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86Y1 - 코구멍 확대기 - Google Patents

코구멍 확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86Y1
KR200170986Y1 KR2019970042903U KR19970042903U KR200170986Y1 KR 200170986 Y1 KR200170986 Y1 KR 200170986Y1 KR 2019970042903 U KR2019970042903 U KR 2019970042903U KR 19970042903 U KR19970042903 U KR 19970042903U KR 200170986 Y1 KR200170986 Y1 KR 200170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nose hole
ring
enlargement
enl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229U (ko
Inventor
김충길
Original Assignee
김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길 filed Critical 김충길
Priority to KR2019970042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8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로 호흡할 때 더 많은 공기를 호흡하기 위한 코구멍 확대기에 관한 것으로, 코구멍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그 크기는 확대코구멍 크기를 갖도록하여 확대링을 형성하고, 상기 확대링 2개를 연결대로 연결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와 확대링에 슬롯홈을 가공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 그리고 확대링을 단면원호형으로 가공하고 이 단면원호형 확대링을 탄성 연결대로 연결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에 관한것임.

Description

코구멍 확대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개기에 있어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2실시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3실시예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4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4실시예의 측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4실시예의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5실시예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5실시예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6실시예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 제6실시예의 측면도,
제13도는 제5및 제6실시예의 코구멍확대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41, 51 : 확대링 12, 32, 42, 52 : 연결대
본 고안은 코로 호흡할 때 더 많은 공기를 호흡하기 위한 코구멍 확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주로 코를 통하여 호흡을 하므로서 체내에 산소를 공급하고 체내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코를 통하여 호흡을 할 때에 대기중의 세균이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코구멍의 공기 유입통로가 굴곡되어 있으며 또한 코구멍에는 콧수염이 자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운동을 할 때에나 등산을 할 때 또는 산소가 희박한 고지대를 통행할때에는 평상시보다 더 많은 산소의 공급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 코구멍만을 통하여 호흡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코와 입을 동시에 사용하여 호흡을 하거나 또는 입을 주로 사용하여 호흡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에 입에는 공기를 걸러내거나 정화시키는 기능이 전연 없기 때문에 입을 통하여 호흡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들어마시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입을 통하여 인체에 매우 유해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오랜동안 입을 통하여 호흡을 하는 경우에는 입안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여 버리므로 입안과 목이 마르게 되어 인체에 매우 해로울뿐 아니라 장시간의 운동을 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코구멍이 매우 작은 사람은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기 때문에 주로 입을 벌려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되므로 코를 골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의 코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코구멍 확대량을 형성하고, 이 코구멍확대링을 사람의 코구멍에 삽입하여 코구멍을 확대하여 주므로서 코구멍으로 호흡되는 호흡량을 증대되도록 하여 많은 공기량의 흡입을 필요로 할 때에도 입을 사용하디 아니하고 코구멍으로만 호흡을 하여도 호흡량이 충분하도록 하므로서 매우 위생적이며, 건강에 유익한 코구멍 확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통상의 코구멍확대링의 외주면에 길게 찢어지는 형상으로 슬롯홈을 가공하여, 이렇게 슬롯홈이 가공된 코구멍확대링을 코구멍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슬롯홈을 통하여 콧털이 삐져 나오도록 하여 콧수염이 정상적인 기능을 다할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코구멍 확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를,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를,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는 코구멍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제1도에서는 원통 형상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음)으로 하며, 그 크기는 코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쉽게 빠져 나오지 아니하며, 또한 코구멍에 삽입하였을 때에 일상 생활에 있어 평상시의 호흡상태의 코구멍의 크기(이하 이 크기를 정상 코구멍크기라 함)보다 코구멍을 더 크게 확대할 수 있는 크기(이하 이 크기를 확대 코구멍크기라함)을 갖도록 하여 확대링(11)을 형성하고, 이와같이 형성된 2개의 확대링(11,11)을 연결대(12)로 연결하여 되는 것이며, 이때에 확대링(11)을 연결대(12)에 의해 연결하지 않는 각각의 확대링(11)만으로 각각의 코구멍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2개의 코구멍을 동시에 확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상적인 사용방법이 되는 것이므로, 연결대(12)로 연결하므로서 2개의 확대링(11,11)의 분실을 방지하며,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코구멍확대기를 형성할때에는 인체에 무해하며,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게 하는 재질로서, 가요성과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료가 바람직한 것으로, 확대링과 연결대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할때에는 이들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만일 재질을 달리하여 연결대로서 스프링을 사용할때에는 이 스프링 연결대를 합성수지재의 확대링에 매설한 상태로 성형을 하여도 될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코구멍확대기를 사용하여 호흡량을 증대시키고자 할 때에는, 2개의 확대링(11,11)을 2개의 정상 코구멍 크기를 갖는 코구멍에 삽입하면, 정상 코구멍 크기의 코구멍이 확대 코구멍 크기로 크게 벌어지면서 공기의 흡입구멍이 확대되게 되며, 이와같이 코구멍의 흡입구멍이 확대되므로서 코로 들여마시는 공기의 흡입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고지대에 사는 사람 또는 고산지에 오르는 등산객들이 사용할때에 입을 벌리지 아니하고도 확대코구멍 크기를 통하여 증대된 호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이고 건강에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수면중 코를 곯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4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대링(13)의 몸체에 가늘고 긴 슬롯홈(14)을 다수개 가공하여, 이 슬롯홈(14)사이로 코구멍안에 있는 코털이 삐져나오도록 하므로서 콧털의 기능을 상실하지 아니하며 제 기능을 다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5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코구멍 확대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확대링(15) 몸체에 슬롯홈(16)을 가공하되, 확대링 몸체의 끝단에까지 슬롯홈(16)을 가공하므로서, 콧털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또한 확대링 몸체의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과 팽창변화가 가능하게 하여, 확대링(15)을 코구멍에 삽입하고 빼내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6도에서 제8도까지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서는, 확대링(31)은 단면 원형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확대링은 가요성과 탄성복원력이 있는 연질재료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원의 일부분인 단면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 원호형 확대링(31)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연결대(32)로 연결 형성하는 것이며, 이와같이 형성되는 코구멍확대기를 사용할때에는, 2개의 확대링(31,31)을 약간 오므려 2개의 코구멍안에 삽입하면 확대링(31)은 자기자신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약간 벌어지게 되며, 동시에 탄성연결대(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확대링(31)이 코구멍의 한쪽 내벽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코구멍을 확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제9도 및 제10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코구멍 확대기에 있어서는, 확대링(41)은 가요성과 탄성복원력이 있는 연질재료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평평한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한 개의 코구멍에 2개의 확대링(41,41)이 들어가도록 하여 4개의 확대링(41,41,41,41)을 형성하고, 이들 확대링(41,41,41,41)을 연결대(41)로 함께 연결 형성한다.
제11도 및 제12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코구멍확대기에 있어서는 확대링(51)은 상기 제9도의 확대링(41)과 동일한 재료와 형상으로 형성하며, 연결대(52)의 형상을 산(山)모양으로 형성하여 이 연결대(52)로 상기 4대의 확대링(52,52,52,52)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제5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확대링(41,51)과 연결대(42,52)는 전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만일 제조와 사용의 편의상 연결대를 뮤직와이어스프링(music wire spring)과 같은 스프링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내측연결대와 외측연결대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이들 내외측 연결대를 밴드와 같은 것으로 묶을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5도 및 제6실시예의 코구멍확대기를 사용할때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확대링(41,51)을 오므려 정상코구멍 크기의 코구멍(N)안으로 끼워 넣으면 확대링(41,51)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코구멍(N)은 확대코구멍 크기로 크게 벌어지게 되여 코구멍으로 호흡되는 공기의 흡입력을 증대하므로서, 운동시 또는 고산지대를 통행할때에 입을 벌리지 아니하고 코구멍만으로 호흡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생적이며 건강에 유익한 호흡을 할 수 있

