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277B1 -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277B1
KR102347277B1 KR1020200078029A KR20200078029A KR102347277B1 KR 102347277 B1 KR102347277 B1 KR 102347277B1 KR 1020200078029 A KR1020200078029 A KR 1020200078029A KR 20200078029 A KR20200078029 A KR 20200078029A KR 102347277 B1 KR102347277 B1 KR 10234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teorological
observation
observation data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75A (ko
Inventor
최예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Priority to KR102020007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277B1/ko
Priority to US18/012,297 priority patent/US11816554B2/en
Priority to PCT/KR2021/007447 priority patent/WO2021261825A1/ko
Priority to KR1020210133192A priority patent/KR1024378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4Backpropagation, e.g. using gradient desc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06N3/0455Auto-encoder networks; Encoder-decode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이하의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도록 훈련된 기상자료 생성 컴포넌트;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EATHER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본 발명은 기상 자료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 학습에 기반하여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 생성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상요소를 관측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지상관측은 AWS(Automatic Weather System, 방재기상관측)와 ASOS(종관기상관측)가 있다. 기상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방재기상관측은 510개 지점이며 기온, 강수, 바람, 습도, 기압을 관측하고 있으며, 종관기상관측은 102개 지점에서 방재기상관측에서 관측하고 있는 기상요소와 더불어 일사, 일조, 구름, 시정, 지면상태 등을 관측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기상관측망을 지속적으로 늘려서 고해상도 지상관측 기상요소 값을 얻으려고 하고 있으나, 모든 지점에 관측기기를 설치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기상관측이 도심지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관측기기에만 의존해서 관측 공백을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관측기기의 관측 영역에서도 일부 결측(관측 값이 손실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관측 공백지역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위성관측 값 및 지형정보 값을 이용하여 딥러닝 기법 기반 공백지역 기상요소 값을 생산하는 기법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 된 것으로,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이하의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도록 훈련된 기상자료 생성 컴포넌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기계 학습 기반으로 관측 자료의 결손 영역 재구성을 수행하도록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및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해 생성된 인공-결손 지상 관측 자료에 기초하여 훈련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지표 특성 자료, 지표 유형 자료 또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중 관측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데이터 결손 영역에 대하여, 상기 위성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결손 영역에 대한 상기 위성 기상 관측 자료와 상기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상기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 간의 관계를 기술한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결손 영역 기상 추정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오차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관측 오차 내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분포를 모델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가우시안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은: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기계 학습 기반의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점의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제 2 시점의 결손 지상 관측 자료의 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기반의 기계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및 위성 기상 관측 자료 또는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상기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상기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입력받아, 지표 특성 또는 지표 유형이 고려된 기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된 기상 자료에 대해 고해상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에서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함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순환 신경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측 자료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이라는 용어는,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 만을 포함하는 경우", "A와 B의 구성으로 조합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 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 함수와 인공 신경망 및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측 자료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영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은 간략화 하여 나타낸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의 컴퓨팅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고,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만이 컴퓨팅 장치(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네트워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딥러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딥러닝(DL: deep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 입력 데이터에서의 피처 추출, 오차 계산, 역전파(backpropagation)를 이용한 신경망의 가중치 업데이트 등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와 GPGPU가 함께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를 함께 사용하여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CPU, GPGPU 또는 TPU 실행가능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네트워크부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부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부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함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걸쳐, 연산 모델, 신경망, 네트워크 함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경망들을 구성하는 노드(또는 뉴런)들은 하나 이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내에서, 링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상대적으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하나의 노드에 대하여 출력 노드 관계에 있는 임의의 노드는 다른 노드와의 관계에서 입력 노드 관계에 있을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노드 대 출력 노드 관계는 링크를 중심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입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출력 노드가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하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관계에서, 출력 노드의 데이터는 입력 노드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는 가중치(weight)를 가질 수 있다. 가중치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신경망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가 각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경우, 출력 노드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입력 노드들에 입력된 값들 및 각각의 입력 노드들에 대응하는 링크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출력 노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경망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이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신경망 내에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관계를 형성한다. 