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75B1 -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75B1
KR102347775B1 KR1020200063800A KR20200063800A KR102347775B1 KR 102347775 B1 KR102347775 B1 KR 102347775B1 KR 1020200063800 A KR1020200063800 A KR 1020200063800A KR 20200063800 A KR20200063800 A KR 20200063800A KR 102347775 B1 KR102347775 B1 KR 10234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tretchable
connection
uni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680A (ko
Inventor
안선희
김사웅
사기동
김자연
정지호
김은비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6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7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Stretchable substrate structure and stretchab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트레처블 배선을 적용한 웨어러블 기기는 유연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구조이거나 폴리우레탄(Polyurethan) 기판에 은(Ag) 페이스트를 배선으로 프린팅하여 신축성을 가지게하는 구조를 적용한다.
유연 기판 구조는 연성을 가지기는 하나 신축성이 없어 인체에 부착시 이물감이 들어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Polyurethan 기판에 Ag 페이스트를 배선으로 프린팅하는 구조는 신축성을 가져 사용감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나, 박막형 배터리에서 신축성이 없어 구조적으로 신축성 부가에 의한 사용감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프린팅된 배선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부품 실장시 실장 강도가 낮아 양산시 장기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성 기판을 신축 가능한 육각 배선 구조로 설계하고, 독립적 코인셀 구조의 배터리를 적용하여 완전 신축성을 부여한 기판을 연성의 실리콘으로 완전 밀봉하여 인체 부착시 신축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제2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1 이상의 폐구간 각각은 육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는 상기 제1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1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제2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2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신축보강부는 상기 제1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신축보강부는 상기 제2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기판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신축보강부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신축보강부 및 상기 제2신축보강부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1이상의 폐구간 각각은 육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1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2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2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1기판부들의 개수와 상기 제2기판부들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제3기판부, 및 적어도 1 이상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3기판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3접속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의 일 측에 상기 제1실장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3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접속배선들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배선들, 상기 제2접속배선들, 및 상기 제3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1 이상의 폐구간은 육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는 상기 제1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1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제2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2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신축보강부는 상기 제1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신축보강부는 상기 제2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기판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신축보강부 및 상기 제2신축보강부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신축보강부 및 상기 제2신축보강부 각각이 포함하는 1 이상의 폐구간은 육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1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2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2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1기판부들의 개수와 상기 제2기판부들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3기판부는 일면에 배치되고 센서가 접속되는 센서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은 배터리의 제1전극이 접속되는 제1배터리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발광소자 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은 배터리의 제2전극이 접속되는 제2배터리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드라이버 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는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상기 발광소자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발광소자; 상기 드라이버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드라이버와 상기 발광소자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상기 연결배선부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어 상기 제1기판부의 제1면과 상기 제2기판부의 제1면이 마주보며, 상기 배터리는 마주보는 상기 제1기판부의 제1면과 상기 제2기판부의 제1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제1전극은 상기 제1배터리접속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배터리의 제2전극은 상기 제2배터리접속단자에 접속되고, 폴딩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봉지부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고 1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개구부 각각은 육각형의 벌집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좌우 대칭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좌우 대칭 패턴은 육각형의 벌집모양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는 연성 기판을 신축 가능한 육각 배선 구조로 설계하고, 독립적 코인셀 구조의 배터리를 적용하여 완전 신축성을 부여한 기판을 연성의 실리콘으로 완전 밀봉하여 인체 부착시 신축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는 피부 부착형 패치 이외의 웨어러블 의료기기 및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야에 응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Ⅰ-Ⅰ'를 따라 절취한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배선 및 신축보강부가 가질 수 있는 패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배선 및 신축보강부가 가질 수 있는 패턴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배선 및 신축보강부가 가질 수 있는 패턴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일반적인 접속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구성요소들 간에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그 구성요소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제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 요소들은 구성 요소 앞에 붙은 서수나 구성 요소 명칭으로 그 기능이나 구조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Ⅰ-Ⅰ'를 따라 절취한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를 평면상에 펼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는 제1실장부(110)와, 제2실장부(120)와, 연결배선부(150)를 구비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와, 제1실장부(110)에 실장되는 복수의 발광소자(200)와, 제2실장부(120)에 실장되는 드라이버(300)와, 제1실장부(110)와일 제2실장부(12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인셀 배터리(400) 및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감싸는 봉지부(Encapsulation, 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100)가 포함하는 연결배선부(150)는 제1실장부(110)와 제2실장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실장부(110)와 제2실장부(120)를 연결하는 배선부일 수 있다.
