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35B1 -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35B1
KR102346035B1 KR1020200010990A KR20200010990A KR102346035B1 KR 102346035 B1 KR102346035 B1 KR 102346035B1 KR 1020200010990 A KR1020200010990 A KR 1020200010990A KR 20200010990 A KR20200010990 A KR 20200010990A KR 102346035 B1 KR102346035 B1 KR 10234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lar
pump
pesticide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860A (ko
KR102346035B9 (ko
Inventor
임철현
김근호
이온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주)에스엠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주)에스엠소프트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35B1/ko
Publication of KR10234603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3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01M1/245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for pesticide application or distribution, e.g. using a network of pi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도밭과 같은 과수원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비가림을 수행하여 과수의 낙과 및 병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작물에 농업 용수 공급, 농약 살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해충이 발생한 정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농약 살포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Smart farm system for vineyard can block rain and generate solar power}
본 발명은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도밭과 같은 과수원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비가림을 수행하여 과수의 낙과 및 병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작물에 농업 용수 공급, 농약 살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해충이 발생한 정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농약 살포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유 등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전기를 대규모로 생산하는 태양광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연료비가 들지 않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생태계는 물론 다양한 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기후에 민감한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특히, 포도의 경우 빗물이 과실에 닿을 경우 병해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당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 경우 빗물이 과실에 닿지 않도록 비가림 시설을 설치하여 피해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포도밭에 비가림 시설과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빗물이 과실로 낙하하지 않게 하는 한편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시스템의 요구가 있다.
또한, 포도는 노린재나 총채벌레를 포함한 40종 내외의 해충의 창궐하는 데, 해충의 박멸을 위해 다량의 농약을 살포할 경우, 잔류 농약이 신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절한 농약 살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밭에 설치되어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농업용수와 농약을 자동살포하고 살포 전후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전자 영농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충의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양의 농약을 자동살포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수밭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과 하우스용 비닐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의 평면상에서 번갈아 설치하여 비가림 및 태양광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태양광 구조물; 지면이나 상기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물로 농업용수 또는 농약을 분사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로 물이나 농약을 공급하는 펌프; 작물 주변의 풍향, 일사량을 측정하고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장치; 상기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되고 전기로 해충을 방재하는 방재 장치; 및 상기 펌프,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방재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방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상상황에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을 회동시켜 과수를 보호하거나 패널을 보호하며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는 패널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구조물:은,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세워지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되, 기둥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기둥들과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일렬로 세워지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되, 기둥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용 비닐은 아치형으로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바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바 상에 연결되되, 서로 대향하는 제1 기둥과 제2 기둥의 상단을 각각 덮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하우스용 비닐들 각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 하단은 상기 제1 연결바에 연결되고, 타측 하단은 상기 제2 연결바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 및 타측 하단은 상기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들의 일측 상단들은 회동용 바에 함께 연결되며, 상기 회동용 바를 잡아당기거나 밀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들은 동시에 회동하여 각도가 변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스케쥴링 제어 모드 또는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로 상기 패널 구동 모터, 상기 펌프 및 상기 센서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스케쥴링 제어 모드일 경우,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청 예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강우가 예정되어 있지 않고, 풍속이 5m/s를 이하일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이 상기 분사노즐을 바라보게 하여 세척을 실시한 후, 농업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일 경우, 제어 이벤트에 따라 농업용수 공급, 농약 살포 또는 패널 세척을 수행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영농 제어 모드 또는 패널 제어 모드로 상기 패널 구동 모터, 상기 펌프 및 상기 