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028B1 -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028B1
KR102349028B1 KR1020210108602A KR20210108602A KR102349028B1 KR 102349028 B1 KR102349028 B1 KR 102349028B1 KR 1020210108602 A KR1020210108602 A KR 1020210108602A KR 20210108602 A KR20210108602 A KR 20210108602A KR 102349028 B1 KR102349028 B1 KR 10234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spital
server
park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028B9 (ko
Inventor
노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Priority to KR102021010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28B1/ko
Publication of KR10234902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2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은 제 1병원의 위치정보, 식단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점정보, 주차정보 및 실시간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병원정보를 저장하는 제 1서버, 상기 제 1병원 주변의 제 1반경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주변부 건물의 위치정보, 주변부 건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켓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의 운영시간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주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주변부 정보를 저장하는 제 2서버, 상기 제 1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상기 제 2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 1병원정보 및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수신하는 제 1사용자의 제 1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사용자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제 1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서버에 상기 제 1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병원에 대한 예약정보 및 평균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의 상기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예약 정보의 상기 평균진료시간 정보와 제 1병원의 상기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무료로 주차가 가능한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서 이용가능한 마켓에 대한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된 제 1예약정보,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1주변부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HOSPITAL MENAGEMENT AND MARKETING SYSTEM}
본 발명은 병원관리 및 병원을 홍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병원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은 병원의 간판을 보며 찾아가거나, 해당 병원을 이용해본 적이 있는 방문자의 경험을 듣고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자신이 거주하는 집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병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터넷 매체가 발달되어 자신이 거주하는 집과 먼 거리에 있는 큰 병원을 이용하거나, 해당 병원을 이용한 사람들의 평가가 우수한 병원을 검색을 통해 찾아가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병원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경우 단순히 거리가 가깝다는 이점만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게 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으며, 온라인 상으로 많은 홍보를 하거나, 자신의 병원의 강점을 온라인 상으로 많이 노출하여 사람들이 찾아오게 하여야 하는 상황이 되었고 이에 더하여 병원을 이용한 사람들의 온라인 상의 평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환자들이 불편하다고 지적하는 부분을 꾸준히 개선하여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한편, 과거에 비해 자차 보급율이 상당히 높아져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차량를 보유하고 있어, 자신이 거주하는 집과 거리가 먼 거리에 있는 병원을 이용하는 경우, 보통 차량을 통해 해당 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에 주차를 하여 병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해당 병원은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일정 시간의 무료주차권을 발급하고 있다. 이때 병원을 내원한 사람들이 병원 근처의 다른 건물에 위치하는 다른 장소에 들르고자 하는 경우(예를 들어, 마트를 들르거나,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병원과 매우 인접하여 도보로 이동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병원 건물의 무료주차 시간을 고려하여 병원건물의 주차장에서 출차를 한 후 인접한 다른 위치의 건물에 다시 주차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렇게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의 불편을 해소하여 병원에 대한 유인력을 강화하면서도, 온라인상으로 실시간으로 환자들의 평가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병원을 개선하여 더 많은 환자들이 내원하도록 할 수 있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6283호(2006년 3월 3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병원 근처의 이용가능한 다른 매장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잔류하는 무료 주차시간에 기반하여 다른 매장들을 이용할 시간을 제공하여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병원을 내원하고자 하는 환자들이 편리하게 병원에 내원하게 함으로써, 병원의 편리함을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병원을 내원하면서, 병원 근처의 다른 매장을 방문하려는 환자들에게 차량을 별도로 이동하여 재주차를 하지 않더라도 한 곳에 주차하는 것만으로 병원 근처의 주변 다른 매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나아가 해당 병원에 유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병원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여 환자들이 병원에 대해 불편하거나 불만인 점을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병원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주변의 경쟁병원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해당 병원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점을 빠르게 파악하여 개선함으로써, 환자의 유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은 제 1병원의 위치정보, 식단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점정보, 주차정보 및 실시간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병원정보를 저장하는 제 1서버, 상기 제 1병원 주변의 제 1반경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주변부 건물의 위치정보, 주변부 건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켓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의 운영시간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주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주변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제 2서버, 상기 제 1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 2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 1병원정보 및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수신하는 제 1사용자의 제 1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사용자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제 1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서버에 상기 제 1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병원에 대한 예약정보 및 평균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의 상기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예약 정보의 상기 평균진료시간 정보와 제 1병원의 상기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무료로 주차가 가능한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서 이용가능한 마켓에 대한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된 