제1실장부(110)는 복수의 제1기판부(111)와, 복수의 제1접속배선(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기판부(111)는 제1실장부(110)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접속배선(112)은 복수의 제1기판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1기판부(111)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배선(112)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제1기판부(111)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배선일 수 있다.
제1기판부(111)는 제1면과, 제1면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부(111)의 제1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가 도 2에서와 같이 폴딩되는 경우,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의 내부를 바라보게 되는 면일 수 있다. 제1기판부(111)의 제2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가 도 2에서와 같이 폴딩(folding)되는 경우,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의 외부를 바라보게 되는 면일 수 있다.
제1기판부(111)의 제1면은 발광소자 접속단자(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인셀 배터리(400)의 제1전극이 접속되는 제1배터리접속단자(410)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제1기판부(111)의 제2면은 발광소자(200)가 접속되는 발광소자 접속단자(210)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광소자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장부(110)가 4개의 제1기판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이와 달리 3개의 제1기판부(111)를 구비하거나, 4개 이상의 제1기판부(1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1실장부(110)의 제1기판부(111)들 중 일부는 제1-1가이드홀(115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제1기판부(111) 중 제2실장부(120)와 먼 측에 위치하는 제1기판부(111)는 제1-1가이드홀(11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가이드홀(115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folding)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한 뒤, 봉지부(500)로 몰딩(mold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1가이드홀(115a)은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일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접속배선들이 가질 수 있는 패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접속배선이 가질 수 있는 패턴의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접속배선이 가질 수 있는 패턴의 또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접속배선(112)은 일정간격마다 폐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배선(112)은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배선(112)은 좌우가 대칭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배선(112)은 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접속배선(112)의 패턴은 육각형(hexagon) 구조 또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접속배선(112)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턴을 통해 신축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접속배선(112)은 벌집모양 육각형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상하좌우 신축성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신축 가능한 제1접속배선(112)을 포함함으로써 제1기판부(111)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제1실장부(110)가 4개의 제1기판부(111)를 서로 연결하는 4개의 제1접속배선(112)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1접속배선(112)은 제1기판부(1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기판부(111)의 개수와 제1접속배선(112)의 개수는 1 대 1 대응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실장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111)와, 제1기판부(111)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부(111)들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패턴을 가지는 제1접속배선(112) 즉, 신축 가능한 제1접속배선(112)에 의해 조절 및 변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제1실장부(110)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2실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장부(120)는 복수의 제2기판부(121)와, 복수의 제2접속배선(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기판부(121)는 제1실장부(120)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접속배선(122)은 복수의 제1기판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2기판부(121)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접속배선(122)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제2기판부(121)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배선일 수 있다.
제2기판부(121)는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제1실장부(110)의 제1기판부(111)와 대칭되는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기판부(121)는 제1실장부(1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기판부(121)는 제1면과, 제1면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부(121)의 제1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가 도 2에서와 같이 폴딩되는 경우,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의 내부를 바라보게 되는 면일 수 있다. 제1기판부(121)의 제2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가 도 2에서와 같이 폴딩(folding)되는 경우,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의 외부를 바라보게 되는 면일 수 있다.
