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876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876B1
KR102347876B1 KR1020170120704A KR20170120704A KR102347876B1 KR 102347876 B1 KR102347876 B1 KR 102347876B1 KR 1020170120704 A KR1020170120704 A KR 1020170120704A KR 20170120704 A KR20170120704 A KR 20170120704A KR 102347876 B1 KR102347876 B1 KR 10234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eye box
eye
display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2136A (en
Inventor
양혜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76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인식하는 눈높이 인식부; 차량의 주행 상황을 검출하는 주행상황 검출부; 운전자의 눈높이와 주행 상황을 토대로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표시 제어부; 및 표시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아이박스로 컨텐츠를 HU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HUD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an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is disclosed.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ye level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driver's eye level; a driving cond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content eye box to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and driving condition; and a HUD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s through the HUD display unit in the content eye box detec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Description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본 발명은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쉴드 글라스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content displayed on windshield glass.

차량에 장착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는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정보 제공 장치로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가 있다. A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user mounted on a vehicl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river's attention is dispersed and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A head-up display (HUD) is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solves this problem.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윈드 쉴드 상단에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시선을 돌릴 필요가 없어 사고 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head-up display can display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river on the top of the windshiel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er does not need to look away to check the information,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그러나,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제공되는 정보들의 위치가 전방의 실제 영상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될 경우, 운전자가 표시된 정보를 인지하기 위하여 인지적 부하가 걸려 오히려 운전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location of the provided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location of the actual image in front of the head-up display and is displayed at a certain location and provided to the driver, a cognitive load is applied to the driver in order to recognize the displayed information, which makes driving saf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venience may be reduc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바탕으로 전방에 위치한 실제 물체들의 영상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정보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대두되고 있다.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가상 그래픽을 생성하여 운전자 전방의 실제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운전자 전방의 실제 물체와 함께 표시되는 것처럼 운전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that matches the location of information expressed on the head-up display with the images of real objects located in the front based on the driver's field of vision is emerging. The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generates virtual graphics and displays them in combination with the real image in front of the driver, so that the information the driver needs can be recognized by the driver as if it were displayed together with a real object in front of the drive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1471호(2015.06.26)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71471 (June 26, 2015).

종래의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자신에 맞는 아이박스 단계를 수동으로 정하면 해당 아이박스로 고정되어 운전자가 별도로 단계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해당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거리로 한정된다. 따라서 제한된 화면 사이즈(FOV) 및 각 단계별 아이박스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정합할 수 있는 투사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eye box when the driver manually sets the appropriate eye box level, and is limited to the projec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eye box until the driver separately changes the level.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ecure a limited screen size (FOV) and a projection distance that can match various contents in each stage of the eye box.

또한, 종래의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아이박스 단계를 설정함에 따라 운전자 자신에 적합한 아이박스 단계를 설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as the driver manually sets the eye box level, it is difficult to set the eye box level suitable for the driver himself.