제 1예약정보,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1주변부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 1출발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인터넷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출발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가 제 1병원으로 도달하는 경로에 대한 제 1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가 상기 제 1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자장에 진입하기 직전의 제 1진입방향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진입방향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가 제 1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차장에 진입하기 직전에 차량으로 진행하는 방향에서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제 1병원정보의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에 진입하기 가까운 위치의 잔류하는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병원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제 1주자정산 서버;, 및 제 1병원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 1마켓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제 2주차정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2예약 정보를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는 제 2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3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2예약 정보 및 상기 제 3예약 정보의 선후 이동경로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경우, 제 1사용자의 제 1병원의 건물에 대한 제 1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마켓의 건물에 대한 제 2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의 제 1마켓의 건물에 대한 제 3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병원의 건물에 대한 제 4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제 2주차정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주차정산정보 및 제 3주차정산정보는 각각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하는 경우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에 대한 것이며, 제 2주차정산정보 및 제 4주차정산정보는 상기 제 1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사용자가 상기 제 1주차정산정보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는 경우,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는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는 제 1시간에 대한 주차비용을 정산한 추가과금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는 상기 추가과금정보 및 기 설정된 제 2기간 내에 제 1병원에 대한 예약여부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사용자가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예약여부에 대해 추가예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추가예약정보를 상기 제 1서버 및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는 상기 추가예약정보의 예약일에 무료주차 가능시간에서 상기 제 1시간을 차감하여 무료주차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평가정보를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서버로 상기 복수의 제 1평가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제 1평가정보는 상기 제 1병원에 대한 제 1별점정보 및 문자로 작성된 제 1평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1평점정보를 수신하는 제 1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 1서버로 특정 점수인 제 1별점점수 및 특정한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1키워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별점점수 이하로 집계된 제 1-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제 1-1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키워드 중 일부가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수집된 제 1-1평가정보 및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된 제 1-1키워드 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1평가정보에 대해 설정된 제 1기간 동안 이전의 제 1-1키워드 중 어느 하나가 이전의 비율 대비 특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 1서버로 제 1병원 주변의 제 2반경 범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제 2반경 범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인터넷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2반경 범위 및 상기 제 1병원의 진료과목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주변병원에 대한 위치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주변병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병원에 대해 설정된 제 2기간 동안 이전의 제 1평가정보 횟수 대비 이후의 제 1평가정보 횟수의 제 1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변병원에 대해 설정된 상기 제 2기간 동안 이전의 주변병원의 평가정보 횟수 대비 이후의 평가정보 횟수의 제 2변화율을 산출하며, 상기 제 1변화율 대비 제 2변화율이 특정 비율 이상으로 넘어서는 경우 제 1변화율 대비 제 2변화율의 비율정보 및 해당 비율을 넘어서는 제 2병원에 대한 위치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제 2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를 통해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 1서버를 통해 제 2별점점수 및 특정한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2키워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2병원정보의 평가정보에 대해 상기 제 2별점점수 이상의 점수로 집계된 제 2-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제 2-1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 2키워드 별로 집계된 제 2키워드 비율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 1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2키워드 비율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 의하면,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들에게 병원 근처의 이용가능한 다른 매장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잔류하는 무료 주차시간에 기반하여 다른 매장들을 이용할 시간을 제공하여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을 내원하고자 하는 환자들이 편리하게 병원에 방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을 내원하면서, 병원 근처의 다른 매장을 방문하려는 환자들에게 차량을 별도로 이동하여 재주차를 하지 않더라도 한 곳에 주차하는 것만으로 병원 근처의 주변 다른 매장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나아가 해당 병원에 유인력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병원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여 환자들이 병원에 대해 불편하거나 불만인 점을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병원을 빠르게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경쟁병원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해당 병원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점을 빠르게 파악하여 개선함으로써, 환자의 유인력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병원이 위치하는 경우와 주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병원이 위치하는 경우와 주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사용자가 P1, P2로 진행하는 경우의 병원의 입구사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사용자가 P3로 진행하는 경우의 병원의 입구사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서 제 1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서 제 1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서 제 1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병원이 위치하는 경우와 주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 1병원(100)의 위치정보, 식단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점정보, 