제2기판부(121) 제1면은 코인셀 배터리(400)의 제2전극이 접속되는 제2배터리접속단자(420)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제2기판부(121)의 제2면은 발광소자(200)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300)가 접속되는 드라이버 접속단자(310)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실장부(120)가 4개의 제2기판부(12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제2기판부(121)의 개수는 제1실장부(110)의 제1기판부(111)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기판부(121)는 제1기판부(111)와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기판부(111)의 개수와 제2기판부(121)의 개수는 1 대 1 대응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2실장부(120)의 제1기판부(121)들 중 일부는 제2-1가이드홀(125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제2기판부(121) 중 제1실장부(110)와 먼 측에 위치하는 제2기판부(121)는 제2-1가이드홀(12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가이드홀(125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folding)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한 뒤, 봉지부(500)로 몰딩(mold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1가이드홀(125a)은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일 수 있다. 제2-1가이드홀(125a)은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제1기판부(111)에 형성된 제1-1가이드홀(115a)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접속배선(122)은 일정간격마다 폐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배선(122)은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배선(122)은 좌우가 대칭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접속배선(122)은 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접속배선(122)의 패턴은 육각형(hexagon) 구조 또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접속배선(122)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턴을 통해 신축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접속배선(122)은 벌집모양 육각형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상하좌우 신축성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신축 가능한 제2접속배선(122)을 포함함으로써 제1기판부(121)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제2실장부(120)가 4개의 제2기판부(121)를 서로 연결하는 4개의 제2접속배선(122)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2접속배선(122)은 제2기판부(12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기판부(121)의 개수와 제2접속배선(122)의 개수는 1 대 1 대응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2실장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121)와, 제2기판부(121)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부(121)들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패턴을 가지는 제2접속배선(122) 즉, 신축 가능한 제2접속배선(122)에 의해 조절 및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제1실장부(110)의 제1기판부(111)와 제2실장부(120)의 제2기판부(121)를 연결하는 연결배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배선부(150)는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배선부(150)는 제1기판부(111)의 제1면과 제2기판부(122)의 제1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연결배선부(150)는 도2와 같이 폴딩(folding)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배선부(15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배선부(150)는 제3가이드홀(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이드홀(155)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folding)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한 뒤, 봉지부(500)로 몰딩(mold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이드홀(155)은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folding)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일 수 있다.
제3가이드홀(155)은 연결배선부(150)의 길이 중심을 기준으로 제1실장부(110) 측에 1개 제2실장부(120) 측에 1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이드홀(155)은 연결배선부(150)의 길이 중심으로부터 각각 같은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3가이드홀(155)은 연결배선부(150)의 길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100)가 포함하는 제1실장부(110)는 제1신축보강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신축보강부(113)는 제1기판부(111)들 사이에 형성되어 제1기판부(111)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신축보강부(114)는 제1접속배선(112)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1기판부(111)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신축보강부(114)는 복수의 분기가지부(113)를 포함하고, 복수의 분기가지부(113)는 제1기판부(111)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만나 합쳐질 수 있다. 제1접속배선(112)은 제1기판부(111)들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나, 제1신축보강부(114)는 제1접속배선(112)과 달리 제1기판부(111)들을 물리적으로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신축보강부(114)는 제1접속배선(112)과 같이 일정간격마다 폐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신축보강부(143)는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신축보강부(114)는 좌우가 대칭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신축보강부(114)는 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신축보강부(114)의 패턴은 육각형(hexagon) 구조 또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신축보강부(114)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턴을 통해 신축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제1신축보강부(114)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기판부(111)들이 외력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이를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100)가 포함하는 제2실장부(120)는 제2신축보강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신축보강부(124)는 제2기판부(121)들 사이에 형성되어 제2기판부(121)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신축보강부(124)는 제2접속배선(122)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2기판부(121)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신축보강부(124)는 복수의 분기가지부(123)를 포함하고, 복수의 분기가지부(123)는 제2기판부(121)들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만나 합쳐질 수 있다. 