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516B1 -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516B1
KR102345516B1 KR1020190117740A KR20190117740A KR102345516B1 KR 102345516 B1 KR102345516 B1 KR 102345516B1 KR 1020190117740 A KR1020190117740 A KR 1020190117740A KR 20190117740 A KR20190117740 A KR 20190117740A KR 102345516 B1 KR102345516 B1 KR 10234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groove
junction
slide
spac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5663A (en
Inventor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1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516B1/en
Publication of KR2021003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중공형 케이슨이 직경이 큰 순서로 지중에 순차적으로 매립되며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by assembling a caiss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low caisson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sequentially buried in the ground in order of increasing diameter, and a watertight means is configur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s.

Description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흙막이와 벽체의 기능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하는 케이슨을 이용한 저류공간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space structure using a caisson so that the functions of a retaining wall and a wall are simultaneously express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계간축열 이란 비난방기에 남는 잉여열을 저장하여 열수요가 많은 난방기에 사용하는 축열방식으로서 발전폐열, 산업폐열, 폐기물 소각열, 연료전지, 바이오매스, 태양열 등 연중 생산되는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간헐적이거나 배출온도가 일정치 않거나 온도가 낮아서 전력생산이나 산업용으로 이용하기 곤란한 열도 회수하여 건물 냉난방 또는 농업용으로 사용 가능하다.Quarterly heat storage is a heat storage method that stores the surplus heat remaining in the non-heating period and uses it for heaters with high heat demand. It can also be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buildings or agriculture by recovering heat that is difficult to use for power generation or industry because of intermittent, non-uniform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유럽지역에서 주로 태양열을 이용한 계간축열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태양열 단독난방 대비 경제성이 50%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n Europe, it is mainly developed and operated as a quarterly heat storage system using solar heat, and it is reported to be 50% more economical than solar heat independent heating.

태양열 블록히팅 또는 태양열 지역난방은 일정 규모 이상의 단지에 분산 또는 집중 설치된 태양열 집열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어서 계간축열체라는 대용량의 장기 축열시스템과 연계시켜 집열된 태양열을 중앙에서 축열 및 공급하는 일련의 중앙 열공급 방식의 태양열 시스템이다.Solar block heating or solar thermal district heating is a series of central heat storage and supply systems that centrally store and supply solar heat by tying the solar heat collectors distributed or centrally installed in a complex over a certain size into one system and linking it with a large-capacity long-term heat storage system called a quarterly heat storage system. It is a solar thermal system that supplies heat.

적게는 소규모 단지에서부터 크게는 지역난방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열 블록히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열부하가 적은 봄부터 가을에 이르기까지 남는 태양열을 저장하였다가 부족할 때 사용하는 대규모 용량의 중장기 축열체인 계간축열(Seasonal Heat Storage)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It can be applied in various sizes from small complexes to district heating. These solar block heating systems generally store excess solar heat from spring to autumn, when the heat load is low, and use it when there is not enough. It requires a Seasonal Heat Storage system, which is a medium to long-term thermal storage system.

계간축열을 통해 비난방기에 남는 잉여열을 저장하여 사용하므로 태양열의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연중 태양열 이용이 가능하여 태양열 분야의 단점이었던 난방분야에 효율적 적용이 가능하며,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줄여 이산화탄소 저감효과에 기여하고, 건물별 신·재생 에너지 적용에 한계가 있는 건물 밀도가 높은 지역에 계간축열 시스템을 적용시키면 기존 열원과의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하여 폭 넓은 보급확대가 예상된다.Since the surplus heat remaining in the non-ventilating period is stored and used through quarterly heat storage, the dependence on solar heat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since solar heat can be used year-round, it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heating field, which was a disadvantage in the solar field, and reduced dependence on fossil fuels to carbon dioxide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effect and applying the quarterly heat storage system to an area with high building density where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of new/renewable energy for each building, efficient connection with existing heat sources is possible, and wide spread is expected.

이러한 계간축열을 위해 사용되는 축열조는 냉난방 장치로부터 생산되는 냉·온열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냉·온열을 상기 냉난방 장소에 공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heat storage tank used for such quarterly heat storage serves to store the cold/hot heat produced by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o supply the stored cold/hot heat to the cooling/heating place.

상기 냉·온열 축열조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지만 상기 냉난방 장치로부터의 냉·온열을 상기 냉난방 장소에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수 있는 장점과 심야전기를 이용 경제적인 냉,난방이 가능하므로 인해 근래에는 축열조가 상기 냉난방 장치의 한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e cooling/heating heat storage tank is used as needed, heat storage tanks have recently become It is currently being used as one component of the heating and cooling device.