주차정보 및 실시간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병원정보를 저장하는 제 1서버(10), 상기 제 1병원(100) 주변의 제 1반경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주변부 건물의 위치정보, 주변부 건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켓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의 운영시간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주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주변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제 2서버(20, 30), 상기 제 1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 2서버(20, 30)로부터 수신하는 관리서버(50) 및 상기 관리서버(50)로부터 상기 제 1병원정보 및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수신하는 제 1사용자(1)의 제 1사용자 단말(11)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사용자(1)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사용자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제 1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서버(10)에 상기 제 1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병원(100)에 대한 예약정보 및 평균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의 상기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예약 정보의 상기 평균진료시간 정보와 제 1병원의 상기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무료로 주차가 가능한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서 이용가능한 마켓에 대한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된 제 1예약정보,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1주변부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병원(100)은 특정한 건물에 위치하는 병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 비뇨기과, 가정의학과 등을 진료하는 병원이거나 이들을 병행하여 진료하는 종합병원일 수 있다. 제 1서버(10)는 제 1병원(100)에 관한 정보인 제 1병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 1병원(100)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제 1병원정보는 위치정보, 식단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점정보, 주차정보 및 실시간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제 1병원(100)에 대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서버(20, 3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제 1병원(100) 주변의 제 1반경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주변부 건물(200, 300, 400)에 대한 정보인 제 1주변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주변부 정보는 주변부 건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켓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의 운영시간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주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주변부 정보는 주변부의 건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켓에 대한 정보, 즉, 주변부 건물에 미용실, 식당, 마트, 애완동물샵 등 다양한 마켓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상호, 위치,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시간, 주차가능시간, 주차가능대수, 무료주차시간, 해당 마켓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신의 마켓을 인터넷 상으로 홍보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위와 같은 제 1주변부 정보를 인터넷데이터베이스로 많이 송신하고 이를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으로 확인하고 있는데, 제 2서버(20, 30, 40)은 이와 같은 여러 주변부 건물의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한편, 비제한적으로, 상기 제 1반경은 제 1병원(100)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설정하거나, 인터넷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한 주변의 인구량 변동추이, 교통량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 2서버(20, 30, 4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1사용자(1)의 제 1사용자 단말(11)은 상기 관리서버(50)로부터 상기 제 1병원정보 및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사용자(1)는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제 1병원(100)을 이용하려는 이용자이거나, 제 1병원(100)의 진료과목을 이용하려는 잠재적인 이용자일 수 있다. 제 1사용자(1)는 관리서버(50)로부터 제 1병원(100)을 이용하기 위하여 검색한 후 제 1병원정보 뿐만 아니라 제 1병원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 1주변부 정보를 함께 수신함으로써, 자신이 제 1병원을 이용하는 경우 인접하는 위치에서 함께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다른 마켓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사용자(1)는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사용자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제 1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서버(10)에 상기 제 1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병원에 대한 예약정보 및 평균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할 수 있고, 예약이 완료되었다는 제 1예약 정보를 관리서버(50)에서 제 1사용자 단말(11)로 송신함으로써, 제 1사용자(1)가 예약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의 상기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예약 정보의 상기 평균진료시간 정보와 제 1병원의 상기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무료로 주차가 가능한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 1사용자(1)가 진료를 보려는 진료과목에 대해 해당 병원인 제 1병원(100)에서 평균적으로 진료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제 1병원(100)에서 진료하는 경우의 무료주차시간을 계산하여 무료주차가 가능한 시간에서 평균진료시간을 차감하여 무료로 주차가 가능한 제 1주차잔류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사용자(1)는 자신이 진료하고자 하는 진료과목에 대해 해당 병원을 방문할 경우 남는 무료주차시간을 미리 계산할 수 있고, 남는 시간을 활용하여 다른 주변에 위치하는 마켓을 방문할 계획을 미리 세울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서 이용가능한 마켓에 대한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 1주변부 정보에서 제 1주차잔류시간 동안에 이용가능한 마켓만을 추려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주차잔류시간이 20분일 경우, 제 1주변부 정보에서 미용실의 이용이 어려울 수 있어, 이에 대한 정보는 제외하고, 마트나,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포장판매가 가능한 점포에 대한 정보는 제 1-1주변부 정보에 포함하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 1사용자(1)가 남는 무료주차시간 동안 추가로 이용가능한 주변 매장을 미리 확인하고 자신이 들를 다른 주변부의 마켓을 미리 예상하고 계획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는 제 1병원(100)에서 제 1주변부 정보에 포함된 마켓과의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사람이 걸어가는 경우의 시간을 산정함으로써,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서버(10)로부터 수신된 제 1예약정보,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1주변부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로 송신함으로써, 제 1사용자(1)가 예약정보, 무료주차가 가능한 범위에서 자신이 추가로 이용할 수 있는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 그리고 남는 무료주차시간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 1-1주변부 정보를 미리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병원을 이용한 후 남는 무료주차시간을 사용자가 짐작하거나 입차시간을 자신이 체크한 후 그때에 가서 주변에 들를 매장을 검색하곤 하였었는데, 이러한 방식은 검색하는 과정에서 추가 시간이 소요되고, 미리 계획을 세우기 어려워 자신이 다른 매장을 갈 계획을 미리 세우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 1병원(100)의 건물에서 다시 차량을 출차하고 인접하는 매장의 건물에 다시 주차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평균진료시간에 기반하여 미리 남는 무료주차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그 