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101B1 -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101B1
KR102345101B1 KR1020210088819A KR20210088819A KR102345101B1 KR 102345101 B1 KR102345101 B1 KR 102345101B1 KR 1020210088819 A KR1020210088819 A KR 1020210088819A KR 20210088819 A KR20210088819 A KR 20210088819A KR 102345101 B1 KR102345101 B1 KR 10234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bundle
crimping
roll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대성
정상권
Original Assignee
정대성
정상권
(주)대성전자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성, 정상권, (주)대성전자통신 filed Critical 정대성
Priority to KR102021008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1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63Tying, wrapping, binding, lacing, strapping or sheathin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A wire harness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ression part for forming a terminal by compressing a terminal member supplied continuously to an end part of a cable bundle; a guide rail arranged from a supply part to the compression part; and a transporting par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nd transporting the cable bundle from an external supply device to the compression part. The transporting part includes: a movement part for moving on the guide rail; a rotation part arranged on top of the movement part and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lipping part arranged on top of the rotation part to clip the cable bundle and including a roller part for moving the cable bund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contact surface with the cable bundle; a photographing part for photographing, in a band including an infrared region, the end part of the cable bundle rotated by a certain angle by the rotation part after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part; and a task status determining part for determining the task status of the compressed end part of the cable bund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part. Therefore, provided is a wire harness compressing device, wherein one proces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maximally.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압착 공정의 양호도를 감지하는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mping device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a crimping process of a wire harness.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이나 전자제품의 부품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 하네스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케이블로 구성된 케이블번들과, 상기 케이블번들의 전후단에 결합된 커넥터로 구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호 연결할 전자제품 또는 부품에 결합하여 전자제품이나 부품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cable harness used to interconnect electronic products or components of electronic products is composed of a cable bund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ble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connector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able bundle,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o electronic products or components to be interconnected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products or components or to supply power to electronic products or components.

이때, 상기 케이블번들의 케이블은 상호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측면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ables of the cable bundle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to each other, so that the side surfaces are interconnected.

그리고, 상기 케이블번들의 폭이나 케이블번들을 구성하는 케이블의 개수, 길이, 그리고, 케이블번들의 양단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형태는 케이블 하네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able bundle, the number and length of cables constituting the cable bundle, and the shape of the connecto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able bundle ar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able harness.

한편, 일반적인 전자장치에는 USB 커넥터나, HDMI커넥터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단자부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general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terminal unit for connecting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such as a USB connector or an HDMI connector.

그런데, 최근에 개발되는 전자장치는 점차 소형화 또는 슬림화가 됨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단자부를 설치할 공간부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recently developed electronic devices are gradually reduced in size or slim,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terminal unit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단자부를 전자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케이블 하네스를 이용하여 본체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method of separating the terminal unit from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unit using a cable harness has been used.

이때, 상기 케이블 하네스의 케이블번들은 일반적인 동선케이블로 구성되어, 커넥터에 연결되는 외부장치와 본체 사이의 데이터통신과, 외부장치의 전원공급을 담당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able bundle of the cable harness is composed of a general copper wire cable, and is responsibl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main body and power supply of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번들을 공급받아 해당 케이블 번들의 양 단부측에 터미널 부재를 압착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하나의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관련 구성부들의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performing one process in relation to a device for crimping a terminal member on both end sides of a cable bundle by receiving a cable bundle and reducing the number of related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번들의 양단에 압착 형성되는 터미널의 품질의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리가 가능한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capable of judging the quality of terminals crimped on both ends of a cable bundle and efficiently separating them according to the judging status.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는 케이블 번들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 부재를 압착하여 터미널을 형성하는 압착부;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압착부까지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번들을 외부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압착부까지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imping unit for forming a terminal by crimping a terminal member continuously supplied to an end of a cable bundle; and a guide rail provided from the supply unit to the compression unit. Containing; and a transfer unit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transfers the cable bundle from the external supply device to the compression unit.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구비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하고, 상기 케이블 번들과의 접촉면에 상기 케이블 번들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구비하는 클리핑부; 및 상기 압착부에 의하여 압착된 후 상기 회전부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된 케이블 번들의 단부를 적외선 영역을 포함하는 대역에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케이블 번들의 압착된 단부의 작업 상태를 판정하는 작업상태 판정부;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moving unit moving on the guide rail; a rotat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unit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lipping part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 to clip the cable bundle and having a roller part on a contact surface with the cable bundle to move the cable bund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end of the cable bundl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ng unit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crimping unit in a band including an infrared region; and a working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working state of the crimped end of the cable bund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또한 상기 상태 판정부는 압착된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의 외관 영상을 통하여 1차 품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perform a primary quality inspection through the appearance image of the crimped end of the cable bundle.