기존에 축열조의 경우에 자연경사로 목표 굴착심도까지 터파기 후 축열조를 시공하였는데 이 경우 건설폐기 토사량이 과다로 발생되며 대규모 부지가 소요되는 등으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한 후에 축열조를 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별도의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heat storage tanks, the heat storage tanks were constructed after digging up to the target excavation depth on a natural slop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a heat storage tank is installed after installing the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582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8256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생성을 최소화 하고, 별도의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이 필요가 없는 등에 의해 시공성 및 경제성이 유리한 지중 저류공간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minimizes the generation of construction waste and has advantageous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by not requiring the construction of a separate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이하 "본 발명의 구조"라함)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중공형 케이슨이 직경이 큰 순서로 지중에 순차적으로 매립되며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aiss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sequentially buried in the underground in order of a plurality of hollow caisson having different diameters in the order of their diameter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tight means is configured in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하나의 예로 최하단의 케이슨의 하단에는 바닥슬래브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loor slab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caisson of the lowermost stage.

하나의 예로 케이슨의 내주연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슨의 외주연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대향하는 슬라이드돌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 slid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isson, and a slide protrusion opposite to the slid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isson positioned below.

하나의 예로 상기 수밀수단은, 케이슨 간 접합부에 안치되는 절곡패드와 상기 절곡패드를 접합부에 부착시키는 절곡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watertight means includes a bending pad seat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and a bending channel for attaching the bending pad to the junction.

하나의 예로 상기 접합부로서 상부의 케이슨과 하부의 케이슨 간에 접점부위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패드에는 상기 요홈에 대향하는 부분에 요홈에 게재되는 가압테두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 groove is formed in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pper caisson and the lower caisson as the junction portion, and the bending pad has a pressing rim placed in the groove at a portion opposite to the groove.

하나의 예로 상기 수밀수단은, 상부 케이슨의 하단에 구성되며 상부 케이슨의 내주연과 하부 케이슨의 외주연에 게재되는 게재단과 상기 게재단에 연하면서 하부 케이슨의 상단으로 노출되는 노출단을 포함하는 주제부와, 상기 주제부에서 돌출되어 하부 케이슨의 상단을 덮는 가지부를 포함하는 제 1수밀패드와, 상기 노출단과 상기 가지부를 덮는 제 2수밀패드와, 상기 제 1수밀패드와 상기 제 2수밀패드를 접합부에 부착시키는 절곡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watertight means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isson and includes an exposed end that is plac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caisson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aisson, and an exposed end connected to the published end and exposed to the top of the lower caisson a first watertight pad including a portion and a branch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portion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a second watertight pad covering the exposed end and the branch portion, the first watertight pad and the second watertight p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ending channel attached to the joint.

한편 본 발명은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 시공방법(이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라함)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10); 굴착된 지반에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20); 설치된 케이슨 내부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30); 설치된 케이슨 보다 직경이 작은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40);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을 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S30 내지 상기 S50단계를 반복하여 하방향으로 복수의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60); 최하단에 위치하는 케이슨의 하단에 바닥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S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by caisson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cavating the ground (S10); constructing a caisson in the excavated ground (S20); Excavating the ground inside the installed caisson (S30); constructing a caiss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stalled caisson (S40); Installing a watertight means to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S50); Repeating the steps S30 to S50 to construct a plurality of caisson in the downward direction (S60); and constructing a floor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caisson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S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저류공간구조는 축열조 등에 적용되어 건설폐기물의 생성을 최소화 하고, 흙막이 시공이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eat storage tank, etc.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construction waste, and there is no need for retaining construction, so construction is easy and economical.

또한 본 발명의 지중 저류공간구조는 프리캐스트 화 된 케이슨을 현장에서 조립에 의해 시공함으로써 품질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quality stability can be secured by assembling the precast caisson on site.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수밀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수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tight means a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tight means a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의 구조(1)는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중공형 케이슨(2)이 직경이 큰 순서로 지중에 순차적으로 매립되며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4)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hollow caissons (2) with different diameters are sequentially buried in the ground in the order of their diameters, and a watertight means (4) is configur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s do it with

본 발명의 구조(1)는 지중에 매립되는 축열조, 저류조 등의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urpose of a heat storage tank, a storage tank, etc. buried in the ground.