남는 시간동안 방문 가능한 범위의 주변 매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제 1사용자(1)가 별도의 출차 없이 미리 제 1병원(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매장에 방문할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제 1병원(100)을 이용하려는 환자들 혹은 이용자들에 대해 주변 매장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제 1병원(100)에 대해 이용만족도를 높여 유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병원이 위치하는 경우와 주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서 사용자가 P1, P2로 진행하는 경우의 병원의 입구사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에서 사용자가 P3로 진행하는 경우의 병원의 입구사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서 제 1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6과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사용자(1)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제 1출발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인터넷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출발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1)가 제 1병원(100)으로 도달하는 경로에 대한 제 1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1)가 상기 제 1병원(100)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자장에 진입하기 직전의 제 1진입방향정보(P1, P2, P3)를 상기 제 1서버(10)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제 1진입방향정보(P1, P2, P3)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1)가 제 1병원(100)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차장에 진입하기 직전에 차량으로 진행하는 방향에서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제 1병원정보의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100)에 진입하기 가까운 위치의 잔류하는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특정 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에 처음 방문하는 경우, 네비게이션을 통해서 네비게이션에서 안내하는 위치로 차량을 가지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 네비게이션이 제공하는 것은 목적지 근방의 가상 화면만을 제공하였고, 목적지 직전에서 네비게이션이 안내완료를 알리게 되었다. 그러나, 건물과 건물이 매우 가깝게 인접해 있거나, 인접하는 건물의 주차입구가 동일한 경우, 해당 병원을 방문하는 사용자가 잘못된 인접한 건물에 주차를 하는 등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제 1사용자(1)가 진입하는 방향에 기반하여 주차장에 진입하기 직전에 차량으로 진행하는 방향에서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주차장입구 사진에 대한 정보를 제 1사용자 단말(11)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주차장 입구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서버(50)가 인터넷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1사용자(1)의 제 1출발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1)가 제 1병원(100)으로 도달하는 경로에 대한 제 1경로 정보를 수신하면, 제 1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1)가 상기 제 1병원(100)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자장에 진입하기 직전의 제 1진입방향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제 1진입방향정보를 바탕으로, 제 1사용자(1)가 제 1병원(100)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차장에 진입하기 직전에 차량으로 진행하는 방향에서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주차장입구 사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P1이나 P2 방향으로 진입할 것이 예측된다고 제 1진입방향정보가 파악되는 경우 도 4와 같은 주차장입구 사진을 제공하고, P3방향으로 진입할 것이 예측된다고 제 1진입방향정보가 파악되는 경우 도 5와 같은 주차장입구 사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의 네비게이션의 경우는 도착지의 가상의 이미지만을 제공하거나, 도착지 건물에 대한 개략적인 위치만을 제공하여, 주변건물과 붙어있거나 매우 인접하는 주차장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장 진입로를 헷갈릴 수 있는데, 제 1사용자(1)의 제 1진입방향정보에 기반하여 바라보게 될 것으로 예측되는 제 1병원(100)의 주차장 입구 사진을 제 1사용자(1)에게 제공함으로써, 제 1사용자(1)가 정확하게 해당 건물을 찾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 1병원정보의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100)에 진입하기 가까운 위치의 잔류하는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로 송신하여 제 1사용자(1)가 주차가능한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주차가능한 위치 중 제 1병원(100)에 가기 더 편리한 위치, 더 가까운 위치에 주차를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병원(100)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제 1주자정산 서버(60), 및 제 1병원(100)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제 2주차정산 서버(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사용자(1)는 상기 제 1병원(100)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2예약 정보를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2)는 제 2사용자 단말(12)을 통해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병원(100)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3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2예약 정보 및 상기 제 3예약 정보의 선후 이동경로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경우, 제 1사용자(1)의 제 1병원(100)의 건물에 대한 제 1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마켓(200)의 건물에 대한 제 2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60)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2)의 제 1마켓(200)의 건물에 대한 제 3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병원(100)의 건물에 대한 제 4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제 2주차정산 서버(7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주자정산 서버(60)는 제 1병원(100)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주차정산 서버일 수 있으며, 해당 건물에 입차 및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을 기록하여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서버일 수 있고, 별도로 제 1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의 관리자가 특정 차량에 대해 무료주차 시간을 부여하는 경우 무료주차 시간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과금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제 2주차정산 서버(70)는 제 1병원(100)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의 주차비용을 정산하고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병원(100)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여러 마켓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차정산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주차정산 서버에 대해서는 당해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 1사용자(1)는 상기 제 1병원(100)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2예약 정보를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할 수 있고, 제 2사용자(2)는 제 2사용자 단말(12)을 통해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병원(100)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3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제 2예약 정보에는 제 1사용자(1)의 제 1병원(100)을 이용한 이후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200)을 이용할 것이라는 정보를 포함하고, 제 3예약 정보에는 제 2사용자(2)의 제 1마켓(200)을 이용한 이후에 제 1병원(100)을 이용할 것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사용자(1)는 제 1병원(100)을 먼저 방문한 이후 제 1마켓(200)을 진료 이후에 방문할 예정이라는 것이며, 반대로 제 2사용자(2)는 제 1마켓(200)을 먼저 방문한 이후 나중에 제 1병원(100)에서 진료할 정이라는 것이다.