또한 상기 상태 판정부는 적외선 영역에서의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의 영상을 통하여 상기 터미털 부재와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에 노출된 코어의 온도차를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차가 적을 수록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predic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member and the core exposed at the end of the cable bundle through the image of the end of the cable bundle in the infrared region, and determine that the product is a good product as the predicted temperature difference is small.

또한 상기 클리핑부는, 상기 회전부 상에 구비되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제1 롤러부를 구비하는 하부 클리핑부; 상기 하부 클리핑부와의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승강하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제1 롤러부에 대응하는 제2 롤러부가 형성되는 상부 클리핑부; 및 상기 제1 롤러부 및 상기 제2 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스텝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ipping unit may include: a lower clipping unit provided on the rotating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 first roller unit thereon; an upper clipping part elevating so as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lower clipping part and a second roller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ller part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first step motor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상기 외부 공급장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롤러부의 배열 방향을 상기 케이블 번들의 공급방향에 맞추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moving unit to the external supply device, and control the rotating unit to matc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oller unit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cable bundle.

상기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 하도록 상기 크리핑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압착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가 상기 압착부측으로 배열되도록 제어하는 압착 대기 프로세스, 상기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를 압착 가공한 후 상기 상기 회전부를 180도 회전 제어하면서 상기 제1 단부를 밀어내도록 상기 롤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단부의 타측인 제2 단부를 상기 압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전환 프로세스 및 양 단부가 터미널 부재로 압착된 케이블 번들을 외부 저장소 측으로 릴리즈하도록 상기 롤러부를 제어하는 배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a crimp waiting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reeping part to clip the cable bundle, and controlling the first end of the cable bundle to be arranged toward the crimping part after moving the moving part to the crimping part; crimping the first end of the cable bundle After processing, a conversion process of moving the second e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nd, to the pressing unit side by controlling the roller unit to push the first end while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by 180 degrees, and both ends are terminal members An eje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hat controls the roller portion to release the crimped cable bundle to the external storage side.

또한 각각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프로세스에 의하여 배출되는 케이블 번들이 안착되어 케이블 저장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판정부에 의하여 품질이 양품과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에 구분 배출되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It also includes a;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each formed in a inclined plate shape, the cable bundle discharged by the discharging process is seated and guided to slide to the cable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quality is determined to be good and defective, the rotating unit and the mo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separately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unit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는 케이블 번들을 공급받아 해당 케이블 번들의 양 단부측에 터미널 부재를 압착하는 공정에 관여하는 장치의 수 및 그 차지하는 부피가 적고 하나의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a cable bundle so that the number of devic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rimping the terminal members on both ends of the cable bundle and the volume occupied are small and one proces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는 케이블 번들의 양단에 압착 형성되는 터미널의 품질의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terminals crimped on both ends of the cable bundle and efficiently sepa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tatu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의 구성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there is a specific definition or reference, the terms indicating the direction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state indicat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members throughout each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have an exaggerated thickness or dimens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actually be configured in a ratio between the corresponding dimensions or component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10)는 압착부(50) 및 이송부(100)를 포함한다.The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imping unit 50 and a transfer unit 100 .

압착부(50)는 케이블 번들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 부재를 압착하여 터미널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압착부(50)는 압착 공정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압착 베이스(55)와 릴(59)로부터 권출되는 터미널 부재(591)를 이용하여 이송부(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케이블 번들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 프레스(53)를 포함한다.The crimping unit 50 is a component for forming a terminal by crimping the terminal member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nd of the cable bundle. The crimping unit 50 presses the end of the cable bundle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100 using the crimping base 55 and the terminal member 591 unwound from the reel 59, which form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rimping process. and a compression press 53 .

