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20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20B1
KR102346020B1 KR1020170048913A KR20170048913A KR102346020B1 KR 102346020 B1 KR102346020 B1 KR 102346020B1 KR 1020170048913 A KR1020170048913 A KR 1020170048913A KR 20170048913 A KR20170048913 A KR 20170048913A KR 102346020 B1 KR102346020 B1 KR 10234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battery
nod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532A (ko
Inventor
조성규
오형석
이광찬
조대웅
허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20B1/ko
Priority to US15/867,893 priority patent/US10903676B2/en
Priority to CN201810343371.8A priority patent/CN108736720B/zh
Publication of KR2018011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02J7/02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반도체 장치는, TA(Travel Adaptor)(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MT1) 및 제2 트랜지스터(MT2); 상기 제2 트랜지스터(MT2)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노드(LX1)에 제공하는 제3 트랜지스터(MT3); 및 제2 노드(VSYS)를 통해, 상기 노드(LX)에 연결된 제1 인덕터(LM)로부터 제2 전압(VSYS)을 제공받고, 상기 제2 전압(VSYS)을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으로서 제3 노드(VBAT)에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MT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충전용 반도체 장치(즉,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 또는 휴대용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한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는데, 그 예로서 직접 충전(direct charging), 스위칭 충전(switching charging)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충전 방식이 충전 효율이 스위칭 충전 방식의 충전 효율보다 높다.
직접 충전 방식을 할 경우 정전압(constant voltage) 제어의 한계가 있어 스위칭 충전 방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를 위해 직접 충전기와 스위칭 충전기를 별도로 구현하는 경우 제품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면서도 제품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직접 충전기와 스위칭 충전기를 단일 칩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직접 충전 방식과 스위칭 충전 방식을 적절히 함께 사용하면서도 복수의 충전기를 사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 효율을 높이고 발열을 감소시키면서도 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의 고속 충전이 가능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TA(Travel Adaptor)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제2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1 인덕터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제2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으로서 제3 노드에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TA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직접 충전(direct charging)하는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충전기와 병렬로 상기 배터리를 직접 충전하는 제2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의 전압 레벨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의 제어에 따라 그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조정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은 반도체 장치(10a), 배터리(20), 전력 관리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3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반도체 장치(10a)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반도체 장치(10a)는 반도체 시스템(1) 내의 배터리(20), PMIC(30) 등에 전력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반도체 장치(10a)는 TA(Travel Adaptor),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반도체 장치(10a)는 일반 충전(normal charging), 고속 충전(fast charging), 직접 충전(direct charging)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충전과 고속 충전은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직접 충전은 배터리(20)에 TA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5 W 내지 15 W 정도의 충전 용량을 지원하는 일반 충전과, 예컨대 15 W 내지 20 W 정도의 충전 용량을 지원하는 고속 충전은 약 90 %의 충전 효율을 갖고, 직접 충전은 약 96 % 내지 약 98 %의 충전 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직접 충전을 하는 것이 열 방출이 적게 되지만, 직접 충전만을 사용할 경우 정전압(constant voltage) 제어에 한계가 있어 스위칭 충전 방식을 함께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a)는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충전기와 직접 충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직접 충천기를 단일의 충전기로 구현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면서도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10a)는 복수의 충전기를 포함하도록 구현되어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0)는 반도체 시스템(1)에 장착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를 비롯한 반도체 시스템(1)의 여러 요소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반도체 시스템(1)이 휴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배터리(20)는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 수소(Ni-MH)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관리 회로(30)는 반도체 시스템(1)의 여러 요소에 대한 전력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회로(30)는 반도체 시스템(1)의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미리 결정된 정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를 비롯한 반도체 시스템(1)의 여러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전력 관리 회로(30)는 필요에 따라 반도체 시스템(1)을 슬립 모드(sleep mode)에 진입시키거나, 슬립 모드에 있는 반도체 시스템(1)을 웨이크 업(wake up)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반도체 시스템(1)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하나 이상의 IP(Intellectual Property)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System-on-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반도체 장치(10a)가 T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와 통신하여 TA로부터 출력되어 반도체 장치(10a)에 입력되는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a)는 TA(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과전압 보호 회로(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OVP)(11), 충전기(12), 인덕터(L)를 포함한다.
