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42B1 -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7742B1 KR102347742B1 KR1020200005180A KR20200005180A KR102347742B1 KR 102347742 B1 KR102347742 B1 KR 102347742B1 KR 1020200005180 A KR1020200005180 A KR 1020200005180A KR 20200005180 A KR20200005180 A KR 20200005180A KR 102347742 B1 KR102347742 B1 KR 102347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wheat germ
- composition
- skin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밀배아의 추출물과 함께 여러 식물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의 개선, 예방과 함께 염증 완화, 피지 생성 억제, 유분 억제 및 보습성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대부분 폐기되는 밀배아를 대량으로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여 여드름에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제품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폐기되는 밀배아를 대량으로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여 여드름에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제품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배아의 추출물과 함께 여러 식물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의 개선, 예방과 함께 염증 완화, 피지 생성 억제, 유분 억제 및 보습성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지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의 함유량,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중 피부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대부분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피부 전체 건조중량의 약 70 내지 80%를 차지하고 있어 세포외 기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피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자연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와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면서 주름이 생성되고 멜라닌의 합성이 활성화되어 기미, 잡티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한편 밀 배아는 밀의 제분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 제분 단계에서 순수한 배아만을 분리하여 얻어진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밀 배아는 밀의 2 내지 3%를 차지하는데 예전에는 밀 배아를 이용하여 쿠키를 제조하기도 하였지만 지금은 대부분이 밀기울과 함께 섞여진 상태에서 저렴한 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밀 배아의 주요 영양 성분으로는 천연 항산화제의 역할을 하는 비타민 E와 크산토필(xanthophyll), 크산토필 에스터(xanthophyll ester), 카로테인(carotene)으로 구성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e) 색소 등이 있다. 또한 밀 배아의 지방에는 토코페롤 함량이 많아 건강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 재료의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 미용을 위한 목적으로 녹두, 현미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481003호는 피부미맥을 위한 곡물가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참깨, 땅콩, 팥, 현미 등의 식용곡물을 볶아 제조된 가루의 혼합물을 스킨이나 팩으로 피부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여드름, 농포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을 예방,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보습을 제공하고, 멜라닌 과다 형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천연곡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공은 여전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배아의 추출물과 함께 여러 식물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의 개선, 예방과 함께 염증 완화, 피지 생성 억제, 유분 억제 및 보습성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지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열수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 및 퍼콜레이션 추출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추출방법으로부터 수득한 밀배아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천연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 중 밀배아 추출물을 0.1 내지 5 중량%, 천연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추출물이 솔잎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천연 추출물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 중 각각 0.1 내지 1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에센셜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보존제, 용매, 충전제, 보습제, 비타민 및 염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에 따라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밀배아의 추출물과 함께 여러 식물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의 개선, 예방과 함께 염증 완화, 피지 생성 억제, 유분 억제 및 보습성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대부분 폐기되는 밀배아를 대량으로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여 여드름에 시달리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제품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의 트러블, 색소 침착, 염증 등의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 등의 효과를 가지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것인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첨가되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는 것이며, 용어 ‘화장료 조성물용 물질’은 이러한 용도에 따른 효과를 가지는 모든 물질, 예를 들어 켐페롤, 퀘르세틴, 카테킨(탄닌), 루테오린 등의 폴리페놀, 알부틴, 나이아신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노화(skin aging)"는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노화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용어 "피부 주름(skin wrinkle)"는 피부 상에 형성된 주름(wrinkle formation on skin)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열수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 및 퍼콜레이션 추출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추출방법으로부터 수득한 밀배아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천연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배아(wheat germ) 추출물은 밀의 씨눈의 유효성분을 뜻하는 것으로, 통밀을 밀가루로 처리하는 공정에서 제거되어 나오는 밀알(wheat kernel)의 영양분이 풍부한 배아로서, 전체 밀알의 약 2 내지 3 중량%를 차지한다. 