센서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농 제어 모드일 경우, 상기 영농 제어 모드의 농업 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를 수행하되, 농업 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 전후의 작물 이미지를 촬영하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서버에 업로드하고, 전자 영농일지를 작성하며, 상기 패널 제어 모드일 경우, 현재 운용 모드를 확인하고 현재 모드와 새롭게 발생한 이벤트의 신규 모드 간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발생을 알리고 리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현재 모드를 신규 모드로 변경한 후, 전자 영농일지를 작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재 장치:는, 금속망에 전기를 흘려 해충이 접촉에 의해 방재되는 해충 방재기; 상기 해충 방재기에서 소비하는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소비 전력 측정기; 및 상기 소비 전력 측정기에서 측정된 소비 전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방재 설정 시간에 상기 해충 방재기를 동작시키고 측정된 소비전력이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농약을 살포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스마트 팜 시스템에 의하면 과수로 낙하하는 비를 막아 낙과나 병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팜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농업용수와 농약을 자동살포하고 살포 전후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전자 영농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팜 시스템에 의하면, 해충의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양의 농약을 자동살포할 수 있으므로 농약의 과도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의 태양광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의 제어기가 스케줄링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의 제어기가 영농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의 제어기가 농약 살포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100)은 과수원, 특히, 포도밭에 설치되어 우천시 비가림을 수행하는 한편,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으며, 생육 및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관수나 농약 살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팜 시스템(100)은 태양광 구조물(110), 패널 구동 모터(120), 분사 노즐(130), 펌프(140), 센서 장치(150), 제어기(160) 및 방재 장치(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160)는 통신망을 통해 기상청 서버(17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기상청 서버(170)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웹사이트 등를 통해 상기 기상청 서버(170)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구조물(110)에 포함되는 태양광 패널(도 2의 도면부호 '113' 참조)이 고정형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패널 구동 모터(12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상기 태양광 구조물(1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태양광 구조물(100)은 과수의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구조물로써, 지면에서 소정 높이 떨어진 평면상에 하우스용 비닐(10)과 태양광 패널(113)을 번갈아 설치한 구조이며, 상기 하우스용 비닐(10)의 하부에는 과수가 심어져 생장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구조물(100)은 1축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세워지는 제1 기둥들(111), 상기 제1 기둥들(111)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연결바(112), 상기 1축과 나란하게 이격된 2축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세워지는 제2 기둥들(111a), 상기 제2 기둥들(111a)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연결바(112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바(112)는 상기 제1 기둥들(111)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지점에 서로 '십(十)'자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바(112a) 역시 상기 제2 기둥들(111a)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지점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하우스용 비닐(10)은 아치형으로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바(11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연결바(112a)에 연결되되, 서로 대향하는 제1 기둥(111)과 제2 기둥(111a)의 상단을 각각 덮으며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스용 비닐(1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기둥과 제2 기둥을 각각 덮으며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113)은 상기 하우스용 비닐들(10,10a, 10b) 각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 하단은 상기 제1 연결바(112)에 연결되고, 타측 하단은 상기 제2 연결바(112a)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113)과 상기 연결바들(112,112a)의 체결은 공지된 클램프 부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113)은 태양의 고도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들(112,112a)에 회동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일측 상단은 회동용 바(114)를 통해 함께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회동용 바(114)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킬 때,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이 동시에 회동하며 태양을 바라보게 되어 발전 효율이 극대화된다.
즉, 상기 태양광 구조물(110)은 하우스용 비닐들(10,10a, 10b) 통해 하부에 식재된 과수로 빗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을 통해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은 과수로 조사되는 태양의 일사량을 조절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모터(1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기(160)에 의해 제어되며, 기상상황에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120)을 회동시켜 농작물로 조사되는 일사량을 조절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거나 맑은 날 태양을 바라보도록 추적제어하여 태양광 발전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패널 구동 모터(120)는 상기 회동용 바(114)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용 바(114)를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을 회동시킨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이 고정형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패널 구동 모터(120)는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분사 노즐(130)는 지면이나 상기 태양광 구조물(110)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과수에 농업용수나 농약을 분사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130)은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을 세척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상기 펌프(140)는 상기 분사 노즐(130)로 물이나 농약을 공급한다.
