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294B1 -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294B1
KR102345294B1 KR1020190172896A KR20190172896A KR102345294B1 KR 102345294 B1 KR102345294 B1 KR 102345294B1 KR 1020190172896 A KR1020190172896 A KR 1020190172896A KR 20190172896 A KR20190172896 A KR 20190172896A KR 102345294 B1 KR102345294 B1 KR 10234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of
pressure
explosion
unit
pressure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481A (ko
Inventor
천상규
육근재
이재복
황선엽
김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9017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2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방폭기능을 제공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방폭기능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압력방폭부의 내부공간의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에어 소모량을 절감하고 압력방폭부의 운영 불안정성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Purge Controller providing Enhanced Internal Pressure Flame Proof and Pressurizing Apparatus for Pressure Explosion Proof}
본 발명은,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제공하는 퍼지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투시부가 커버부와 가압부 사이에서 균일하게 가압되어 충격이나 내부폭발에 대한 개선된 저항성을 제공함으로서 내압방폭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퍼지컨트롤러, 압력방폭기능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압력방폭부의 내부공간의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에어 소모량을 절감하고 압력방폭부의 운영 불안정성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전자장비(이하, '압력방폭부')는 각종 전자기기와 이를 둘러싸는 하우징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 내부는, 전자기기와 이를 둘러싸는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데, 도 1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2707 "압력방폭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로 등록받은 바 있습니다. 선박은, 수많은 압력방폭부를 탑재하고 있고 해양에서 운항되기 때문에, 각종 폭발이나 화재로부터 충분히 보호되어야 한다. 그러나, 선박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폭발성가스는 압력방폭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압력방폭부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등으로 인해 각종 폭발사고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탑재하는 압력방폭부는 방폭기능을 탑재하도록 요구되고 있고, 도 1에 도시된 출원인의 특허도 그와 같은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물론, 방폭기능을 요구하는 압력방폭부는 선박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도 2는 종래의 방폭가압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방폭가압장치는, 에어스플라이어(5)로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퍼지컨트롤러와 연동하여 압력방폭부(2)의 방폭공간(S)내의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퍼징을 수행하는 자동온오프밸브(41)와 방폭공간(S)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동니들밸브(43)로 이루어진 밸브부(4)와, 상기 압력방폭부(2)의 출구(25)에 위치하며 배출되는 에어의 유량이나 방폭공간내의 양압을 측정하는 측정부(6)와, 상기 측정부의 신호를 받아 밸브부(4)를 제어하는 퍼지컨트롤러(1)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스플라이어(5)는 소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며, 상기 밸브부(4)의 자동온오프밸브(41), 방폭공간(S) 내부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수 있는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하는 동작(이하, '퍼징'이라 함)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 개방되어 에어스플라이어(5)에서 공급된 에어를 압력방폭부(2)의 방폭공간(21)내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자동온오프밸브(41)는 퍼지컨트롤러(1)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온오프동작만을 수행할 뿐 에어의 유량을 조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퍼징이 필요한 압력방폭부 이외의 다른 장치 등에서 에어의 사용여부에 따라 퍼징이 필요한 압력방폭부에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이나 유량이 변동되므로, 방폭기능이 필요한 압력방폭부는 원활한 퍼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항상 기준치 이상의 에어량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과도한 에어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6)은, 방폭공간(S)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63)와 압력방폭부의 출구(25)에서의 에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61)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측정센서(63)는 압력측정튜브(631)의 일단이 방폭공간(S)내로 연장되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 처럼, 유량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또는/및 압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퍼징동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 판단하여 시스템 전체를 다시 셋팅한 후 다시 퍼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퍼징동작이 진행중일 때는, 전원스위치(3)는 오프되어 있어서 전자기기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압력방폭부의 운영은 중단된다.