신경망 내에서 노드들과 링크들의 개수 및 노드들과 링크들 사이의 연관관계, 링크들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의 값에 따라, 신경망의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개수의 노드 및 링크들이 존재하고, 링크들의 가중치 값이 상이한 두 신경망이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신경망들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신경망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의 부분 집합은 레이어(layer)를 구성할 수 있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 일부는,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의 거리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레이어(layer)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거리가 n인 노드들의 집합은, n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거리는,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해당 노드까지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링크들의 최소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어의 정의는 설명을 위한 임의적인 것으로서, 신경망 내에서 레이어의 차수는 상술한 것과 상이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들의 레이어는 최종 출력 노드로부터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최초 입력 노드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 중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에서 링크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가 직접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신경망 네트워크 내에서, 링크를 기준으로 한 노드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링크로 연결된 다른 입력 노드들을 가지지 않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최종 출력 노드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 중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에서, 출력 노드를 가지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히든 노드는 최초 입력 노드 및 최후 출력 노드가 아닌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감소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증가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상술한 신경망들의 조합된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DNN: deep neural network, 심층신경망)는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외에 복수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는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데이터의 잠재적인 구조(latent structures)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진, 글, 비디오, 음성, 음악의 잠재적인 구조(예를 들어, 어떤 물체가 사진에 있는지, 글의 내용과 감정이 무엇인지, 음성의 내용과 감정이 무엇인지 등)를 파악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는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리커런트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네트워크(DBN: deep belief network), Q 네트워크, U 네트워크, 샴 네트워크, 적대적 생성 네트워크(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딥 뉴럴 네트워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함수는 오토 인코더(autoencod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토 인코더는 입력 데이터와 유사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공 신경망의 일종일 수 있다. 오토 인코더는 적어도 하나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수 개의 히든 레이어가 입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어의 노드의 수는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수에서 병목 레이어(인코딩)라는 중간 레이어로 축소되었다가, 병목 레이어에서 출력 레이어(입력 레이어와 대칭)로 축소와 대칭되어 확장될 수도 있다. 오토 인코더는 비선형 차원 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의 수는 입력 데이터의 전처리 이후에 차원과 대응될 수 있다. 오토 인코더 구조에서 인코더에 포함된 히든 레이어의 노드의 수는 입력 레이어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병목 레이어(인코더와 디코더 사이에 위치하는 가장 적은 노드를 가진 레이어)의 노드의 수는 너무 작은 경우 충분한 양의 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특정 수 이상(예를 들어, 입력 레이어의 절반 이상 등)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교사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교사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반교사학습(semi 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학습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은 뉴럴 네트워크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을 뉴럴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출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학습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에서 반복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시키고 학습 데이터에 대한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과 타겟의 에러를 계산하고, 에러를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뉴럴 네트워크의 에러를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 레이어에서부터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backpropagation)하여 뉴럴 네트워크의 각 노드의 가중치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다. 교사 학습의 경우 각각의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되어있는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며(즉,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 비교사 학습의 경우는 각각의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데이터 분류에 관한 교사 학습의 경우의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 각각에 카테고리가 라벨링 된 데이터 일 수 있다.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가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되고,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카테고리)과 학습 데이터의 라벨을 비교함으로써 오류(error)가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분류에 관한 비교사 학습의 경우 입력인 학습 데이터가 뉴럴 네트워크 출력과 비교됨으로써 오류가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오류는 뉴럴 네트워크에서 역방향(즉, 출력 레이어에서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 되며, 역전파에 따라 뉴럴 네트워크의 각 레이어의 각 노드들의 연결 가중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업데이트 되는 각 노드의 연결 가중치는 학습률(learning rate)에 따라 변화량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뉴럴 네트워크의 계산과 에러의 역전파는 학습 사이클(epoch)을 구성할 수 있다. 학습률은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사이클의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초기에는 높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뉴럴 네트워크가 빠르게 일정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 후기에는 낮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에서 일반적으로 학습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즉,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부분집합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습 데이터에 대한 오류는 감소하나 실제 데이터에 대해서는 오류가 증가하는 학습 사이클이 존재할 수 있다. 과적합(overfitting)은 이와 같이 학습 데이터에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 데이터에 대한 오류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노란색 고양이를 보여 고양이를 학습한 뉴럴 네트워크가 노란색 이외의 고양이를 보고는 고양이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과적합의 일종일 수 있다. 과적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오류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적합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최적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과적합을 막기 위해서는 학습 데이터를 증가시키거나, 레귤라이제이션(regularization), 학습의 과정에서 네트워크의 노드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드롭아웃(dropout), 배치 정규화 레이어(batch normalization layer)의 활용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에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특정 문제(예를 들어, 최단 시간으로 데이터 검색, 데이터 저장, 데이터 수정) 해결을 위한 데이터의 조직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특정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데이터 요소들 간의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관계로 정의될 수도 있다. 데이터 요소들 간의 논리적인 관계는 사용자 정의 데이터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요소들 간의 물리적인 관계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예를 들어, 영구 저장 장치)에 물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요소들 간의 실제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구체적으로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 간의 관계,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 또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를 통해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효과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를 통해 연산, 읽기, 삽입, 삭제, 비교, 교환,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에 따라 선형 데이터 구조와 비선형 데이터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선형 데이터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 뒤에 하나의 데이터만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선형 데이터 구조는 리스트(List),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를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는 내부적으로 순서가 존재하는 일련의 데이터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리스트는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는 각각의 데이터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연결된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연결 리스트에서 포인터는 다음이나 이전 데이터와의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는 형태에 따라 단일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원형 연결 리스트로 표현될 수 있다. 