제2접속배선(122)은 제2기판부(121)들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나, 제2신축보강부(124)는 제2접속배선(122)과 달리 제2기판부(121)들을 물리적으로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신축보강부(124)는 제2접속배선(122)과 같이 일정간격마다 폐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신축보강부(124)는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신축보강부(124)는 좌우가 대칭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신축보강부(124)는 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신축보강부(124)의 패턴은 육각형(hexagon) 구조 또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신축보강부(124)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턴을 통해 신축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제2신축보강부(124)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2기판부(121)들이 외력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이를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신축보강부(114)는 제1-2가이드홀(115b)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2신축보강부(124)는 제2-2가이드홀(1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2가이드홀(115b)은 제1신축보강부(114)의 분기가지부(113)가 서로 만나는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2가이드홀(11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folding)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일 수 있다
제2-2가이드홀(125b)은 제2신축보강부(124)의 분기가지부(123)가 서로 만나는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2가이드홀(125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폴딩(folding)할 때, 제1기판부(111)와 제2기판부(121)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가 폴딩되면, 제1-1가이드홀(115a)은 제2-1가이드홀(125a)과 마주보고, 제1-2가이드홀(115b)은 제2-2가이드홀(125b)과 마주볼 수 있다. 제3가이드홀(155)은 연결배선부(150)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가이드홀(155)과 마주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와 비교하어 가지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100)는 제3실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장부(1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를 착용하거나 피부에 부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근접센서(600)가 설치 및 장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근접센서(6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를 착용하거나 피부에 부착할 때에만 발광소자(200)에서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센서이다.
제3실장부(130)는 제1실장부(110)의 일 측에 제1실장부(1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3실장부(130)는 제2실장부(120)의 일 측에 제1실장부(1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실장부(130)는 근접센서(600)가 배치되는 제3기판부(131)와, 제3접속배선(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기판부(131)의 일면에는 근접센서(600)의 전극을 접속시키는 센서접속단자(6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접속배선(132)은 제3기판부(131)와 제1기판부(111) 또는 제3기판부(131)와 제2기판부(121)를 서로 연결시키는 배선일 수 있다. 제3접속배선(132)은 제3기판부(131)와 제1기판부(111) 또는 제3기판부(131)와 제2기판부(12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배선일 수 있다.
제3접속배선(132)의 형상도,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1접속배선(112)과 같은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접속배선(132)은 일정간격마다 폐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접속배선(132)은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접속배선(132)은 좌우가 대칭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접속배선(132)은 원,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접속배선(132)의 패턴은 육각형(hexagon) 구조 또는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접속배선(132)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턴을 통해 신축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신축 가능한 제3접속배선(132)을 포함함으로써 제1기판부(111)와 제3기판부(131) 사이의 간격과 제2기판부(121)와 제3기판부(131) 사이의 간격이 조절이 조절될 수 있다.
도 9(a)는 일반적인 배선에 단선이 생긴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패턴을 갖는 배선에 단선이 생긴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어떤 디바이스이든 그 것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일부 배선에 단선이 생길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형태의 배선의 경우 일부 배선이 끊기는 경우 단선으로 인해 해당 배선에는 전류가 흐를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가 일반적인 형태의 제1접속배선(112)으로 제조되었다면, 제1접속배선(112) 중 하나라도 단선이 된 경우, 제1접속배선(112) 사이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패턴을 갖는 배선은 배선의 일부 경로에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은 추가적인 경로를 포함하므로, 일부 경로에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회로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는 제1접속배선(112)이 형성하는 경로 일부가 단선 등에 의해 차단되어도, 나머지 경로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접속배선(111, 121, 131)과 제1 내지 제2신축보강부(114, 124)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패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1접속배선(111), 제2접속배선(121), 제3접속배선(131), 제1신축보강부(114), 및 제2신축보강부(124)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패턴에 대해 설명하기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장부(110)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접속배선(111), 제2접속배선(121), 제3접속배선(131), 제1신축보강부(114), 및 제2신축보강부(124)를 '배선부'라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선부는 상기한 배선부의 패턴을 이루는 단위 패턴(16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배선부의 경우 육각형 모양의 단위 패턴(161)을 가진다. 단위 패턴이 복수개 모여 일 군(162)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군은, 예를 들어 도 10의 제1접속배선(111)과 같이, 사이드에 위치하는 2개의 단위 패턴(161)과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단위 패턴(16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에 위치하는 2개의 단위 패턴(161)과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단위 패턴(161)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나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이드에 위치하는 2개의 단위 패턴(161)의 중심을 잇는 직선은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단위 패턴(161)의 중심을 지나지 아니할 수 있다.
