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467B1 - 생선 건조용 걸개 - Google Patents

생선 건조용 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467B1
KR102347467B1 KR1020210060085A KR20210060085A KR102347467B1 KR 102347467 B1 KR102347467 B1 KR 102347467B1 KR 1020210060085 A KR1020210060085 A KR 1020210060085A KR 20210060085 A KR20210060085 A KR 20210060085A KR 102347467 B1 KR102347467 B1 KR 10234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il
drying
vertical insertion
bod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유
하태연
Original Assignee
범일수산주식회사어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일수산주식회사어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범일수산주식회사어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1006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0Devices for threading fish on string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 건조 과정에서 생선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생선 건조용 걸개에 관한 것으로서, 생선의 꼬리 부분을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꼬리 파지부(110); 상기 꼬리 파지부(110)의 상단에 구비되되 생선의 몸체를 수직으로 삽입할 수 있는 몸체 수직 삽입부(140); 및 상기 몸체 수직 삽입부(140)의 상단에 구비되되,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후크 형태를 가지는 걸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꼬리 파지부(110)는 생선의 꼬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꼬리 파지 슬롯(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선 건조용 걸개{Hanging Device for Drying Fish}
본 발명은 생선 건조용 걸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생선 건조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건조 생선의 상품성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생선 건조용 걸개에 관한 것이다.
생선은 상온 보관성이 좋지 않은 관계로, 장기 보존을 위하여 염장 또는 건조하여 보관성을 높이는 방법이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특히, 굴비 등과 같은 생선은 보관성을 높이려는 목적 이외에도, 풍미를 더하여 고부가 가치 상품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과거에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마리의 생선을 짚 또는 끈으로 엮어서 건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렇지만 생선의 몸체 중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됨으로 인하여 건조 생선의 몸체가 휘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선의 꼬리 부분을 고정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통상 이 경우 생선의 꼬리 부분을 끈으로 엮거나, 빨래 집게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생선의 꼬리 부분을 끈으로 엮을 경우 숙력된 인력이 필요하고, 작업 효율이 높지 않아 대규모 건조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아니하다. 더 나아가, 빨래 집게를 이용하는 경우, 빨래 집게의 힘이 너무 강할 경우 생선 몸체 후단부가 손상될 수 있고, 빨래 집게의 힘이 약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생선이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서 대규모 건조장에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생선 건조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생선 건조용 걸개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및 2, 도 2 참조). 그렇지만 종래의 합성수지재 생선 건조용 걸개는 생선 몸체의 중간 부분만 지지할 수 있을 뿐이므로, 생선 몸체의 중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건조 생선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2915호 (공고일: 2016.01.18.) 등록특허공보 제10-1745592호 (공고일: 2017.06.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671호 (공고일: 2006.04.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선의 건조 과정에서 생선의 꼬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생선 건조용 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비숙련자라도 손쉽고 빠르게 생선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생선 건조용 걸개를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건조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생선 건조용 걸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선 건조 과정에서 생선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생선 건조용 걸개에 관한 것으로서, 생선의 꼬리 부분을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꼬리 파지부(110); 상기 꼬리 파지부(110)의 상단에 구비되되 생선의 몸체를 수직으로 삽입할 수 있는 몸체 수직 삽입부(140); 및 상기 몸체 수직 삽입부(140)의 상단에 구비되되,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후크 형태를 가지는 걸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꼬리 파지부(110)는 생선의 꼬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꼬리 파지 슬롯(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수직 삽입부(140)는, 상기 꼬리 파지부(110)와 상기 걸이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42); 및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몸체 수직 삽입공(141)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과 상기 꼬리 파지 슬롯(111)은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에 삽입된 생선의 꼬리 부분이 상기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에 삽입되되, 생선의 꼬리 부분의 하단이 상기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을 통하여 상기 꼬리 파지 슬롯(111)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생선 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생선의 꼬리가 상기 꼬리 파지 슬롯(111)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은 중간의 폭이 상하단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에 삽입된 생선의 몸체 중간 