그리고, 퍼징동작이 원활히 마무리되면 상기 자동온오프밸브(41)는 닫히고 상기 수동니들밸브(43)은 수동으로 개방된다. 상기 수동니들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방폭공간(S)내부의 압력을 외부 압력에 비해 일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유지하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높도록 유지하는 동작(이하, '가압'이라 함)을 수행한다. 그 압력의 차이를 통상 양압이라 한다. 가압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측정부의 압력측정센서(63)는 양압을 측정하여 양압을 측정하고 유량측정센서(61)는 유량을 측정하여, 퍼지컨트롤러(1)에 전달한다. 가압동작을 수행할 때는, 퍼지컨트롤러(1)는 전원스위치(3)를 제어하여 온동작으로 스위칭하여 전자기기(21)에 전원을 공급하여 압력방폭부(2)를 운영상태로 전환한다. 양압 및/또는 유량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퍼지컨트롤러(1)는 해당 압력방폭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압력방폭부의 운행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작업자는 수동으로 수동니들밸브를 조작하여 내부의 양압이나 유량을 기준치로 셋팅한 후 다시 가압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처럼, 가압동작 과정에서 압력이나 유량에 문제가 발생하면 압력방폭부의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압력방폭부의 운영의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압력방폭부(2)는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23)와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25)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어서, 입구와 출구가 위치하는 방향에 각각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특히, 좁은 공간내에 많은 장비가 탑재되는 선박의 경우에는, 압력방폭부의 설치/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
상기 퍼지컨트롤러도 내부에 회로기판과 같은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압력방폭부로 분류된다. 다만, 내부의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함으로서 방폭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이나 폭발을 유발하는 스파크 등이 외부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내압방폭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퍼지컨트롤러는 내압방폭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내부의 폭발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방폭기능이 훼손되어 내압방폭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2707 "압력방폭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본 발명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화투시부을 구비하여 내압방폭기능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내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관찰할 수 있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화투시부을 커버에 밀착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강화투시부가 커버부에 밀착되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의 일정 폭을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응력집중에 의해 강화투명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압수단을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환형의 링으로 함으로서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의 일정 폭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서, 충격이나 내부폭발에 대한 보다 높은 방폭성능을 제공하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틀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퍼징동작시 측정된 방폭공간내에서의 압력 및/또는 출구에서의 에어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방폭공간내의 압력과 유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징동작시, 출구에서 측정된 에어유량 및/또는 압력에 기준하여 유입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과도한 에어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압동작시, 압력방폭부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유량 및/또는 압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장비의 운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와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가 같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폭공간내로 에어공급라인을 연장하고 에어분사노즐이 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방폭공간내에서 에어가 출구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퍼징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장비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와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가 같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방폭공간내로 에어공급라인을 연장하고 에어분사노즐이 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방폭공간내에서 에어가 출구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퍼징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장비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시가능하면서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을 견딜 정도의 소재로 된 강화투시부와, 상기 강화투시부의 상측을 투시가능하도록 덮고 있는 커버부와, 상기 강화투시부의 하측에서 강화투시부를 상기 커버부를 향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강화투시부와 가압부를 내장하되 기밀스럽게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는 관통홀을 규정하는 연장플랜지와, 상기 연장플랜지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부결합면을 포함하며,상기 가압부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은 상기 커버부의 내부결합면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강화투시부를 상기 커버부와 가압부사이에 위치시킨 뒤 상기 가압부를 커버부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강화투시부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서 균일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장플랜지는 관통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압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 상기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부의 가압면이 상기 커버부의 가압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강화투시부는 자력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는 관통홀을 가진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은 상기 가압부의 관통홀을 에워싸면서 외측으로 일정 폭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퍼지컨트롤러는 회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부는 외부에서 상기 강화투시부를 통해 관찰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로부는 자석에 의해 조작가능한 마그넷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강화투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자석으로 장치의 온/오프, 설정값의 변경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로부는 퍼징단계와 가압단계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각종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퍼징단계에서,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유량과 양압의 측정값과 기준치를 대비하여, 측정된 유량이나 양압의 측정값이 기준치에 못 미치면, 자동유량조절수단의 개방률을 높이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에어유량을 증가시키고, 그 반대이면 개방률을 줄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서 에어유량을 감소시키며, 가압단계에서는, 퍼징시간이 종료된 후 가압단계로 진행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유량조절부와 스위칭부에 전송하여 자동유량조절부의 개방률을 줄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서 유량을 줄여 에어의 소모량을 절감하는 퍼지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력방폭부에 유체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자동유량조절부와, 상기 압력방폭부의 압력과 에어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와,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자동유량조절부를 제어하는 에어유량을 조절하는 퍼지컨트롤러와, 상기 압력방폭부의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상기 측정부는 압력방폭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와 압력방폭부의 출구에서의 에어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유량조절부는 퍼지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에어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압력방폭부의 방폭공간내의 압력 제어가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유량조절부는 스로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퍼지컨트롤러는 