즉 본 발명의 구조(1)는 직경이 큰 케이슨(2)을 최상단에 위치토록 하면서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은 케이슨(2)을 하방향으로 시공토록 함으로써 축열조 등이 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흙막이 시공이 없이 케이슨(2)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면서 케이슨(2)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4)이 설치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large diameter caisson (2) at the top and sequentially constructs the small diameter caisson (2)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construct a heat storage tank, etc. It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form an economical structure by installing the watertight means 4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2 while sequentially constructing the caisson 2 without it.

상기 케이슨(2)은 도 1 등에서는 원통관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관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The caisson 2 has a cylindrical tube shape in FIG. 1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a square tube shape as shown in FIG. 5 .

상기 케이슨(2)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시공후 내부에서 하방향으로 굴착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흙막이 시공이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The caisson (2) is hollow inside, so that excavation work can be performed downwardly from the inside after construction,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retaining wall.

상기 케이슨(2)은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프리캐스트화 하여 품질안정성을 확보토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장에서 단순 조립에 의해 축열조 등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시공성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The caisson 2 is not limited in its material and can be precasted to ensure quality stability even when concrete is use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constructed such as a heat storage tank by simple assembly in the field, so constructionability is also is to improve it.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케이슨(2)의 하단에는 바닥슬래브(3)가 구성되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loor slab 3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caisson 2 at the bottom.

또한 상기 케이슨(2) 간의 조립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시공후 케이슨(2)간 틀어짐 등에 의해 접합부에서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제어하기 위해 케이슨(2)의 내주연에는 슬라이드홈(21)이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슨(2)의 외주연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1)에 대향하는 슬라이드돌기(22)가 구성되도록 하여 시공된 케이슨(2)의 슬라이드홈(21)에서 슬라이드 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lide groove 21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isson 2 to facilitate assembly when assembling between the caisson 2 and to control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watertightness at the joint due to distortion between the caisson 2 after constru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protrusion 22 opposite to the slide groove 2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isson 2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and slides in the slide groove 21 of the caisson 2 constructed.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21)의 하단에는 제어턱(211)이 구성되어 슬라이드홈(21)에서 슬라이드돌기(22)의 하방향 슬라이드가 상기 제어턱(211)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턱(211)을 구성하는 이유는 기 시공된 케이슨(2)의 내부에서 하방향에 위치하는 케이슨(2)을 시공시 자중에 의해 기 시공된 케이슨(2)의 내주연에서 하방향에 위치하는 케이슨(2)을 슬라이드 시키는데 상기 제어턱(211)에 의해 하방향 슬라이드가 제어되도록 하여 케이슨(2)간 탈리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control jaw 211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de groove 21 so that the downward slide of the slide protrusion 22 in the slide groove 2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jaw 211 .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control jaw 211 in this way is downwar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previously constructed caisson 2 by its own weight when constructing the caisson 2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side the previously constructed caisson 2 . To slide the caisson (2) located on the slide, the downward slid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jaw (211) to control the detachment between the caisson (2).

상기 수밀수단(4)은 순차적으로 시공하면서 케이슨(2) 간 접합부에 구성되도록 하여 흙막이 대체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축열조에 있어서 수밀성이 담보된 벽체로서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watertight means (4) is to be configur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2) during construction sequentially to function as an alternative means of retaining, and at the same time to function as a wall with watertightness guaranteed in the heat storage tank.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밀수단(4)의 2가지 예를 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examples of the watertight means 4 are presented.

첫 번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바, 케이슨(2) 간 접합부에 안치되는 절곡패드(41)와 상기 절곡패드(41)를 접합부에 부착시키는 절곡채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패드(41)는 고무 등 탄성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케이슨(2-1)을 시공하고 상기 케이슨(2-1)의 내부에서 하방향 굴착후 하부 케이슨(2-2)이 상기 상부 케이슨(2-1)의 내부에서 하방향으로 시공되어 지는데 이렇게 하부 케이슨(2-2)을 시공 후 상부 케이슨(2-1)과 하부 케이슨(2-2)의 접합부에 수밀수단(4)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in Fig. 3,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ending pad 41 plac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2 and a bending channel 42 for attaching the bending pad 41 to the junction. . The bending pad 4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fter constructing the upper caisson (2-1) and excavating downward in the inside of the caisson (2-1), the lower caisson (2-2) is construc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caisson (2-1). After the lower caisson (2-2) is constructed, the watertight means (4) is installed at the junction of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lower caisson (2-2).