배선부는 이러한 일 군(162)의 패턴이 나열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 군(162)의 패턴은, 사이드에 위치하는 2개의 단위 패턴(161)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배선부는 패턴의 다양한 조합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접속배선(111)은 전술한 것과 같은 일 군(162)의 패턴이 나열된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신축보강부(114)는 단위 패턴(161)이 길게 나열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신축보강부(114)는 평행하게 배치된 제1접속배선(111) 사이에서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신축보강부(114)는 복수의 제1기판부(111)들 사이의 중앙부분에서 만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제1신축보강부(114)의 일부는 제1접속배선(111)을 대신하여 제1기판부(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배선부의 다양한 조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제1실장부(110)와 제2실장부(120)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는 각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실제 구동시에는 폴딩된 상태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는 그 작동을 위해서 제1기판부(111)의 제1배터리접속단자(410)와 제2실장부(120)의 제2배터리접속단자(420)에 코인셀 배터리(400)의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각각 접속시켜야 하므로,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제1기판부(111)의 제1면이 제2기판부(121)의 제1면을 향하도록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으며, 폴딩된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는 봉지부(500) 내에 몰딩 및 고정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패치 형태의 스트레처블 디바이스(1)를 이룰 수 있다.
봉지부(500)는 연결배선부(150)를 기준으로 접어진 상태의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100)를 감싸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100)를 고정 및 발광소자(200) 및 드라이버(300)를 보호하며,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외부로 투과할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100 : 스트레처블 기판구조체
110 : 제1실장부 111 : 제1기판부
112 : 제1접속배선 113 : 제1신축보강부의 분기가지부
114 : 제1신축보강부 115a : 제1-1가이드홀
115b : 제1-2가이드홀 120 : 제2실장부
121 : 제2기판부 122 : 제2접속배선
123 : 제2신축보강부의 분기가지부 124 : 제2신축보강부
125a : 제2-1가이드홀 125b : 제2-2가이드홀
130 : 제3실장부 131 : 제3기판부
132 : 제3접속배선 150 : 연결배선부
155 : 제3가이드홀 200 : 발광소자
210 : 발광소자 접속단자 300 : 드라이버
310 : 드라이버 접속단자 400 : 코인셀 배터리
410 : 제1배터리 접속단자 420 : 제2배터리 접속단자
500 : 봉지부 600 : 근접센서
610 : 근접센서접속단자

Claims (20)

  1.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는 상기 제1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1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제2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2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신축보강부는 상기 제1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판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신축보강부는 상기 제2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기판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제2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1 이상의 폐구간 각각은 육각형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신축보강부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보강부 및 상기 제2신축보강부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1이상의 폐구간 각각은 육각형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1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2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2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1기판부들의 개수와 상기 제2기판부들의 개수는 같은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3기판부, 및 적어도 1 이상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3기판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3접속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의 일 측에 상기 제1실장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3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접속배선들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배선들, 상기 제2접속배선들, 및 상기 제3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1 이상의 폐구간은 육각형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는 상기 제1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1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제2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2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신축보강부는 상기 제1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판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신축보강부는 상기 제2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기판부를 연결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보강부 및 상기 제2신축보강부 각각은 1 이상의 폐구간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축보강부 및 상기 제2신축보강부 각각이 포함하는 1 이상의 폐구간은 육각형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1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2접속배선들의 개수는 상기 제2기판부의 개수와 같고,
    상기 제1기판부들의 개수와 상기 제2기판부들의 개수는 같은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부는 일면에 배치되고 센서가 접속되는 센서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근접센서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5.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은 배터리의 제1전극이 접속되는 제1배터리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발광소자 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은 배터리의 제2전극이 접속되는 제2배터리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방향을 바라보며, 드라이버 접속단자가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6. 제15항에 따른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상기 발광소자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발광소자;