밀배아는 현재까지 항산화 비타민으로 알려진 비타민 E(토코페롤)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밀배아를 발효하여 추출한 천연물질이 인체의 손상된 면역 기능을 복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밀배아에 포함되는 아라비노실란(arabinoxylan)은 면역 증진 효과로 인해 각종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세균성 질환을 예방할 뿐 아니라 체내에서 돌연변이된 세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밀배아 추출물은 먼저 밀가루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밀배아를 추출한 후, 이를 일정 이상 온도의 미온수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세척한 밀 배아를 40도 내지 45도의 건조기에서 건조한 다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열수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 및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을 통해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 또는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으로 유효성분을 수득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방법 중 용매추출법을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용매에 밀배아를 투입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배아 100 중량부에 대해 용매 100 내지 30,0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20 내지 70℃에서 1 내지 7일 동안 교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기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효율적으로 추출하기위해 고안된 용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속슬레 추출기, 균질기, 진탕기, 초음파 발생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콜,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물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물 100 중량부 대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20 내지 15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생성된 추출액은 침강 분리, 케이크 여과, 청정 여과, 원심 여과, 원심 침강, 압착 분리, 필터 압축 등의 각종 고액 분리 방법으로 처리하여 고형물과 추출액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방법 중 초임계추출법을 예로 들면, 분말 형태의 건조 밀배아를 특정 온도(추출기 : 50 내지 80℃, 분리기 : 30 내지 60℃, 냉각기 : -1 내지 -5℃)로 설정된 초임계유체추출기에 주입하고 추출기의 압력을 60 내지 300 bar로, 이산화탄소의 유속을 10 내지 80 ㎖/min으로 조절한 후, 보조용매인 에틸알콜을 0.5 내지 2.0 ㎖/min로 주입하여 추출기의 압력이 200 내지 300 bar에 이르렀을 때 30 내지 300분간 30분 간격으로 원료를 추출하고, 추출이 끝난 시료는 다시 에틸알콜과 혼합하고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밀배아를 분말화하여 유효성분을 수득하는 경우, 밀배아, 바람직하게는 건조시킨 밀배아, 예를 들면 조 분쇄기(Jaw Crusher), 자이레트리 분쇄기, 콘 분쇄기 등의 압축 파쇄기, 커터 밀, 슈레더 등의 전단 조쇄기, 햄머 분쇄기 등의 충격 파쇄기, 롤분쇄기 등의 롤 밀, 디스인터그레이터(disintegrator), 게이지 밀 등의 회전 해쇄기, 커피 밀 등의 스크류 밀, 엣지 런너 등의 롤 전동 밀, 스탬프 밀 등의 타추 밀, 원심 롤러 밀, 볼 베어링 밀, 바울 밀, 제고 밀, 옴 밀 등의 롤러 밀, 스윙 햄머 밀, 핀 밀, 게이지 밀, 터보 타입 밀, 원심 분급 밀 등의 고속 회전 밀, 전동 볼 밀, 진동 볼 밀, 유성 볼 밀, CF 밀 등의 용기 진동 밀, 유통관식 밀, 교반조식 밀, 환식 밀, 기류 흡입, 기류 충돌, 충돌판 충돌, 유동층 타입 등의 제트 밀, 초음파 파쇄기 등의 파쇄기나 맷돌, 막자사발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분쇄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득된 분말은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더 진행하여 분말의 입경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액과 분말을 혼합한 후, 이를 농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액의 농축 과정에서 추출액 중에 석출된 추출물이 농축 장치의 벽면에 고착되거나, 추출물에 의한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밀배아 분말이 존재하도록 하기만 한다면, 밀배아 분말은 유효 성분을 밀배아로부터 추출하는 공정에 첨가할 수도 있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 전에 첨가할 수도 있는데,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는 공정 전에 상기 추출액에 밀배아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농축할 때, 밀배아 분말을 존재시키는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건조 중량으로서 1 중량비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서 0.1 내지 10 중량비가 바람직하고, 1 내지 5 중량비가 보다 바람직하며, 3 내지 4 중량비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의 농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감압 가열 농축, 상압 가열 농축,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감압 가열 농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감압 가열 건조, 상압 가열 건조,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감압 가열 건조, 동결 건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배아 추출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밀배아 추출물 첨가에 따른 제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며, 드물게 설사, 배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유효성분을 갖는 식물에서 추출한 것으로, 솔잎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솔잎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의 폭넓은 임야에서 활발히 자생하고 예로부터 약리효능이 매우 우수하여 장수(長壽)와 건강을 위해 식용하였으며, 부가가치 및 응용가치가 매우 우수한 천연물로 알려져 있다. 