스택은 제한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나열 구조일 수 있다. 스택은 데이터 구조의 한 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삽입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선형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스택에 저장된 데이터는 늦게 들어갈수록 빨리 나오는 데이터 구조(LIFO-Last in First Out)일 수 있다. 큐는 제한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나열 구조로서, 스택과 달리 늦게 저장된 데이터일수록 늦게 나오는 데이터 구조(FIFO-First in First Out)일 수 있다. 데크는 데이터 구조의 양 쪽 끝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비선형 데이터 구조는 하나의 데이터 뒤에 복수개의 데이터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비선형 데이터 구조는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 구조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간선은 서로 다른 두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 구조 트리(Tree)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 데이터 구조는 트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정점 중에서 서로 다른 두개의 정점을 연결시키는 경로가 하나인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즉 그래프 데이터 구조에서 루프(loop)를 형성하지 않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걸쳐, 연산 모델, 신경망, 네트워크 함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경망으로 통일하여 기술한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또한 신경망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전처리된 데이터,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경망의 가중치,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 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신경망의 각 노드 또는 레이어와 연관된 활성 함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손실 함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상기 개시된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에 의한 처리를 위하여 전처리된 데이터,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경망의 가중치,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 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신경망의 각 노드 또는 레이어와 연관된 활성 함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손실 함수 등 전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신경망을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특성을 결정하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연산 과정에 사용되거나 발생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입력되는 학습 데이터 및/또는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전처리(pre-processing)를 거친 데이터 및/또는 전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는 데이터를 신경망에 입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는 전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및 전처리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중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신경망은 복수개의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중치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신경망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가 각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경우, 출력 노드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입력 노드들에 입력된 값들 및 각각의 입력 노드들에 대응하는 링크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출력 노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가중치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 및/또는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는 학습 사이클이 시작되는 시점의 가중치 및/또는 학습 사이클 동안 가변되는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는 학습 사이클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변되는 가중치 및/또는 신경망 학습이 완료된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가중치 및/또는 각 가중치의 조합은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직렬화(serialization) 과정을 거친 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직렬화는 데이터 구조를 동일하거나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저장하고 나중에 다시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데이터 구조를 직렬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직렬화된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역직렬화(deserialization)를 통해 동일한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직렬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신경망의 가중치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팅 장치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구조(예를 들어, 비선형 데이터 구조에서 B-Tree, Trie, m-way search tree, AVL tree, Red-Black Tre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항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조는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Hyper-para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포함한 데이터 구조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변수일 수 있다. 하이퍼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학습률(learning rate), 비용 함수(cost function), 학습 사이클 반복 횟수, 가중치 초기화(Weight initialization)(예를 들어, 가중치 초기화 대상이 되는 가중치 값의 범위 설정), Hidden Unit 개수(예를 들어, 히든 레이어의 개수, 히든 레이어의 노드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구조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순환 신경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있어서 네트워크 함수는, 일반적인 인공 신경망의 형태뿐만 아니라, 순환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순환 뉴럴 네트워크는 유닛 간의 연결이 순환적 구조를 갖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시변적 동적 특징을 모델링 할 수 있도록 신경망 내부에 상태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전방 전달 신경망과 달리, 순환 뉴럴 네트워크는 내부의 메모리를 이용해 시퀀스 형태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뉴럴 네트워크는 필기체 인식이나 음성 인식과 같이 시변적 특징을 가지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입력 데이터는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되는 데이터로서, 특히 신경망이 순환 뉴럴 네트워크인 경우 입력 데이터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세부 영역의 현재 이전의 시점의 기상 요소의 값 및 메타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출력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가 네트워크 함수를 거쳐 도출된 결과로서, 현재 시점에서 네트워크 함수가 도출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세부 영역의 현재 시점의 기상 요소의 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에 따른 순환 신경망 구조는 이전 시점의 결과가 다음 시점의 입력 데이터의 일부가 되는 Auto Regressive model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입력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므로,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의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또는 지표 유형 자료 및 지표 특성 자료(600)를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에 입력함으로써 기상 자료(700)를 생성해낼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를 인식하고, 관측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인식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및 지표 유형 자료(600) 등을 입력받아,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상의 결손 영역이 메워진 기상 자료(700)를 생성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에 의해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고,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도록 훈련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이용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에 기초해서 기상 자료(700)를 생성해낼 수 있다. 나아가, 컴퓨팅 장치(100)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에 의해 생성된 기상 자료에 대해 고해상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는 Super-resolution 기법에 기초하여 기상 자료(700)를 고해상도로 만들어낼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 기상자료 고해도화 컴포넌트 및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에 입력되는 다양한 자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후술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지표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관측 지점에서 관측된 기상 요소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기상 요소는 관측 지점에서의 기상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관측 지점에서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관측 지점의 위치와 관측 기구의 관측 반경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된다. 