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417B1 -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417B1
KR102348417B1 KR1020190149585A KR20190149585A KR102348417B1 KR 102348417 B1 KR102348417 B1 KR 102348417B1 KR 1020190149585 A KR1020190149585 A KR 1020190149585A KR 20190149585 A KR20190149585 A KR 20190149585A KR 102348417 B1 KR102348417 B1 KR 10234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larm signal
emergency alarm
main body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713A (ko
Inventor
유병안
양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9014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417B1/ko
Priority to PCT/KR2020/014475 priority patent/WO2021101089A1/ko
Publication of KR2021006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는 한 쌍의 전극과, 외부 기기 측으로 긴급알람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내장되는 본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오작동 방지부재; 및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알람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알람신호는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양 측부 및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Portable emergency call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자동차 사고, 도난 사고, 의료 사고, 화재 사고 등과 같은 각종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사고의 위협은 병원과 같은 업무공간에서도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돌발적이고 예측치 못한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일례로, 버튼의 조작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원격 서버로 알려주는 긴급 상황 알람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버튼을 눌러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은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조작하여 칼 등의 흉기로 위협을 받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더불어, 버튼을 눌러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와 같은 오작동이 일어날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인력 낭비 및 시간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KR 2003-008400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평상시 오작동을 방지하면서도 비상시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전극과, 외부 기기 측으로 긴급알람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내장되는 본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오작동 방지부재; 및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알람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알람신호는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양 측부 및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차단부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와 오작동 방지부재의 결합시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오작동 방지부재의 분리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전극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전극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부분과, 일면이 상기 제1부분의 일면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오작동을 방지하면서도 비상시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한 후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휴대자의 신변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본체와 오작동 방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전극과 차단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한 쌍의 전극과 차단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휴대자의 신변에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휴대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긴급알람신호가 생성된 후 외부로 송출됨으로써 휴대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휴대자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대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신변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대상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휴대자의 부주의 또는 실수에 의해 불필요한 상황에서 긴급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오작동 방지부재(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0) 측에는 상기 제어부(130)를 구성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 측에는 통신모듈(150), 알림부(170) 및 MCU와 같은 칩셋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60) 역시 상기 본체(110)에 내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60)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휴대자가 의복의 주머니 측에 걸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부분(111)과 상기 제1부분(1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분(111)은 상술한 다양한 부품들이 내장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분(112)은 휴대자의 주머니 측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분(112)은 일면이 상기 제1부분(111)의 일면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제1부분(1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마주하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의 일면 사이에는 걸림공간(S)이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자는 상기 걸림공간(S)을 이용하여 의복의 주머니 측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110)의 휴대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통과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통과공 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끈부재를 이용하여 휴대자의 목에 착용할 수도 있다.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상기 본체(110) 측에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업/다운 방식으로 상기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22)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22)은 상기 본체(110)의 양 측부 및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양 측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22)의 내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슬라이드바(124a,124b)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와 오작동 방지부재(120)의 결합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바(124a,124b)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상기 프레임(1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128a,12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110)로부터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128a,128b)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자는 긴급상황에서도 상기 한 쌍의 돌출부(128a,128b)를 통해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휴대용 긴급신호 발생장치(100)는 적시에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상기 프레임(122)이 상기 본체(110)의 양 측부 및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110)에 결합됨으로써 휴대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상기 프레임(122)이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휴대자가 상기 한 쌍의 돌출부(128a,128b)를 이용하여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를 본체(110)로부터 의도적으로 분리하는 경우에만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만 긴급알람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와의 결합시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22)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126)는 상기 프레임(122)과 본체(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부(126)는 상기 본체(110)와 프레임(122)의 결합시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상기 본체(110)와 프레임(12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130)를 통해 긴급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와 프레임(122)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130)를 통해 긴급알람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상기 차단부(126)를 통해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도통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불필요한 상황에서 휴대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긴급알람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작동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프레임(122)의 결합시 상기 차단부(126)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는 수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은 상기 차단부(126)가 수용홈(116)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126)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16)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도통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상기 본체(110)와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은 상기 본체(110)와 오작동 방지부재(120)의 분리를 통해 상기 차단부(126)가 상기 수용홈(116)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140b)은 상기 본체(110)와 오작동 방지부재(120)의 분리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전극(140a)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한 쌍의 전극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40b)은 외력에 의해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한 판상의 연결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판상의 연결전극(142)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전극(140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판상의 연결전극(142)은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가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의 연결전극(142)은 외력에 의해 일부의 길이가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전극(140a)과 접촉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본체(110) 측에 체결되면, 상기 수용홈(116)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진입하는 차단부(126)는 상기 판상의 연결전극(142)에 외력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판상의 연결전극(142)은 상기 차단부(126)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일부 길이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전극(142)은 상기 제1전극(140a)과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전극(140a) 및 제2전극(140b)은 서로 도통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이 서로 도통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어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수용홈(116)으로부터 차단부(126)가 이탈됨으로써 상기 차단부(126)에 의해 판상의 연결전극(14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판상의 연결전극(142)은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전극(142)은 상기 제1전극(140a)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140a) 및 제2전극(140b)은 서로 도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이 서로 도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한 쌍의 전극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40b)의 일측에는 상기 제2전극(140b)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1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44)는 상기 제2전극(140b)을 상기 제1전극(140a)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 사이에 상기 차단부(126)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전극(140b)은 상기 스프링부재(144)를 통해 제1전극(140a)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44)는 후퇴하여 압축력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144)는 외력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전극(140b)을 상기 제1전극(140a)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본체(110) 측에 체결되면, 상기 수용홈(116)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진입하는 차단부(126)는 상기 제2전극(140b) 측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전극(140b)을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144)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 사이에 차단부(126)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극(140a) 및 제2전극(140b)은 서로 도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이 서로 도통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어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수용홈(116)으로부터 차단부(126)가 이탈됨으로써 상기 제2전극(140b)을 통해 스프링부재(144) 측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144)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2전극(140b)을 제1전극(140a)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전극(140b)은 제1전극(140a)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140a) 및 제2전극(140b)은 서로 도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전극(140a)과 제2전극(140b)이 서로 도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서 도 7 및 도 8의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10)와 오작동 방지부재(120)의 결합시 차단부(126)를 통해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가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알람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MCU와 같은 칩셋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는 별도의 배터리(160)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16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한 쌍의 전극(140a,140b)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긴급알람신호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150)은 상기 제어부(130)를 통해 생성된 긴급알람신호를 외부 기기 측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장착 또는 설치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용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용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모듈(15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알람신호를 수신한 후 별도의 관제실이나 서버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송출되는 긴급알람신호의 수신 대상을 상술한 위치기반 서비스용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모듈(150)로부터 송출되는 긴급알람신호는 별도의 관제실이나 서버 측으로 직접 송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제실이나 서버 측에서 긴급알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용 디바이스를 통해 긴급알람신호가 송출된 위치 또는 장소를 식별할 수 있음으로써 경비원이나 경호원과 같은 보안담당자는 긴급알람신호가 송출된 위치 또는 장소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를 휴대한 휴대자는 비상시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12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긴급알람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신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외부에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알림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알림부(170)는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출력수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림부(170)는 상기 제어부(130)가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구동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100)는 휴대자의 주위에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주변의 이목을 집중시켜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110 : 본체 111 : 제1부분
112 : 제2부분 114 : 가이드홈
116 : 수용홈 118 : 충전단자
120 : 오작동 방지부재 122 : 프레임
124a,124b : 슬라이드바 126 : 차단부
128a,128b : 돌출부 130 : 제어부
140a,140b : 전극 150 : 통신모듈
160 : 배터리 170 : 알림부