솔잎에는 비타민C, K, flavonoid, carotene, anthocyan, tannin,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terpene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유기산류, flavonoid, alkaloid 등과 함께 항당뇨 효과, 혈청 콜레스테롤에 대한 저하효능, 항산화 효과, 지질 저하, 항균 효능 등이 매우 월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중풍,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을 사전에 예방해 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한편으로 맛이 굉장히 쓴 편이며 인체에 따뜻하게 작용하며 체내 조직에서 구성되어 산화나 환원 과정을 촉진시켜 주고 소염작용과 지혈작용에도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솔잎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일상생활에서 수월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후박(厚朴)은 목련과(Magnoliaceae)의 일본목련(Magnolia obovata)의 수피로 함유된 성분으로, 20년 이상 성장한 나무의 줄기껍질 혹은 뿌리껍질을 벗겨서 건조하여 추출할 수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후박에 대해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행기(行氣), 소적(消積), 조습(燥濕), 하기(下氣), 소담평천(消痰平喘)의 효능이 있으며, 행기 작용이 있어 복부창만, 소화불량에 특효를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박은 sesquiterpenes, sesquiterpene-neolignans, phenylpropanoids, alkaloid 등이 함유되고 있으며 보고된 약리작용으로는 건위작용, 항균작용, 항산화작용, 진해작용, 항암작용, 진통작용 등이 있다.
상기 녹차는 후피향(厚皮香) 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관목의 차나무(Camellia sinensis) 잎을 건조한 것으로, 유효성분 중 카테킨(catechin)은 (-)epigallocatechin 3-O-gallate(EGCG),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 3-O-gallate(ECG), (-)-epicatechin(EC)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만 및 암 예방, 혈당 및 혈압 상승 억제, 항산화 및 노화 억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 밖에도 강심작용, 이뇨작용 등의 생리기능과 각종 세균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특히 여드름 유발균, 지루성피부염 유발균 등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혈소판 응집을 감소시키고 항혈전 효과가 있어 혈액의 정상적인 순환을 돕는다.
상기 천연 추출물들은 모두 식물의 원재료를 가공한 추출물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밀배아의 추출물 제조 시 적용한 추출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추출물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솔잎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 모두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이는 솔잎과 후박의 강한 따뜻한 성질을 녹차가 중화해주며, 특히 솔잎과 후박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혈행 개선 효과를 높여 여드름과 같은 질환을 개선하고, 색소침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 중 각각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배아 추출물과의 조성비로는 밀배아 추출물 1 중량비 대비 각각의 천연추출물이 0.8 내지 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미만 첨가하는 경우 각 천연 추출물이 가지는 제반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수분의 흡수를 방해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하거나(솔잎), 강한 성질로 인해 피부 트러블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후박), 일부 사용자에게 발진과 가려움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녹차).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적 목적 또는 피부 미용의 목적을 위해 피부 외용제 형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형의 예를 들면,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제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제형을 갖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를 들면, 에센셜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보존제, 용매, 충전제, 보습제, 비타민 및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상기 에센셜 오일은 향기를 갖는 식물에서 추출한 고농축 정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누의 향기와 함께 아로마 효과를 비롯한 향균과 각종 피부 기능성 효과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의 예로는 유칼립투스(Eucalyptus), 페퍼민트(Peppermint), 그레이프프루츠(Grapefruit), 네롤리(Nenolri), 니아룰리(Niaouli), 라벤더(Lavender), 라임(Lime), 레몬(Lemon), 레몬그라스(Lemongrass),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로즈(Rose), 로즈마리(Rosemary), 로즈우드(Rosewood), 마조람(Majoram), 만다린(Citrus madurensis), 머틀(Myrtle), 미르(Myrrh), 바질(Basil), 버베나(Verbena), 버취(Birch), 베르가못(Bergamot), 베이(Bay), 안식향(Benzoinum), 사이프러스(Cypress), 샌달우드(Sandaiwood), 시나몬(Cinnamon),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렌지스윗(Orange sweet),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Jasmine), 제라늄(Geranium), 쥬니퍼베리(Juniper berry), 진저(Ginger), 카모마일(Chamomile), 캠퍼(Camphor),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타임(Thyme), 탠저린(Tangerine), 티트리(Tea tree), 팔마로사(Paimarosa), 패?Z리(Patchouli), 페티그레인(Petitgrain), 프랭킨센스(Frankincense), 펜넬(Fennel) 및 히솝(Hyssop)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화제는 수상을 유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유화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유화입자의 크기, 유화의 안정성 및 사용감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온성 계면활성제, 보다 구체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유기적으로 개질된 유기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적으로 개질된 유기폴리실록산은 폴리에테르 