이후,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2예약 정보 및 상기 제 3예약 정보의 선후 이동경로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경우, 제 1사용자(1)의 제 1병원(100)의 건물에 대한 제 1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마켓(200)의 건물에 대한 제 2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60)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2)의 제 1마켓(200)의 건물에 대한 제 3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병원(100)의 건물에 대한 제 4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제 2주차정산 서버(7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사용자(1)는 제 1병원(100)을 먼저 방문하여 해당 건물에 주차를 하였고, 제 1병원(100)과 제 1마켓(200)을 이용하지만, 별도로 차량을 이동하지 않더라도 제 1마켓(200)의 주차정산비용을 제 1건물(100)에 위치하는 제 1주차정산 서버(60)에서 함께 정산할 수 있는 것이고, 제 2사용자(2)는 제 1마켓(200)을 먼저 방문하여 해당 건물에 주차를 하였고, 제 1마켓(200)과 제 1병원(100)을 이용하지만, 별도로 차량을 제 1병원(100)의 건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제 1병원(100)의 주차정산비용을 제 1마켓(200)에 위치하는 제 2주차정산 서버(70)에서 정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주차정산정보 및 제 3주차정산정보는 각각 상기 제 1병원(100)을 이용하는 경우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에 대한 것이며, 제 2주차정산정보 및 제 4주차정산정보는 상기 제 1마켓(200)을 이용하는 경우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사용자(1)와 제 2사용자(2)가 서로 시간을 달리하고 선후를 달리하여 동일한 장소를 방문하게 되는 경우 서로의 주차정산비용을 교환하는 방식에 의해 별도로 사용자들이 차량을 이동하지 않더라도 차량을 그대로 두고 두 장소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병원(100)의 관리자는 어차피 제 1사용자(1)와 제 2사용자(2)에게 별도로 각각 1회씩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발급하여야 하고, 제 1마켓(200)의 관리자도 어차피 제 2사용자(2)와 제 1사용자(1)에게 별도로 각각 1회씩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발급하여야 하여 모두 각각 2회씩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발급하는데, 이를 어느 한 사용자들에게 모두 발급함으로써,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발급하는 횟수는 동일하게 된다.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인접하는 건물에 대해 자신의 차량을 다시 출차하여 인접하는 건물로 이동한 후 주차를 하지 않더라도 한 장소에 차량을 주차하고 (선후관계는 바뀌지만) 동일한 이동경로에 있는 사용자들 간에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교환하여 편리하게 제 1병원(100)과 인접하는 제 1마켓(200)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병원(100)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사용자(1)가 상기 제 1주차정산정보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는 경우,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60)는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는 제 1시간에 대한 주차비용을 정산한 추가과금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관리서버(50)는 상기 추가과금정보 및 기 설정된 제 2기간 내에 제 1병원(100)에 대한 예약여부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사용자(1)가 상기 제 1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상기 예약여부에 대해 추가예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추가예약정보를 상기 제 1서버(10) 및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60)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60)는 상기 추가예약정보의 예약일에 무료주차 가능시간에서 상기 제 1시간을 차감하여 무료주차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사용자(1)가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어 추가과금되는 주차를 하는 경우, 이를 후에 방문할 때 지불하도록 하여 제 1사용자(1)가 제 1병원(100)을 더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제 1사용자(1)도 불필요한 주차과금을 내지 않아도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사용자(1)가 1시간의 무료주차 시간을 넘이 20분을 더 초과하는 경우 바로 과금하지 않고, 해당 정보와 가까운 제 2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내) 내에 추가로 예약할 것인지를 제 1사용자(1)에게 확인하고 제 1사용자(1)가 추가 예약하는 경우 그 다음 진료시에 20분을 제외한 40분만을 무료주차 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서 제 1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병원(100)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평가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가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1서버(10)로 상기 복수의 제 1평가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평가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서버(50)가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평가정보는 상기 제 1병원(100)에 대한 제 1별점정보 및 문자로 작성된 제 1평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서버(10)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1평점정보를 수신하는 제 1관리자 단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평가정보는 해당 제 1병원에 대한 이용평가 정보를 포함하고, 별점정보를 포함한다. 별점정보는 예를 들어 별 5개를 만점으로 만족도에 대해 사용자의 별점정보일 수 있다. 또한, 문자로 작성된 평가정보는 제 1병원을 이용한 소감을 문장으로 작성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병원을 이용하고 보니 생각보다 대기시간이 길고 별로 친절하지도 않았습니다” 라는 식으로 작성된 이용자의 평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은 상기 제 1서버(10)로 특정 점수인 제 1별점점수 및 특정한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1키워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제 1별점점수 이하로 집계된 제 1-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제 1-1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키워드 중 일부가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수집된 제 1-1평가정보 및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된 제 1-1키워드 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제 1-1평가정보에 대해 설정된 제 1기간 동안 이전의 제 1-1키워드 중 어느 하나가 이전의 비율 대비 특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정 점수인 제 1별점점수를 설정하고 그 이하로 평가된 제 1-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함으로써, 제 1병원에 대한 불만이 있는 고객들에 대한 평가 위주로 분류할 수 있고, 이렇게 분류된 제 1-1평가정보에서 설정한 제 1키워드 중 일부가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수집된 제 1-1평가정보 및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된 제 1-1키워드 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로 송신함으로써, 불만이 있는 고객들이 어떠한 부분에 불만이 있는지, 그리고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고객의 불만이 있는 포인트가 어떤 부분인지 확인할 수 있어 제 1병원(100)의 관리자가 고객의 불만사항, 최근불만사항, 어떤 항목이 불만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빠르게 파악하여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키워드에 의한 분류는 제 1병원(100)에 대해 불만이 있는 고객들이 어떠한 점에 불만이 있는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불만이 어떤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것인데, 단순히 제 1키워드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좋은 평가에 대해서도 분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평가정보가 별5개 만점의 별점정보를 가지면서 “여기 병원은 너무 친절합니다.”