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65B1 -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65B1
KR102346165B1 KR1020210154131A KR20210154131A KR102346165B1 KR 102346165 B1 KR102346165 B1 KR 102346165B1 KR 1020210154131 A KR1020210154131 A KR 1020210154131A KR 20210154131 A KR20210154131 A KR 20210154131A KR 102346165 B1 KR102346165 B1 KR 10234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nasal
tip
swab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165B9 (ko
Inventor
장영준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바이오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5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65B1/ko
Publication of KR10234616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65B9/ko
Priority to PCT/KR2022/017056 priority patent/WO20230856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채취에 임하는 피검자의 비강 비전정 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전정 부위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말단의 외경이 상기 비전정 부위 외측으로 노출되는 선단의 외경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입을 안내하는 전방 개방구; 상기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개방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출을 안내하는 후방 개방구; 및 상기 전방 개방구와 상기 후방 개방구 사이에 이어지되, 상기 전방 개방구로부터 상기 후방 개방구로 향하며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곡률로 휘어져 상기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을 상기 비강 내측 인두편도로 유도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nasal adaptor for specimen collection}
본 발명은 비강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자 비강 내측으로의 검체 채취용 스왑 삽입을 통한 검체 채취시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이 피검자의 비강내 인두편도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체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체 채취용 스왑 오삽입으로 인한 통증 및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이때, 바이러스는 환자의 비말 등을 통해 타인에게 쉽게 전달되므로 추가 감염이 폭넓게 이루어질 수 있어 질환의 유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질환 발생 초기에 환자를 신속하게 선별하여 격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바이러스 질환 환자의 선별을 위하여 검체 채취가 실시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의 비강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1-000645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검체 채취용 스왑(100)을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한 후 이를 각종의 검체 분석장치에 투입하여 분석함으로써 바이러스 질환 감염 여부를 판정하여 바이러스 질환 환자를 선별하고 있다.
이때, 바이러스 질환 감염 여부의 판정을 위한 검체 채취는 의료종사자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검체 채취 과정에서 의료종사자와 피검자의 직접 접촉이 따르는 경우 추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바, 최근 로봇을 이용한 검체 채취도 시도되고 있다.
한편, 검체 채취 과정에서 비강 내측으로 삽입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은 비강 내의 하비갑개(2)를 통해 인두편도(5)에 도달할 때 검체, 즉 비인두도말물의 채취가 원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강 내의 하비갑개(2) 주변으로는 중비갑개(3) 및 상비갑개(4)가 위치하는바, 피검자의 자세 등에 따라서는 비강 내측으로 삽입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이 하비갑개(2)가 아닌 중비갑개(3) 또는 상비갑개(4)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검체 채취가 곤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칫 피검자에게 상당한 통증이 따르면서 비강 내에 상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피검자 비강 내측으로의 검체 채취용 스왑(100) 삽입을 통한 검체 채취시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을 피검자의 비강내 인두편도(5)로 유도함으로써 검체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체 채취용 스왑(100) 오삽입으로 인한 통증 및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1-00064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검자 비강 내측으로의 검체 채취용 스왑 삽입을 통한 검체 채취시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이 피검자의 비강내 인두편도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체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체 채취용 스왑 오삽입으로 인한 통증 및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체 채취에 임하는 피검자의 비강 비전정 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전정 부위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말단의 외경이 상기 비전정 부위 외측으로 노출되는 선단의 외경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입을 안내하는 전방 개방구; 상기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개방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출을 안내하는 후방 개방구; 및 상기 전방 개방구와 상기 후방 개방구 사이에 이어지되, 상기 전방 개방구로부터 상기 후방 개방구로 향하며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곡률로 휘어져 상기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을 상기 비강 내측 인두편도로 유도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를 제안한다.
상기 몸체는 서로 다른 사이즈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비전정 부위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몸체는 어느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외면으로 이어지는 연결편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와 상기 다른 하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및 연결편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개방구의 직경은 6~9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개방구의 직경은 3~5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는, 피검자의 비전정 부위에 삽입되는 몸체에 전방 개방구와 후방 개방구가 형성되고, 전방 개방구와 후방 개방구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는바, 전방 개방구에 의해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입이 안내될 수 있고, 후방 개방구에 의해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출이 안내될 수 있으며, 통로에 의해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이 비강 내측 인두편도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을 통해 검체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검체 채취용 스왑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어 검체 채취용 스왑 오삽입으로 인한 통증 및 상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는, 몸체가 서로 다른 사이즈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비전정 부위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바, 피검자의 체형과 무관하게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체형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는, 몸체가 좌우 대칭 형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연결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어느 한 쪽 몸체를 통한 검체 채취용 스왑 삽입에 의해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피검자 비강 어느 일측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검체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비강 내측으로의 검체 채취용 스왑 삽입을 통한 검체 채취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비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의 몸체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가 피검자의 비강에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에서 통로를 통한 검체 채취용 스왑 유도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A)는, 몸체(10); 전방 개방구(20); 후방 개방구(30); 및 통로(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검체 채취에 임하는 피검자의 비강 비전정(1) 부위에 삽입된다.