측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사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사슬 또는 상기 사슬의 혼합물과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두로부터 유래된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사슬을 포함하도록 개질된 폴리다이메틸 실록산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구체적으로, 알킬-개질 디메티콘 코폴리올, 보다 구체적으로 C2-C30 펜던트 측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펜던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혼합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유기베타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카르복실레이트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펜던트 4차 암모늄 측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펜던트 C2-C30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부분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들의 추가의 변형을 사용할 수 있다.
디메티콘 코폴리올의 다른 비제한적 예에는 라우릴 다이메티콘 코폴리올, 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세테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디페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아민, 디메티콘 코폴리올 베헤네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부틸에테르, 디메티콘 코폴리올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아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라우레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메틸 에테르, 디메티콘 코폴리올 포스페이트, 디메티콘 코폴리올 스테아레이트 및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팔미테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칼륨 라우릴 설페이트, POE-라우릴 설페이트의 트리에탄올아민염, 소듐 POE-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로일사르코신, 소듐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 소듐 N-코코일-N-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POE-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POE-스테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디-2-에틸헥실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모노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시네이트, 소듐 라우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선형 도데실젠설포네이트, 소듐 선형 도데실젠설포네이트, 모노소듐 N-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 N-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모노소듐 N-미리스토일-L-글루타메이트, 경화된 코코넛유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POE-알킬아릴 에테르 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2 차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롤아미드 설페이트 에스테르염, 소듐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도숙시네이트,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 디-트리에탄올아민염 및 소듐 카세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및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듐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 디소듐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 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드 베타인 및 설포베타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유효성분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5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 첨가하는 경우 유화제의 첨가에 따른 제형 유지효과가 미비하며, 50 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어렵다.
상기 증점제는 전체 조성물의 제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예를 들면 비즈왁스, 가티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구아검, 레시틴, 카라기난, 키틴, 팩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복수의 증점제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보존제는 조성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의 예를 들면 파라-히드록시벤조산의 알킬 에스테르, 1,3-비스(히드록시메틸)-5,5-디메틸하이단토인, 벤즈알코늄 클로리드, 쿼터늄 15 (Dowicil 200), 벤즈에토늄 클로리드 및 메틸벤즈에토늄 클로리드와 같은 다양한 4차 암모늄 화합물 및 디소듐 EDTA,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Germall 1157 로서 시판됨), 소듐 디히드로아세테이트 및 벤질알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조성물의 제형을 결정하거나 그 자체로 색을 발하는 일종의 안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보디 안료, 무기 백색 안료, 무기 착색 안료, 펄제 등일 수 있다. 특정 예로서는 탈크, 마이카,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산화 아연,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울트라마린, 폴리에틸렌 파우더, 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실크 파우더, 결정성 셀룰로오스, 전분(starch), 티탄화 마이카, 산화철 티탄화 마이카, 비스무스 옥시클로리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BASF 사에서 제조된 나노착색제와 같은 안료 및/또는 다이 엔켑슐레이트 및 BASF 사로부터의 Sicopearl 과 같은 다층 관여 안료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의 건조를 막기 위한 것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외부로의 수분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습제의 예를 들면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칠프로판디올, 자일리톨, 베타인 또는 올리고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은, 피부의 색소침착을 억제하고 각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 성분으로, 대표적으로는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A(예컨대, 레티닐 팔미테이트 또는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레티노이드 