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80B1 -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 Google Patents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80B1
KR102347080B1 KR1020180161547A KR20180161547A KR102347080B1 KR 102347080 B1 KR102347080 B1 KR 102347080B1 KR 1020180161547 A KR1020180161547 A KR 1020180161547A KR 20180161547 A KR20180161547 A KR 20180161547A KR 102347080 B1 KR102347080 B1 KR 10234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cannula
tubular body
tip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424A (ko
Inventor
강민종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8016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0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 A61B2017/3456Details of tips blu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전단측 상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상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며, 관형 몸체의 전단측 팁부는 관형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폐쇄되고, 팁부를 제외한 관형 몸체의 전단부는 관형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팁부에 의해 차단된 도랑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개구부에 팁부와 접하도록 삽입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봉합사를 삽입할 때 편의성,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CANNULA FOR INSERTING SUTURE}
본 발명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는 의료적 목적에서 벌어진 신체 부위를 봉합하거나, 미용적 목적으로 쳐진 조직을 끌어 당기는데(리프팅 시술) 사용된다.
봉합사는 캐뉼라에 일부가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캐뉼라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가짐으로써, 체내에 삽입될 때,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캐뉼라를 통해 봉합사를 체내의 목적하는 부위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합사가 수용된 캐뉼라를 체내로 삽입한 후 봉합사를 남겨두고 캐뉼라만을 체외로 빼냄으로써, 봉합사를 체내의 특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캐뉼라를 체내로 삽입할 때, 피부 또는 체내 조직을 뚫고 진행하면서 봉합사 중 캐뉼라의 단부 모서리에 걸쳐있는 부분이 큰 마찰을 받는다. 따라서, 단부 모서리에 걸쳐있는 부분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캐뉼라에 의해 혈관 또는 체내 조직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삽입 후 캐뉼라만을 체외로 빼낼 때에도, 캐뉼라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봉합사가 캐뉼라로부터 빠져나가면서 캐뉼라 단부의 모서리와 마찰한다. 이 때에도 봉합사가 끊어질 수 있으며, 돌기형 봉합사가 사용될 경우, 돌기가 캐뉼라 단부의 모서리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7734호에 봉합사를 수용하여 체내에 삽입할 수 있는 바늘 형태의 봉합사 앵커 어플라이어가 개시되어 있으나, 봉합사의 절단 및 혈관의 손상 문제를 그대로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7734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 시 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전단측 상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상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몸체의 전단측 팁부는 상기 관형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폐쇄되고, 상기 팁부를 제외한 상기 관형 몸체의 전단부는 상기 관형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팁부에 의해 차단된 도랑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 상기 팁부와 접하도록 삽입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높이는 상기 팁부의 높이와 같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모서리 및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계단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6. 위 5에 있어서, 상기 계단 형상은 제1단 및 상기 제1단보다 높이가 높은 제2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은 상기 관형 몸체의 상기 팁부와 높이가 같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은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8. 위 1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외부면에 봉합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리세스를 포함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9. 위 8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세스는 상기 제1 리세스와 하나로 연결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2회 굴곡진 갈고리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제1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제2 굴곡부가 형성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1 굴곡부는 콧대 및 콧망울의 외형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관형 몸체가 삽입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4. 위 1에 있어서,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를 수용하여 사용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5. 위 1에 있어서, 코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전단측 말단에 팁부를 포함하는 관형 몸체의 전단부의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팁부와 접하도록 개구부에 삽입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봉합사를 삽입한 후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빼낼 때, 봉합사가 팁부에 걸려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와 함께 빠져나오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팁부의 모서리와 상면 또는 완충부의 상면을 라운딩 처리하여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찔러 넣을 때 혈관이 관통되거나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완충부를 계단 형상으로 하여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빼낼 때, 봉합사가 용이하게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팁부 또는 완충부에 리세스를 형성하여 봉합사가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가 리세스에 수용되어 고정된 채로 봉합사를 신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를 결합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신체에 삽입하거나 빼낼 때, 봉합사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모서리에 걸려 끊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봉합사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와 함께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몸체가 갈고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봉합사를 굴곡진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갈고리 형상이 콧대 및 콧망울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콧대 및 콧망울의 경사 및 굴곡을 따라 효과적으로 봉합사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코 리프팅 시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전단부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전단측 상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상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며, 관형 몸체의 전단측 팁부는 관형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폐쇄되고, 팁부를 제외한 관형 몸체의 전단부는 관형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팁부에 의해 차단된 도랑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개구부에 팁부와 접하도록 삽입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제공한다. 봉합사를 삽입할 때 편의성,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전단부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완충부(200)가 관형 몸체(10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완충부(200)는 일점쇄선을 따라 관형 몸체(100)에 삽입될 수 있다. 완충부(200)가 일점쇄선을 따라 삽입되면 도 1의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관형 몸체(100), 완충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몸체(100)는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관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에는 봉합사가 수용될 수 있다. 관형 몸체(100)는 전단측 상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단측'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신체에 삽입할 때 관형 몸체(100)가 체내로 삽입되는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후단측'은 상기 전단측의 반대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부'는 관형 몸체(100)의 두께 방향을 상대적으로 상하로 나눈 부분 중 상측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부'는 상기 상부의 반대 측(하측)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관형 몸체(100)의 전단측 말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은 전단부(120)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단측 중 상부가 제거된 부분이 전단부(120)를 정의할 수 있다.