따라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몸체(10)를 거쳐 비강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는 비전정(1) 부위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말단(12)의 외경이 비전정(1) 부위 외측으로 노출되는 선단(11)의 외경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비전정(1) 부위에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는 서로 다른 사이즈, 예컨대 대, 중, 소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비전정(1) 부위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바, 피검자의 체형과 관계 없이 그 외면이 비전정(1) 부위 내면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외면으로 이어지는 연결편(50)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편(50)에 의해 몸체(10) 어느 하나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 및 연결편(50)은 합성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자체가 갖는 항균 기능에 의해 검체 채취 과정에서 세균 감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방 개방구(20)는 몸체(10)의 선단(11)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 개방구(20)에 의해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의 유입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전방 개방구(20)는 후방 개방구(30)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개방구(20)는, 후방 개방구(30)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6~9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 개방구(20)의 직경이 6mm 미만인 경우 그 내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삽입이 곤란할 수 있고, 전방 개방구(20)의 직경이 9mm를 초과하는 경우 몸체(10) 선단(11)의 외경이 커짐에 따라 비전정(1) 부위 내측으로 몸체(10) 삽입이 곤란할 수 있는바, 전방 개방구(20)의 직경은 6~9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방 개방구(30)는 몸체(10)의 말단(12)에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개방구(30)에 의해 전방 개방구(20)를 통해 삽입된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의 유출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후방 개방구(30)는 전방 개방구(20)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유출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상하 및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개방구(30)는, 전방 개방구(20)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3~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방 개방구(30)의 직경이 3mm 미만인 경우 그 외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유출이 곤란할 수 있고, 후방 개방구(30)의 직경이 5mm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거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진행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 더욱 구체적으로 비강 내측 인두편도(5) 이외 부위로 향할 수 있는바, 후방 개방구(30)의 직경은 3~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로(40)는 전방 개방구(20)와 상기 후방 개방구(30) 사이에 이어진다.
따라서 통로(40)에 의해 전방 개방구(20)와 후방 개방구(30)의 연통이 이루어져 전방 개방구(20)를 통해 유입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후방 개방구(3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때, 통로(40)는 전방 개방구(20)로부터 후방 개방구(30)로 향하며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곡률로 휘어짐으로써 이를 거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굽어지면서 그 선단(11)이 특정 방향, 더욱 구체적으로 비강 내측 인두편도(5)로 향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의해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이 자연스럽게 비강 내측 인두편도(5)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A)를 이용한 검체 채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체 채취에 앞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10)가 피검자의 비강 비전정(1) 부위에 삽입된다.
이때, 몸체(10)는 말단(12)의 외경이 선단(11)의 외경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비전정(1) 부위에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서로 다른 사이즈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비전정(1) 부위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바, 피검자의 체형과 관계 없이 그 외면이 비전정(1) 부위 내면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검자의 비강 내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삽입된다.
이때, 몸체(10) 선단(11)에는 전방 개방구(20)가 형성되는바, 전방 개방구(20)에 의해 몸체(10) 내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방 개방구(20)는, 후방 개방구(30)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6~9mm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유입이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 선단(11)의 외경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전정(1) 부위 내측으로 몸체(10) 삽입이 원활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 말단(12)에는 후방 개방구(30)가 형성되는바, 후방 개방구(30)에 의해 전방 개방구(20)를 통해 삽입된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방 개방구(30)는 전방 개방구(20)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유출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상하 및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개방구(30)는, 전방 개방구(20)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3~5mm로 형성됨으로써 그 외측으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유출이 원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거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진행이 방지, 즉 비강 내측 인두편도(5) 이외 부위로의 진행이 방지될 수 있어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정확히 비강 내측 인두편도(5)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방 개방구(20)와 후방 개방구(30) 사이에는 통로(40)가 이어지는바, 통로(40)에 의해 전방 개방구(20)와 후방 개방구(30)의 연통이 이루어져 전방 개방구(20)를 통해 유입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통로(40)를 따라 진행하여 후방 개방구(3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강 내측으로 삽입된 검체 채취용 스왑(100)의 진행에 의해 검체가 채취된다.