스위칭부가 퍼징동작에서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오프되고 그리고 가압동작에서는 전원공급을 허가하도록 온되도록 제어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본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상기 압력방폭가압장치에 의해 압력방폭되는 압력방폭부를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압력방폭부는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 입구와 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방폭공간, 상기 방폭공간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와 출구는 동일 면에 위치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하는 압력방폭가압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유량조절부에서 상기 압력방폭부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공급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분사방향이 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분사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출구가 위치하는 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동유량조절부에서 상기 압력방폭부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공급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상기 분사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출구가 위치하는 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다 높은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화투시부을 구비하여 내압방폭기능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내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관찰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화투시부을 커버에 밀착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강화투시부가 커버부에 밀착되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의 일정 폭을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응력집중에 의해 강화투명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압수단을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환형의 링으로 함으로서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의 일정 폭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서, 충격이나 내부폭발에 대한 보다 높은 방폭성능을 제공하는 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틀롤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퍼징동작시 측정된 방폭공간내에서의 압력 및/또는 출구에서의 에어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방폭공간내의 압력과 유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퍼징동작시, 출구에서 측정된 에어유량 및/또는 압력에 기준하여 유입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과도한 에어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압동작시, 압력방폭부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유량 및/또는 압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장비의 운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와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가 같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방폭공간내로 에어공급라인을 연장하고 에어분사노즐이 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방폭공간내에서 에어가 출구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퍼징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장비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와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가 같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방폭공간내로 에어공급라인을 연장하고 에어분사노즐이 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방폭공간내에서 에어가 출구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퍼징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장비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압력방폭기능을 가진 선박평형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압력방폭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압력방폭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력방폭가압장치의 압력방폭방법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방폭방법 중 퍼징단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압력방폭방법 중 가압단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방폭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퍼지컨트롤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퍼지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퍼지컨틀롤러부의 회로부의 블럭도.
도 11도 8에 도시된 퍼지컨틀로러의 단면도.
도 12은 퍼지컨트롤러의 커버의 단면도.
도 13는 가압수단의 단면도
도 14은 퍼지컨트롤러의 구성요소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압력방폭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보하여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에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방폭가압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력방폭가압장치는 압력방폭부(2)에 유체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자동유량조절부(4)와, 상기 압력방폭부의 압력과 에어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6)와,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자동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에어유량을 조절하는 퍼지컨트롤러(1)와, 상기 압력방폭부의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칭부(3)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방폭가압장치는, 에어를 에어스플라이어(5)로부터 자동유량조절부(4)를 거쳐 압력방폭부(2)에 제공하여, 압력방폭부(2) 내부의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킨 후(즉 퍼징단계를 진행한 후) 압력방폭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에어를 내부로 공급하여 내부와 외부이 압력차이를 소정의 양압으로 유지함으로서(예컨데, 50Pa) 폭발성 가스의 압력방폭부(2)의 방폭공간(S)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다(즉 가압단계를 진행한다). 퍼징단계에서 출구에서의 에어유량이나 양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에어유량을 증가시키고, 기준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반대로 에어유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가압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에어스플라이어(5)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퍼징단계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고, 가압단계에서도 출구에서의 에어유량이나 양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서도 압력방폭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양압을 일정 기준치 범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압력방폭부는 내부에 전자기기(21)와 방폭공간(S)을 포함하는 장치를 지칭하며, 도 1에 도시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일 수 있다. 선박평형수처리장치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포함하며, '자외선 살균장치'는 선박평형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므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선박평형수처리장치의 작동 중단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본원발명에서 처럼, 가압단계에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서, 선박평형수처리장치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이는 선박평형수처리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후 니들밸브를 새롭게 셋팅하고 재 전원공급 과정을 통해 처리장치를 운영했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높은 장치의 운영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운영효율성'이라 함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선박평형수 처리가 중단되어 선박의 운영에 차질을 유발했던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향상된 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나아가 선박의 운영의 효율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앞서 본 '기준치'는 퍼징단계와 가압단계에서 바람직한 운영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는 물리적 수치를 의미하며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값을 의미한다. 본원에서는 '에어'의 '양압' 및 /또는 '유량'에 대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압'은 압력방폭부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과의 양의 차이값을 의미한다.