팁부(140)는 관형 몸체(100)의 전단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팁부(140)는 관형 몸체(100)의 전단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팁부(140)는 관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형 몸체(100)의 전단부(120) 말단을 폐쇄하는 부분이 팁부(140)를 정의할 수 있다. 팁부(140)는 뭉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신체에 삽입할 때,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말단이 체내 조직 또는 혈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체내 조직이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단부(120)는 관형 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형 몸체(10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전단부(120) 중 팁부(140)는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팁부(140)를 제외하고 개방된 부분은 개구부(130)로 제공될 수 있다. 개구부(130)는 상측이 개방되고 팁부(140)에 의해 일 면이 차단되어 도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130)는 예를 들면, 관형 몸체(100)의 전단측 소정 영역의 상부를 소정 깊이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130)는 봉합사의 출입구로 제공될 수 있다.
관형 몸체(100)는 체내 조직 내로 삽입될 때, 변형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부(200)는 관형 몸체(100)의 개구부(130)에 팁부(140)와 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30)를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완충부(200)는 봉합사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에 드나들 때, 팁부(140)에 걸려 손상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삽입 후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빼낼 때의 마찰을 감소시켜 봉합사 삽입 시술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완충부(200)는 팁부(140)와 높이가 같을 수 있다. 상술한 “높이가 같다”는 의미는 높이가 실질적으로 같아 팁부(140)와 완충부(200) 사이에 단차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으로서, 길이 단위로 약 ±10%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완충부(200)와 팁부(140) 사이에 단차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아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운용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완충부(200)는 봉합사가 마찰되더라도 봉합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Thermoplastic elastomer, TP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부(200)는 관형 몸체(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완충부(200)는 관형 몸체(100)의 후단측을 향하는 면이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상기 후단측을 향하는 면의 하부가 몸체부(110) 방향으로 보다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에 드나들 때, 완충부(200)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의 손상을 억제하고 봉합사 삽입 시술의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팁부(140)는 모서리 및 상면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상면은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완충부(200)는 상면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완충부(200)는 계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전단부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라운드형 팁부(142) 및 계단형 완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서리 및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팁부(140)가 라운드형 팁부(142)로 제공될 수 있다. 모서리 및 상면이 라운딩 처리됨으로써,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체내로 삽입할 때, 체내 조직이나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완충부(200)는 상면이 라운딩 처리되어 라운드형 완충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형 완충부는 상면이 라운드형 팁부(142)와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완충부(200)는 계단 형상을 갖는 계단형 완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계단형 완충부(202)는 계단 형상으로 단계적으로 높이가 증가할 수 있으며, 봉합사가 드나들 때의 마찰을 계단의 각 단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계단 형상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단 및 상기 제1단보다 높이가 높은 제2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를 삽입한 후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체내로부터 빼낼 때,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로부터 빠져나가는 봉합사가 계단형 완충부(202)의 상기 제1단을 거친 후 제2단을 거쳐 빠져나가는 바, 봉합사가 모서리에 걸려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단은 계단형 완충부(202)가 개구부(130)에 삽입된 채로 관형 몸체(100)의 팁부(1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단의 상면과 팁부(140)의 상면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단과 팁부(140) 사이에 단차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단은 상면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라운드형 팁부(142)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전단부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팁부(140)는 제1 리세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세스(144)는 팁부(140)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세스(144)는 관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은 관형 몸체(100)가 연장된 방향일 수 있다. 제1 리세스(144)는 관형 몸체(100)의 말단의 외부면에 팁부(14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팁부(140)의 두께 방향은 팁부(140)의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세스(144)에 봉합사가 수용 및 거치될 수 있다. 