상기 센서 장치(150)는 기상상황을 검출하거나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장치이며, 풍속을 검출하는 풍속계(151),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량 센서(153) 및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재 장치(180)는 상기 태양광 구조물(110)이나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전기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재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방재 장치(180)는 금속망에 전기를 흘려 해충이 접촉할 경우 사멸되는 해충 방재기(181), 상기 해충 방재기(181)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소비 전력 측정기(182) 및 상기 소비 전력 측정기(182)에서 측정된 소비전력을 소비 전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아래의 제어기(16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장치(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패널 구동 모터(120), 상기 펌프(140), 상기 센서 장치(150) 및 상기 방재 장치(180)와 연결되며, 상기 패널 구동 모터(120), 상기 펌프(140), 상기 센서 장치(150) 및 상기 방재 장치(18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160)는 통신망을 통해 기상청 서버(170)와 직접 연결되거나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기상청 서버(170)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어기(160)가 스케줄링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60)는 농업용수나 농약을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분사하는 스케줄링 제어 모드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수동으로 분사하는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를 제공한다.
먼저, 제어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S1000), 발생한 이벤트가 스케줄링에 의한 이벤트인지 확인하고(S2000), 스케줄링에 의한 이벤트가 아닐 경우,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로 동작하고(S2100), 대기상태로 리턴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나 별도의 단말을 통해 입력한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모드로써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농업 용수 공급, 농약 살포 및 패널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이다.
만약, 발생한 이벤트가 스케줄링에 의한 이벤트일 경우, 기상청 예보를 분석하여(S3000), 1일 내에 강우가 예정일 경우(S4000), 이벤트를 취소하고 대기상태로 리턴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현재 풍속이 5m/s인지 판단한다(S5000).
한편, 강우 예정을 판단할 때 외기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온도가 30℃ 이상에서는 1일 29℃ 이하에서는 2일 내지 3일 내에 강우가 예정인지 판단한다.
이 강우 예정의 판단은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세척기준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다음, 풍속이 5m/s를 초과할 경우 이벤트를 취소하고 대기 상태로 리턴한다.
이는 풍속이 강할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각도는 0°즉, 수평상태로 되어야 하는데 세척을 위해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풍속이 5m/s 이하일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각도를 상기 분사 노즐(130)을 향하도록 조절하고(S5100), 상기 펌프(140)를 동작시켜 세척 장치가 가동되게 한다(S5200).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세척은 3분 동안 수행되며(S5300), 세척이 완료되는 세척 장치의 가동을 중지하고(S5400),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각도를 원상 복귀 시킨다(S5000).
다음, 스케줄에 따라 농업용수 및 농약을 살포하고(S6000), 대기상태로 리턴한다.
도 4는 상기 제어기(160)가 영농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60)는 영농 제어 모드 또는 패널 제어 모드를 제공하는데 이 영농 제어 모드는 작물로 농업 용수를 공급하거나 농약을 살포하는 자동제어 모드이고, 패널 제어 모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패널의 각도를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제어 모드이다.
먼저, 영농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S100), 영농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영농 제어 상태를 활성화하며(S110), 상기 카메라(152)를 통해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한다(S400).
또한, 상기 서버는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용 컴퓨터일 수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음, 영농 제어 상태가 활성화되어있으면(S500), 발생한 영농제어 이벤트에 따라 농업 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를 수행한다(S600).
또한, 농업 용수 공급이나 농약 살포 후,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S700), 전자 기록 문서인 전자 영농일지를 작성하여(S800)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하고 대기 상태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 영농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패널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S200), 상기 패널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이미지 전송 주기에 따라(S300),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00)로 이동한다.
만약, 상기 패널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현재 운용 모드를 확인한다(S210).