상기 자동유량조절부(4)는 에어스플라이어(5)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압력방폭부(2)로 전송, 전송의 차단, 전송되는 에어의 유량 조절을 하도록 압력방폭부(2) , 특히 압력방폭부의 입구(23)에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동유량조절부는 통상 배관을 통해 압력방폭부(2)의 입구에 유체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유량조절부(4)는 상기 퍼지컨트롤러(1)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전동으로 에어의 전송/차단/ 유량 조절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전동식 밸브로서, 바람직하게는 전동식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유량조절부(4)는 퍼징단계에서는 양압이 대략 2mbar이 되도록 대략 80% 정도 개방되고, 가압단계에서는 대략 0.52mbar(50Pa)이 되도록 10% 정도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6)은, 압력방폭부의 출구(25)에 위치하여 출구로 배출되는 에어의 유량 및/또는 압력방폭부 내부의 양압을 측정하여 퍼지컨트롤러(1)로 전송하는데, 유량측정센서(61)와 압력측정센서(63)를 포함한다.상기 유량측정센서(61)은 그 일단이 출구(25)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측정프로브(611)를 포함하여 출구로 유출되는 에어의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압력측정센서(631)는 그 일단이 방폭공간(S)내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방폭공간(S)의 양압을 측정하게 된다. 통상, 에어의 유량이 증가/감소하면 양압도 함께 비례해서 증가/감소하지만, 이물질로 인한 출구가 막히거나 좁아지면 유량은 줄지만 양압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유량측정센서와 압력측정센서를 이중으로 구비하여 이상 현상을 감지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퍼징단계에서는 자동유량조절수단이 상당 부분 개방되므로 측정된 유량과 양압이 높은 반면, 가압단계에서는 개방 정도가 낮아서 측정된 유량과 양압이 낮은 값을 보이게 된다.
도 8 내지 14는 퍼지컨트롤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퍼지컨트롤러(1)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자동유량조절부나 스위칭부(3)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한다. 상기 퍼지컨트롤러(1)는, 커버부(10), 강화투시부(11), 가압부(12), 회로부(13),베리어부(14), 지지부(16)와 하우징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중앙에서 내측으로 외주를 따라서 돌출되어 관통홀(101a)을 규정하는 연장플랜지(101), 상기 연장플랜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확경되어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내측결합면(102), 상기 내측결합면(102)의 하측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외측결합면(103)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플랜지, 내측결합면, 외측결합면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연장플랜지(101)는 중앙에 관통홀(101a)을 포함하면서 중앙으로 연장되면서 단턱을 거쳐 제1가압면(101b)을 이루도록 형성된다.상기 제1가압면(101b)은 단턱으로부터 일정 길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상기 내측결합면(102)은 연장플랜지의 제1가압면(101b)의 일측에서 아래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내측면인데, 그 일정 길이에 걸쳐 나사산(102a)이 형성되어 있다.나사산(102a)은 후술하는 가압부와 나사체결되어 강화투시부를 가압면을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내측결합면(102)은 가압부(12)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된다.
상기 외측결합면(103)은 내측결합면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연장플랜지(101)의 일측으로 이어지는 외측면으로서, 일정 길이에 걸쳐 형성된 나사산(103a)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103a)은 후술하는 하우징부(17)와 결합된다.
