분 함량(중량%) 성분 함량(중량%)
1 화학식 10 2.0 화학식 11 10.0 ×
2 화학식 10 2.0 화학식 12 10.0 ×
3 화학식 10 2.0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13 0
4 화학식 10 0 화학식 11 2.0 ×
5 화학식 10 0 화학식 11 1.5 ×
6 화학식 10 0 화학식 12 1.5 ×
7 화학식 10 0 화학식 12 1.0 ×
8 화학식 10 2.0 화학식 13 1.5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액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험셀에서의 액정층은 직교 편광자 하에서 완전한 소광상태를 보였으며, 코노스코피 이미지를 통해 액정 분자가 기판 표면에 수직으로 배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조성물은 별도의 배향처리공정 없이도 액정 셀 내부에서 액정이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의 경우 화학식 10의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이 수직 배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직배향성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기판과의 결합력 및 중합 분자량의 저하로 인해 배향의 장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역치 전압의 변화량을 통한 배향 안정성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직 배향성을 나타내지 않는데, 이는 첨가제인 가교제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기판과 가교제와의 상호작용이 많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화학식 10과 같은 PI-less RM과 기판과의 상호작용에 방해를 일으켜, 수직배향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교예 4 내지 7은 가교제만을 포함하는 조성으로서 가교제는 배향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뿐 단독 사용만으로는 액정 수직배향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수직배향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비교예 8의 경우 화학식 10의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이 수직 배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수직배향성을 나타내고 첨가제로서의 화학식 13의 화합물이 중합도를 증가(분자량을 증가)시키기는 하나, 화학식 13의 화합물은 알킬 쇄 사이에 수소결합이 가능한 -OH 작용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기판과의 결합력 개선에 효과가 없다.
실험예 2: 배향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에에서 수득된 액정 매질은 ITO 표면에 대하여 수직 정렬을 가지며, 전압 인가에 따라서 가역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4 및 8의 액정셀에 대한 배향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액정 셀에 광학역치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을 도입하는 동안, 100mW/cm2의 강도를 가지는 I-line의 UV를 상기 시험 셀에 10분간 조사하여 각각의 중합성 화합물를 중합시켰다. 이에 따라 수직 정렬은 안정화되고 중합체 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시험셀을 3.5V/120Hz로 시험하여 화합물 차이에 따른 안정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실험으로부터 수득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간(hr) 역치 전압 차이(V)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4 8
0 0 0 0 0 0 0 0 0 0
72 0 0 0 0 0 0 0 0.01 0.1
168 0 0 0 0.01 0 0 0.01 0.06 0.08
366 0.01 0.01 0.03 0.05 0.01 0.01 0.04 0.11 0.15
504 0.01 0.01 0.05 0.07 0.01 0.02 0.07 0.13 0.18
위의 표 3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압차이가 작다는 것은 배향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압차이가 크다는 것은 전기 효율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7의 액정 조성물이 비교예 4 및 비교예 8의 액정 조성물에 비하여 배향 안정성 및 전기 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A) 수직 배향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 2의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및
    (B)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 대 상기 첨가제가 1:0.01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액정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113794495-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P1 및 P2는 중합성 아크릴레이트기이고,
    A는 CH2-CH(OH)-CH2-O이며,
    n은 0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21113794495-pat00021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H2)a-OH이고, a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30 방향족이고,
    Z1, Z2 및 Z3는 각각 독립적으로 -O-, -CO-, -O-CO-, -O-CO-O-, -OCH2-, -CH2O- 또는 -CO-이고,
    m1 및 m3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m2는 0 내지 5의 정수이되, m1, m2 및 m3가 동시에 0은 아니고,
    P3은 중합성 아크릴레이트기이고,
    R2는 C5-30 알킬기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액정 조성물:
    [화학식 1a]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6

    [화학식 1b]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7

    [화학식 1c]
    Figure 112017130127589-pat00018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액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액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을 액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액정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R2로서의 C5-30 알킬기는 n-펜틸, 이소펜틸, sec-펜틸, tert-펜틸 n-헥실, 이소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및 에이코실(eicos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액정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메조겐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a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액정 조성물:
    [화학식 2a]
    Figure 112021113794495-pat00020

    상기 화학식 2a에서,
    a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b는 4 내지 20의 정수이다.
  14. 제1항의 액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배향 안정화된 액정 디스플레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VA(수직배향) 디스플레이인 배향 안정화된 액정 디스플레이.
KR1020170181689A 2017-12-28 2017-12-28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KR10234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689A KR102349139B1 (ko) 2017-12-28 2017-12-28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689A KR102349139B1 (ko) 2017-12-28 2017-12-28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61A KR20190079761A (ko) 2019-07-08
KR102349139B1 true KR102349139B1 (ko) 2022-01-12

Family

ID=6725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689A KR102349139B1 (ko) 2017-12-28 2017-12-28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1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8531B1 (en) * 2013-06-25 2017-07-26 Merck Patent GmbH Polymerisable compounds and the use thereof in liquid-crystal displays
KR102437798B1 (ko) * 2014-09-25 2022-08-29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61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479B1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광학 이방체
CN105629583B (zh) 液晶显示器
KR102280115B1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CN101759669A (zh) 用于液晶光取向剂的环氧化合物、液晶光取向剂及其膜
CN102653681B (zh) 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和液晶显示元件
CN106662779A (zh) 液晶显示元件
JP2015508107A (ja) 液晶組成物
CN111602087A (zh) 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液晶元件、聚合体及化合物
KR20070072021A (ko) 액정 배향제
JP6877698B2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KR20090056926A (ko) 액정 광배향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349139B1 (ko)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KR101444190B1 (ko)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74992B1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과 그의 형성방법, 위상차 필름과 그의 제조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와 그의 제조방법
KR102061135B1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CN104232106A (zh) 液晶取向剂与其膜、液晶显示元件与其制造方法、含有含氮芳香族杂环的聚合物及化合物
CN110068959B (zh) 液晶显示装置及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671782B1 (ko)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KR20190118138A (ko) 액정 캡슐을 함유하는 코트액 및 그 기능성 막
KR101443754B1 (ko)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20130054846A (ko) 신규 에폭시 화합물,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표시소자
KR20130052284A (ko) 액정 배향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배향막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1657677B1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조성물, 광학 이방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소자
CN108431683B (zh) 液晶显示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2349230B1 (ko) 수직 배향 안정성이 높은 액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