즉,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은 관측 지점으로부터 관측 기구의 반경 내의 기상 요소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은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생성하는 기상 자료의 관측 영역 중 일부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기상 자료의 전체 관측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복수의 세부 영역에 대해, 인식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를 대응시킴으로써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생성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또는 행렬과 유사한 데이터 표현 양식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는 관측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 포함된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영역에서의 참 값 또는 관측 값과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해당 세부 영역의 관측 값과 관측 오차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값이거나, 관측 값으로부터 관측 오차 범위 내의 임의의 값 만큼 떨어진 조정 값이거나, 관측 값으로부터 관측 오차 범위 내에 참 값이 존재할 확률 분포의 모델로부터 추출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기 확률 분포는 가우시안 분포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오차 범위 내에 모델링된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해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상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오차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관측 오차 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분포를 모델링함으로써 훈련 데이터(구체적으로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분포는 가우시안 분포를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 및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는 아래에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에 따른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기상 자료(700)를 생성하기 위해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를 이용할 수 있다. 위성 기상 관측 자료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은 영역에 대한 기상 요소를 관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가 포함하고 있는 기상 요소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와 다른 유형의 기상 요소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가 지표에서 측정된 세부 영역의 기온, 습도, 풍속, 풍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복사량, 밝기 온도, 해당 세부 영역의 대기변수(대기운동 벡터, 대기 상층, 중간층, 하층 수증기량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해당 세부 영역 상공의 구름의 두께, 구름의 움직임, 기단에 관한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함에 있어 직접적인 연산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데이터의 일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관측 영역 내의 지표에 관한 자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관측 영역 내의 세부 영역의 고도, 경사도, 해당 세부 영역이 목초지인지, 해당 세부 영역이 산악 지형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해당 세부 영역의 기상 상태나, 기상의 변화 정보, 기상의 변화 양상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기상 자료(700)를 생성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요소일 수 있다. 즉,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입력 자료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 내에서, 지표의 특성 및 유형과 기상 요소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기 설정된 로직을 이용하여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 내에서 해당 세부 영역의 기상 요소에 대한 메타 데이터의 일 유형으로서 포함되어, 기계 학습 모듈이 기상 자료(700)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를 이용하여 기상 자료(700)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규칙 기반으로 기 설정된 로직을 이용해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현재 시점의 주변 기상 요소, 이전 시점의 공백 영역의 기상 요소, 해당 영역의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또는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식이나 방정식 등을 이용해서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기상 요소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해내도록 학습된 기계학습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한 인페인팅(inpainting) 기법을 이용해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기계학습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CNN, GAN에 기반한 다양한 기계 학습 모델, 규칙 기반의 모델, 오토 인코더,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 딥 러닝을 이용한 인페인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예를 들면, PConv 또는 McGAN)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를 기상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특징 값(latent feature)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나아가,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기상 요소의 시계열적 특징, 예를 들면 계절적 요소, 이전 시점의 기상 요소의 영향 등을 고려하기 위해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반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순환 신경망에 기초할 경우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순환 신경망의 이전 시점의 도출 결과가 현재 시점의 기상 요소 생성 시 입력 데이터의 일부로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반대로, 이전 시점의 도출 결과를 제외한, 순환 신경망의 구성만이 현재 시점에서의 기상 요소의 생성에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훈련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규칙 기반으로 기 설정된 로직을 이용할 경우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관측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일부 영역에 대한 자료를 하나 이상 획득한 후, 획득된 하나 이상의 일부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이용하는 모델로 구성 될 수 있다. 이 때, 기상 자료뿐만 아니라 상술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가 부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모델링 기법은 통계적 회귀 방정식일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기 설정된 로직은 공백 영역의 기상 요소와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 및 부가적인 메타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관계식(또는 회귀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 관계식의 계수들이 통계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기상 요소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해내도록 학습된 기계학습 모듈일 경우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 및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기반하여 생성된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해 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에 대해, 기상 요소의 관측 공백 영역에 대응하는 결손 영역을 만들어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상기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입력받아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생성해내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뿐만 아니라 메타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아,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반영하여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생성해내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된 기상 자료에 대해 고해상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는 SISR(Single Image Super Resolution), MISR(Multi Image Super Resolution) 기법이나, 딥 러닝 기반의 SRCNN 기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를 이용할 경우, 공백 영역에 대해 더 세분화된 기상 요소 값들을 포함하는 기상 자료(700)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있어 기상 자료(700)는 관측 대상 영역에 대해 결손 영역 없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에 의해 생성된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측 자료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있어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지표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관측 지점에서 관측된 기상 요소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기상 요소는 관측 지점에서의 기상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관측 지점에서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관측 지점의 위치와 관측 기구의 관측 반경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된다. 