상기 강화투시부(11)는, 자력 투과성을 가지면서 투명하면서도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력에서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소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해야 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후술하는 회로부의 디스플레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며, 자력투과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회로부의 조작부를 자석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압부(12)는 상기 강화투시부를 커버부의 제1가압면에 균등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진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가압면(122)과 가압면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면(121)을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면(122)은 관통공(123)을 둘러싸면서 일정 폭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면으로서 상기 강화투시부(11)의 외주면에 접하는 면이다. 상기 외측면(121)은 상기 가압면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면으로서 나사산(121a)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121a)는 앞서 본 커버부의 내측결합면의 나사산(101a)과 나사결합을 하면서, 상기 제2가압면(122)이 강화투시부를 커버부의 제1가압면(101b)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강화투시부가 커버부에 균일하게 접하게 되어, 충격에 의해 파손, 내부 폭발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12)는 제2가압면 상에 위아래로 관통하는 결합공(1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24)은 공구를 삽입하여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부를 커버상에 나사결합함과 동시에 강화투시부(11)를 커버의 가압면(101b)상에 균일하면서도 기밀스럽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회로부(13)는 인터페이스(131)와 회로기판(132,133)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131)는 자동유량조절부(4), 스위치(3) 등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31b)와 외부의 자석에 의해 조작가능한 마그넷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131a)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강화투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부(131b)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를 볼 수 있어서 압력방폭가압장치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자석을 근접시켜 마그넷스위치를 조작함으로서 가압장치의 설정값이나 작동모드 등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그넷스위치는 자력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회로기판(132,133)은 후술하는 지지부(16)의 수직 포스트(161)에 거치되어 있으며 도 9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기판(132,13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135), 제어부(136), 신호생성부(137)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35)는 자동유량조절부(4), 측정부(6), 스위칭부(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제어부(136)은, 퍼징단계와 가압단계에 걸쳐 가압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퍼징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36)는 측정부(6)로부터 수신한 유량과 양압의 측정값과 기준치를 대비하여, 측정된 유량이나 양압의 측정값이 기준치에 못 미치면, 자동유량조절수단의 개방률을 높이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에어유량을 증가시키고, 그 반대이면 개방률을 줄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서 에어유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설정된 퍼징시간을 카운팅하여 퍼징단계의 완료여부를 판단하며, 퍼징단계에서 유량 및/또는 양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처음부터 다시 퍼징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유량조절수단(4)과 스위칭부(3)로 전송한다. 퍼징단계에서는 압력방폭부(2)의 전자기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스위칭부(3)를 제어하게 된다.
가압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136)는 퍼징시간이 종료된 후 가압단계로 진행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유량조절부(4)와 스위칭부(3)에 전송하여 자동유량조절부(4)의 개방률을 줄여서 유량을 줄여 에어의 소모량을 절감한다. 또한, 압력방폭부(2)의 전자기기(2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부(3)를 제어하는 신호를 스위칭부(3)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생성부(137)는 제어부(136)의 제어하에, 퍼징단계와 가압단계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베리어부(14)는 퍼지컨트롤러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위험한 수위의 전기적 에너지가 외부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지된 구성이다. 상기 베리어부(14)는 측정부, 자동유량조절부에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나 전원을 대상으로 하는 베리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는 수직 포스트(161)와 지지판(16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포스트(161)는 그 상측 끝단에는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132,133)이 거치되고 그 반대편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부의 바닥에 나사결합되어 회로기판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162)은 하우징부의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평평한 평판(162a)과 상측으로 일정 길이 고리형태로 돌출된 결합레일(162b)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레일(162b)는 평판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리형태를 띄고 있어서 베리어(14)의 하단의 내측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베리어(14)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부(17)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앞서 본 구성요소들을 수납하면서 상측에서는 커버부(10)와 결합되어 완전히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여 내압방폭기능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부(17)는 측면에 각종 전선이 인입/인출되는 인출입구(17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측의 끝단에는 그 내주면상에 나사산(172)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4를 참조하며, 퍼지컨트롤부(1)의 결합관계를 서술한다. 강화투시부(11)를 커버부(10)의 가압면(101b)에 위치시키고, 그 반대편에는 가압부(12)를 커부버(10)내에 위치시킨 뒤, 가압부의 나사산(121a)을 커버부의 나사산(102a)에 나사체결한 다음 소정의 공구(미도시)를 결합공(124)에 삽입한 후, 회전시켜 가압부(12)를 커버부(10)의 가압면(101b)을 향해 가압한다. 