과전압 보호 회로(11)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이 과전압에 해당하는 경우, 충전기(12)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끊어 충전기(12)를 비롯한 반도체 장치(10a) 내부의 회로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과전압 보호 회로(11)가 도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과전압 보호 회로(11)는 생략되거나, 본 실시예와는 다른 위치에 구현될 수도 있음은 해당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충전기(12)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충전기(12)는, 예컨대 과전압 보호 회로(11)를 통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노드(LX)에 제공하는 단자, 인덕터(L)를 통해 노드(LX)로부터 제공받은 제2 전압(VSYS)을 입력받는 제2 노드(VSYS)에 연결된 단자, 그리고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을 출력하는 단자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노드(VSYS)는 예컨대, 전력 관리 회로(30)와 같은 로드(load)에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a)는 스위칭 충전과 직접 충전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장치(10a)는 일반 충전 및 고속 충전 등을 포함하는 스위칭 충전을 수행하다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기(12)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3 트랜지스터(MT3)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MT1) 및 제2 트랜지스터(MT2)는 각각 신호(MQ1, MQ2)에 게이팅되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노드(LX)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MT1)와 제2 트랜지스터(MT2)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T3)는 제2 트랜지스터(MT2)와 직렬 연결되고, 신호(MQ3)에 게이팅되어 접지 전압을 노드(LX)에 제공한다.
제4 트랜지스터(MT4)는 제2 노드(VSYS)를 통해, 노드(LX)에 연결된 인덕터(L)로부터 제2 전압(VSYS)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MT4)는 신호(MQ4)에 게이팅되어 제2 전압(VSYS)을,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으로서 제3 노드(VBAT)에 제공한다.
이 경우, TA(50)로부터 제공된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인덕터(L)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0)가 충전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의 제어에 따라 그 전압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충전기(12)는 조정된 제1 전압(VTA)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직접 충전(direct charging)하는 직접 충전기(direct charger)로서 동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충전기(12)는 신호(MQ2, MQ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2, MT3)를 스위칭하여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스위칭 충전기(switching charg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12)는 신호(MQ1 내지 MQ4)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1, MT2, MT4)를 턴 온하고 트랜지스터(MT3)를 턴 오프하여 TA(50)와 배터리(20)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변 제1 전압(VTA)을 이용한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a)는, T1 구간에서 일반 충전 및 고속 충전 등을 이용하여 스위칭 충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충전 전류(ICHG)가 배터리(20)에 공급되면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상승하게 된다.
T1 구간 동안,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소 배터리 전압(VBATSET _MIN)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 사이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 여부로, 직접 충전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T2 구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충전기(12)를 동작시키고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초기화하는 등,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당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3 구간 동안, 충전기(12)는 배터리(20)에 대해 직접 충전을 수행한다. 충전기(12)가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계속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 _MIN)보다 작은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_MIN)보다 작은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충전기(12)의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T4 구간 동안,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충전기(12)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직접 충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반도체 장치(10a)는 다시 스위칭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T5 구간에서는 배터리(20)에 대해 정전압 충전(constant voltage charging) 또는 정전류 충전(constant current charging)이 수행되고, T6 구간에서는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충전 방식에 따라, 직접 충전 방식과 스위칭 충전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2)은 반도체 장치(10b), 배터리(20), 전력 관리 회로(3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기술하도록 한다.
반도체 장치(10b)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메인 충전기(Main Charger, MC)(100) 및 제1 서브 충전기(first Sub Charger, SC1)(120)를 포함한다.
메인 충전기(100)와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서로 병렬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충전기(100)가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먼저 시작한 후, 제1 서브 충전기(120)가 별도로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충전기(120)가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계속하는 중, 메인 충전기(100)가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먼저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b)는 TA(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과전압 보호 회로(11), 메인 충전기(100), 제1 인덕터(LM), 제1 서브 충전기(120) 및 제2 인덕터(LS1)를 포함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 회로(11)는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생략되거나, 본 실시예와는 다른 위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메인 충전기(10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충전기(100)는, 예컨대 과전압 보호 회로(11)를 통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하는 단자, 제1 인덕터(LM)를 통해 제1 노드(LX1)로부터 제공받은 제2 전압(VSYS)을 입력받는 제2 노드(VSYS)에 연결된 단자, 그리고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을 출력하는 단자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노드(VSYS)는 예컨대, 전력 관리 회로(30)와 같은 로드(load)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예컨대 과전압 보호 회로(11)를 통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4 노드(LX2)에 제공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제4 노드(LX2)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제4 노드(LX2)와 제3 노드(VBAT) 사이에 연결된 제2 인덕터(LS1)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b)는 스위칭 충전과 직접 충전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장치(10b)는 일반 충전 및 고속 충전 등을 포함하는 스위칭 충전을 수행하다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및 도 8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6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충전기(100)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3 트랜지스터(MT3)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MT1) 및 제2 트랜지스터(MT2)는 각각 신호(MQ1, MQ2)에 게이팅되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MT1)와 제2 트랜지스터(MT2)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T3)는 제2 트랜지스터(MT2)와 직렬 연결되고, 신호(MQ3)에 게이팅되어 접지 전압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한다.