게다가, 종래의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제한된 화면 사이즈로 투사 거리가 고정됨으로써, 컨텐츠나 주행환경에 따라 정합 표시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되고 있고, 운전자 눈높이가 아주 높거나 낮으면 아이박스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투사 영역이 편중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화면 사이즈를 확대하더라도, 화면 치우침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이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has a limited screen size and the projection distance is fixed, matching display is not possible depending on the content or driv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projection area may be biased. Even if the screen size is enlarge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nefficient area increases due to screen bia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주행상황 및 컨텐츠에 따라서 정합 위치를 판단하여 아이박스를 가변적으로 이동시키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match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content to control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to variably move the eye box. to provide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인식하는 눈높이 인식부; 차량의 주행 상황을 검출하는 주행상황 검출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기 주행 상황을 토대로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아이박스로 컨텐츠를 HU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HUD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전체 아이박스 중에서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효 아이박스를 설정하는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 상기 주행 상황 및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ye level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driver's eye level; a driving cond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content eye box to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and the driving condition; and a HUD control unit for displaying contents through a HUD display unit in the contents eye box detec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sets an effective eye box through which the driver can view the projected image among all preset eye boxes. effective ibox management unit; a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content display position to display content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content; and a content ibox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content ibox from among the valid iboxes according to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삭제delete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effective eye box based on the eye level of the driver.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는 기 설정된 설정 간격만큼 중첩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overlap by a preset interval.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전체 아이박스의 상하폭을 조절하여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effective eye box b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entire eye box.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운전자의 설정명령에 따라 아이박스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체 아이박스의 상하폭을 조절하여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effective eye box b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entire eye box based on the center of the eye box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of the driver.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새롭게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ye level of the driver is out of a preset range for a preset time, the effective eye box is newly updated.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유효 아이박스의 중심 위치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 어느 하나를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effective eye box is set as a basic eye box according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and the eye level of the driver.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 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유효 아이박스를 상기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is relatively closest to the eye level of the driver and sets the effective eye box as the basic eye box.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상기 주행 상황과 컨텐츠의 GUI 특성에 따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GUI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전방충돌경보(Forward Collision Warning)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a preceding vehicle and a height of the preceding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선행차의 중심부, 선행차의 상부 및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t least one of a center of the preceding vehicle, an upper por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an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a preceding vehicle and a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선행차의 너비 내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을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within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is detected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가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whether a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distance from a preceding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미만이거나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contents if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if the top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if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top end of the projection area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본 발명의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은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의 위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sition value of the lowe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if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box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display is impossible when the position value of ' exceed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은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중심부의 위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sition value of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content ibox according to whether content can be displayed in a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가능하면 상기 기본 아이박스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고,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하면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basic ibox as the content ibox if content can be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and if content cannot be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and determining the content ibox from among the valid iboxes.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the center of the effective eye box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ffective eye box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eye box.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enter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in which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ibox.

본 발명의 상기 HUD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기 설정된 대체 컨텐츠를 상기 HUD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UD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the HUD display unit outputs a preset replacement cont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는 주행환경 및 컨텐츠에 따라 아이박스를 변경하여 투사 거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컨텐츠 정합 성능을 향상시킨다.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tent matching performance by changing the eye box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content to move the projection distan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아이박스 단계를 직접 설정할 필요없이 운전자 눈높이 및 컨텐츠에 따라서 아이박스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moving the eye box according to the driver's eye level and contents without the driver having to set the eye box step directl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패키지 사이즈를 증가할 필요없이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아이박스 단계를 변경할 수 있어 화면을 더욱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control device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eye box stage according to the driver's eye level without the need to increase the physical package size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thereby making the screen larger. let it b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박스 및 투사거리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아이박스를 판단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박스 유효 판단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W 컨텐츠의 표시 위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C 컨텐츠 표시 위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아이박스 투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W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C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박스 변경 후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C 컨텐츠 대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ye box and a projec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effective ey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box validity determination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position definition of FCW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finition of an SCC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urrent eye box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FCW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SCC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content after changing the i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C content replacem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박스 및 투사거리에 대한 개념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아이박스를 판단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박스 유효 판단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W 컨텐츠의 표시 위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C 컨텐츠 표시 위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아이박스 투사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W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C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박스 변경 후 컨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C 컨텐츠 대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ye box and a projec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effective i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ibox valid determination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definition of the display position of FCW content according to an example, FIG. 6 is a view showing the definition of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C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urrent ibox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area,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FCW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showing whether SCC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and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content after changing the i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rawing.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는 눈높이 인식부(10), 주행상황 검출부(20), HUD(Head Up Display) 제어부(30), 표시 제어부(40) 및 HUD 표시부(50)를 포함한다.1,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a driving situation detection unit 20, a Head Up Display (HUD) control unit 30, It includes a display control unit 40 and a HUD display unit 50 .

눈높이 인식부(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눈높이를 인식한다.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captures the driver's face using a camera and recognizes the driver's eye level from the captured image.

본 실시예에서는 눈높이 인식부(10)가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의 눈높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눈높이 인식부(10)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using a camera.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ne capable of recognizing the driver's eye level may be included in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

주행상황 검출부(20)는 자차 주행시 주행상황을 검출한다. 주행상황 검출부(20)는 카메라 및 레이더 센서 등을 구비하여 이들로부터 감지된 감지 정보를 통해 자차 주변의 주행상황을 검출한다.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20 detects a driving condition when the own vehicle is driving.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20 is provided with a camera and a radar sensor, and detects a driving condition around the own vehicle through detection information sensed therefrom.