이와 같은 가압과정을 통해, 가압부(12)의 가압면(122)과 커버부의 가압면(101b)이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충격 또는 내부 폭발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강화투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회로부(13)와 베리어부(14)를 지지부(16)에 고정하고 커버부의 외부결합면(103)의 외부나사산(103a)과 하우징부(17)의 나사산(172)과 결합하여 커버부와 하우징부 사이를 기밀스럽게 결합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3)는 압력방폭부(2)의 전자기기(2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로서, 앞서 본 퍼지컨트롤러(1)에 의해 제어된다. 퍼징단계에서는 전원이 차단되고, 가압단계에서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압력방폭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의하면, 압력방폭방법은, 압력체크단계(S1), 퍼징단계(S3), 가압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체크단계(S1)는 압력방폭부(2)의 방폭공간(S)내부의 압력을 체크하는 단계이다. 퍼징시 공급할 에어 유량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퍼징단계(S3)는, 자동유량조절수단(4)의 개방률을 높여서 내부의 폭발성 가스를 강제 배출시킬 정도의 압력을 형성하는 유량의 에어를 압력방폭부(2)의 입구(23)를 통해 공급한다. 상기 퍼징단계(S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퍼징단계(S31)와 제2퍼징단계(S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퍼징단계(S31)는 상기 퍼지컨트롤러(1)의 제어하에 제2퍼징단계를 진행하기 위해 과도적으로 진행되는 단계로서 자동유량조절수단(4)를 소량 개방하여 적은 유량의 에어가 소정시간 동안 방폭공간(S)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워밍업단계이다. 이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측정부(6)는 유량 및/또는 양압을 측정하여 퍼지컨트롤러(1)로 전송하고, 퍼지컨트롤러(1)의 제어부는 측정된 유량 및/또는 양압이 설정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제2퍼징단계(S33)로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족하면, 제2퍼징단계(S33)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퍼징단계를 반복한다. 제1퍼징단계에서는 자동유량조절부의 개방률이 통상 10%정도이고 양압이 0.52mbar 정도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스위칭부(3)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2퍼징단계(S33)는 퍼지컨트롤러(1)가 자동유량조절부(4)의 개방율을 급격하게 올려 공급 유량을 증가시켜 방폭공간(S)내의 압력을 상승시켜 높은 양압을 형성하게 하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을 통해 대부분의 폭발성 가스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된다. 통상, 80%정도 개방되며 양압은 2mbar 정도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2퍼징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퍼지컨트롤러(1)의 제어부는 측정부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점검하면서 해당 측정값이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치 이하라면 자동유량조절부의 개방률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기준치 이상이면 자동유량조절부의 개방률을 줄이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자동유량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어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에어량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퍼지컨트롤러(1)의 제어부는 퍼징단계를 감시하다가 소정의 퍼징시간동안 원하는 수준의 퍼징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면 가압단계(S5)를 진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유량조절부(4)와 스위칭부(3)에 전송한다. 스위칭부는 압력방폭부의 전기기기(2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스위칭되고, 자동유량조절부(4)는 개방률을 줄이도록 제어되는 가압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가압단계(S5)는 방폭공간의 양압이 소정의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유량이 조절되는데, 퍼징단계에 비해 적은 양압/유량으로 진행된다. 통상, 0.52mbar 정도의 양압이 유지되도록 기준치가 설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단계는 기준양압 형성단계(S51), 기준양압확인단계(S53), 기준양압유지단계(S55)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양압형성단계(S51)는 방폭공간에 일정 유량의 에어를 공급하여 내부에 설정된 기준치의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양압확인단계(S53)는 가압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설정된 기준치의 양압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퍼지컨트롤러(1)의 제어부가 측정부(6)로부터 전송되는 측정값을 기준으로 내부의 양압을 연산하여 양압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양압 유지단계(S55)는 양압이 기준치를 만족하면 자동유량조절부(4)의 개방률을 그대로 유지하고 그렇지 않다면 자동유량조절부(4)의 개방률을 줄이거나 늘임으로서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여 내부의 양압을 기준치에 근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도 내부의 양압을 항상 기준치를 만족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서 압력방폭부를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압력방폭부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인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살균장치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살균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서, 선박평형수처리장치, 나아가 선박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본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압력방폭부를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방폭부(2)는 전자기기(21), 전자기기를 둘러싸는 방폭공간(S), 이들을 에워싸는 하우징(27),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23)과 출구(2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입구(23)과 출구(25)는 하우징(27)의 동일면에 형성된다.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23)와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25)가 같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선박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나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라인(7)이 그 일측은 자동유량조절부의 출구에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71)은 하우징(27)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한 뒤 에어분사노즐(71a, 71b, 71c)이 출구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방폭공간내에서 에어가 출구방향으로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퍼징동작 시간을 줄여 전원 차단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장비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공급라인의 타측(71)은 출구가 위치하는 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분사노즐(71a, 71b, 71c)은 출구(25)와 같은 레벨로 하나가 배치되고 나머지는 그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지만,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다양한 변경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해석된다.