제4 트랜지스터(MT4)는 제2 노드(VSYS)를 통해, 제1 노드(LX1)에 연결된 제1 인덕터(LM)로부터 제2 전압(VSYS)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MT4)는 신호(MQ4)에 게이팅되어 제2 전압(VSYS)을,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으로서 제3 노드(VBAT)에 제공한다.
이 경우, TA(50)로부터 제공된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1 인덕터(LM)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0)가 충전된다.
한편,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제5 트랜지스터(S1_T1), 제6 트랜지스터(S1_T2) 및 제7 트랜지스터(S1_T3)를 포함한다.
제5 트랜지스터(S1_T1) 및 제6 트랜지스터(S1_T2)는 각각 신호(S1_Q1, S1_Q2)에 게이팅되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4 노드(LX2)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5 트랜지스터(S1_T1)와 제6 트랜지스터(S1_T2)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S1_T3)는 제6 트랜지스터(S1_T2)와 직렬 연결되고, 신호(S1_Q3)에 게이팅되어 접지 전압을 제4 노드(LX2)에 제공한다.
이 경우, TA(50)로부터 제공된 전류는 제5 트랜지스터(S1_T1), 제6 트랜지스터(S1_T2) 및 제2 인덕터(LS1)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0)가 충전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의 제어에 따라 그 전압 레벨이 조정될 수 있으며, 메인 충전기(100) 및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조정된 제1 전압(VTA)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직접 충전하는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충전기(100)는 신호(MQ2, MQ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2, MT3)를 스위칭하여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스위칭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충전기(100)는 신호(MQ1 내지 MQ4)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1, MT2, MT4)를 턴 온하고 트랜지스터(MT3)를 턴 오프하여 TA(50)와 배터리(20)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변 제1 전압(VTA)을 이용한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신호(S1_Q2, S1_Q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S1_T2, S1_T3)를 스위칭하여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스위칭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충전기(120)는 신호(S1_Q1 내지 S1_Q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S1_T1, S1_T2)를 턴 온하고 트랜지스터(S1_T3)를 턴 오프하여 TA(50)와 배터리(20)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변 제1 전압(VTA)을 이용한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충전기(100)와 제1 서브 충전기(120)가 함께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1 인덕터(LM)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포함하는 제1 경로를 따라 제공되는 제1 충전 전류와, 제5 트랜지스터(S1_T1), 제6 트랜지스터(S1_T2) 및 제2 인덕터(LS1)를 포함하는 제2 경로를 따라 제공되는 제2 충전 전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b)는, T1 구간에서 일반 충전 및 고속 충전 등을 이용하여 스위칭 충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충전 전류(ICHG)가 배터리(20)에 공급되면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상승하게 된다.
T1 구간 동안,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소 배터리 전압(VBATSET _MIN)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 사이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 여부로, 직접 충전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T2 구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메인 충전기(100)를 동작시키고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초기화하는 등,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당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3 내지 T5 구간 동안, 메인 충전기(100)는 배터리(20)에 대해 직접 충전을 수행한다. 메인 충전기(100)가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계속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 _MIN)보다 작은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_MIN)보다 작은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T4 구간 동안, 제1 서브 충전기(120)도 배터리(20)에 대해 직접 충전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제1 서브 충전기(120)가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계속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충전기(120)의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제1 서브 충전기(120)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직접 충전을 종료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경우에도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은 중단되지 않는다.
이후,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_MAX)의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T6 구간 동안,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메인 충전기(100)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직접 충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반도체 장치(10b)는 다시 스위칭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T7 구간에서는 배터리(20)에 대해 정전압 충전 또는 정전류 충전이 수행되고, T8 구간에서는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충전 방식에 따라, 직접 충전 방식과 스위칭 충전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고, 특히 복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직접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3)은 반도체 장치(10c), 배터리(20), 전력 관리 회로(3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기술하도록 한다.