또한, 상기 운용모드란 기상 상황에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들(113,113a,113b)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드이며, 폭우 상황에서 태양광 패널의 각도가 수직이 되는 농작물 보호 모드(이는 태양광 패널의 양측 모서리에서 지속적으로 빗물이 낙하할 경우 농작물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 폭우/우박/폭설의 상황에서 태양광 패널의 각도가 수직이 되는 제1 패널 보호 모드, 강풍의 상황에서 태양광 패널 각도가 수평이 되는 제2 패널 보호 모드, 일반적인 맑은 날씨에서 패널이 태양을 바라보도록 태양광 패널의 각도가 제어되는 태양광 발전 모드, 일반적인 맑은 날씨에서 작물별 광포화점에 따른 채광량이 작물에 공급되도록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제어하여 작물에 그늘이 지는 것을 조절하는 농작물 생육 모드가 제공된다.
만약, 새롭게 발생한 이벤트의 모드인 신규 모드가 현재 운용 모드인 기존 모드와 충돌이 발생할 경우(S220), 오류발생을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등 단말로 알리거나 별도로 설치된 알람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알린 후(S230), 대기 상태로 리턴한다.
또한, 모드들간에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폭우 상황에서 기존 모드가 제1 패널 보호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패널이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모드들간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기존 모드를 신규 모드로 변경하고(S240), 모드의 변경을,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나 상기 알람장치로 알린 후, 상기 전자 영농일지를 작성하여(S800)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하고 대기 상태로 리턴한다.
도 5는 상기 제어기(160)가 농약 살포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농약 살포 제어는 상기 스케줄링 제어 모드나 상기 영농 제어 모드와는 별도로 수행되는 제어 모드이며, 이 모드는 해충의 발생정도에 따라 동작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60)는 미리 설정된 방재 시간인 방재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고(S10), 현재 시간이 방재 설정 시간일 경우 상기 해충 방재기(181)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충의 방재를 실시한다(S20).
또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기상청 서버(170)와 시간이 동기화되어 정해진 시간에 방재를 실시한다(S11).
다음, 상기 해충 방재기(18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S30).
또한, 상기 해충 방재기(181)는 해충이 접촉하여 사멸될 때, 소비하는 전력이 커지므로 상기 해충 방재기(181)에서 소비하는 소비 전력으로부터 해충이 발생한 양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해충 방재기(181)가 소비한 소비 전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일 경우(S40), 자동 제어 상태인지 확인하고(S50), 만약 자동 제어 상태가 아닐 경우 사용자에게 해충 발생 정보를 전송한다(S60).
다음, 사용자로부터 농약 살포 명령의 수신이 있는지 확인하고(S70), 있을 경우 상기 펌프(140)를 가동하여(S80), 상기 분사 노즐(130)을 통해 농약을 살포하고 리턴한다(S90).
여기서 사용자의 농약 살포 명령 수신은 별도의 조작패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자동 제어 상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농약 살포 명령을 수신하지 않고 해충 발생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농약 살포 명령에 따라 상기 펌프(140)를 가동하여 농약을 살포하고 리턴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 시스템(100)은 해충의 발생 정도에 따라 농약을 적절하게 살포할 수 있으므로 농약의 과도한 사용없이 과수를 생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스마트 팜 시스템 110:태양광 구조물
111:제1 기둥 111a:제2 기둥
112:제1 연결바 112a:제2 연결바
113,113a.113b:태양광 패널 114:회동용 바
120:패널 구동 모터 130:분사 노즐
140:펌프 150:센서 장치
151:풍속계 152:카메라
153:일사량 센서 160:제어기
170:기상청 서버 180:방재 장치
181:해충 방재기 182:소비 전력 측정기
183:데이터 전송 장치

Claims (8)

  1. 과수밭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과 하우스용 비닐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의 평면상에서 번갈아 설치하여 비가림 및 태양광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태양광 구조물;
    지면이나 상기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물로 농업용수 또는 농약을 분사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로 물이나 농약을 공급하는 펌프;
    작물 주변의 풍향, 일사량을 측정하고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장치;
    상기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되고 전기로 해충을 방재하는 방재 장치; 및