통상, 주행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와 레이더는 자차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며, 같은 위치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차량 전방의 도로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의 이미지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camera and the radar for detecting the driving situation are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own vehicle, and may be mounted at the same location or different locations. Here, the camera captures a roa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s the camera,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based image sensor may be employed.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차량 전방으로 방사하고, 자차 전방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자차 전방의 물체를 인식한다. 레이더로는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가 채용될 수 있다. The radar emits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recognizes the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by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As the radar, an array antenna may be employed.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상황 검출부(20)로 카메라와 레이더를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나 라이더 센서 등과 같이 자차 주변의 주행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행상황 검출부(20)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camera and a radar as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20 have been described as examples.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driving situation around the own vehicle,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a lida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ncluded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ction unit 20 have.

주행상황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되는 주행상황에는 선행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차에 대한 정보에는 선행차의 중심부, 선행차의 상한부, 선행차와의 거리, 선행차의 너비 및 길안내를 위한 분기점까지의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driving situation detect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ction unit 2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receding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preceding vehicle may include a center of the preceding vehicle, an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a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a distance to a junction for road guidance.

표시 제어부(40)는 눈높이 인식부(10)에 의해 인식된 운전자의 눈높이 및 주행상황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주행상황을 토대로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40 detects a content eye box to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recognized by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and the driving condition detected by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20 .

도 2 를 참조하면, 아이박스는 HUD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가상 영역으로써, 운전자의 눈높이 차이에 따라 컨텐츠를 적당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박스는 Referring to FIG. 2 , the eye box is a virtual area formed to view the HUD image, and enables content to be display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eye level of the driver. the ibox

운전자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단계로 구분되며, 일 예로 20단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박스 단계에 따라 투사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투사 영역은 상기한 아이박스에 따라 영상이 지면에 투사되는 영역이다.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eye level, and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20 stages. The projection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ep of the eye box. The projection area is an area o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ye box.

표시 제어부(40)는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 및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를 포함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40 includes an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 a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 and a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 설정된 전체 아이박스 중에서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효 아이박스를 설정한다.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sets an effective eye box in which the driver can view the projected image from among all preset eye boxes basically supported by the head-up display.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HUD에서 지원하는 전체 아이박스 중에 운전자의 눈높이에 적합한 유효 아이박스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유효 아이박스를 풀(Pool)로 관리한다. The valid eyebox management unit 41 detects valid eyeboxes suitable for the driver's eye level among all the eyeboxes supported by the HUD, and manages the detected valid eyeboxes as a pool.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운전자의 눈높이 차이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여러 단계의 아이박스 중에서, 눈높이 인식부(10)에 의해 검출된 운전자 눈높이를 기준으로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아이박스들을 선별하고, 이들 선별된 아이박스를 유효 아이박스로 정의하고 풀로 관리한다. In more detail,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projects the driver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detected by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among the eye boxes of various stages provided by the head-up displa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river's eye level. The iboxes that can view the video are selected, and these selected iboxes are defined as valid iboxes and managed as pools.

통상적으로, 아이박스는 복수 개가 마련되고, 이들 아이박스는 기 설정된 설정 간격으로 사전에 중첩되므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아이박스들도 설정 간격으로 중첩되게 설정되고, 그 결과 운전자의 눈높이를 포함하는 높이의 유효 아이박스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눈높이 인식부(10)에 의해 검출된 운전자의 눈높이를 e라 하면, e에 해당하는 아이박스, 즉 도 3에서 아이박스1과 아이박스2가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효 아이박스로 검출될 수 있다. Typically, a plurality of eye boxes are provided, and since these eye boxes are overlapped in advance at a preset interval, effective eye boxes are also set to overlap at a set interval as shown in FIG. 3 , and as a result, the eye level of the driver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ffective eye boxes having a height including . If the eye level of the driver detected by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is e, the eye box corresponding to e, that is, eye box 1 and eye box 2 in FIG. 3 is detected as an effective eye box through which the driver can view the projected image. can be

이와 같이, 유효 아이박스들이 설정 간격으로 중첩되게 위치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위치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HUD 영상을 볼 수 있는 영역이 더욱 확대 또는 확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ffective eye boxes are positioned to overlap at a set interval, content can be displayed in more diverse positions, and thus the area in which the driver can view the HUD image can be further enlarged or expanded.