부분이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맞닿아, 상기 생선의 몸체가 상기 몸체 수직 삽입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는 생선의 꼬리 부분을 수평으로 파지하는 꼬리 파지 슬롯을 포함하고 있어서, 생선의 몸체 중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건조 생선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는 생선의 꼬리 부분을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을 통하여 꼬리 파지 슬롯을 손쉽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비숙련자라도 빠르고 정확하게 생선 건조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에 생선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또 다른 사용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는 크게 최상단의 걸이부(130), 최하단의 꼬리 파지부(110), 그리고 걸이부(130)와 꼬리 파지부(110) 사이에 형성된 몸체 수직 삽입부(140)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은 기능에 따라 부여된 명칭이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개별 요소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꼬리 파지부(110)는 생선의 꼬리 부분을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꼬리 파지 슬롯(111)을 포함하고 있다. 생선의 꼬리 부분은 꼬리 파지 슬롯(111)에 끼워져서 생선이 생선 건조용 걸개에 고정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방식은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걸이부(130)는 생선 건조용 걸개를 기타 구조물(건물, 막대 등)에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일반적으로 다른 구조물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꼬리 파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에는 몸체 수직 삽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몸체 수직 삽입부(140)는 꼬리 파지부(110)와 걸이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42)과,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몸체 수직 삽입공(14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42)은 휘어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의하여 정의되는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은 중간 부분에서 폭이 넓고 상하 부분에서 폭이 좁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구조물에 걸리는 후크 형태의 걸이부(130)와 생선 꼬리 부분을 파지하는 꼬리 파지부(110)는 하중을 많이 받게 되므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프레임(142)보다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몸체 수직 삽입”이라는 표현은 생선 몸체의 길이 방향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되, 눕혀진 상태가 아니라 세워진 상태로 삽입됨을 의미하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은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 수직 삽입공(141)과 꼬리 파지 슬롯(111) 사이에는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몸체 수집 삽입공(141)에 수직인 상태로 삽입된 생선의 꼬리 부분은 상기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을 통하여 꼬리 파지 슬롯(1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은 몸체 수직 삽입공(141)과 꼬리 파지 슬롯(111)을 이어주는 통로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꼬리 파지부(110), 몸체 수직 삽입부(140), 그리고 걸개 지지구(200)는 탄력을 가지고 있는 탄성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합성 고무, 천연 고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생선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는 생선(F)을 수직 상태(여기에서 “수직 상태”는 생선의 몸체 길이 방향은 수평하게 위치하되, 통지느러미 부분은 상방에, 배지느러미 부분은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함)로 생선을 몸체 수직 삽입공(141)에 삽입하되,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선 꼬리 부근(꼬리의 약간 앞 부분)이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생선 꼬리의 하단이 꼬리 파지 슬롯(111)에 이르렀을 때,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선 몸체를 몸체 길이 방향으로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생선(F)의 꼬리 부분이 꼬리 파지 슬롯(111)에 파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작업자는 생선(F)을 몸체 수직 삽입부(140)에 수직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생선(F)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생선(F)을 생선 건조용 걸개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생선 건조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에 파지된 다수 개의 생선들이 걸개 지지구(200)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생선 건조용 걸개의 걸이부(130)는 후크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막대 형상의 걸개 지지고(2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걸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의 제2 사용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지지 프레임(142)이 휘어진 상태로 형성될 경우 몸체 수직 삽입부(140)는 중간 부분의 폭이 넓고, 상하단 부분의 폭이 좁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되므로, 생선(F)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생선(F)의 몸통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 프레임(142)의 소정 부분에 탄성 가압부(143)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탄성 가압부(143)는 생선 건조용 걸개의 제2 사용 형태에 적합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몸체 수직 삽입부(140)에 수직으로 삽입된 생선(F)의 몸체 중간부를 적절한 힘으로 가압하여 생선(F) 몸체의 중간부가 생선 건조용 걸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 건조용 걸개는 기본적으로 생선의 꼬리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생선의 몸체 중간 부분을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110: 꼬리 파지부 111: 꼬리 파지 슬롯
120: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
130: 걸이부
140: 몸체 수직 삽입부 141: 몸체 수직 삽입공
142: 지지 프레임 143: 탄성 가압부
200: 걸개 지지구