즉,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은 관측 지점으로부터 관측 기구의 반경 내의 기상 요소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은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생성하는 기상 자료의 관측 영역 중 일부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기상 자료의 전체 관측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복수의 세부 영역에 대해, 인식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를 대응시킴으로써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생성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또는 행렬과 유사한 데이터 표현 양식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는 관측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 포함된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영역에서의 참 값 또는 관측 값과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해당 세부 영역의 관측 값과 관측 오차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값이거나, 관측 값으로부터 관측 오차 범위 내의 임의의 값 만큼 떨어진 조정 값이거나, 관측 값으로부터 관측 오차 범위 내에 참 값이 존재할 확률 분포의 모델로부터 추출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기 확률 분포는 가우시안 분포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오차 범위 내에 모델링된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해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상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오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 후술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분할된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들의 기상 요소(예를 들면,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 자료의 집합일 수 있다.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분할한 세부 영역 각각은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와 결손 영역(42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분할하는 복수의 세부 영역들에 대한 관측 자료 중 기상 요소에 대한 결손이 존재하지 않는 세부 영역에 대한 지상 기상 관측 자료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의 크기는, 지표 상에 존재하는 관측 기구의 관측 영역의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표 상에 존재하는 관측 기구의 관측 영역의 범위가 5km인 경우, 관측 기구로부터 5km 반경에 대해서는 기상 요소 자료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의 크기는 5km의 반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비 결손-지상 관측 자료(410)는 관측 기구에 의해 관측된 영역의 기상 자료를 다시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중 관측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분할하는 복수의 세부 영역들에 대한 관측 자료에 기초하여 재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세부 영역에 대한 기상 요소 자료와 하나 이상의 메타 데이터 간의 관계식에 의해 재구성된 세부 영역에 대한 기상 요소 자료일 수 있다. 또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가 결손 영역(420)에 대한 기상 요소 관측 값을 가지는 경우에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관측 데이터 결손 영역에 대하여, 상기 위성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지표 상에 위치하는 관측 기구의 관측 오차를 이용하여 재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재구성할 경우, 일 세부 영역에 대해 하나 이상의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훈련을 위한 훈련 데이터의 증폭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로부터 둘 이상의(복수의)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훈련이 더 잘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생성하기 위한 관계식은 세부 영역에 대한 기상 요소 자료와 하나 이상의 메타 데이터 간의 관계식은 통계적 기법에 기반한 회귀식일 수 있다. 즉,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결손 영역(420)에 대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와 지표 특성 자료 및 상기 지표 유형 자료(600) 중 적어도 하나 간의 관계를 기술한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결손 영역 기상 추정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관측 기구의 관측 오차를 이용해서 재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에 있어서, 대응되는 세부 영역에 포함될 기상 요소의 값은 해당 세부 영역에서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내 기상 요소의 관측 값과, 관측 오차에 기초한 모형(모델)에 기초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관측 오차 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분포를 모델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델은 관측 값과 관측 오차에 기초한 확률 분포일 수 있고, 이 경우 확률 모델은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확률 모델은 세부 영역에 대한 기상 요소의 관측 값을 평균으로 하는 가우시안 분포를 따를 수 있다. 이 때 관측 오차 범위 내에서만 기상 요소의 값이 재구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는 해당 세부 영역에서 관측된 기상 요소의 관측 값과, 관측 오차에 기초한 모델을 이용하는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결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해낼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기계 학습 기반의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을 이용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비-결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점의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제 2 시점의 결손 지상 관측 자료의 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결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기반의 기계 학습 모델일 수 있다. 기상 상황은 이전 시점의 기상 상황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술한 바에 의하여 기상 자료 생성 시 다양한 이전 시점의 기상 요소의 값들을 고려하도록 한다면 결손 영역(420)에 대한 기상 자료 생성이 더욱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훈련을 위한 훈련 데이터의 증폭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로부터 둘 이상의(복수의)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훈련이 더 잘 수행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결손 영역(420)에 대한 기상 요소의 값을 생성하는데 시계열적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일례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하나 이상의 이전 시점의 기상 요소의 값을 현재 시점의 기상 요소의 값을 생성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점의 비-결손 지상 관측 자료를 제 2 시점의 결손 지상 관측 자료의 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 이러한 결손 영역은 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측 영역은, 원래는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관측 값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영역이지만 관측 값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시점의 비-결손 지상 관측 자료는 결손 영역에 대한 제 2 시점 이전의 기상 자료일 수 있다. 또는, 제 1 시점의 비-결손 지상 관측 자료는 결측 영역에 대한 제 2 시점 이전의 기상 자료일 수 있다. 즉,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점에서의 비-결손 지상 관측 자료에 포함된 기상 관측 값을 이용하여 제 2 시점에서의 결손 영역의 기상 요소의 값을 생성해낼 수 있다. 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점에서의 비-결손 지상 관측 자료에 포함된 기상 요소의 관측 값을 이용하여 제 2 시점에서의 결측 영역의 기상 요소의 값을 생성해낼 수 있다.이 경우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기반의 기계 학습 모델일 수 있다. 기상 상황은 이전 시점의 기상 상황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술한 바에 의하여 기상 자료 생성 시 다양한 이전 시점의 기상 요소의 값들을 고려하도록 한다면 결손 영역(420)에 대한 기상 자료 생성이 더욱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술한 훈련 데이터에는 다양한 기상 관련 메타 데이터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됨으로써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결손 영역(420)에 대한 기상 자료 생성 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의 예시로서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기상 자료 생성을 위한 메타 데이터의 예시에 불과하며, 메타 데이터의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해, 생성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에 인공적으로 결손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인공 결손 지상 관측 자료로부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에 가까운 기상 자료(700) 생성해내도록 훈련될 수 있다. 즉,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한 손실 함수는 상기 인공 결손 지상 관측 자료로부터 생성된 기상 자료(700)와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비교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훈련되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CNN, GAN에 기반한 다양한 기계 학습 모델, 규칙 기반의 모델, 오토 인코더,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 딥 러닝을 이용한 인페인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예를 들면, PConv 또는 McGAN)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를 기상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특징 값(latent feature)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손 영역(420)은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중 지표 상 관측 기구에 의해 기상 요소의 값이 측정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 이러한 결손 영역은 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측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는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관측 값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영역이지만 관측 값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손 영역(420)은 지상 관측이 미치지 않으므로, 해당 영역은 지속적으로 지상 관측이 결손될 수 있다. 그러나, 결손 영역(420)에 대하여도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존재할 수 있으므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이들에 기초하여 결손 영역(420)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해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10)는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할 수 있다(S100).
