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362B1 -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362B1
KR102347362B1 KR1020210067937A KR20210067937A KR102347362B1 KR 102347362 B1 KR102347362 B1 KR 102347362B1 KR 1020210067937 A KR1020210067937 A KR 1020210067937A KR 20210067937 A KR20210067937 A KR 20210067937A KR 102347362 B1 KR102347362 B1 KR 10234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ire
module
clam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식
Original Assignee
전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식 filed Critical 전우식
Priority to KR102021006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F16C2380/26Dynamo-electric machines or combinations therewith, e.g. electro-motors and generators
    • F16C2380/27Motor coupled with a gear, e.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체결부가 체결되어 무정전공벙용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진 지지대, 지지대에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무정전공법 작업을 위한 전선이선 모듈, 절단된 전선을 지지하는 클램프 모듈 및 무정전 전선이선 작업 시 주변 진동을 흡수하는 내진모듈이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Electric power line device for uninterruptible power method}
본 발명은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체결부가 체결되어 무정전공벙용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진 지지대, 지지대에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무정전공법 작업을 위한 전선이선 모듈, 절단된 전선을 지지하는 클램프 모듈 및 무정전 전선이선 작업 시 주변 진동을 흡수하는 내진모듈이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나 전선을 교체하는 배전공사는 정전으로 인한 전기사용자의 피해 및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무정전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 교체 전주 부근을 차량통행이나 사람의 통행을 차단한 후에 전주나 케이블을 임시로 가설하는 등 바이패스공법에 의해 전주 및 전선로의 교체작업을 완료한 다음, 임시로 가설한 전주나 케이블을 철거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전주의 임시가설작업이나 바이패스 공법은 가설 작업이 복잡하고 위험도가 높으며, 부하 절체로 인하여 전력계통 운영이 불안정하고 차량통행이 빈번한 곳에서는 작업이 불가하며 지상에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에 의한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또, 철거 공사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다수의 인력과 배전공사비의 과다발생,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도로를 점유함에 따른 보행자나 차량의 소통에 큰 지장을 주게 되며, 시공품질 및 전력품질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전주의 상단부에 애자가 구비된 완금을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3상의 전선을 완금의 애자에 고정 및 절연하게 되고, 한국전력공사의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장주변경(핀장주-내장주 교체) 및 부식 완금(완철)교체, 가공지지대 교체시에는 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여 고압 전선을 가완목에 이선한 후, 가완목을 들어 올려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이 종래의 배전선로 작업용 가완목 시설장비는 보조 인력 및 장치를 많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고압의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에 상당한 문제가 있으며, 적어도 고가의 활선버켓 차량을 2대 이상 동원해야만 되므로 경제성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에 체결부가 체결되어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및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진 지지대가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대에 승하강하게 설치되어 무정전공법 작업을 위한 전선이선 모듈이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판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모듈이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무정전 공법 작업 시 주변 진동을 흡수하는 내진 모듈이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는 전주에 체결부가 체결되어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무정전공법 작업을 위한 전선이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이선 모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배치되어 있고 정, 역회전할 수 있는 모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세워져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정, 역회전할 수 있는 승하강축, 상기 승하강축에 결합되어 있고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승강부재, 양측이 개구된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일측면에 설치된 결합커버, 상기 결합커버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결합커버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커버의 개구된 곳을 통해 상기 메인커버 내부로 삽입된 결합돌출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와 접한 승하강모터, 상기 메인커버에 설치된 절연판, 상기 절연판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모듈 및 상기 클램프 모듈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절연판의 양측단부에 도브테일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절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 모듈은, 누름부, 상기 누름부 단부에 구비되는 클램프부, 상기 누름부와 클램프부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돌기, 상기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홀이 구비된 클램프부 단부에 구비되어,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홀을 형성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클램프 모듈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비대칭톱니가 형성된 타이부,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고정홀의 크기를 유지하는 스토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스토퍼의 일측에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비대칭톱니가 상기 제2 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마찰을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는, 상기 타이부가 관통되는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직선부 및 사선부가 반복 형성된 제1 돌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클램프부가 개방하면 상기 제2 스토퍼에 상기 타이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타이부를 상기 제2 스토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홀을 축소시켜 전선을 고정하고, 상기 클램프부를 폐쇄하면,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타이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타이부가 관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고정홀의 크기를 유지시켜, 상기 클램프부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면 상기 고정홀의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보다 작게 형성된 고리형의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여도 상기 헤드에 의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진 모듈은, 상기 내진 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바닥면을 향해 고정판 홈이 형성되는 고정판, 일측이 상기 고정판 홈에 밀착되며, 타측이 상측으로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지진 또는 진동 하중에 따라 상기 고정판 홈의 판면을 공전하는 베어링 및 일측에 상기 베어링의 형상에 대응되는 베어링 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의 일부분을 체결하고, 타측에 연결판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베어링과 함께 이동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판 홈의 저면은 베어링과 대응되도록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판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이 