우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합부에 절곡패드(41)를 안치시키고 절곡채널(42)을 적층한 상태에서 볼트 등 공지의 수단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ending pad 41 is placed on the joint portion and the bending channel 42 is stacked, and the attachment is made by known means such as bolts.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접합부로서 상부의 케이슨(2-1)과 하부의 케이슨(2-2) 간에 접점부위에는 요홈(23)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절곡패드(42)에는 상기 요홈(23)에 대향하는 부분에 요홈(23)에 게재되는 가압테두리(43)가 구성되도록 하여 수밀성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is, a groove 23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lower caisson 2-2 as the bonding portion, and the groove 23 is formed in the bending pad 42 . ) to further double the watertightness by configuring the pressing edge 43 placed in the groove 23 in the opposite portion.

바람직하게 요홈(23)의 직경보다 가압테두리(43)의 직경을 더 크게 하여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가압테두리(43)와 절곡패드(42)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예의 수밀수단(4)은, 상부 케이슨(2-1)의 하단에 구성되며 상부 케이슨(2-1)의 내주연과 하부 케이슨(2-2)의 외주연에 게재되는 게재단(441-1)과 상기 게재단(441-1)에 연하면서 하부 케이슨(2-2)의 상단으로 노출되는 노출단(441-2)을 포함하는 주제부(441)와, 상기 주제부(441)에서 돌출되어 하부 케이슨(2-2)의 상단을 덮는 가지부(442)를 포함하는 제 1수밀패드(44)와, 상기 노출단(441-2)과 상기 가지부(442)를 덮는 제 2수밀패드(45)와, 상기 제 1수밀패드(44)와 상기 제 2수밀패드(45)를 접합부에 부착시키는 절곡채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수밀패드(44)는 고무 등 탄성재질로서 상부 케이슨(2-1)에 구성되는 것으로 주제부(441)와 가지부(4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watertightness is improved by making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rim 43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cave 23, and the pressing rim 43 and the bending pad 42 may be integrally or separated. As the second embodiment is shown in Figure 4, the watertight means 4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lower caisson 2- 2) A subject including a publication end 441-1 post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n exposed end 441-2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2-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ublication end 441-1 A first watertight pad 44 including a portion 441, a branch portion 442 protruding from the main portion 441 and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2-2, and the exposed end 441-2 ) and a second watertight pad 45 covering the branch portion 442, and a bending channel 42 for attaching the first watertight pad 44 and the second watertight pad 45 to the joint portion. characterized. The first watertight pad 4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is configured in the upper caisson 2-1, and includes a main portion 441 and a branch portion 442 .

상기 주제부(441)는 상부 케이슨(2-1)의 내주연과 하부 케이슨(2-2)의 외주연에 게재되는 게재단(441-1)과 상기 게재단(441-1)에 연하면서 하부 케이슨(2-2)의 상단으로 노출되는 노출단(441-2)을 포함하는데 상기 게재단(441-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된 "ㄷ"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 케이슨(2-1)의 하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출단(441-2)은 상기 게재단(44-1)으로서 상부 케이슨(2-1)의 내주연과 하부 케이슨(2-2)의 외주연에 게재되는 부분과 연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합부에서 하부 케이슨(2-2)의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main part 441 is connected to the placing end 441-1 and the placing end 441-1 which are plac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aisson 2-2. It includes an exposed end 441-2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2-2, and the published end 441-1 is configured in a bent "C"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upper caisson (2- 1)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end, and the exposed end 441-2 is the placed end 44-1,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aisson 2-2. 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2-2) at the jun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in connection with the part posted on.

상기 가지부(442)는 상기 주제부(441)에서 돌출되는 구성으로 장착시 하부 케이슨(2-2)의 상단을 덮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branch portion 442 protrudes from the main portion 441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overs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isson 2-2 when mounted.

상기 제 2수밀패드(45)는 상기 노출단(441-2)과 상기 가지부(442)를 덮는 구성으로 일단부는 상부 케이슨(2-1)로 연장되고 타단부는 하부 케이슨(2-2)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second watertight pad 45 has a configuration that covers the exposed end 441-2 and the branch portion 442, and has one end extending into the upper caisson 2-1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aisson 2-2. It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extended to .

이렇게 제 1수밀패드(44)에 제 2수밀패드(45)가 적층되도록 한 후에 절곡채널(42)을 적층한 상태에서 볼트 등 공지의 수단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fter the second watertight pad 45 is stacked on the first watertight pad 44 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bent channel 42 is stacked, attachment is made by a known means such as a bolt.