Claims (8)

  1. 한 쌍의 전극과, 외부 기기 측으로 긴급알람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내장되는 본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오작동 방지부재; 및
    긴급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알람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알람신호는 상기 오작동 방지부재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양 측부 및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 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본체와 오작동 방지부재의 결합시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와 오작동 방지부재의 분리시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전극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전극과 직접 접촉되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부분과, 일면이 상기 제1부분의 일면과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서로 도통되는 경우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KR1020190149585A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KR10234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85A KR102348417B1 (ko)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PCT/KR2020/014475 WO2021101089A1 (ko) 2019-11-20 2020-10-22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85A KR102348417B1 (ko)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13A KR20210061713A (ko) 2021-05-28
KR102348417B1 true KR102348417B1 (ko) 2022-01-07

Family

ID=7598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585A KR102348417B1 (ko) 2019-11-20 2019-11-20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8417B1 (ko)
WO (1) WO202110108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47Y1 (ko) 2000-07-10 2000-12-15 임희창 휴대물품 분실방지용 연결구
JP3121699B2 (ja) * 1992-12-28 2001-0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繊維複合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001A (ko) 2002-04-24 2003-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사태 경보 서비스 방법
US7733224B2 (en) * 2006-06-30 2010-06-08 Bao Tran Mesh network personal emergency response appliance
JP3121699U (ja) * 2006-03-03 2006-05-25 修 茂木 防犯ブザー
KR20100063837A (ko) * 2008-11-27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16007B1 (ko) * 2011-11-03 2013-10-08 박종원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5424A (ko) * 2014-11-29 2016-06-09 임상보 이중호신경보기
KR20190013058A (ko) * 2017-07-31 2019-02-11 (주)젠트정보기술 긴급상황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699B2 (ja) * 1992-12-28 2001-0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繊維複合体
KR200208047Y1 (ko) 2000-07-10 2000-12-15 임희창 휴대물품 분실방지용 연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503303호(2008.08.2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13A (ko) 2021-05-28
WO2021101089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7546B1 (en) Tagging device
WO2008018728A1 (en) Danger signal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anger management system used thereof
US96611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wireless control of a medical device
KR1018028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90035866A (ko) 웨어러블 트랜스폰더(들), 경고 및 모니터링 시스템
EP2407948B1 (en) Sensor system for a personal alarm security device
KR102348417B1 (ko)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RU149834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с функцией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тревоги на компьютер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я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CN204782383U (zh) 一种电子脚铐
CN103890821A (zh) 有关个人安全装置的改良
KR20210038542A (ko)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 비상 신호를 수신하기위한 비상 신호 입력을 갖는 전기 시스템
KR102402316B1 (ko)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CN110097743A (zh) 一种基于NB-Iot的老人定位求救方法及求救系统
CN109377718A (zh) 报警手环及报警手环系统
CN104992125A (zh) 一种计算机网络安全防护系统
WO2018124941A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для людей, оказавшихся в опасной для жизни ситуации
CN204256894U (zh) 人体状态的监测设备、报警设备及监测报警系统
CN101639971A (zh) 一种对人身安全或财物安全进行保护的方法及设备
KR200442716Y1 (ko) 비상 호출 장치
JP5066457B2 (ja) 人体通信を用いた装着物の着脱検知によるセーフティシステム
RU2604858C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US20160063851A1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KR101489839B1 (ko) 전자구속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