반도체 장치(10c)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메인 충전기(Main Charger, MC)(100) 및 제2 서브 충전기(second Sub Charger, SC2)(140)를 포함한다.
메인 충전기(100)와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서로 병렬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충전기(100)가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먼저 시작한 후, 제2 서브 충전기(140)가 별도로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충전기(140)가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계속하는 중, 메인 충전기(100)가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을 먼저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c)는 TA(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과전압 보호 회로(11), 메인 충전기(100), 제1 인덕터(LM), 제2 서브 충전기(140) 및 제3 인덕터(LS2)를 포함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 회로(11)는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생략되거나, 본 실시예와는 다른 위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메인 충전기(10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충전기(100)는, 예컨대 과전압 보호 회로(11)를 통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하는 단자, 제1 인덕터(LM)를 통해 제1 노드(LX1)로부터 제공받은 제2 전압(VSYS)을 입력받는 제2 노드(VSYS)에 연결된 단자,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을 출력하는 단자, 그리고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5 노드(BYP)를 통해 제2 서브 충전기(140)에 전달하기 위한 단자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노드(VSYS)는 예컨대, 전력 관리 회로(30)와 같은 로드(load)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예컨대 제5 노드(BYP)를 통해 메인 충전기(10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6 노드(LX3)에 제공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제6 노드(LX3)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제6 노드(LX3)와 제3 노드(VBAT) 사이에 연결된 제3 인덕터(LS2)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10c)는 스위칭 충전과 직접 충전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장치(10c)는 일반 충전 및 고속 충전 등을 포함하는 스위칭 충전을 수행하다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10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충전기(100)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3 트랜지스터(MT3)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MT1) 및 제2 트랜지스터(MT2)는 각각 신호(MQ1, MQ2)에 게이팅되어, TA(5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MT1)와 제2 트랜지스터(MT2)는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T3)는 제2 트랜지스터(MT2)와 직렬 연결되고, 신호(MQ3)에 게이팅되어 접지 전압을 제1 노드(LX1)에 제공한다.
제4 트랜지스터(MT4)는 제2 노드(VSYS)를 통해, 제1 노드(LX1)에 연결된 제1 인덕터(LM)로부터 제2 전압(VSYS)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MT4)는 신호(MQ4)에 게이팅되어 제2 전압(VSYS)을,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VBAT)으로서 제3 노드(VBAT)에 제공한다.
이 경우, TA(50)로부터 제공된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1 인덕터(LM)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0)가 충전된다.
한편,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제8 트랜지스터(S2_T1) 및 제9 트랜지스터(S2_T2)를 포함한다.
제8 트랜지스터(S1_T1)는 각각 신호(S2_Q1)에 게이팅되어, 제5 노드(BYP)를 통해 입력받은 제1 전압(VTA)을 제6 노드(LX3)에 제공한다.
제9 트랜지스터(S2_T2)는 제8 트랜지스터(S2_T1)와 직렬 연결되고, 신호(S2_Q2)에 게이팅되어 접지 전압을 제6 노드(LX3)에 제공한다.
이 경우, TA(50)로부터 제공된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8 트랜지스터(S2_T1) 및 제3 인덕터(LS2)를 통해 배터리(2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0)가 충전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의 제어에 따라 그 전압 레벨이 조정될 수 있으며, 메인 충전기(100) 및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조정된 제1 전압(VTA)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직접 충전하는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충전기(100)는 신호(MQ2, MQ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2, MT3)를 스위칭하여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스위칭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충전기(100)는 신호(MQ1 내지 MQ4)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1, MT2, MT4)를 턴 온하고 트랜지스터(MT3)를 턴 오프하여 TA(50)와 배터리(20)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변 제1 전압(VTA)을 이용한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신호(S1_Q1, S1_Q2)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S2_T1, S2_T2)를 스위칭하여 스위칭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20)를 충전하는 스위칭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충전기(140)는 신호(MQ1, S2_Q1, S2_Q3)를 제어하여 트랜지스터(MT1, S2_T1)를 턴 온하고 트랜지스터(S2_T2)를 턴 오프하여 TA(50)와 배터리(20)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변 제1 전압(VTA)을 이용한 직접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충전기(100)와 제2 서브 충전기(140)가 함께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MT1), 제2 트랜지스터(MT2), 제1 인덕터(LM) 및 제4 트랜지스터(MT4)를 포함하는 제1 경로를 따라 제공되는 제1 충전 전류와, 제1 트랜지스터(MT1), 제8 트랜지스터(S2_T1) 및 제3 인덕터(LS2)를 포함하는 제2 경로를 따라 제공되는 제2 충전 전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c)는, T1 구간에서 일반 충전 및 고속 충전 등을 이용하여 스위칭 충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충전 전류(ICHG)가 배터리(20)에 공급되면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상승하게 된다.