또한,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아이박스를 유효 아이박스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사용자의 설정명령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즉,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운전자의 설정명령에 따라 아이박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아이박스의 상하폭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운전자의 설정명령에 따라, 아이박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면적의 80% 또는 90% 등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id ibox management unit 41 may chang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ibox as a valid ibox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command. That is,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may adjust the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eye box based on the center of the eye box according to the driver's setting command. It can be changed such as 80% or 90% of the top and bottom area.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복수 개의 아이박스 중에서 운전자의 눈높이에 유효한 복수 개의 유효 아이박스를 풀로 관리하되, 이들 유효 아이박스를 컨텐츠나 주행 상황에 따라 가변시킨다. 그러나,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아이 트랙킹(Eye Tracking)시,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상 설정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새롭게 설정하고, 새롭게 설정된 운전자의 눈높이에 유효한 유효 아이박스를 새롭게 검출함으로써, 유효 아이박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manages a plurality of effective eye boxes effective at the driver's eye level among the plurality of eye boxes in full, and changes these effective eye boxes according to content or driving conditions. However,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newly sets the driver's eye level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the set range for more than a preset time during eye tracking, and an effective eye level for the newly set driver's eye level By newly detecting the box,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valid eyebox.

여기서, 설정시간 및 설정범위는 운전자의 눈높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시간 및 눈높이 범위이다. 따라서,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설정시간 이상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운전자의 눈높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set time and the set range are the standard time and eye level range for determining that the driver's eye level has changed. Accordingly,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s eye level has changed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the set range for more than a preset time.

더욱이,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유효 아이박스의 중심 위치와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유효 아이박스 중 어느 하나를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한다. 이 경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그 중심 위치가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유효 아이박스를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한다. Furthermore,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sets any one of the effective eye boxes as the basic eye box according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and the eye level of the driver. In this case,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sets the effective eye box whose center position is relatively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as the basic eye box.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주행 상황 및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detects a content display position to dis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the content.

컨텐츠 표시 위치는 컨텐츠 및 주행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 표시 위치를 커버하는 아이박스도 가변될 필요가 있다. 즉,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주행 환경에 컨텐츠를 중첩하여 표현해야 하므로, 투사 영역이 일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비해 넓어야 하는 등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투사 영역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에, 아이박스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킴으로써, 물리적인 사이즈를 증가시키거나 고배율 광학계를 사용할 필요없이 투사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Since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driving conditions, the eye box cover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display position also needs to be varied. That is, since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needs to express content by superimposing it on the driv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ojection area capable of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such as a projection area having to be wider than that of a general head-up display. Accordingly, by changing the eye box in real time, the projection area can be secured without the need to increase a physical size or use a high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아이박스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표시 위치 확인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주행 상황과 컨텐츠 GUI 특성을 반영하여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 In order to change the ibox,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first. Accordingly,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by reflecting the driving situation and the content GUI characteristics.

즉,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전방충돌경보(Forward Collision Warning;FCW),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SCC) 및 차선 변경 안내 등의 이벤트 발생시, 주행상황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선행 차량의 거리 및 길안내를 위한 분기점까지의 거리 등의 주행 상황에 따라, 표시해야 할 컨텐츠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특성을 고려하여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 That i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detects the driving situation detection unit 20 when events such as 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Smart Cruise Control (SCC), and lane change guidance occu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detected in consideration of GUI (Graphic User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content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such as the distance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distance to a junction for road guidance.

예를 들어,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자차가 선행차에 근접하여 FCW(Forward Collision Warning) 이벤트 발생 시, 선행차 위에 경고 표시하는 컨텐츠 GUI 특성을 고려하여 주행상황 검출부(20)를 통해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 차량의 너비를 인식한다. For example,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event occurs due to proximity of the own vehicle to the preceding vehicle,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ontent GUI characteristic of displaying a warning on the preceding vehicle through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20 . It recognizes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and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42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nd a height of the preceding vehicle.