본 개시에 따른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를 인식하고, 관측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지표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관측 지점에서 관측된 기상 요소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기상 요소는 관측 지점에서의 기상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관측 지점에서의 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관측 지점의 위치와 관측 기구의 관측 반경에 의해 그 범위가 결정된다. 즉,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은 관측 지점으로부터 관측 기구의 반경 내의 기상 요소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은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생성하는 기상 자료의 관측 영역 중 일부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기상 자료의 전체 관측 영역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는 복수의 세부 영역에 대해, 인식된 지표 상에서의 기상 요소의 관측 자료를 대응시킴으로써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생성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또는 행렬과 유사한 데이터 표현 양식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는 관측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 포함된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영역에서의 참 값 또는 관측 값과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해당 세부 영역의 관측 값과 관측 오차를 이용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값이거나, 관측 값으로부터 관측 오차 범위 내의 임의의 값 만큼 떨어진 조정 값이거나, 관측 값으로부터 관측 오차 범위 내에 참 값이 존재할 확률 분포의 모델로부터 추출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기 확률 분포는 가우시안 분포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일 세부 영역에 대응되는 기상 요소의 값은 관측 오차 범위 내에 모델링된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해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상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오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 후술한다.
본 개시에 따른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기상 자료(700)를 생성하기 위해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를 이용할 수 있다. 위성 기상 관측 자료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은 영역에 대한 기상 요소를 관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가 포함하고 있는 기상 요소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와 다른 유형의 기상 요소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가 지표에서 측정된 세부 영역의 기온, 습도, 풍속, 풍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마찬가지로 해당 세부 영역의 복사량, 밝기 온도, 대기변수(대기운동 벡터, 대기 상층, 중간층, 하층 수증기량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해당 세부 영역 상공의 구름의 두께, 구름의 움직임, 기단에 관한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는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함에 있어 직접적인 연산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를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데이터의 일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의 관측 영역 내의 지표에 관한 자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관측 영역 내의 세부 영역의 고도, 경사도, 해당 세부 영역이 목초지인지, 해당 세부 영역이 산악 지형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해당 세부 영역의 기상 상태나, 기상의 변화 정보, 기상의 변화 양상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기상 자료(700)를 생성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요소일 수 있다. 즉,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입력 자료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 내에서, 지표의 특성 및 유형과 기상 요소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기 설정된 로직을 이용하여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 내에서 해당 세부 영역의 기상 요소에 대한 메타 데이터의 일 유형으로서 포함되어, 기계 학습 모듈이 지표 특성 또는 지표 유형이 고려된 기상 자료(700)를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S200).