유도체), 비타민 E(예컨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비타민 B3(예컨대, 니아신아미드) 및 비타민 B5(예컨대, 판테놀) 등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레드 3 알루미늄 레이크, 레드 21 알루미늄 레이크, 레드 27 알루미늄 레이크, 레드 28 알루미늄 레이크, 레드 33 알루미늄 레이크, 옐로우 5 알루미늄 레이크, 옐로우 6 알루미늄 레이크, 옐로우 10 알루미늄 레이크, 오렌지 5 알루미늄 레이크 및 블루 1 알루미늄 레이크, 레드 6 바륨 레이크, 레드 7 칼슘 레이크 등의 염료; 메틸살리실레이트, 나프틸메틸에스터, 에틸벤조에이트, 메틸시나메이트,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발레레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등의 향료;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α-, β-, γ-, δ-토코페롤, 노르디히드로구아야레트산, 프로필 갈레이트, 지용성 비타민 C 유도체 및 소르브산 등의 지용성 항산화제;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실레이트(옥토크릴렌),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실레이트, 2-에틸헥실-3,3-디페닐아실레이트, 에틸-3,3-비스(4-메톡시페닐)아실레이트등의 안정화제; 등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사용 목적 및 첨가제의 종류, 함량에 따라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 측정 방법과, 해당 물성을 측정한 시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와 같다.
(제조예 1)
먼저 준비된 밀배아를 분쇄하고 분쇄된 밀배아 100 g에 2차 증류수 2.5 ℓ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용액에 다시 1ℓ의 클로로포름(CHCl3)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재교반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용매층을 회수하였다. 이때 원심분리 후,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남은 여액층을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3회에 걸쳐 클로로포름 추출을 시행하였다. 클로로포름 층들을 모은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진공증발기를 사용하여 40℃의 온도에서 농축시켰다. 농축된 물질(6.2 g)은 최종적으로 클로로포름에 재용해 시킨 후, 0.45 ㎛ PTFE 필터를 통해 여과 처리하여 유효성분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밀배아를 분쇄하고 분쇄된 밀배아 100 g에 2차 증류수 2.5 ℓ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용액에 다시 1 ℓ의 에틸아세테이트(CH3COOC2H5) 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재교반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용매층을 회수하였다. 이때 원심분리 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제거하고 남은 여액층을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3회에 걸쳐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을 시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들을 모은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진공증발기를 사용하여 40℃의 최대 온도에서 농축시켰다. 농축된 물질(5.5 g)은 최종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킨 후 0.45-㎛ PTFE 필터를 통해 여과 처리하여 유효성분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먼저 밀배아 분말을 건조한 후, 추출기(extractor)의 온도를 65℃로 조절하고, 분리기(separator)의 온도를 45℃로 유지시키며, 냉각기의 온도를 -3℃로 유지시킨 후, 밀배아 분말 원료 100g을 초임계유체추출기에 주입하고 추출기(extractor)의 압력을 180 bar가 되게 조절하며, CO2의 유속을 45㎖/min로 조절한 후, 보조용매인 에틸알콜(주정)을 1.25 ㎖/min 유속으로 주입하여 압력이 250 bar에 이르렀을 때 150 분간 30분 간격으로 원료를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다시 주정과 혼합하여 0.45-㎛ PTFE 필터를 통해 여과 처리하여 유효성분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초임계 추출 후 남은 밀배아박을 실시예 1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재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5)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에 U-able HBG(United Active Inc.)유화제를 10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총 50 ㎖의 유효성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먼저 식물 추출물로 솔잎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준비하였으며, 각 추출물들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솔잎, 녹차 및 후박을 잘게 분쇄한 후, 에탄올에 각각 1 : 10 중량비로 혼합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침적시킨 후 여과하였다. 그리고 이 여액을 감압하여 농축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준비된 식물 추출물에 상기 제조예 1를 통해 제조된 밀배아 추출물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혼합비는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1의 유효성분이 각각 1 : 1 : 1 : 1 중량비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제조예 1의 밀배아 추출물 유효성분을 대신하여 제조예 2의 유효성분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제조예 1의 밀배아 추출물 유효성분을 대신하여 제조예 3의 유효성분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제조예 1의 밀배아 추출물 유효성분을 대신하여 제조예 4의 유효성분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제조예 1의 밀배아 추출물 유효성분을 대신하여 제조예 5의 유효성분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의 혼합비를 0.5 : 1 : 1 : 1 중량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의 혼합비를 1.5 : 1 : 1 : 1 중량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의 혼합비를 1 : 0.5 : 1 : 1 중량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의 혼합비를 1 : 1.5 : 1 : 1 중량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의 혼합비를 1 : 1 : 0.5 : 1 중량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물 제조 시 솔잎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후박 추출물 :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효성분의 혼합비를 1 : 1 : 1.5 : 1 중량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들의 대조군으로 2,6-dimethoxy-1,4-benzoquinone을 준비하였다.