주행상황에는 선행차의 중심위치, 선행차의 상한부, 선행차와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선행차의 중심위치(c), 선행차의 상한부(t), 선행차와의 거리(d)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driving situation may include the center posi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c),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t), and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d) ) is as shown in FIG. 5 .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선행차의 중심부, 선행차의 상부 및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42 may detect at least one of the center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upper por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an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다음으로,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Next, when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42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a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주행상황에는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너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선행차와의 거리(d) 및 선행차의 너비(w)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driving situation may include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distance (d)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width (w) of the preceding vehicle are as shown in FIG. 6 .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선행차의 너비 내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을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한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출력될 수 있는 컨텐츠로는 자차 속도, 선행차와의 간격 및 거리 확보 필요 요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42 detects an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within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Content that can be output when a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requesting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need to secure a distance.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표시 위치에 따라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한다.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etects a content ibox from among the valid iboxes according to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ed by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컨텐츠 표시 위치가 현재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In more detail,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eye box,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컨텐츠 표시를 위해 획득된 컨텐츠 표시 위치가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기본 아이박스를 유지할지, 또는 유효 아이박스 중 다른 아이박스로 변경할지 판단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 max를 p1, 중심부 mid를 p3, 중심부 mid와 Max의 1/2 위치를 p2,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 min p5, 및 중심부 mid p3와 min p5의 1/2 위치를 p4라 하면, 이들 각각의 위치값을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의 위치값과 비교하여 가능 여부 판단한다.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obtained for content display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and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the basic ibox or change to another ibox among the valid iboxes. . As shown in FIG. 7 , p1 at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p3 at the center mid, p2 at the 1/2 position of the center mid and Max, min p5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and 1 of the center mid p3 and min p5 /2 If the position is p4, each position value is checked and compared with the posi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possible.

이 경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기본 아이박스 단계를 기준으로 FCW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 min 위치 p5가 선행 차량 간 거리 d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 max p1이 선행차 상한부 t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컨텐츠 GUI 특성에 따라 각 컨텐츠 별 가능 여부 판단 기준을 정의할 수 있다. 반면에,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현재 아이박스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 min 위치 p5가 선행 차량 간 거리 d 미만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 max p1이 선행차 상한부 t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isplays FCW content based on the basic eye box stage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as shown in FIG. 8 , the lowe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min If the position p5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d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s, or the uppermost max p1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t of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GUI, it is possible to defin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content is possible or no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etects the content display when the min position p5 of the lowermost end of the current eyebox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s, or max p1 of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exceeds the upper limit t of the preceding vehicle. judged to be impossible

또한,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기본 아이박스 단계를 기준으로 SCC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컨텐츠를 선행 차량 간 거리 d 아래에 표시하므로, 현재 아이박스 mid 위치 p3가 선행 차량 간 거리 d 이하여야 하나 만족하지 못하므로 컨텐츠 표시 불가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isplays the SCC content based on the basic ibox stage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the content is displayed below the distance d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s, so the current ibox mid position p3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s must be less than d, but it is not satisfied,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즉,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중심부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9 ,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that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if the location value of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basic eye box. If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ed area exceed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 표시 위치가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etects the content ibox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가능하면 기본 아이박스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고,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하면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컨텐츠 아이박스를 결정한다.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the basic ibox as the content ibox if content can be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and if content cannot be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the content is selected from among the valid iboxes. Determine the ibox.

이 경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부의 위치가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한다. In this case, when the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etects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in which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effective eye box whose center position is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eye box.

또한,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부의 위치가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한다. In addition, when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th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in which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as shown in FIG. 10 is the driver's The effective eye box closest to eye level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eye box.

HUD 제어부(30)는 눈높이 인식부(10)를 제어하여 운전자의 눈높이를 검출하도록 하고, 주행상황 검출부(20)를 제어하는 주행상황을 검출하도록 한다. 또한 HUD 제어부(30)는 전방충돌경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및 차선 변경 안내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 제어부(40)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아이박스로 HUD 표시부(50)를 통해 표시한다. The HUD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to detect the driver's eye level, and detects a driving condition that controls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20 . In addition, the HUD control unit 30 displays content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events such as forward collision warning, smart cruise control, and lane change guidance through the HUD display unit 50 as the contents ibox detec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40 .

한편,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HUD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대체 컨텐츠를 HUD 표시부(50)로 출력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 운전자의 눈높이가 아주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유효 아이박스 개수가 제한적일 수 있고, 그 결과 컨텐츠 및 주행 상황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투사 영역을 커버하는 아이박스가 유효 아이박스 풀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실 주행 환경에 정합하여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 GUI를 통해 대체 컨텐츠를 표시한다. 대체 컨텐츠로는 이모티콘이나 문자,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the preset threshold range and no effective eye box exists, the HUD controller 30 outputs preset replacement content to the HUD display unit 50 . More specifically,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side the preset threshold range, that is,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very high or low, the number of effective eye boxes may be limited, and as a result, the corresponding content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driving conditions. There may not be an eyebox in the effective eyebox pool that covers the capable projection area. In this case, since it is impossible to match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real driving environment,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isplays the alternative content through the alternative GUI as shown in FIG. 11 . The alternative content may include emoticons, texts, images, and the like.