T1 구간 동안,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소 배터리 전압(VBATSET _MIN)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 사이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 여부로, 직접 충전의 수행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이 직접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T2 구간 동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메인 충전기(100)를 동작시키고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초기화하는 등,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당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3 내지 T5 구간 동안, 메인 충전기(100)는 배터리(20)에 대해 직접 충전을 수행한다. 메인 충전기(100)가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계속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 _MIN)보다 작은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_MIN)보다 작은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T4 구간 동안, 제2 서브 충전기(140)도 배터리(20)에 대해 직접 충전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제2 서브 충전기(140)가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계속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충전기(140)의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제2 서브 충전기(140)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직접 충전을 종료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경우에도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은 중단되지 않는다.
이후,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 전압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_MAX)의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T6 구간 동안,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메인 충전기(100)의 동작을 중단함으로써 직접 충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반도체 장치(10c)는 다시 스위칭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T7 구간에서는 배터리(20)에 대해 정전압 충전 또는 정전류 충전이 수행되고, T8 구간에서는 배터리(20)에 대한 충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충전 방식에 따라, 직접 충전 방식과 스위칭 충전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고, 특히 복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직접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S1301)에서, 반도체 장치에 TA(50)가 플러그 인(plug in)된다.
단계(S1303)에서, 반도체 장치는 일반 충전을 시작한다.
단계(S1305)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러그 인 된 TA(50)가 급속 충전기(fast charger)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플러그 인 된 TA(50)가 급속 충전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1305, N), 반도체 장치는 일반 충전을 계속한다(S1307). 그러나 이와 다르게 플러그 인 된 TA(50)가 급속 충전기에 해당하는 경우(S1305, Y) 단계(S1309)로 진행한다.
단계(S1309)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러그 인 된 TA(50)가 직접 충전기(direct charger)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플러그 인 된 TA(50)가 직접 충전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1309, N), 반도체 장치는 급속 충전을 수행한다(S1311). 그러나 이와 다르게 플러그 인 된 TA(50)가 직접 충전기에 해당하는 경우(S1309, Y) 단계(S1313)로 진행한다.
단계(S1313)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소 배터리 전압(VBATSET _MIN)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의 전압 레벨 사이의 범위에 해당하는 지 여부로, 직접 충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1313, N), 반도체 장치는 급속 충전을 수행한다(S1311). 그러나 이와 다르게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S1313, Y), 단계(S1315)로 진행하여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수행한다.
단계(S1315)에서 진행되는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은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S1315)에서의 직접 충전이 종료되면, 반도체 장치는 다시 급속 충전을 수행한다(S1311).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의 단계(S1315)에 따라 단계(S1401)에서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이 시작된다.
단계(S1403) 내지 단계(S1411)가 직접 충전이 수행되는 과정에 해당하고, 단계(S1413)에서는 직접 충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단계(S1403)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당시 배터리(20)의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S1405) 및 단계(S1409)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단계(S1405)에서,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 _MIN)보다 작은 경우, 또는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소 전류 값(ISET _MIN)보다 작은 경우(S1405, N),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증가하도록 조정(S1407)될 수 있다.
단계(S1407)에서, TA(50)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전류(IIN)의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 또는 배터리(20)에 제공되는 충전 전류(ICHG)의 값과 제2 노드(VSYS)에 제공되는 로드 전류(ISYS)의 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 값(ISET _MAX)보다 큰 경우(S1409, N), 제1 전압(VTA)은 그 전압 레벨이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후 단계(S1413)에서 직접 충전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종료된 경우 단계(S1415)로 진행하여 제1 전압(VTA)의 값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한다.
이후 단계(S1415)는 직접 충전 종료 후 스위칭 충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단계(S1417)는 도 13의 단계(S1311)에 대응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S1501)에서 직접 충전이 시작되면, 단계(S1503)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TA(5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압(VTA)의 전압 레벨을 초기화하는 등, 배터리(20)에 대한 직접 충전을 준비한다.