또한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 1수밀패드(44)와 하부 케이슨(2-2) 사이에는 방수패드가 더 게재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reference numbers are not shown, a waterproof pad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watertight pad 44 and the lower caisson 2-2.

한편 도 5에서는 a), b), c)에 본 발명의 구조(1)가 시공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a)는 하나의 구조(1)가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복수의 구조(1)가 집합체로서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c)는 외관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구조(1)가 구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부공간을 굴착하여 별도의 구조물 시공용도 등에 사용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Figure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a), b), c), a)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structure (1) is constructed, b) is It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tructures (1) are constructed as an aggregate, and c) is to be used for separate structure construction purposes by excavating the inner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tructures (1) ar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xterior. example is shown.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공방법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discloses a construction method as shown in FIG. 6 .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10); 굴착된 지반에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20); 설치된 케이슨 내부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30); 설치된 케이슨 보다 직경이 작은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40);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을 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S30 내지 상기 S50단계를 반복하여 하방향으로 복수의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60); 최하단에 위치하는 케이슨의 하단에 바닥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S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cavating the ground (S10); constructing a caisson in the excavated ground (S20); Excavating the ground inside the installed caisson (S30); constructing a caiss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stalled caisson (S40); Installing a watertight means to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S50); repeating the steps S30 to S50 to construct a plurality of caissons in the downward direction (S60); and constructing a floor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caisson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S70).

우선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10)하고, 굴착된 지반에 최상단에 위치하는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케이슨(2)은 복수의 케이슨(2) 중 가장 직경이 큰 케이슨(2)이 해당된다. First, a step of excavating the ground (S10), and a step of constructing a caisson located at the top of the excavated ground (S20). In this case, as mentioned above, the caisson 2 with the largest diameter among the plurality of caisson 2 corresponds to the caisson 2 positioned at the top.

그 다음으로 설치된 케이슨 내부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30)를 갖는데, 이와 같이 설치된 케이슨(2) 내부에서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흙막이의 시공이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Next, there is a step (S30) of excavating the ground inside the installed caisson, so that the excavation work is made inside the installed caisson 2, so tha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retaining wall.

그 다음으로 설치된 케이슨 보다 직경이 작은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슨(2)의 내주연과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슨(2)의 외주연에 접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슨(2)을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슨(2)을 시공하는 것이다.Next, there is a step (S40) of constructing a caiss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stalled caisson.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isson (2)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isson (2) located at the lower part, slide the caisson (2) located at the lower side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remove the caisson (2) located at the lower part. is to construct

그 다음으로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을 설치하는 단계(S50)를 갖는다. 흙막이 기능과 수밀성이 확보된 벽체로서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수밀수단(4)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re is a step (S50) of installing a watertight means to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It is a wall with retaining function and watertightness secured so that the function can be expressed. Here, since the watertight means 4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S30 내지 상기 S50단계를 반복하여 하방향으로 복수의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60)를 갖는다. It has a step (S60) of constructing a plurality of caisson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repeating the steps S30 to S50.

마지막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케이슨의 하단에 바닥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S70)를 갖는다. Finally, there is a step (S70) of constructing a floor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caisson located at the bottom.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1 : 본 발명의 구조 2 : 케이슨
3 : 바닥슬래브
1: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caisson
3: floor slab

Claims (7)