Claims (4)

  1. 코구멍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그 크기는 확대코구멍 크기를 갖도록 하여 확대링을 형성하고, 상기 확대링 2개를 연결대로 연결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링에 슬롯홈을 형성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링을 단면원호형으로 형성하고, 이 단면원호형 확대링을 탄성 연결대로 연결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링은 평면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코구멍확대기.
KR2019970042903U 1997-12-30 1997-12-30 코구멍 확대기 KR200170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903U KR200170986Y1 (ko) 1997-12-30 1997-12-30 코구멍 확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903U KR200170986Y1 (ko) 1997-12-30 1997-12-30 코구멍 확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229U KR19990030229U (ko) 1999-07-26
KR200170986Y1 true KR200170986Y1 (ko) 2000-06-01

Family

ID=1951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903U KR200170986Y1 (ko) 1997-12-30 1997-12-30 코구멍 확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85B1 (ko) * 2011-08-25 2013-06-13 양희찬 개선된 코막힘 방지 장치
KR101494718B1 (ko) 2012-11-28 2015-02-25 정관영 비강 호흡 보조 기구
KR102346165B1 (ko) * 2021-11-10 2022-01-03 (주)바이오트코리아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85B1 (ko) * 2011-08-25 2013-06-13 양희찬 개선된 코막힘 방지 장치
KR101494718B1 (ko) 2012-11-28 2015-02-25 정관영 비강 호흡 보조 기구
KR102346165B1 (ko) * 2021-11-10 2022-01-03 (주)바이오트코리아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WO2023085681A1 (ko) * 2021-11-10 2023-05-19 ㈜바이오트코리아 검체 채취용 비강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22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409A (en) Nasal dilator
US10716700B2 (en) Nasal insert and cannula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US3039469A (en) Direct suction tracheotomy tube
US5568808A (en) Nose filters
US20100331777A1 (en) Nose device
US20090025724A1 (en) System for removal of water from a hose and the hygroscopic hose utilized
US20060219246A1 (en) Respiratory mask
JPS58500551A (ja) 鼻マスクのエア供給装置
KR102222246B1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CN110507883B (zh) 鼻腔插入器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102010191B1 (ko)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구
WO1987005798A1 (en) Device to promote nasal breathing and to prevent snoring
KR200170986Y1 (ko) 코구멍 확대기
KR101614441B1 (ko) 비강 확장기
US5207221A (en) Aerated respiratory mouthpiece (oral gum separator)
KR101389739B1 (ko) 다용도 코걸이
CN113133858B (zh) 用于改善呼吸的装置及其用途
KR20190051369A (ko) 후두 전적출 환자용 기능성 인공 코 대체기구
KR200390031Y1 (ko) 코골이 방지구
TWI577403B (zh) 口呼吸器
KR102600486B1 (ko) 비강 확장 기구
KR102380977B1 (ko) 비강용 마스크 장치
KR20010011181A (ko) 단전호흡용 호흡조절기
JPH0748266Y2 (ja) 酸素供給カニュ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