상기 고정판 홈을 따라 상기 베어링의 공전에 대응할 때 상기 상판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 'ㄴ'자 형상에 상기 진동흡수부와 일체로 체결되고, 둘레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측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채움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상측면에 상기 고정판을 고정하는 홈 및 상기 채움부와 고정판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홈에 상기 고정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연결판에서 상기 하우징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에 체결부가 체결되어 무정전공벙용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진 지지대, 지지대에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무정전공법 작업을 위한 전선이선 모듈, 절단된 전선을 지지하는 클램프 모듈 및 무정전 전선이선 작업 시 주변 진동을 흡수하는 내진모듈이 구비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분해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결합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부 구성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또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실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진 모듈의 외관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베어링과 체결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진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지지대(110) 및 전선이선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전주에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어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분해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결합도에 대해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전선이선 모듈(300)은 모터(410), 승하강축(400), 승강부재(500), 메인커버(330), 결합커버(350), 가이드레일(352), 결합돌출부(351), 승하강모터(360), 절연판(310), 클램프 모듈(1000) 및 슬라이딩레일(321)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승하강축(400)을 정, 역회전할 수 있다.
승하강축(4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세워져 모터(410)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정, 역회전할 수 있다.
승강부재(500)는 승하강축(400)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51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커버(330)는 양측이 개구된 형상을 할 수 있다.
결합커버(350)는 메인커버(33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52)는 결합커버(35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지지대(110)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351)는 결합커버(350)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메인커버(330)의 개구된 곳을 통해 상기 메인커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승하강모터(360)는 가이드레일(352)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지지대(110)와 접하여 승하강축(400) 및 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 하 운동을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절연판(310)은 메인커버(3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선이선 작업 시에 발생하는 고전력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 모듈(1000)은 절연판(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321)은 클램프 모듈(100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절연판(310)의 양측단부에 도브테일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절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부 구성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에 따른 상기 구성들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주에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한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를 체결한다.
전선이선 모듈을 지지대에 장착한 후 모터를 동작시켜 승하강축이 정회전하도록 하여 전선이선 모듈이 작업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전선이선 모듈의 승하강을 위해 승하강모터를 동작시켜 작업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정지하여 작업할 전선에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클램프 모듈로 정위치에 배치시킨 후 고정시킨다.
피복을 벗겨 전선이선 작업을 할 시에는 절연판 위에 전선을 배치한 후 고정시켜 작업 시에 고압전력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선이선 작업이 완료 된 후 클램프 모듈을 전선에서 풀고 다시 승하강모터와 모터를 동작시켜 전선이선모듈을 하강시켜 원위치로 한다.
전주에서 지지대와 베이스플레이트를 탈착시켜 원위치로 되돌린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클램프 모듈(1000)은 누름부(1111), 클램프부(1113), 회전돌기(1115), 고정부재(1120) 및 투입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1111)는 손으로 가압하여 클램프부(1113)가 벌어지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클램프부(1113)는 누름부(11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선이선 작업 시 전선을 고정하는 부분이다.
회전돌기(1115)는 누름부(1111)와 클램프부(1113) 사이에 구비되어 클램프부(1113)가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1120)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홀(1130)이 구비된 클램프부(111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홀(1121)을 형성할 수 있다.
투입부(1400)는 클램프 모듈(1000)의 일측에 고정부재(1120)가 투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1120)는 타이부(1125), 스토핑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부(1125)는 비대칭톱니가 형성되어 전선이선 작업 시에 전선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스토핑부(1300)는 고정부재(1120)를 고정하여 고정홀(1121)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핑부(1300)는 클램프부(100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스토퍼(1330) 및 제2 스토퍼(135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부(1125)는 제1 스토퍼(1330) 및 제2 스토퍼(135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스토퍼의 일측에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돌기(144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관통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20)의 비대칭톱니(1126)가 제2 돌기(1440)를 따라 이동하여 마찰을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330) 및 제2 스토퍼(1350)는 타이부(1125)가 관통되는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도록 직선부(1126a) 및 사선부(1126b)가 반복 형성된 제1 돌기(131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1111)를 눌러 클램프부(1113)가 개방하면 제2 스토퍼(1350)에 타이부(1125)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330)는 타이부(1125)를 제2 스토퍼(1350)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홀(1121)을 축소시켜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부(1113)를 폐쇄하면, 제2 스토퍼(1350)가 타이부(1125)를 고정하고, 제1 스토퍼(1330)를 타이부(1125)가 관통하여 이동하여 고정홀(1121)의 크기를 유지시켜, 클램프부(1113)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면 고정홀(1121)의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투입부(1400)는 고정부재(1120)의 헤드(1123)보다 작게 형성된 고리형의 투입구(14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20)가 관통하여도 헤드(1123)에 의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또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클램프 모듈의 실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주에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여 전선 위치로 승강시킨 후 클램프 모듈을 슬라이딩 레일에 결합하여 이동시킨다.