관 형상으로 직경이 다른 복수의 중공형 케이슨이 상단에서부터 직경이 큰 순서로 지중에 순차적으로 매립되며 상기 케이슨 간 접합부에 수밀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케이슨의 내주연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슨의 외주연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대향하는 슬라이드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의 하단에는 제어턱이 구성되어 케이슨 간 조립시 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돌기의 하방향 슬라이드가 상기 제어턱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수밀수단은,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슨 간 접합부에 안치되는 절곡패드와 상기 절곡패드가 안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적층되어 상기 절곡패드를 접합부에 부착시키는 절곡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접합부로서 상부의 케이슨과 하부의 케이슨 간에 접점부위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패드에는 상기 요홈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요홈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가압테두리가 구성되어 상기 요홈에 가압테두리가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
A plurality of hollow caissons having different diameters in a tubular shape are sequentially buried in the ground in order of increasing diameter from the top, and a watertight means is mount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A slid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isson, a slide protrusion opposite to the slid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isson positioned below, and a control jaw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de groove to form a slide groove when assembling between the caisson so that the downward slide of the slide proje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jaw,
The watertight means,
A bending pa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laced in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and a bending channel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pad is seated to attach the bending pad to the junction,
As the joint, a groove is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pper caisson and the lower caisson, and a pressing rim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groove is configured in the portion opposite to the groove on the bending pad, and the pressing rim is placed in the groove.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by caisso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 1항에 있어서,
최하단의 케이슨의 하단에는 바닥슬래브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
The method of claim 1,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by caisso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floor slab i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caisson at the botto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10);
굴착된 지반에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20);
설치된 케이슨 내부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S30);
설치된 케이슨 보다 직경이 작은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40);
케이슨 간 접합부에 상기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의 수밀수단을 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S30 내지 상기 S50단계를 반복하여 하방향으로 복수의 케이슨을 시공하는 단계(S60);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케이슨의 하단에 바닥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S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조립에 의한 지중 저류공간구조 시공방법.
excavating the ground (S10);
constructing a caisson in the excavated ground (S20);
Excavating the ground inside the installed caisson (S30);
constructing a caiss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stalled caisson (S40);
Installing the watertight means of claim 1 or claim 2 to the junction between the caisson (S50);
Repeating the steps S30 to S50 to construct a plurality of caisson in the downward direction (S60); and
Underground storage spac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caisson assembly comprising a; step (S60) of constructing a floor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caisson located at the bottom.
KR1020190117740A 2019-09-24 2019-09-24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KR102345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40A KR102345516B1 (en) 2019-09-24 2019-09-24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40A KR102345516B1 (en) 2019-09-24 2019-09-24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663A KR20210035663A (en) 2021-04-01
KR102345516B1 true KR102345516B1 (en) 2022-01-03

Family

ID=7544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740A KR102345516B1 (en) 2019-09-24 2019-09-24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5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100A (en) * 1999-03-11 2000-09-19 Daito Concrete Kogyo Kk Built-up manhole structure
KR200348730Y1 (en) * 2004-02-11 2004-04-30 김병노 Square vertical culvert tunnel using steel waterproof plate and concrete
KR101331261B1 (en) * 2013-04-05 2013-11-20 주식회사 아라엔텍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653B1 (en) * 2004-08-31 2006-05-08 박길석 Horizontal pressed pipe install apparatus for underground structures construction and horizontal pressed pipe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KR20090026010A (en) * 2008-01-08 2009-03-11 경북산업 주식회사 Manhole
KR20180058256A (en) 2016-11-23 2018-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Wall structure in large storaging tank for very long term heat storage underground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100A (en) * 1999-03-11 2000-09-19 Daito Concrete Kogyo Kk Built-up manhole structure
KR200348730Y1 (en) * 2004-02-11 2004-04-30 김병노 Square vertical culvert tunnel using steel waterproof plate and concrete
KR101331261B1 (en) * 2013-04-05 2013-11-20 주식회사 아라엔텍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663A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0237B2 (en) Device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electric power
US20090049763A1 (en) C.O.R.E. - Continuous Omnidirectional Radian Energy geodesic hubs/structures
CN105356827A (en) Floating structure of surface photovoltaic power sta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JP2001295751A (en) Natural energy based power generating structure comprising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integrated with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US8915242B2 (en) Layered construction with tube system
JP4882021B1 (en) Heat exchange system
CN216787349U (en) Photoelectric type permeable pavement underground water storage automatic system
KR102345516B1 (en) the underground undercurrent space structure by the caisson assembly and this construction method
KR20200077116A (en) Solar Tracking for Large scale Photovoltic System
CN204426171U (en) A kind of novel solar greenhouse of variable roofing angle
JP2008121960A (en) Direct heat utilization heating apparatus
CN203769067U (en) Novel assembly type intelligent house
JP6719792B1 (en) Agricultural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K500712015U1 (en) Earth heat accumulator
KR102449783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CN210034758U (en) Non-excavation winding shaping pipeline that can cross bend
KR102163451B1 (en) Weight block assembly for fixing a pole
CN204482524U (en) Han Di sun glasshouse pipe type water curtain wall body
CN109631136B (en) Solar energy and electricity auxiliary heating system
KR20210036720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ice formation
GB2552325A (en) Thermal store arrangement
CN220394634U (en) Retaining wall convenient to assembly
CN207910711U (en) East and West direction house photovoltaic mounting bracket
CN207234719U (en) A kind of photovoltaic plate supporting device
KR102535238B1 (en) Vinyl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