HUD 표시부(50)는 컨텐츠를 비구면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윈드실드에 표시한다. 이 경우, HUD 표시부(50)는 비구면 미러에 연결된 모터를 회전시켜 비구면 미러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아이박스 단계를 표시 제어부(40)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아이박스 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The HUD display unit 50 reflects the content through the aspherical mirror and displays it on the windshield. In this case, the HUD display unit 50 may rotate a motor connected to the aspherical mirror to adjust the reflection angle of the aspherical mirror to change the eye box stage to the content eye box stage detec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40 .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비구면 미러에 연결된 모터를 회전시켜 아이박스 단계를 조절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아이박스 단계를 조절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방식 및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tep of the eye box is adjusted by rotating the motor connected to the aspherical mirror,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clude all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방법을 도 12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osition of an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를 참조하면, 먼저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기 설정된 전체 아이박스 중에서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Referring to FIG. 12 , first,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effective eye box through which the driver can view a projected image among all preset eye boxes ( S10 ).

단계(S10)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눈높이 인식부(10)를 통해 운전자의 눈높이를 인식한다(S2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re is no valid eye box,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recognizes the eye level of the driver through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 S20 ).

이어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HUD에서 지원하는 전체 아이박스의 여러 단계 중에 운전자의 눈높이에 적합한 유효 아이박스들을 검출(S30)하고, 검출된 유효 아이박스를 풀(Pool)로 정의한다. Next,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detects valid eye boxes suitable for the driver's eye level among various steps of all eye boxes supported by the HUD (S30), and defines the detected effective eye box as a pool.

즉,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운전자의 눈높이 차이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지원하는 여러 단계의 아이박스 중에서, 눈높이 인식부(10)에 의해 검출된 운전자 눈높이를 기준으로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아이박스들을 선별하고, 이들 선별된 아이박스를 유효 아이박스로 정의하고 풀로 관리한다. That is,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allows the driver to view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detected by the eye level recognition unit 10 among the eye boxes of various stages supported by the head-up displa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river's eye level. Existing iboxes are selected, and these selected iboxes are defined as valid iboxes and managed as pools.

이어,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유효 아이박스의 중심부 위치와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유효 아이박스 중 어느 하나를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한다(S40). 이 경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41)는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그 중심 위치가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유효 아이박스를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할 수 있다. Next,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sets any one of the effective eye boxes as the basic eye box according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and the eye level of the driver (S40). In this case,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41 may set an effective eye box whose center position is relatively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as the basic eye box.

다음으로,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가 주행 상황 및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S50).Next,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detects a content display position to display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the content (S50).

이 경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주행상황 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된 선행 차량의 거리 및 길안내를 위한 분기점까지의 거리 등의 주행 상황에 따라, 전방충돌경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및 차선 변경 안내 등의 이벤트 발생시 표시해야 할 컨텐츠의 GUI 특성을 고려하여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한다. In this case,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performs forward collision warning, smart cruise control, and When an event such as lane change guidance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det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UI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to be displayed.

예를 들어,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선행차의 중심부, 선행차의 상부 및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2 may determine an area between the center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upper por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an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a height of the preceding vehicle. At least one of them may be detected as a content display position.

또한,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42)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선행차의 너비 내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을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한다. Also, when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42 detects an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within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a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한편, 단계(S10)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면, 상기한 단계(S50)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f a valid ibox exists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step S10, the above step S50 is performed.

단계(S50)을 통해 컨텐츠 표시 위치가 검출되면,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컨텐츠 표시 위치가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 즉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60).When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detected through step S50,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that is, whether content display is possible,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content can be displayed (S60).

이 경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기본 아이박스 단계를 기준으로 FCW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 위치가 선행 차량 간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현재 아이박스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 위치가 선행 차량 간 거리 미만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 위치가 선행차 상한부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isplays FCW content based on the basic eye box stage due to the occurrence of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the position of the lowe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preceding vehicles, Alternatively, if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current eye box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s or the projection area When the uppermost position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tent display is impossible.