이후 단계(S1507)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 전압(MAIN_CHG_BAT)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인 충전기(100)를 동작시킬 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메인 충전기(100)의 충전 전압(MAIN_CHG_BAT)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 미만인 경우(S1507, Y), 메인 충전기(100)가 동작하여 직접 충전을 수행하고(S1509), 그렇지 않은 경우(S1507, N) 메인 충전기(100)의 동작이 중단된다(S1511).
한편, 단계(S1505)에서 판단한 결과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가 존재하는 경우(S1505, Y), 단계(S1513)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의 충전 전압(SMALL_CHG_BAT)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를 동작시킬 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의 충전 전압(SMALL_CHG_BAT)이 미리 설정된 최대 배터리 전압(VBATSET _MAX) 미만인 경우(S1513, Y),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가 동작하여 직접 충전을 수행하고(S1515), 그렇지 않은 경우(S1513, N) 메인 충전기(100)의 동작이 중단된다(S1517).
이후 단계(S1519)는 직접 충전 종료 후 스위칭 충전으로 복귀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단계(S1523)는 도 13의 단계(S1311)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스위칭 충전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메인 충전기(100)에 의한 직접 충전과,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에 의해 직접 충전이 모두 종료되어야 한다. 따라서 메인 충전기(100)의 직접 충전은 종료되었으나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의 직접 충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나, 제1 서브 충전기(120) 또는 제2 서브 충전기(140)의 직접 충전은 종료되었으나 메인 충전기(100)의 직접 충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를 할 필요가 있다(S1521).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직접 충전 방식과 스위칭 충전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고, 특히 복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직접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3: 반도체 시스템 10a, 10b, 10c: 반도체 장치
20: 배터리 30: PMIC
4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Claims (11)

  1. TA(Travel Adaptor)로부터 입력받은 제1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3 트랜지스터;
    제2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1 인덕터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제2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으로서 제3 노드에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
    상기 TA로부터의 상기 제1 전압을 제4 노드에 제공하는 제5 트랜지스터 및 제6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6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4 노드에 제공하는 제7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노드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상기 제4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인덕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TA로부터의 상기 제1 전압을 제5 노드에 제공하고, 상기 제5 노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제1 전압을 제6 노드에 제공하는 제8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8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6 노드에 제공하는 제9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노드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상기 제6 노드와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3 인덕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배터리에 대해 스위칭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를 스위칭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해 직접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4 트랜지스터를 턴 온하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하는 반도체 장치.
  7. TA(Travel Adaptor)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한 직접 충전(direct charging)을 수행하는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충전기와 병렬로 상기 배터리에 대한 직접 충전을 수행하는 제2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의 전압 레벨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의 제어에 따라 그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충전기는,
    상기 TA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제1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제2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1 인덕터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제2 전압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3 전압으로서 제3 노드에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기는,
    상기 TA로부터의 상기 제1 전압을 제4 노드에 제공하는 제5 트랜지스터 및 제6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6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4 노드에 제공하는 제7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기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TA로부터의 상기 제1 전압을 제5 노드에 제공하고, 상기 제5 노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제1 전압을 제6 노드에 제공하는 제8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8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접지 전압을 상기 제6 노드에 제공하는 제9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1. 삭제
KR1020170048913A 2017-04-17 2017-04-17 반도체 장치 KR10234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913A KR102346020B1 (ko) 2017-04-17 2017-04-17 반도체 장치
US15/867,893 US10903676B2 (en) 2017-04-17 2018-01-11 Semiconductor device
CN201810343371.8A CN108736720B (zh) 2017-04-17 2018-04-17 半导体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913A KR102346020B1 (ko) 2017-04-17 2017-04-17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532A KR20180116532A (ko) 2018-10-25
KR102346020B1 true KR102346020B1 (ko) 2021-12-30

Family

ID=6379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913A KR102346020B1 (ko) 2017-04-17 2017-04-17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3676B2 (ko)
KR (1) KR102346020B1 (ko)