절단된 전선은 각각 고정부재, 클램프부에 형성된 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절연캡 및 점퍼선을 고정부재 또는 클램프부의 홀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전선의 굵기에 따라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전선의 굵기, 절연캡 또는 점퍼선의 굵기에 따라 케이블타이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홀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굵기 또는 거리에 있어서도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가 케이블타이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길이에 따라 손쉽게 교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에 필요한 절연 효과도 있다.
아울러, 관통부를 통과한 고정부재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스토퍼에는 각각 제1 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제1 돌기는 직선부와 사선부가 반복형성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제1 돌기에 의하여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부재는 제1 스토퍼에서 제2 스토퍼 방향으로만 이동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투입부와 관통부 사이에 전선을 위치시키고, 고정부재가 다른 전선을 감싸 관통부를 관통한 후 제1 및 제2 스토퍼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결합하게 되는데, 제1 및 제2 스토퍼가 관통되는 일방향으로만 관통시킬 수 있도록 제1 돌기를 각각 갖춤으로써, 누름부를 눌러 클램프부를 개방하는 경우, 제2 스토퍼에는 타이부가 고정되고, 제1 스토퍼는 타이부를 제2 스토퍼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홀을 축소시켜 전선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클램프부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제2 스토퍼가 타이부를 고정하고, 제1 스토퍼를 타이부가 관통하여 이동함에 따라 고정홀의 크기를 축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클램프부의 개방, 폐쇄를 반복할 경우, 고정홀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여 편리하게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진 모듈의 외관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베어링과 체결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의 내진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내진 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진 모듈(20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무정전 전선이선 작업 시에 주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내진 모듈(2000)은 하우징(2100), 고정판(2200), 베어링(2300) 및 상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0)은 내진 모듈(2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직사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고정판(2200)은 일측이 하우징(2100)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바닥면을 향해 고정판 홈(2210)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2300)은 일측이 고정판 홈(2210)에 밀착되며, 타측이 상측으로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지진 또는 진동 하중에 따라 상기 고정판 홈의 판면을 따라 공전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판(2400)은 일측에 베어링(2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베어링 홈(2410)이 형성되어 베어링(2300)의 일부분을 체결하고, 타측에 연결판(2420)이 구비되어 하우징(2100) 내에서 베어링(23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고정판 홈(2210)의 저면은 베어링(2300)과 대응되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0)은 상판(2400)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0)은 진동흡수부(2120), 채움부(2130), 홈(2110) 및 지지부(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2120)는 상판(2400)이 고정판 홈(2210)을 따라 베어링(2300)이 공전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판(240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채움부(2130)는 'ㄴ'자 형상에 진동흡수부(2120)와 일체로 체결되고, 둘레면이 하우징(2100)의 내면과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측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2110)은 하우징(2100)의 바닥 상측면에 고정판(2200)을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2140)는 채움부(2130)와 고정판(2200) 사이에 체결되어 홈(2110)에 상기 고정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판(2400)은 연결판(2420)에서 하우징(2100) 상면으로 돌출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고정하는 고정부(2430) 및 전도방지핀(24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플레이트가 외부 환경에 의한 진동과 같은 흔들림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내진 모듈이 동작한다.
고정판 홈은 고정판의 바닥면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판은 홈에 의해 고정되어 견고한 결합을 통하여 고정판이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베어링은 고정판 홈의 외주면을 공전할 ??, 고정판 홈의 걸림부(미도시)와 맞닿게 되어도 베어링의 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판은 일측에 베어링의 형상에 대응되는 베어링 홈이 형성되어 베어링의 일영역을 수용하고, 타측에 고정판과 동일한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판이 형성된다.
상판은 베어링의 공전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베어링과 같이 움직인다.