(항균 활성)
여드름 유발균인 Propionibacterium acne균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 acne(KCTC 3314)를 사용하였으며,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Difco, USA)을 혐기조건에서 실험하기 위하여, RC 액체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전배양한 후, 1.5 ×108 CFU/㎖의 농도로 희석한 RC 배지에 DMSO로 희석된 시료 용액을 1% 첨가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조건 하에서 배양하여 P. acne균의 감소율(%)을 확인하였다. 균 감소율은 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증식된 P. acne 균수를 확인하였고, 대조군의 생육 농도 대비 시료 처리에 의해 저해된 생육 농도를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지방 생성 억제)
먼저 인체 피지 세포로 SEB-1 (Celprogen, 36079-01) 세포를 1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가 함유되어 있는 Human sebocyte complete media with serum을 이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주기로 배양액을 교체하며 배양하였다.
그리고 세포생존율은 24 well plate에 2×104의 세포를 분주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고 serum free media로 배지를 교체한 뒤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3일간 배양한 뒤, 0.05%의 MTT 용액을 넣고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고 formazan 침전물에 1 ㎖의 DMSO를 넣어 약 15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표 1]
[표 2]
상기 표 1 ,2와 같이 추출방법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의 항균활성 평가 결과, 밀배아 추출물 제조 시 추출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을 적용한 실시예 3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에틸아세테이트를 용매로 추출한 밀배아(실시예 2), 클로로포름(실시예 1)의 순서로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배아 추출물과 다른 천연추출물의 혼합 시 첨가량이 기준치를 벗어나는 실시예 6 내지 11은 모두 실시예 3에 비해 항균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3]
[표 4]
상기 표 3,4와 같이 추출방법에 따른 밀배아 추출물의 지방억제 평가 결과, 밀배아 추출물 제조 시 초임계 추출법을 적용한 실시예 3에서 가장 높은 지방 억제 결과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에틸아세테이트(실시예 2), 클로로포름(실시예 1)의 순서로 지방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배아 추출물과 다른 천연추출물의 혼합 시 첨가량이 기준치를 벗어나는 실시예 6 내지 11은 모두 실시예 3에 비해 지방세포 생성 억제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3의 조성물 5 중량%에 유화제로 하이퍼머 1031 2.5 중량%, 에센셜 오일로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라벤더를 각 20 중량%, 증점제로 비즈왁스를 20 중량%, 잔량의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크림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밀배아 추출물 1 중량%를 함유하였으며, 유화제로 하이퍼머 1031 2.5 중량%, 에센셜 오일로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라벤더를 각 20 중량%, 증점제로 비즈왁스를 20 중량%, 잔량의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크림 형상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관능평가)
IGA(Investigator’Global Assessment)의 안면부 등급이 1 내지 3에 해당하는 20 내지 38세(평균 27.7 ±6.4세)의 여성 21명을 피험자로 시험하였으며, 무작위 배정에 따라 시험제품을 사용할 부분(시험군, 실시예 7)과 대조제품을 사용할 부분(대조군, 비교예 2)을 지정하여 4주간 사용하였다. 제품 사용 전 및 사용 4주 후 시점에서의 안면의 병변 계수, 피지 및 유분량을 측정하였고, 제품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를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① 병변 계수(Lesion counting)에 의한 임상 평가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135°각도로 누운 자세에 있는 연구 대상자의 코와 턱을 제외한 안면 부위의 자측 및 우측의 병변(lesion)을 비염증성 병변 (폐쇄 면포, 개방 면포), 염증성 병변(구진, 농포)로 분류하여 일정한 조명 조건에서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계수하였다.