CN (1) CN108736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270A (ko) 2019-09-11 2021-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충전 및 직접 충전 방식에 기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관리 칩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4458A1 (en) 2002-07-04 2004-01-08 Fujitsu Limited Charging control circuit, charger, power supply circui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20080054855A1 (en) 2006-09-05 2008-03-06 Summit Microelectronics,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in a battery operated system
US20130063079A1 (en) 2011-09-12 2013-03-14 Panasonic Corporation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649A (ko)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입력버퍼
US20050275372A1 (en) * 2004-06-14 2005-12-15 Crowell Jonathan C Power controller for managing arrays of smart battery packs
JP2008035674A (ja) 2006-07-31 2008-02-14 Mitsumi Electric Co Ltd 充電用電源装置
US7656129B2 (en) * 2007-01-30 2010-02-02 Won-Do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backed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ing
WO2009050542A1 (en) * 2007-10-17 2009-04-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ower management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KR20100032961A (ko) 2008-09-19 2010-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충전시스템
US9246340B2 (en) * 2011-02-11 2016-01-26 Intel Corporation Battery pack
US9136725B2 (en) 2011-10-04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charge battery of mobile device
CN103199597B (zh) 2012-01-06 2017-08-25 中山市云创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电池充电系统及方法
EP2621068B1 (en) * 2012-01-27 2018-08-22 Dialog Semiconductor GmbH Bypass control in a DC-to-DC converter
CN102664435B (zh) * 2012-05-04 2014-05-28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充电管理电路
EP2870671B1 (en) * 2012-07-03 2017-08-23 Saft America Inc. Battery electronics and control system
KR101232465B1 (ko) 2012-08-15 2013-02-12 윤영철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연동형 조명 시스템
CN103066666B (zh) 2013-01-22 2015-08-26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升压型电池充电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9088211B2 (en) * 2013-02-14 2015-07-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uck-boost converter with buck-boost transition switching control
WO2015007236A1 (en) * 2013-07-18 2015-01-22 Mediatek Inc. Method, charger device, and adaptor capable of maximum output power point tracking
US9444281B2 (en) 2014-01-03 2016-09-13 Apple Inc. Unified high power and low power battery charger
JP6119674B2 (ja) * 2014-06-06 2017-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半導体装置
US9634502B2 (en) * 2014-08-20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Fast battery charging through digital feedback
US9973017B2 (en) * 2014-09-19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r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ging paths
US9843211B2 (en) 2014-09-22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power chargers for mobile terminals
US10396582B2 (en) * 2015-07-01 2019-08-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aster slave charging architecture with communication between chargers
US9748788B2 (en) * 2015-09-17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battery
US20170222461A1 (en) * 2016-01-29 2017-08-03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performance control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aid of management of multiple charger circuits, and associate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4458A1 (en) 2002-07-04 2004-01-08 Fujitsu Limited Charging control circuit, charger, power supply circui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20080054855A1 (en) 2006-09-05 2008-03-06 Summit Microelectronics,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in a battery operated system
US20130063079A1 (en) 2011-09-12 2013-03-14 Panasonic Corporation Charg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ICHTEK Application Note AN050(2017.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532A (ko) 2018-10-25
CN108736720B (zh) 2023-06-09
CN108736720A (zh) 2018-11-02
US20180301911A1 (en) 2018-10-18
US10903676B2 (en)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6305B2 (en) Fast charg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parallel battery pack
TWI657644B (zh) 待充電裝置和充電方法
EP3404797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EP278221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EP2800422A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00732A1 (zh) 一种充放电电路和电子设备
TWI486771B (zh) 手機及其電量轉移系統及方法
TW201020573A (en) Battery pack burn-in test system and method
US201903343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nd mutual charging a combination of intelligent devices
EP3806279A1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CN105978049A (zh) 电池倍压充电电路和移动终端
WO2011160510A1 (zh) 一种充电的方法及系统
CN111095720B (zh) 充电方法和充电装置
CN110854939A (zh) 双电池的充电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864868B (zh) 快充充电器、快充芯片及快充充电器的控制方法
CN112968481B (zh) 充电电路和电子设备
KR102346020B1 (ko) 반도체 장치
WO2023221709A1 (zh) 一种可扩展的储能系统及其扩展方法
JP6214131B2 (ja) 組電池充電システムおよび組電池充電方法
US8854849B2 (en) Power-saving voltage converter system
US9831698B2 (en) Mobile power supply terminal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CN105932730A (zh) 手机充电电路、手机、手机充电方法
TWI716244B (zh) 供電裝置及供電方法
CN106712157B (zh) 一种充电管理系统
TWI519035B (zh) 用於充電電池的充電器及其充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