이때, 전방 개방구(20)와 후방 개방구(30) 사이에 이어지는 통로(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개방구(20)로부터 후방 개방구(30)로 향하며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곡률로 휘어지는바, 통로(40)를 거치는 검체 채취용 스왑(100)이 통로(40)의 곡률에 상응하게 굽어지면서 그 선단(11)이 특정 방향, 더욱 구체적으로 비강 내측 인두편도(5)로 향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의해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이 자연스럽게 비강 내측 인두편도(5)로 유도될 수 있어 검체, 즉 비인두도말물의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의 오삽입, 즉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이 인두편도(5) 이외 다른 부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검체 채취용 스왑(100) 선단의 오삽입으로 인한 통증 및 상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몸체(10)는 좌우 대칭 형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연결편(5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바, 어느 한 쪽 몸체(10)를 통한 검체 채취용 스왑(100) 삽입에 의해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피검자 비강 어느 일측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검체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몸체(10) 및 연결편(5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되, 특히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폴리프로필렌 자체가 갖는 항균 기능에 의해 검체 채취 과정에서 세균 감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비전정 2 : 하비갑개
3 : 중비갑개 4 : 상비갑개
5 : 인두편도 10 : 몸체
11 : 선단 12 : 말단
20 : 전방 개방구 30 : 후방 개방구
40 : 통로 50 : 연결편
100 : 검체 채취용 스왑 A : 비강 어댑터

Claims (5)

  1. 검체 채취에 임하는 피검자의 비강 비전정 부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전정 부위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말단의 외경이 상기 비전정 부위 외측으로 노출되는 선단의 외경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입을 안내하는 전방 개방구;
    상기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개방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의 유출을 안내하는 후방 개방구; 및
    상기 전방 개방구와 상기 후방 개방구 사이에 이어지되, 상기 전방 개방구로부터 상기 후방 개방구로 향하며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곡률로 휘어져 상기 검체 채취용 스왑 선단을 상기 비강 내측 인두편도로 유도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서로 다른 사이즈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비전정 부위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몸체는 어느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외면으로 이어지는 연결편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와 상기 다른 하나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연결편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KR1020210154131A 2021-11-10 2021-11-10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KR10234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31A KR102346165B1 (ko) 2021-11-10 2021-11-10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PCT/KR2022/017056 WO2023085681A1 (ko) 2021-11-10 2022-11-02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31A KR102346165B1 (ko) 2021-11-10 2021-11-10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65B1 true KR102346165B1 (ko) 2022-01-03
KR102346165B9 KR102346165B9 (ko) 2022-05-23

Family

ID=7934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131A KR102346165B1 (ko) 2021-11-10 2021-11-10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6165B1 (ko)
WO (1) WO20230856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81A1 (ko) * 2021-11-10 2023-05-19 ㈜바이오트코리아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986Y1 (ko) * 1997-12-30 2000-06-01 김충길 코구멍 확대기
KR20100104766A (ko) * 2009-03-19 2010-09-29 박봉렬 코골이 방지구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US20120325223A1 (en) * 2010-03-05 2012-12-27 Seven Dreamers Laboratories, Inc. Nasal cavity insertion device fixture and nasal cavity insertion device set including the same
JP2019195632A (ja) * 2018-05-10 2019-11-14 瑞哲 許 隠し経鼻胃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6440B2 (es) * 2011-11-28 2012-11-12 David Orts Paya Dispositivo para aliviar los síntomas de alergias nasales.
KR102080433B1 (ko) * 2019-02-15 2020-02-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강 자동 폐쇄 보철기 및 제조방법
KR102346165B1 (ko) * 2021-11-10 2022-01-03 (주)바이오트코리아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986Y1 (ko) * 1997-12-30 2000-06-01 김충길 코구멍 확대기
KR20100104766A (ko) * 2009-03-19 2010-09-29 박봉렬 코골이 방지구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US20120325223A1 (en) * 2010-03-05 2012-12-27 Seven Dreamers Laboratories, Inc. Nasal cavity insertion device fixture and nasal cavity insertion device set including the same
JP2019195632A (ja) * 2018-05-10 2019-11-14 瑞哲 許 隠し経鼻胃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81A1 (ko) * 2021-11-10 2023-05-19 ㈜바이오트코리아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681A1 (ko) 2023-05-19
KR102346165B9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887A (en) Medical instruments for introduction into the respiratory tract of a patient
US119443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KR102346165B1 (ko)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US200602491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asal aspiration
PT2367511E (pt) Ponta de infusão/aspiração com extremidade plástica distal
CN205460382U (zh) 鼻窦球囊导管系统
EP2842516B1 (en) Cannulae for evacuating saliva and/or blood flow
GB2382779A (en) An eye speculum
WO20191088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KR20150105361A (ko) 시료 수집을 위한 스웹 조립체
CN105708406A (zh) 可视输尿管软镜鞘
KR101776820B1 (ko)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질내 시료 셀프 채취기
CN201230873Y (zh) 一次性膀胱检查镜鞘
KR101996814B1 (ko) 세정기능을 구비한 피그테일 카테터
CN209136794U (zh) 扩张一体化穿刺造瘘器
CN203619773U (zh) 一种咽鼓管吹张注射器
CN201205295Y (zh) 上颌窦置管器
CN205697678U (zh) 可视输尿管软镜鞘
CN213554181U (zh) 耳吸引管
CN215308776U (zh) 单针型泪道引流装置
RU2819823C1 (ru) Способ зондирования при промывании верхнечелюстной пазухи через естественное соустье по Луневу
CN208582382U (zh) 内窥镜镜身结构
CN216777049U (zh) 一种纤维支气管镜保护套
US20220142618A1 (en) Device for Positioning an Absorptive Matrix Element within a Body Cavity and Kit for Collecting Biological Secretions
CN209059140U (zh) 可固定的鼓膜穿刺耳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