본 개시에 따른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인식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및 지표 유형 자료(600) 등을 입력받아,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상의 결손 영역이 메워진 기상 자료(700)를 생성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에 의해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고,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도록 훈련된 기상자료 생성 컴포넌트를 이용해,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에 기초해서 기상 자료(700)를 생성해낼 수 있다. 나아가, 컴퓨팅 장치(100)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에 의해 생성된 기상 자료에 대해 고해상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는 Super-resolution 기법에 기초하여 기상 자료(700)를 고해상도로 만들어낼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4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를 이용하여 기상 자료(700)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규칙 기반으로 기 설정된 로직을 이용해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현재 시점의 주변 기상 요소, 이전 시점의 공백 영역의 기상 요소, 해당 영역의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또는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식이나 방정식 등을 이용해서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기상 요소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해내도록 학습된 기계학습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한 인페인팅(inpainting) 기법을 이용해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기계학습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오토 인코더, 생성 모델(generative) 모델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CNN, GAN에 기반한 다양한 기계 학습 모델, 규칙 기반의 모델, 오토 인코더,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 딥 러닝을 이용한 인페인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예를 들면, PConv 또는 McGAN)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및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를 기상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특징 값(latent feature)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나아가,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기상 요소의 시계열적 특징, 예를 들면 계절적 요소, 이전 시점의 기상 요소의 영향 등을 고려하기 위해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반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순환 신경망에 기초할 경우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순환 신경망의 이전 시점의 도출 결과가 현재 시점의 기상 요소 생성 시 입력 데이터의 일부로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반대로, 이전 시점의 도출 결과를 제외한, 순환 신경망의 구성만이 현재 시점에서의 기상 요소의 생성에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훈련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규칙 기반으로 기 설정된 로직을 이용할 경우에,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관측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일부 영역에 대한 자료를 하나 이상 획득한 후, 획득된 하나 이상의 일부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이용해 모델링 될 수 있다. 이 때, 기상 자료뿐만 아니라 상술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가 부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모델링 기법은 통계적 회귀 방정식일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의 기 설정된 로직은 공백 영역의 기상 요소와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 및 부가적인 메타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관계식(또는 회귀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 관계식의 계수들이 통계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가 기상 요소 관측 공백 영역에 대한 기상 자료를 생성해내도록 학습된 기계학습 모듈일 경우에는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 및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기반하여 생성된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해 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에 대해, 기상 요소의 관측 공백 영역에 대응하는 결손 영역을 만들어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상기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입력받아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생성해내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200)는 인공 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뿐만 아니라 메타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아,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반영하여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410)를 생성해내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지표 특성 자료 및 지표 유형 자료(600), 위성 기상 관측 자료(5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된 기상 자료에 대해 고해상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는 SISR(Single Image Super Resolution), MISR(Multi Image Super Resolution) 기법이나, 딥 러닝 기반의 SRCNN 기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를 이용할 경우, 공백 영역에 대해 더 세분화된 기상 요소 값들을 포함하는 기상 자료(700)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및/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 b, 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이하의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인식 컴포넌트;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도록 훈련된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
    를 포함하되,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기초하여 훈련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와 결손 영역에 대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간의 관계를 기술한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결손 영역 기상 추정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기계 학습 기반으로 관측 자료의 결손 영역 재구성을 수행하도록 훈련된 뉴럴 네트워크인,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및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해 생성된 인공-결손 지상 관측 자료에 기초하여 훈련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기초로, 상기 지표 특성 자료, 상기 지표 유형 자료 또는 위성 기상 관측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중 관측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관측 오차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관측 오차 내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의 분포를 모델링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관측 오차 범위 내에서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둘 이상 생성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은: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 또는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학습 기반의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점의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제 2 시점의 결손 지상 관측 자료의 생성에 이용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기반의 기계 학습 모델인,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및 위성 기상 관측 자료를 기초로, 상기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상기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는,
    상기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상기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입력받아, 지표 특성 또는 지표 유형이 고려된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가능한 컴포넌트들은:
    상기 기상 자료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된 기상 자료에 대해 고해상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기상자료 고해상도화 컴포넌트;
    를 더 포함하는,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17. 컴퓨팅 장치에서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계 학습 모듈은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기초하여 훈련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와 결손 영역에 대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간의 관계를 기술한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결손 영역 기상 추정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되는,