상판은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하중에 따라 베어링과 함께 고정판 홈에서 공전하여 움직이면서 진동하중을 소산시키고 베이스플레이트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흡수부는 상판의 둘레방향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판이 베어링을 따라 공전할 때 상판이 걸림부에 제한되어 상판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채움부는 단면 형상이 대략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동흡수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어서, 진동흡수부는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채움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하중이 고정판 내부에 형성된 고정판 홈을 따라 베어링과 상판이 공전하면서 전달되는 하중을 수평변위를 통해서 소산시켜 내진 모듈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주 또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베이스플레이트
110 : 지지대
300 : 전선이선모듈
310 : 절연판
330 : 메인커버
350 : 결합커버
360 : 승하강모터
370 : 본체
400 : 승하강축
500 : 승강부재
1000 : 클램프모듈
1120 : 고정부재
1130 : 홀
1150 : 스프링
1300 : 스토핑부
1310 : 제1 돌기
1330 : 제1 스토퍼
1350 : 제2 스토퍼
1370 : 걸림부
1380 : 걸림공
1400 : 투입부
1410 : 투입구
2000 : 내진모듈
2100 : 하우징

Claims (4)

  1. 전주에 체결부가 체결되어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세워진 지지대;
    를 포함하는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전선이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이선 모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배치되어 있고 정, 역회전할 수 있는 모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세워져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정, 역회전할 수 있는 승하강축;
    상기 승하강축에 결합되어 있고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승강부재;
    양측이 개구된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의 일측면에 설치된 결합커버;
    상기 결합커버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결합커버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커버의 개구된 곳을 통해 상기 메인커버 내부로 삽입된 결합돌출부;
    를 포함하는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선 모듈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와 접한 승하강모터;
    상기 메인커버에 설치된 절연판;
    상기 절연판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모듈; 및
    상기 클램프 모듈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절연판의 양측단부에 도브테일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절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레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모듈은,
    누름부;
    상기 누름부 단부에 구비되는 클램프부;
    상기 누름부와 클램프부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돌기;
    상기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홀이 구비된 클램프부 단부에 구비되어,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홀을 형성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클램프 모듈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투입되는 투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비대칭톱니가 형성된 타이부;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고정홀의 크기를 유지하는 스토핑부;
    를 포함하는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부는,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스토퍼의 일측에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관통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비대칭톱니가 상기 제2 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마찰을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는,
    상기 타이부가 관통되는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직선부 및 사선부가 반복 형성된 제1 돌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클램프부가 개방하면 상기 제2 스토퍼에 상기 타이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타이부를 상기 제2 스토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홀을 축소시켜 전선을 고정하고,
    상기 클램프부를 폐쇄하면,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타이부를 고정하고,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타이부가 관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고정홀의 크기를 유지시켜, 상기 클램프부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면 상기 고정홀의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보다 작게 형성된 고리형의 투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여도 상기 헤드에 의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KR1020210067937A 2021-05-26 2021-05-26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KR10234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37A KR102347362B1 (ko) 2021-05-26 2021-05-26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37A KR102347362B1 (ko) 2021-05-26 2021-05-26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362B1 true KR102347362B1 (ko) 2022-01-04

Family

ID=7934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937A KR102347362B1 (ko) 2021-05-26 2021-05-26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3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772B2 (ja) 手動型地下埋設式電気設備コンテナシステム
US20170040939A1 (en) Bracket for Connection of a Junction Box to Photovoltaic Panels
KR101352050B1 (ko) 특고압 전기 송배전선 전용 지중전선 고정대
KR101922443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20190000251A (ko)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배전선용 배전반
KR102347362B1 (ko)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CN109038423B (zh) 一种接线盒
KR101394077B1 (ko) 특고압 전용 송배전선 배선대
KR101767624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4192062A (en) Terminating flat flexible cables
US10633226B2 (en) Flange cover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CN105514871B (zh) 一种超高压输电线路断股捋回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48629B1 (ko)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20180134666A (ko) 다도체 긴선작업 최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도체 전선 공중이설 방법
KR102030317B1 (ko) 완철용 피뢰기 고정 장치
CN219671435U (zh) 沟盖板固定装置及电缆沟系统
JP7326129B2 (ja) 整流装置及びき電回路保護システム
JPS635391Y2 (ko)
CN212063167U (zh) 一种成套开关柜的便捷式预埋装置
JP3237305U (ja) 高圧受電装置
KR200448211Y1 (ko) 스페이서 댐퍼 취부용 보조장치
CN212811137U (zh) 一种电缆接续工具箱
KR101877178B1 (ko) 다용도 완철 커버 및 그 활선 방호방법
CN213177270U (zh) 一种新型抗震支架管束
KR20220170443A (ko) 부싱용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