    상기 펌프,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방재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방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구조물:은,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세워지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되, 기둥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기둥들과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일렬로 세워지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되, 기둥의 상단에서 소정 길이 아래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용 비닐은 아치형으로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바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바 상에 연결되되, 서로 대향하는 제1 기둥과 제2 기둥의 상단을 각각 덮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하우스용 비닐들 각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 하단은 상기 제1 연결바에 연결되고, 타측 하단은 상기 제2 연결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상상황에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을 회동시켜 과수를 보호하거나 패널을 보호하며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는 패널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 및 타측 하단은 상기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들의 일측 상단들은 회동용 바에 함께 연결되며,
    상기 회동용 바를 잡아당기거나 밀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들은 동시에 회동하여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스케쥴링 제어 모드 또는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로 상기 패널 구동 모터, 상기 펌프 및 상기 센서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스케쥴링 제어 모드일 경우,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청 예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강우가 예정되어 있지 않고, 풍속이 5m/s를 이하일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이 상기 분사노즐을 바라보게 하여 세척을 실시한 후, 농업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수동 제어모드일 경우, 제어 이벤트에 따라 농업용수 공급, 농약 살포 또는 패널 세척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영농 제어 모드 또는 패널 제어 모드로 상기 패널 구동 모터, 상기 펌프 및 상기 센서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농 제어 모드일 경우, 상기 영농 제어 모드의 농업 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를 수행하되, 농업 용수 공급 또는 농약 살포 전후의 작물 이미지를 촬영하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서버에 업로드하고, 전자 영농일지를 작성하며,
    상기 패널 제어 모드일 경우, 현재 운용 모드를 확인하고 현재 모드와 새롭게 발생한 이벤트의 신규 모드 간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발생을 알리고 리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현재 모드를 신규 모드로 변경한 후, 전자 영농일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7. 삭제
  8. 과수밭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과 하우스용 비닐을 지면에서 소정 높이의 평면상에서 번갈아 설치하여 비가림 및 태양광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태양광 구조물;
    지면이나 상기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되어 작물로 농업용수 또는 농약을 분사하거나 상기 태양광 패널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로 물이나 농약을 공급하는 펌프;
    작물 주변의 풍향, 일사량을 측정하고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장치;
    상기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되고 전기로 해충을 방재하는 방재 장치; 및
    상기 펌프,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방재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 상기 센서 장치 및 상기 방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재 장치:는,
    금속망에 전기를 흘려 해충이 접촉에 의해 방재되는 해충 방재기;
    상기 해충 방재기에서 소비하는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소비 전력 측정기; 및
    상기 소비 전력 측정기에서 측정된 소비 전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방재 설정 시간에 상기 해충 방재기를 동작시키고 측정된 소비전력이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농약을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KR1020200010990A 2020-01-30 2020-01-30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KR10234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990A KR102346035B1 (ko) 2020-01-30 2020-01-30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990A KR102346035B1 (ko) 2020-01-30 2020-01-30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860A KR20210097860A (ko) 2021-08-10