    컴퓨팅 장치에서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
  18.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기상 관측 자료를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관측된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계 학습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 지상 기상 관측 자료 상 공백 영역의 기상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계 학습 모듈은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에 기초하여 훈련되고,
    상기 비-결손 지상 기상 관측 자료는,
    지표 특성 자료 또는 지표 유형 자료 중 적어도 하나와 결손 영역에 대한 위성 기상 관측 자료간의 관계를 기술한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결손 영역 기상 추정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78029A 2020-06-25 2020-06-25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4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29A KR102347277B1 (ko) 2020-06-25 2020-06-25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US18/012,297 US11816554B2 (en) 2020-06-25 2021-06-15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eather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PCT/KR2021/007447 WO2021261825A1 (ko) 2020-06-25 2021-06-15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0210133192A KR102437856B1 (ko) 2020-06-25 2021-10-07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29A KR102347277B1 (ko) 2020-06-25 2020-06-25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92A Division KR102437856B1 (ko) 2020-06-25 2021-10-07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75A KR20220000275A (ko) 2022-01-03
KR102347277B1 true KR102347277B1 (ko) 2022-01-05

Family

ID=79281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029A KR102347277B1 (ko) 2020-06-25 2020-06-25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0210133192A KR102437856B1 (ko) 2020-06-25 2021-10-07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92A KR102437856B1 (ko) 2020-06-25 2021-10-07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16554B2 (ko)
KR (2) KR102347277B1 (ko)
WO (1) WO2021261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775B1 (ko) * 2023-06-30 2023-09-11 대한민국 지상 및 인공위성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대기질 관측데이터를 대기질모델에 적용하여 대기오염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3418B (zh) * 2022-04-29 2023-03-07 中科三清科技有限公司 一种均压场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6957431A (zh) * 2023-09-20 2023-10-27 航天宏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气象水文环境数据组织模型的构建方法、装置及设备
CN117233870B (zh) * 2023-11-15 2024-01-23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基于多气象要素的短临降水集合预报及降尺度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8556A (ja) * 1999-03-05 2000-09-22 Fuji Electric Co Ltd 気象予報欠損値の推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88812A1 (en) * 2002-07-04 2004-02-11 Ronald E. Dr. Kates Method for training a learning-capable system
US20080169975A1 (en) * 2007-01-12 2008-07-17 Young Paul Yee Process for generating spatially continuous wind profiles from wind profiler measurements
US20150379408A1 (en) * 2014-06-30 2015-12-31 Microsoft Corporation Using Sensor Information for Inferring and Forecasting Large-Scale Phenomena
US20180038994A1 (en) * 2016-08-02 2018-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to Improve Global Weather Forecasting Using Model Blending and Historical GPS-RO Dataset
JP6486876B2 (ja) 2016-09-15 2019-03-20 株式会社東芝 豪雨予測方法、豪雨予測装置、該豪雨予測装置が適用される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09629B1 (ko) * 2016-11-28 2017-12-15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기상청 국지예보모델을 활용한 도시 폭염 상세정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US11237299B2 (en) * 2017-05-01 2022-02-01 I.M. Systems Group, Inc. Self-learning nowcast system for modeling, recording, and predicting convective weather
KR102076426B1 (ko) * 2017-11-17 2020-02-12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상세기상 예측정보 실시간 운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폭염 및 열대야 영향 예보 활용 방법
KR102087296B1 (ko) 2018-07-19 2020-03-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머신러닝 기반 영상의 장애물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2172925B1 (ko) 2018-10-25 2020-11-02 광주과학기술원 딥러닝 기반 기후 변화 예측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20091171A (ja) 2018-12-05 2020-06-11 株式会社Ihi 気象予測システム、気象予測方法、および気象予測プログラム
KR102043999B1 (ko) 2019-04-22 2019-11-12 (주)미래로택 홍수 예/경보를 위한 브레이니 rtu 및 이를 이용한 강우 예측 방법과 화재/침수 관련 알람 전송 방법
KR102063358B1 (ko) 2019-10-22 2020-03-02 (주)한국해양기상기술 고해상도 기상기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 및 테스트 방법,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장치
KR102175179B1 (ko) 2020-08-13 2020-11-10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공백 지역 레이더 합성장 정보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8556A (ja) * 1999-03-05 2000-09-22 Fuji Electric Co Ltd 気象予報欠損値の推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775B1 (ko) * 2023-06-30 2023-09-11 대한민국 지상 및 인공위성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대기질 관측데이터를 대기질모델에 적용하여 대기오염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16554B2 (en) 2023-11-14
WO2021261825A1 (ko) 2021-12-30
KR20220000387A (ko) 2022-01-03
US20230267303A1 (en) 2023-08-24
KR102437856B1 (ko) 2022-08-30
KR20220000275A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77B1 (ko) 기계 학습 기반 기상 자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08751B1 (ko) 딥러닝 기반의 강수량 예측 방법
KR102313626B1 (ko)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방법
KR102285530B1 (ko) 영상 정합을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337412B1 (ko)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KR102357531B1 (ko) 딥러닝 기반의 강수 유형 분류 방법
KR102364882B1 (ko) 객체 검출 방법
KR102270198B1 (ko) 앵커-프리 rpn 기반의 물체 검출 방법
KR102406287B1 (ko) 협력 학습을 이용한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KR20240002577A (ko) 변화 탐지 방법
KR102364881B1 (ko) 전문가 모사 모델 학습 방법 및 그 학습을 위한 장치
KR102393951B1 (ko) 객체 중심 데이터 증강 방법
KR20220129995A (ko)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KR102557746B1 (ko) 초해상화가 탑재된 물체 탐지 모델의 오작동을 유도하는 적대적 공격 방법
KR102260169B1 (ko) 데이터 생성 방법
KR102437285B1 (ko) 모호한 라벨을 이용한 객체 예측 모델 학습 방법
KR102579684B1 (ko) 신경망 학습모델을 이용한 디지털 휴먼 모델링 방법
KR102364762B1 (ko) 초해상도 이미징을 위한 모델 학습 방법
KR102674100B1 (ko) 향상된 적대적 생성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 결함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KR102255998B1 (ko) 피해 감지 방법
KR102440629B1 (ko) 반도체 설계를 위한 신경망 모델 학습 방법
KR102662645B1 (ko) 커리큘럼 기반의 능동적 학습 방법
KR102552230B1 (ko)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데이터 라벨링 방법
KR20220000145A (ko) 서비스 요청 분류 및 응답 서버, 방법 및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52266A (ko)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