또한,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기본 아이박스 단계를 기준으로 SCC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중심부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isplays SCC content based on the basic eye box stage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the location value of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on the back side, and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exceed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display is impossible.

한편, 단계(S60)에서의 판단 결과 컨텐츠 표시가 가능하면,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해당 기본 아이박스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고, HUD 제어부(30)는 HUD 표시부(50)를 제어하여 컨텐츠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으로 해당 컨텐츠를 표시한다(S7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content can be displayed,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basic ibox as the content ibox, and the HUD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HUD display unit 50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content ibox (S70).

반면에 단계(S60)에서의 판단 결과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하면,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80), 판단 결과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면, 이들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검출한다(S9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43 determines whether a valid ibox exists (S80). Any one of the boxes is detected as a content ibox (S90).

이 경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에는,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위치가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한다. In this case,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detects an effective eye box in which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effective eye box whose center position is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eye box.

또한,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43)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위치가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한다. In addition, when the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43 selects the effective eye box whose center position is closest to the driver's eye level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in which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cided by the content ibox.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함에 따라, HUD 제어부(30)는 HUD 표시부(50)를 제어하여 컨텐츠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으로 해당 컨텐츠를 표시한다(S70).Upon detecting the content ibox, the HUD controller 30 controls the HUD display unit 50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content ibox (S70).

반면에, 단계(S80)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HUD 제어부(30)는 대체 컨텐츠를 표시한다(S100). 여기서, 유효 아이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는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 that there is no valid ibox, the HUD controller 30 displays the replacement content (S100). Here, the case in which the effective eye box does not exist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는 주행환경 및 컨텐츠에 따라 아이박스를 변경하여 투사 거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컨텐츠 정합성능을 향상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tent matching performance by changing the eye box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and content to move the projection distan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운전자가 아이박스 단계를 직접 설정할 필요없이 운전자 눈높이 및 컨텐츠에 따라서 아이박스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moving the eye box according to the driver's eye level and contents without the driver having to set the eye box level direc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패키지 사이즈를 증가할 필요없이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아이박스 단계를 변경할 수 있어 화면을 더욱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eye box stage according to the driver's eye level without the need to increase the physical package size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so that the screen can be further utilized. let it b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눈높이 인식부
20: 주행상황 검출부
30: HUD 제어부
40: 표시 제어부
41: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
42: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
43: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
50: HUD 표시부
10: eye level recognition unit
20: driving condition detection unit
30: HUD control unit
40: display control
41: effective ibox management unit
42: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43: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50: HUD display unit

Claims (25)