Claims (22)

  1. 내부에서 발생한 폭발을 견디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강화투시부, 상기 강화투시부의 상측을 투시가능하도록 덮고 있는 커버부, 관통홀을 가진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화투시부의 하측에서 강화투시부를 상기 커버부를 향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강화투시부와 가압부를 내장하되 기밀하게 상기 커버부와 결합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강화투시부의 일측에서 상기 강화투시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고, 관통홀을 규정하며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가압면을 가지는 연장플랜지와, 상기 연장플랜지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가압부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강화투시부의 타측에서 상기 내측결합면과 나사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는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일면 상의 대칭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를 관통형성하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상기 강화투시부를 상기 커버부와 가압부 사이에 위치시킨 뒤 상기 가압부를 커버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강화투시부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서 균일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투시부는 자력투과성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가압부의 관통홀을 에워싸면서 외측으로 일정 폭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강화투시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면을 포함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면이 상기 커버부의 내측결합면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가압부가 커버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가압부의 제2가압면과 상기 커버부의 제1가압면이 상기 강화투시부를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컨트롤러는 회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부는 외부에서 상기 강화투시부를 통해 관찰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컨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자석에 의해 조작가능한 마그넷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강화투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자석을 사용하여 조작가능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퍼지컨트롤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압력방폭부 내부의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고 압력방폭부 내부의 양압을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압력방폭부 내부의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과정에서,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유량과 양압의 측정값과 기준치를 대비하여, 측정된 유량이나 양압의 측정값이 기준치에 못 미치면, 상기 압력방폭부에 유체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자동유량조절부의 개방률을 높이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에어유량을 증가시키고, 그 반대이면 개방률을 줄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서 에어유량을 감소시키며,
    압력방폭부 내부의 양압을 유지하는 과정에서는, 강제 배기가 종료된 후 가압단계로 진행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유량조절부와 스위칭부에 전송하여 자동유량조절부의 개방률을 줄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서 유량을 줄여 에어의 소모량을 절감하는 퍼지컨트롤러.
  9. 압력방폭부에 유체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자동유량조절부와,
    상기 압력방폭부의 압력과 에어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자동유량조절부를 제어하는 에어유량을 조절하는 제1항 내지 제2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퍼지컨트롤러와,
    상기 압력방폭부의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압력방폭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와 압력방폭부의 출구에서의 에어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자동유량조절부는 퍼지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에어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압력방폭부의 방폭공간 내의 압력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유량조절부는 스로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컨트롤러는 스위칭부가 압력방폭부 내부의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오프되고, 압력방폭부 내부의 양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허가하도록 온되도록 제어하는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
  15. 제14항의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상기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에 의해 내부의 폭발성 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는 압력방폭부를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방폭부는 에어가 유입되는 입구, 에어가 유출되는 출구, 입구와 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방폭공간, 상기 방폭공간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와 출구는 동일 면에 위치하는 압력방폭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유량조절부에서 상기 압력방폭부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공급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분사방향이 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압력방폭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유량조절부에서 상기 압력방폭부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공급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분사방향이 압력방폭부의 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압력방폭부의 출구가 위치하는 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압력방폭시스템.

