라는 어느 하나의 평가가 있고, 별 2개의 별점정보를 가지면서 “여기 병원은 너무 친절하지 않습니다.”라는 다른 평가가 있는 경우, 단순히 제 1키워드를 “친절”로만 하였을 경우, 우수한 평가와 좋지않은 평가 2건이 모두 집계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정확한 이용자의 불만사항을 집계하기 어려운데, 특정 별점 이하의 점수만을 1차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제 1병원(100)에 불만이 있는 이용자들에 대한 정보만을 집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제 1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가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의 제 1-1키워드만을 추출하고 해당 비율을 확인함으로써,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이용자의 불만사항이 무엇인지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여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에서 제 1관리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은 상기 제 1서버(10)로 제 1병원(100) 주변의 제 2반경 범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관리서버(50)로 상기 제 2반경 범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인터넷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2반경 범위 및 상기 제 1병원(100)의 진료과목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주변병원(미도시)에 대한 위치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주변병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병원(100)의 관리자가 설정한 주변의 제 2반경 범위에서 경쟁병원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병원(100)에 대해 설정된 제 2기간 동안 이전의 제 1평가정보 횟수 대비 이후의 제 1평가정보 횟수의 제 1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변병원(미도시)에 대해 설정된 상기 제 2기간 동안 이전의 주변병원(미도시)의 평가정보 횟수 대비 이후의 평가정보 횟수의 제 2변화율을 산출하며, 상기 제 1변화율 대비 제 2변화율이 특정 비율 이상으로 넘어서는 경우 제 1변화율 대비 제 2변화율의 비율정보 및 해당 비율을 넘어서는 제 2병원(미도시)에 대한 위치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제 2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10)를 통해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병원인 제 1병원(100)에 대한 평가 대비 주변 경쟁병원의 평가정보 횟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주변 경쟁병원의 이용자가 최근 상당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러한 병원이 어느 병원인지 특징이 무엇인지 등을 제 1병원(100)의 관리자가 빠르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자신의 병원이 121건의 평가로 최근 10% 상승하였다고 파악된 반면, 주변의 A병원(경쟁병원)은 총 300건으로 최근 40%상승하였을 경우 간접적으로 최근 더 많은 이용자들이 주변 A 병원을 더 많이 찾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순한 제 1병원(100)의 평가 횟수 절대치나, 변화율만을 파악하는 경우 주변의 우수한 경쟁병원 대비 더 많은 이용자가 제 1병원(100) 찾는 것인지 정확한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병원(100)과 주변 A 병원 외에 다른 경쟁 병원이 더 이상 운영을 하지 않는 경우 해당 병원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다른 병원을 찾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 제 1병원(100)의 이용자가 많아질 수 있는데, 주변 A 병원의 변화율이 더 크다는 것을 파악하여 제 1병원(100) 보다는 주변 A 병원에 더 많은 유인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제 1병원(100)의 관리자가 대비책을 세우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은 상기 제 1서버(10)를 통해 제 2별점점수 및 특정한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2키워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제 2병원정보의 평가정보에 대해 상기 제 2별점점수 이상의 점수로 집계된 제 2-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제 2-1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 2키워드 별로 집계된 제 2키워드 비율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 1서버(10)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10)는 상기 제 2키워드 비율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4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주변 병원의 제 2별점점수 이상으로 집계된 제 2-1평가정만을 별도로 분류하여 수집함으로써, 주변 병원에 대해 만족하는 사용자들의 평점만을 분류할 수 있고, 설정된 제 2키워드에 대한 비율정보를 산출함으로써, 해당 병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어떠한 점을 만족스러워 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제 1병원(100)의 관리자는 이러한 주변의 경쟁병원에 대한 장점을 파악하여 제 1병원(100)을 보다 개선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서버(10), 제 2서버(20), 제 1관리자 단말(40), 관리서버(50), 제 1주차정산 서버(60), 제 2주차정산 서버(70)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processor)와 메모리(memory)를 갖출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memory)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서버(10), 제 2서버(20), 제 1관리자 단말(40), 관리서버(50), 제 1주차정산 서버(60), 제 2주차정산 서버(70) 들 간의 각각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은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통신망은 이들 구성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인프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서버(10), 제 2서버(20), 제 1관리자 단말(40), 관리서버(50), 제 1주차정산 서버(60), 제 2주차정산 서버(70) 들 간에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송수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들간에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망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 이더넷(Ethernet), 디지털가입자선(x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 HFC), 광가입자망(Fiber To The Home, FTTH)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또는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어드레싱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특정된 논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구성요소가 제공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화된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제 1사용자
2: 제 2사용자
10: 제 1서버
11: 제 1사용자 단말
12: 제 2사용자 단말
20, 30: 제 2서버
40: 제 1관리자 단말
50: 관리서버
60: 제 1주차정산 서버
70: 제 2주차정산 서버
100: 제 1병원
200, 300, 400: 주변건물

Claims (9)

  1. 제 1병원의 위치정보, 식단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점정보, 주차정보 및 실시간 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병원정보를 저장하는 제 1서버;
    상기 제 1병원 주변의 제 1반경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주변부 건물의 위치정보, 주변부 건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켓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의 운영시간 정보, 상기 복수의 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주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주변부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제 2서버;