운전자의 눈높이를 인식하는 눈높이 인식부;
차량의 주행 상황을 검출하는 주행상황 검출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기 주행 상황을 토대로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컨텐츠 아이박스로 컨텐츠를 HU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HUD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전체 아이박스 중에서 운전자가 투사 영상을 볼 수 있는 유효 아이박스를 설정하는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 상기 주행 상황 및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Eye level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driver's eye level;
a driving condi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content eye box to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and the driving condition; and
and a HUD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s through the HUD display unit to the content eye box detect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include: an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set an effective eye box in which a driver can view a projected image among all preset eye boxes; a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content display position to display content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content; and a content ibox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content ibox from among the valid iboxes according to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detects the effective eye box based on the driver's eye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는 기 설정된 설정 간격만큼 중첩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is set to overlap by a preset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전체 아이박스의 상하폭을 조절하여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detects the effective eye box b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entire eye box.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운전자의 설정명령에 따라 아이박스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체 아이박스의 상하폭을 조절하여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detects the effective eye box by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entire eye box based on the center of the eye box according to a driver's setting command. of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기 설정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유효 아이박스를 새롭게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newly updates the effective eye box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a preset range for a preset tim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유효 아이박스의 중심 위치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 어느 하나를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sets any one of the effective eye boxes as a basic eye box according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effective eye box and the eye level of the driver.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아이박스 관리부는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 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유효 아이박스를 상기 기본 아이박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of claim 8, wherein the effective eye box management unit sets an effective eye box having a center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driver's eye level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as the basic eye box.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상기 주행 상황과 컨텐츠의 GUI 특성에 따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and GUI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전방충돌경보(Forward Collision Warning)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11. The augmentation of claim 10, wherein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from a preceding vehicle and a height of the preceding vehicle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A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 reality heads-up displ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선행차의 중심부, 선행차의 상부 및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display of claim 11, wherein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detects at least one of a center of the preceding vehicle, an upper por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an area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position control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이벤트 발생시, 선행차와의 거리 및 선행차의 너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11. The augmentation of claim 10, wherein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a preceding vehicle and a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when a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A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 reality heads-up displa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 검출부는 선행차의 너비 내 선행차와의 사이 영역을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s a region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within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컨텐츠 표시 위치가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 표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display position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on the displa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cont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whether a location value of a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distance from a preceding vehicle.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on the display.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미만이거나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display is possible, and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top end of the projection area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Head-up display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은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최하단부의 위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a position value of the lowe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이면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를 초과하면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if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when a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and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display is impossible when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distance exceed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은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중심부의 위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a position value of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claim 15 , wherei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detects the content eye box according to whether content can be displayed in a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가능하면 상기 기본 아이박스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고,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에 컨텐츠 표시가 불가능하면 상기 유효 아이박스 중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ontent ibox detection unit determines the basic ibox as the content ibox if content can be displayed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and displays the content in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ibox. If it is impossible,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content ibox from among the valid ibox.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전방충돌경보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투사 영역의 최상단부가 선행차 상한부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23. The effective eye of claim 22, wherei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has a posi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or the uppermost end of the projec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of the preceding vehicle when a forward collision warning event occurs.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box determines the closest effective eye box to the eye level of the driver as the content eye box.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 검출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이벤트 발생시, 상기 기본 아이박스에 따른 투사 영역의 위치값이 선행차와의 거리 이하인 유효 아이박스 중 중심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와 가장 근접한 유효 아이박스를 상기 컨텐츠 아이박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ent eye box detection unit has a center position closest to the eye level of the driver among the effective eye boxes in which the location value of the projection area according to the basic eye box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when a smart cruise control event occurs.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augmented reality heads-up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effective eye box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eye bo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UD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기 설정된 대체 컨텐츠를 상기 HUD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위치 제어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UD controller outputs preset replacement content to the HUD display unit when the driver's eye level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KR1020170120704A 2017-09-19 2017-09-19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KR102347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704A KR102347876B1 (en) 2017-09-19 2017-09-19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704A KR102347876B1 (en) 2017-09-19 2017-09-19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36A KR20190032136A (en) 2019-03-27
KR102347876B1 true KR102347876B1 (en) 2022-01-06

Family

ID=6590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704A KR102347876B1 (en) 2017-09-19 2017-09-19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196A (en) * 2019-08-02 2021-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CN113349776A (en) * 2020-03-03 2021-09-07 朴光宇 Technology for improving precision of eye movement gazing coordin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682A (en) 1999-07-09 2001-01-23 Calsonic Kansei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04322680A (en) * 2003-04-21 2004-11-18 Denso Corp Head-up display device
JP2016145783A (en) 2015-02-09 2016-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and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740B1 (en) * 2014-12-08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HUD for vehicle
KR102321095B1 (en) * 2015-03-26 2021-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device of a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56251B1 (en) * 2015-11-30 2017-07-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forming images of head up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682A (en) 1999-07-09 2001-01-23 Calsonic Kansei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04322680A (en) * 2003-04-21 2004-11-18 Denso Corp Head-up display device
JP2016145783A (en) 2015-02-09 2016-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and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36A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8711A1 (en) Display device
CN110967834B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620009B2 (en)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device
US10246038B2 (en) Object recognition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EP2894620B1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9778461B2 (en) Head-up display device
US10971116B2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placement of a virtual image on a projection surface of a vehicle, and storage medium
US11428931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53176B2 (en) Display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form of virtual object
US10913355B2 (en) Head-up display
KR102395287B1 (en) Image changing device
CN110967833B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90339535A1 (en) Automatic eye box adjustment
JP2010160606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for vehicle
US20160140760A1 (en) Adapting a display on a transparent electronic display
KR10234787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f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CN114248689B (en) Camera monitoring system for motor vehicl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EP3776063A1 (e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moving bod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56100A (en) Objects displaying apparatus of head up display and method thereof
US20220355665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display control program
CN111727399A (en) Display system, mobile object, and design method
US11345364B2 (en) Attention calling device and attention calling method
KR20220134106A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KR102429490B1 (en) Svm system for providing bvm im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202302496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xternal communication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