Claims (5)

  1. 생선 건조 과정에서 생선을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생선 건조용 걸개에 관한 것으로서,
    생선의 꼬리 부분을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꼬리 파지부(110);
    상기 꼬리 파지부(110)의 상단에 구비되되 생선의 몸체를 수직으로 삽입할 수 있는 몸체 수직 삽입부(140); 및
    상기 몸체 수직 삽입부(140)의 상단에 구비되되,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후크 형태를 가지는 걸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꼬리 파지부(110)는 생선의 꼬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꼬리 파지 슬롯(111)을 포함하며,
    몸체 수직 삽입부(140)는, 상기 꼬리 파지부(110)와 상기 걸이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42); 및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의하여 형성되는 몸체 수직 삽입공(141)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과 상기 꼬리 파지 슬롯(111)은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에 삽입된 생선의 꼬리 부분이 상기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에 삽입되되, 생선의 꼬리 부분의 하단이 상기 꼬리 파지부 삽입 채널(120)을 통하여 상기 꼬리 파지 슬롯(111)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생선 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생선의 꼬리가 상기 꼬리 파지 슬롯(111)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건조용 걸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은 중간의 폭이 상하단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건조용 걸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 수직 삽입공(141)에 삽입된 생선의 몸체 중간 부분이 상기 지지 프레임(142)에 맞닿아, 상기 생선의 몸체가 상기 몸체 수직 삽입부(14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건조용 걸개.


KR1020210060085A 2021-05-10 2021-05-10 생선 건조용 걸개 KR10234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85A KR102347467B1 (ko) 2021-05-10 2021-05-10 생선 건조용 걸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85A KR102347467B1 (ko) 2021-05-10 2021-05-10 생선 건조용 걸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467B1 true KR102347467B1 (ko) 2022-01-05

Family

ID=7934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085A KR102347467B1 (ko) 2021-05-10 2021-05-10 생선 건조용 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4U (ko) * 2021-06-25 2023-01-03 차정님 생선건조용 다중 걸이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89U (ko) * 1989-10-20 1991-06-18
JPH0460080U (ko) * 1990-09-28 1992-05-22
JP2002171900A (ja) * 2000-12-01 2002-06-18 Nifco Inc 干果等の吊り具
KR20020075538A (ko) * 2001-03-26 2002-10-05 주식회사 태승인터내셔널 곶감꽂이행거
KR200413671Y1 (ko) 2006-01-13 2006-04-10 유세환 생선 건조용 꾸리
KR101582915B1 (ko) 2015-02-02 2016-01-18 (주)세현산업 굴비 건조기
KR101745592B1 (ko) 2016-11-08 2017-06-09 티케이하이테크(주) 생선 건조용 걸이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89U (ko) * 1989-10-20 1991-06-18
JPH0460080U (ko) * 1990-09-28 1992-05-22
JP2002171900A (ja) * 2000-12-01 2002-06-18 Nifco Inc 干果等の吊り具
KR20020075538A (ko) * 2001-03-26 2002-10-05 주식회사 태승인터내셔널 곶감꽂이행거
KR200413671Y1 (ko) 2006-01-13 2006-04-10 유세환 생선 건조용 꾸리
KR101582915B1 (ko) 2015-02-02 2016-01-18 (주)세현산업 굴비 건조기
KR101745592B1 (ko) 2016-11-08 2017-06-09 티케이하이테크(주) 생선 건조용 걸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4U (ko) * 2021-06-25 2023-01-03 차정님 생선건조용 다중 걸이기구
KR200497473Y1 (ko) 2021-06-25 2023-11-24 차정님 생선건조용 다중 걸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467B1 (ko) 생선 건조용 걸개
CN200969823Y (zh) 营茧槽蔟具
CN203841481U (zh) 一种自锁式晾衣架
CN212911640U (zh) 一种晒红烟晾晒挂接装置
CN101897302A (zh) 一种巢框及巢础片
US4165578A (en) Baiting hook with barbed connector
CN101756345A (zh) 烟叶采收烘烤筐
JP6060402B1 (ja) 干し果横吊り具
CN103932565A (zh) 一种自锁式晾衣架及其自锁方法
CN108567292A (zh) 一种防脱落衣架
US4049268A (en) Racket string clamp
JP5966176B1 (ja) 上鎌型物干しハンガー
CN201199906Y (zh) 烤烟夹烟杆
JP3409048B2 (ja) 干果製造用果吊り具
CN215957304U (zh) 一种主干型幼树拉枝器
CN102641068A (zh) 晾衣吊架
CN207561705U (zh) 一种带有防风孔的晾衣杆及与其配套使用的晾衣架
JP2000253811A (ja) 物干し具
CN1077763C (zh) 吊柿工具
CN203735945U (zh) 晒袜架
JPH10179990A (ja) 物干しハンガー
CN209846818U (zh) 一种监狱专用晾衣架
CN217487626U (zh) 一种雪茄烟烟夹
CN215124253U (zh) 带茎烟叶烘烤烟夹
CN210025250U (zh) 一种钢筋拉直机上的存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