KR1020190172896A 2019-12-23 2019-12-23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KR10234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96A KR102345294B1 (ko) 2019-12-23 2019-12-23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96A KR102345294B1 (ko) 2019-12-23 2019-12-23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481A KR20210081481A (ko) 2021-07-02
KR102345294B1 true KR102345294B1 (ko) 2022-01-03

Family

ID=7689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896A KR102345294B1 (ko) 2019-12-23 2019-12-23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2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2687A1 (de) 2003-12-16 2005-07-07 Ksb Aktiengesellschaft Explosionsgeschütztes gehäuse
JP2007018046A (ja) * 2005-07-05 2007-01-25 Idec Corp 防爆装置
KR101008327B1 (ko) * 2010-09-06 2011-01-13 드림테크 주식회사 방폭형 컴퓨터 시스템
KR101407978B1 (ko) * 2013-02-08 2014-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367Y2 (ja) * 1993-06-30 2000-10-23 和泉電気株式会社 耐圧防爆形スイッチ
JPH1187941A (ja) * 1997-09-05 1999-03-30 Hitachi Denshi Ltd 防爆容器
KR101412707B1 (ko) 2012-09-03 2014-06-30 주식회사 파나시아 압력방폭구조를 갖는 밸러스트수 자외선 처리장치
KR102271156B1 (ko) * 2017-08-03 2021-07-0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2687A1 (de) 2003-12-16 2005-07-07 Ksb Aktiengesellschaft Explosionsgeschütztes gehäuse
JP2007018046A (ja) * 2005-07-05 2007-01-25 Idec Corp 防爆装置
KR101008327B1 (ko) * 2010-09-06 2011-01-13 드림테크 주식회사 방폭형 컴퓨터 시스템
KR101407978B1 (ko) * 2013-02-08 2014-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방폭 설비용 공기압 유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481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294B1 (ko) 개선된 내압방폭기능을 가진 퍼지컨트롤러와 이를 가진 압력방폭가압장치
KR102345293B1 (ko) 자동압력보정이 가능한 압력방폭가압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압력방폭시스템
KR101752878B1 (ko) 기능성 소화전
KR20170140566A (ko)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CN203447064U (zh) 电饭煲
KR101961472B1 (ko) 압축공기 잔존여부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수계소화설비의 압력챔버
KR101106703B1 (ko) 가압가스 누설에 의한 누설 압력상승 방지밸브를 장착한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KR20180032993A (ko) 폼액 자동 혼합장치가 구비된 펌프소방차
KR20160144758A (ko)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KR101319451B1 (ko) 수소 저장 합금의 압력-조성 등온선의 측정시스템
CA1109944A (en) Safety apparatus for stopping gas leakages
KR101547511B1 (ko) 전력용 변압기의 oltc 실린더 내 가스배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087773B1 (ko) 액체 혼합 공급장치
KR200408745Y1 (ko) 탄산가스 용접장치의 탄산가스 유량제어기
KR101084382B1 (ko) 무대 연출용 가스 분출 장치
KR20180071628A (ko) 동력 분무기용 레귤레이터
KR200302861Y1 (ko) 가스 충전 장치
KR100403311B1 (ko) 브라운 가스 역화 제거장치 및 방법
CN220512690U (zh) 门体结构和烹箱
KR102671473B1 (ko) 방폭 기능이 구비된 반도체 장비의 케미컬 공급 장치
KR101636939B1 (ko) 탈이온수를 이용한 미분무 소화설비
KR100943771B1 (ko) 플로미터유닛을 갖춘 용접기용 와이어 피더
KR101673947B1 (ko) 가스처리장치 및 가스처리방법
JP7451749B2 (ja) 燃料ガス充填装置
KR200365531Y1 (ko) 압축 가스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