② 안면 피지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안면 촬영 장치인 MARK.Vu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좌측, 우측의 뺨 피부 상태를 촬영하여 피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촬영된 자외선광 이미지에서 피지는 특정색으로 발광되며, 발광된 spot 들은 기기 내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각 영역에서 피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백분율로 수치화 하였다.
③ 피부 유분량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Sebumeter® SM810을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이마 부위의 피부 유분량을 각각 1회씩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Cassette에 mat tape가 피부 표면의 유분을 흡착한 후, cassette을 본체 slot에 삽입하여 tape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④ 피부 안정성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의 시험부위를 관찰하고, 피험자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시험부위 상태를 확인하여 기록, 평가하였다.
[표 5]
[표 6]
[표 7]
상기 표 5 내지 7과 같이 시료를 사용하기 전과 비교 시 시료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병변 계수 값이 비교예에 비해 유의미한 감소율을 보이고 있으며, 안면 피지 분석결과(표 6)과 피부 유분량 분석 결과(표 7)에서도 실시예의 시료가 대조군인 비교예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험자의 임상실험 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에게서 피부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열수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 및 퍼콜레이션 추출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추출방법으로부터 수득한 밀배아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 중 밀배아 추출물을 0.1 내지 5 중량%, 천연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며,
상기 천연추출물은 밀배아 추출물 1 중량비 대비 각각 0.8 내지 1.2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센셜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보존제, 용매, 충전제, 보습제, 비타민 및 염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180A KR102347742B1 (ko) | 2020-01-15 | 2020-01-15 |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180A KR102347742B1 (ko) | 2020-01-15 | 2020-01-15 |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350A KR20210092350A (ko) | 2021-07-26 |
KR102347742B1 true KR102347742B1 (ko) | 2022-01-06 |
Family
ID=7712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5180A KR102347742B1 (ko) | 2020-01-15 | 2020-01-15 |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774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003B1 (ko) | 2002-04-26 | 2005-04-07 | 이금희 | 피부미용을 위한 곡물가루 제조방법 |
KR20060130874A (ko) * | 2005-06-09 | 2006-12-20 | 곽세운 | 엽록소 식물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한 미용팩 조성물 |
KR101824687B1 (ko) * | 2016-06-13 | 2018-02-02 | (주)모아캠 |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KR101955111B1 (ko) * | 2016-09-23 | 2019-03-07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밀배아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진정 외용제 조성물 |
-
2020
- 2020-01-15 KR KR1020200005180A patent/KR10234774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350A (ko) | 2021-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254B1 (ko) |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 |
KR100687468B1 (ko) |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782599B1 (ko) | 복합천연방부제 | |
US20060105069A1 (en) |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 |
KR20110096102A (ko) |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015702B1 (ko) |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 |
KR20110108687A (ko) |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WO2007002666A2 (en) |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 |
KR102142311B1 (ko) |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20150050310A (ko) |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 |
CN113995693B (zh) | 一种具有抗炎功效脂质体的精华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20190142631A (ko)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 |
KR20140076240A (ko) |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JP5517119B2 (ja) | 化粧料 | |
KR100953278B1 (ko) |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719761B1 (ko) |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668290B1 (ko) |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 |
KR20220079414A (ko) | 캘러스 대사 산물이 다량 함유된 캘러스 용해물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1158728A (ja) |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 |
KR101400264B1 (ko) |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 |
CN105193680B (zh) | 矮地榆提取物及其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 |
KR102347742B1 (ko) | 밀배아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628844B1 (ko) |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367703B1 (ko) |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 |
KR102171924B1 (ko) |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