봉합사는 일부분이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관형 몸체(100) 및 몸체부(110)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130)를 통해 빠져 나와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부분 중 일부가 제1 리세스(144)에 수용 및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가 체내에 삽입될 때, 봉합사의 일부분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130)를 통해 빠져나와 제1 리세스(144)에 거치되어 관형 몸체(100)의 개구부(130)가 형성된 반대편 외부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세스(144)에 의해 봉합사의 위치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 시술 시, 봉합사를 효과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제1 리세스(144)가 형성된 라운드형 팁부(142) 및 계단형 완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계단형 완충부(202)는 상기 제2단의 상면이 라운딩 처리되어 라운드형 팁부(142)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리세스(144)는 팁부(14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팁부(140)는 제1 리세스(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부(200)는 제2 리세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리세스(220)는 완충부(200)의 상면에 관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세스(220)는 봉합사를 수용하여 관형 몸체(100) 내부의 저면과 완충부(200) 사이의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삽입 후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빼낼 때, 봉합사가 완충부(200)에 걸려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리세스(220)는 관형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방향으로 제1 리세스(144)까지 연결될 수 있다. 봉합사는 제2 리세스(220) 및 제1 리세스(144)에 수용 및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 시, 봉합사를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에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빼낼 때 봉합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제1 리세스(144)가 형성된 라운드형 팁부(142) 및 제2 리세스(220)가 형성된 계단형 완충부(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리세스(144) 및 제2 리세스(2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는 라운드형 팁부(142)가 제1 리세스(144)를 포함하고, 계단형 완충부(202)가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형 몸체(100)는 제1 연장부(112), 제1 굴곡부(113), 제2 연장부(114), 제2 굴곡부(115) 및 제3 연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관형 몸체(100)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갈고리 형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2회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2회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관형 몸체(100)는 제1 연장부(112), 제1 굴곡부(113), 제2 연장부(114), 제2 굴곡부(115) 및 제3 연장부(116)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곡부(113) 및 제2 굴곡부(115)는 서로 다른 방향(예를 들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2)는 전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부(200)가 삽입된 개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12), 제2 연장부(114) 및 제3 연장부(116)는 봉합사를 삽입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장부(112), 제2 연장부(114) 및 제3 연장부(116)는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굴곡부(113)는 제1 연장부(112)와 제2 연장부(114)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굴곡부(115)는 제2 연장부(114)와 제3 연장부(116)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굴곡부(113)는 봉합사를 삽입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굴곡된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굴곡부(115)는 제1 굴곡부(113)에 의해 굴곡진 방향과 다른 방향(예를 들면,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연장부(116)를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116)를 파지함으로써, 시술자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장부(112), 제2 연장부(114) 및 제3 연장부(116)의 길이와 제1 굴곡부(113) 및 제2 굴곡부(115)의 굴곡 정도를 조절하여, 신체 각 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갈고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연장부(112) 및 제1 굴곡부(113)를 콧대 및 콧망울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112) 및 제1 굴곡부(113)가 함께 전체로서 콧대 및 콧망울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콧대에 봉합사를 삽입할 때 작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콧망울의 하부에 천공 자국을 남기지 않고 콧구멍 내부로부터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직선형 캐뉼라를 사용할 경우 보다 삽입 과정에서 삽입 경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의 리프팅 시술 시의 작업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관형 몸체(100)의 개구부(130)가 형성된 말단의 반대 측 말단(예를 들면, 후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관형 몸체(100)는 지지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형 몸체(100)는 지지부(300)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시술자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30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또는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경제적 관점에서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돌기형 봉합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돌기형 봉합사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를 의미한다. 상기 돌기는 체내 삽입 후 체내 조직에 앵커링(anchoring)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를 삽입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앵커링된 봉합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체내 조직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기형 봉합사를 사용할 경우, 상기 돌기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로부터 빠져나갈 때,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의 팁부(140)에 걸리거나, 팁부(140)와 큰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빼내는 과정에서, 앵커링된 돌기형 봉합사가 같이 딸려 나오면서 체내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걸린 부분을 기준으로 돌기형 봉합사가 끊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사용할 경우, 상기 돌기가 팁부(140)에 걸리는 것이나 팁부(140)와 강하게 마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 삽입 후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를 체외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관형 몸체 110: 몸체부