    상기 제 1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 2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제 1병원정보 및 상기 제 1주변부 정보를 수신하는 제 1사용자의 제 1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사용자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제 1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서버에 상기 제 1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병원에 대한 예약정보 및 평균진료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사용자 정보의 상기 병원방문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예약 정보의 상기 평균진료시간 정보와 제 1병원의 상기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무료로 주차가 가능한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서 이용가능한 마켓에 대한 제 1-1주변부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수신된 제 1예약정보, 상기 제 1주차잔류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1주변부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 1출발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인터넷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출발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가 제 1병원으로 도달하는 경로에 대한 제 1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가 상기 제 1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자장에 진입하기 직전의 제 1진입방향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진입방향정보에 기반하여 제 1사용자가 제 1병원이 위치하는 건물의 주차장에 진입하기 직전에 차량으로 진행하는 방향에서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제 1병원정보의 주차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에 진입하기 가까운 위치의 잔류하는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장입구 사진 및 상기 주차가능자리 정보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병원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제 1주자정산 서버;, 및 제 1병원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 1마켓의 주차비용을 정산하는 제 2주차정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사용자는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2예약 정보를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는 제 2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 1주변부 정보에 기반하여 제 1병원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 1마켓을 이용한 후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할 예정이라는 제 3예약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2예약 정보 및 상기 제 3예약 정보의 선후 이동경로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경우, 제 1사용자의 제 1병원의 건물에 대한 제 1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마켓의 건물에 대한 제 2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로 송신하고, 제 2사용자의 제 1마켓의 건물에 대한 제 3주차정산정보에 대해 제 1병원의 건물에 대한 제 4주차정산정보를 합산하여 제 2주차정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차정산정보 및 제 3주차정산정보는 각각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하는 경우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에 대한 것이며, 제 2주차정산정보 및 제 4주차정산정보는 상기 제 1마켓을 이용하는 경우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용자가 상기 제 1주차정산정보의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는 경우,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는 무료주차 가능시간을 넘는 제 1시간에 대한 주차비용을 정산한 추가과금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는 상기 추가과금정보 및 기 설정된 제 2기간 내에 제 1병원에 대한 예약여부를 상기 제 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사용자가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예약여부에 대해 추가예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추가예약정보를 상기 제 1서버 및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주차정산 서버는 상기 추가예약정보의 예약일에 무료주차 가능시간에서 상기 제 1시간을 차감하여 무료주차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병원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평가정보를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서버로 상기 복수의 제 1평가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제 1평가정보는 상기 제 1병원에 대한 제 1별점정보 및 문자로 작성된 제 1평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1평점정보를 수신하는 제 1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 1서버로 특정 점수인 제 1별점점수 및 특정한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1키워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별점점수 이하로 집계된 제 1-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제 1-1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키워드 중 일부가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수집된 제 1-1평가정보 및 일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된 제 1-1키워드 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1-1평가정보에 대해 설정된 제 1기간 동안 이전의 제 1-1키워드 중 어느 하나가 이전의 비율 대비 특정 비율 이상으로 집계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 1서버로 제 1병원 주변의 제 2반경 범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제 2반경 범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인터넷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2반경 범위 및 상기 제 1병원의 진료과목 정보에 기반하여 동일한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주변병원에 대한 위치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주변병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병원에 대해 설정된 제 2기간 동안 이전의 제 1평가정보 횟수 대비 이후의 제 1평가정보 횟수의 제 1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주변병원에 대해 설정된 상기 제 2기간 동안 이전의 주변병원의 평가정보 횟수 대비 이후의 평가정보 횟수의 제 2변화율을 산출하며, 상기 제 1변화율 대비 제 2변화율이 특정 비율 이상으로 넘어서는 경우 제 1변화율 대비 제 2변화율의 비율정보 및 해당 비율을 넘어서는 제 2병원에 대한 위치정보, 의료진 정보, 진료시간 정보, 진료과목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제 2병원정보를 상기 제 1서버를 통해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 1서버를 통해 제 2별점점수 및 특정한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2키워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2병원정보의 평가정보에 대해 상기 제 2별점점수 이상의 점수로 집계된 제 2-1평가정보만을 분류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제 2-1평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제 2키워드 별로 집계된 제 2키워드 비율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 1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는 상기 제 2키워드 비율정보를 상기 제 1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관리 및 홍보 시스템.