KR102346035B1 true KR102346035B1 (ko) 2022-01-04
KR102346035B9 KR102346035B9 (ko) 2023-05-11

Family

ID=7731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990A KR102346035B1 (ko) 2020-01-30 2020-01-30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1061A1 (it) * 2022-01-24 2023-07-24 Ecobubble S R L Startup Costituita Ai Sensi Dellart 4 Comma 10 Bis D L 3/2015 Conv Con Legge 33/2015 Sistema agrivoltaico
EP4245135A1 (de) * 2022-03-16 2023-09-20 Bayer AG Durchführen und dokumentieren einer applikation von pflanzenschutzmittel
WO2024047577A1 (en) * 2022-08-31 2024-03-07 Rem Tec S.R.L. Plant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al energy located on agricultural land with monitoring of crops on that land
IL296104A (en) * 2022-08-31 2024-03-01 GOLDBLAT Dan Shading system for the viney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980B2 (ja) * 1996-09-24 2001-04-25 株式会社保健科学研究所 ヒトII型自己免疫性肝炎(AutoImmunoHepatitisTypeII;AIHTypeII)に出現する肝腎マイクロゾーム(Liver/kidneymicrosome;LKM)1抗体、その対応抗原チトクロームP450IId6上においての、ヒトC型肝炎ウイルス(HCV)感染の有無による、LKM1抗体が認識する抗原決定基部位の違い検出のための特定アミノ酸配列からなるタンパク質及び特定核酸配列からなる核酸
KR200293805Y1 (ko) * 2002-08-08 2002-11-01 손경수 비닐하우스 실온 하강장치
JP2012023983A (ja) * 2010-07-20 2012-02-09 Sankin B & G Kk 農業用温室
KR101403569B1 (ko) * 2012-12-07 2014-06-03 주식회사 위니스 에너지 자립형 자동화 과수용 비가림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86B1 (ko) * 2009-03-19 2012-11-02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3161980U (ja) * 2010-03-30 2010-08-19 株式会社 シンカコーポレーション 植物栽培用ハウス
KR101194928B1 (ko) * 2011-02-22 2012-10-25 이남용 해충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980B2 (ja) * 1996-09-24 2001-04-25 株式会社保健科学研究所 ヒトII型自己免疫性肝炎(AutoImmunoHepatitisTypeII;AIHTypeII)に出現する肝腎マイクロゾーム(Liver/kidneymicrosome;LKM)1抗体、その対応抗原チトクロームP450IId6上においての、ヒトC型肝炎ウイルス(HCV)感染の有無による、LKM1抗体が認識する抗原決定基部位の違い検出のための特定アミノ酸配列からなるタンパク質及び特定核酸配列からなる核酸
KR200293805Y1 (ko) * 2002-08-08 2002-11-01 손경수 비닐하우스 실온 하강장치
JP2012023983A (ja) * 2010-07-20 2012-02-09 Sankin B & G Kk 農業用温室
KR101403569B1 (ko) * 2012-12-07 2014-06-03 주식회사 위니스 에너지 자립형 자동화 과수용 비가림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860A (ko) 2021-08-10
KR102346035B9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035B1 (ko) 비가림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포도밭용 스마트 팜 시스템
US6895987B2 (en) Device that modifies irrigation schedules of existing irrigation controllers
CN106455496B (zh) 适于作物的电力产生方法
CN103283568B (zh) 一种应用于农业或园艺的自动灌溉控制系统
KR101882933B1 (ko) 농지 범용화를 위한 스마트 토양 수분 제어 장치
CN110632961A (zh) 一种基于计算机的温室大棚智能环境控制系统
EP3734938A2 (en) Wireless power self harvest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reprogramming the same
CN213938877U (zh) 一种智能化农业系统
KR101882934B1 (ko) 농지 범용화를 위한 스마트 토양 수분 제어 방법
CN211960395U (zh) 一种现代化农业精准灌溉系统
CN110954161A (zh) 基于物联网的农业智能监测管理方法及系统
WO2013064963A1 (en) A remote sensing device and system for agricultural and other applications
CN102591290A (zh) 作物病虫害智能监测管理系统
CN112136667B (zh) 一种基于边缘机器学习的智能喷灌方法及系统
CN113115694A (zh) 一种现代化农业精准灌溉系统及其灌溉方法
KR102272495B1 (ko) 과수원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14174946U (zh) 一种用于林药的自动化灌溉控制系统
JP2015062395A (ja) 植物工場における環境制御方法
CN207965592U (zh) 环境监测控制系统
US7258129B1 (en) Moisture sensor and control system for sprinklers and method therefor
US11457576B2 (en) Intelligent irrigation system
CN11275354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植物自动浇水系统
CN114868505B (zh) 一种智能水肥控制柜
CN11120199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灌溉系统
CN111406551B (zh) 一种节能智慧种植大棚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