120: 전단부 130: 개구부
140: 팁부
200: 완충부 220: 제2 리세스
300: 지지부

Claims (15)

  1. 전단측 상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상을 갖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몸체의 전단측 팁부는 상기 관형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폐쇄되고, 상기 팁부를 제외한 상기 관형 몸체의 전단부는 상기 관형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팁부에 의해 차단된 도랑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 상기 팁부와 접하도록 삽입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외부면에 봉합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말단의 외부면에 팁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리세스를 포함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높이는 상기 팁부의 높이와 같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모서리 및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계단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계단 형상은 제1단 및 상기 제1단보다 높이가 높은 제2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은 상기 관형 몸체의 상기 팁부와 높이가 같은,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은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세스는 상기 제1 리세스와 하나로 연결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2회 굴곡진 갈고리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제1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사이에 제2 굴곡부가 형성된,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1 굴곡부는 콧대 및 콧망울의 외형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 몸체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관형 몸체가 삽입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를 수용하여 사용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코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KR1020180161547A 2018-12-14 2018-12-14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KR10234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47A KR102347080B1 (ko) 2018-12-14 2018-12-14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47A KR102347080B1 (ko) 2018-12-14 2018-12-14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24A KR20200073424A (ko) 2020-06-24
KR102347080B1 true KR102347080B1 (ko) 2022-01-05

Family

ID=7140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47A KR102347080B1 (ko) 2018-12-14 2018-12-14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0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18B1 (ko) * 2013-12-31 2015-04-09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리프팅 시술 장치
KR101710707B1 (ko) * 2016-07-12 2017-02-27 홍유리 캐뉼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캐뉼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3527A1 (en) 2006-10-27 2008-05-01 Martin David T Flexible endoscopic suture anchor applier
US10286161B2 (en) * 2015-08-20 2019-05-14 Barbara Persons Integrated needle and cannula for plastic surgery
KR102052356B1 (ko) * 2017-04-11 2019-12-05 유원석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18B1 (ko) * 2013-12-31 2015-04-09 엔파인더스 주식회사 리프팅 시술 장치
KR101710707B1 (ko) * 2016-07-12 2017-02-27 홍유리 캐뉼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캐뉼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24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JP2577842B2 (ja) トラッキングガイドワイヤ
US5772638A (en) Protector for needle
US20040040875A1 (en) Cartridge for holding asymmetric surgical clips and method for loading surgical clips into a clip applier
KR20150120751A (ko) 피하 조직 및 혈관 손상 방지를 위한 매선 주입봉
US20120259352A1 (en) Safety suture cut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slots and related methods
KR20150073043A (ko) 의료용 주사침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130357B2 (en) Instrument for delivering a surgical thread
JPH0975362A (ja) 腱鞘切開刀
KR102347080B1 (ko) 봉합사 삽입용 캐뉼라
US11666360B2 (en) Tool(s) for inserting a glaucoma shunt
AU2018338092A1 (en) Paranasal sinus fluid access implantation tools, assemblies, kits and methods
WO2012088129A2 (en) Safety suture cutting device and method
US10478176B2 (en) Tissue ligating device
US7011648B2 (en) Device for implanting catheters
JP6210839B2 (ja) 胃壁固定器具
JP3862167B2 (ja) 頬部脂肪牽引用具
US9901365B1 (en) Set of safety scalpels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US5713868A (en) Catheterization device with dilator
US9339413B2 (en) Drainage device
US9522251B2 (en) Mounting card
US7014650B2 (en) Pin for forming a hole for inserting an indwelling needle
CN115105726B (zh) 一种导丝辅助连接装置及使用方法
KR200484784Y1 (ko) 수술사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