KR1020210108602A 2021-08-18 2021-08-18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KR10234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02A KR102349028B1 (ko) 2021-08-18 2021-08-18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02A KR102349028B1 (ko) 2021-08-18 2021-08-18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028B1 true KR102349028B1 (ko) 2022-01-10
KR102349028B9 KR102349028B9 (ko) 2022-11-14

Family

ID=7934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602A KR102349028B1 (ko) 2021-08-18 2021-08-18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336B1 (ko) 2022-05-11 2022-08-08 주식회사 닥터봄 병원 종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3B1 (ko) 2003-10-06 2006-03-03 유알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다양한 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관리시스템
KR2019008212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신라시스템 예상 진료대기시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07905A (ko) * 2018-03-13 2019-09-23 박종현 사용자 맞춤형 병원 예약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90142688A (ko) * 2018-06-18 2019-12-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병원 진료 예약 방법, 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210062897A (ko) * 2019-11-22 2021-06-01 이선희 마켓정보시스템 및 마켓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3B1 (ko) 2003-10-06 2006-03-03 유알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다양한 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관리시스템
KR2019008212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신라시스템 예상 진료대기시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07905A (ko) * 2018-03-13 2019-09-23 박종현 사용자 맞춤형 병원 예약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90142688A (ko) * 2018-06-18 2019-12-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병원 진료 예약 방법, 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210062897A (ko) * 2019-11-22 2021-06-01 이선희 마켓정보시스템 및 마켓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336B1 (ko) 2022-05-11 2022-08-08 주식회사 닥터봄 병원 종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028B9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0279B2 (en) Parking space routing
Aman et al. Listen to E-scooter riders: Mining rider satisfaction factors from app store reviews
Beojone et al. On the inefficiency of ride-sourcing services towards urban congestion
US20170148324A1 (en) Navigating a Customer to a Parking Space
Ashkrof et al. Understanding ride-sourcing drivers' behaviour and preferences: Insights from focus groups analysis
US9940837B2 (en) Reference tokens for managing driverless cars
US20140214319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of a Parking Spot
US20170229018A1 (en) Computer-aided event hunting
KR20200072017A (ko)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706297B2 (en) Management of parking spaces
KR102349028B1 (ko) 병원관리 및 홍보 시스템
KR102296356B1 (ko) 펫 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9203804A1 (en) Intelligent itinerary option sorting
Kianpisheh et al. User behavioral intention toward using smart parking system
Mehadil Orvin et al. Modeling destination choice behavior of the dockless bike sharing service users
Hansen et al. Strangers On This Road We Are On: A Literature Review of Pooling in On-Demand Mobility Services
Arnesen et al. Geofencing to enable differentiated road user charging
JP5550424B2 (ja) 混雑状況提供装置、混雑状況提供方法および混雑状況提供プログラム
Khan et al. Investigating Anticipated Changes in Post-Pandemic Travel Behavior: Latent Segmentation-Based Logit Modeling Approach Using Data From COVID-19 Era
JP2002024982A (ja) 有料道路管理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接続されたドライブ計画提案システム
JP2023032032A (ja) 提案制御システム
Sipetas et al. Continuous approximation model for hybrid flexible transit systems with low demand density
Ashkrof et al. Investigating the Relocation Behavior of Ride-sourcing Drivers
Karunarathna et al. Suitability of smart car parking for shopping malls in Sri Lanka
CN117975764B (zh) 一种智能停车场的车位预约方法、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