    상기 드라이버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드라이버와 상기 발광소자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상기 연결배선부를 기준으로 폴딩(folding)되어 상기 제1기판부의 제1면과 상기 제2기판부의 제1면이 마주보며,
    상기 배터리는 마주보는 상기 제1기판부의 제1면과 상기 제2기판부의 제1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제1전극은 상기 제1배터리접속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배터리의 제2전극은 상기 제2배터리접속단자에 접속되고,
    폴딩된 상기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는 봉지부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17.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외경의 폭이 주기적으로 가변하고 1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는 상기 제1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1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제2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2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신축보강부는 상기 제1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판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신축보강부는 상기 제2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기판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개구부 각각은 육각형의 벌집모양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19.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1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1실장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기판부들,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제2기판부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실장부; 및
    상기 제1실장부의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실장부의 상기 제2기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은 좌우 대칭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장부는 상기 제1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1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실장부는 상기 제2기판부들을 연결하는 제2신축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신축보강부는 상기 제1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기판부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신축보강부는 상기 제2접속배선에 의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기판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접속배선들 및 복수의 제2접속배선들 각각이 포함하는 좌우 대칭 패턴은 육각형의 벌집모양 패턴을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KR1020200063800A 2020-05-27 2020-05-27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KR10234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00A KR102347775B1 (ko) 2020-05-27 2020-05-27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00A KR102347775B1 (ko) 2020-05-27 2020-05-27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80A KR20210146680A (ko) 2021-12-06
KR102347775B1 true KR102347775B1 (ko) 2022-01-07

Family

ID=7893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00A KR102347775B1 (ko) 2020-05-27 2020-05-27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2250A (ja) * 2015-06-30 2018-11-0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柔軟性入出力構成要素を備えた電子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299A (ko) * 2013-02-06 2014-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089B1 (ko) * 2016-12-19 2024-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21191B1 (ko) * 2018-05-29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되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95459B1 (ko) * 2020-03-02 2020-1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2250A (ja) * 2015-06-30 2018-11-0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柔軟性入出力構成要素を備えた電子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80A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952B1 (ko) 터치 컨트롤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
CN107548523B (zh) 发光模块
KR101498376B1 (ko) 매트릭스 스위칭 타입 터치패널
US20100208445A1 (en) Multi-layer woven fabric display
KR102648626B1 (ko)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46263A (ko) 터치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9997031B2 (en) Modular indicator
CN108831299B (zh) 一种显示面板、显示模组及电子装置
KR102347775B1 (ko)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CN113539102A (zh) 支撑组件及柔性显示模组
US9904425B2 (en) Meandering interconnect on a deformable substrate
KR102408135B1 (ko) 스트레처블 기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트레처블 디바이스
JP2009104801A (ja) 液晶モジュール
CN112445360A (zh) 触摸屏及显示装置
KR20150062957A (ko) 배선 기판
TWI636289B (zh) Photoelectric hybrid substrate
JP6920444B2 (ja) 導電性経路を含む伸縮性構造体およびその構造体の製造方法
CN110600523B (zh)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20190155111A1 (en) Optical device, and window provided with light distribution function
JP2021012359A (ja) 可捩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CN219872349U (zh) 一种电容屏结构、触控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102613419B1 (ko) 터치 패널
CN111142709A (zh)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JP3811583B2 (ja) 液晶表示装置の構造
CN219842680U (zh) 一种电容屏结构、触控显示模组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