압착부(50)는 종래의 다양한 타입 및 다양한 케이블 번들을 압착하기 위한 장치들이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The crimping unit 50 is applicable to all conventional devices for crimping various types and various cable bundles,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이송부(100)는 이와 같은 압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의 케이블 번들 공급장치로부터 케이블 번들을 전달받아 압착부(50)로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부(100)는 케이블 번들의 양 단부를 가공하기 위하여 케이블 번들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한 후 압착 공정 후 케이블 번들을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transfer unit 100 receives the cable bundle from an external cable bundle supply device and transfers it to the compression unit 50 in order to perform this crimping process.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100 controls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cable bundle to process both ends of the cable bundle, and then discharges the cable bundle to the outside after the crimping process.

이송부(100)는 총 4가지의 타입의 작동방법을 수행한다.The transfer unit 100 performs a total of four types of operation methods.

먼저, 이송부(100)는 가이드 레일(210)을 따라 이동(D1)하여 외부 케이블 번들을 공급하는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D2)되는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하여 다시 압착부(50)측으로 이송한다. 이 때 이송부(100)는 외부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위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송부(100)의 외측에 스텝 모터를 구비하여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210)는 상술한 공급부로부터 압착부(50)까지 구비되어 이송부(100)의 이송 경로를 제공한다.First, the transfer unit 100 moves along the guide rail 210 (D1) and clips the cable bundle supplied (D2) from the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the external cable bundle and transfers it back to the compression unit 50 side.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using an external hydraulic cylind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tep motor on the outside of the transfer unit 100 to move it in a rack and pinion manner. The guide rail 210 is provided from the above-described supply unit to the compression unit 50 to provide a transport path of the transport unit 100 .

이송부(100)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21, 123), 클리핑부(131, 133) 및 롤러부(1311, 1331)를 구비하여 추가적인 작동 방법을 수행한다.The transfer unit 100 also includes rotating units 121 and 123, clipping units 131 and 133, and roller units 1311 and 1331 as shown in FIG. 3 to perform an additional operation method.

클리핑부(131, 133)는 회전부(121, 123) 상에 구비되어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하는 기능을 한다. 클리핑부는 하부 클리핑부(131) 및 상부 클리핑부(133)를 구비하며, 하부 클리핑부(131)는 회전부(121, 123) 상에 구비되어 회전부 상부(12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며, 상부 클리핑부(133)는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부 클리핑부(131)와 상부 클리핑부(133)의 사이에 개재되는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한다.The clipping units 131 and 133 are provided on the rotating units 121 and 123 to clip the cable bundle. The clipping part includes a lower clipping part 131 and an upper clipping part 133, and the lower clipping part 131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s 121 and 123 and is fixed to rotate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upper part 123. , the upper clipping part 133 clips the cable bundl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lipping part 131 and the upper clipping part 133 while moving up and down.

한편, 하부 클리핑부(131)의 상부면과 상부 클리핑부(133)의 하부면에는 롤러부(1311, 1331)가 구비된다. 롤러부(1311, 1331)는 클리핑부(131, 133)의 케이블 번들과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하고, 제1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롤러를 회전시켜 클리핑된 케이블 번들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롤러부(1311)는 하부 클리핑부(131)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2 롤러부(1331)는 사부 클리핑부(133)의 하부에 구비된다. 재1 스텝모터(미도시)는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roller parts 1311 and 1331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lipping part 1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lipping part 133 . The roller units 1311 and 1331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lipping units 131 and 133 with the cable bundle to clip the cable bundle, and rotate the roller using the first stepper motor to move the clipped cable bund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ke it The first roller unit 1311 is provided above the lower clipping unit 131 , and the second roller unit 1331 is provided below the master clipping unit 133 . The first step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또한 회전부(121, 123)는 회전부 하부(121)와 회전부 상부(123)를 구비한다. 회전부 하부(121)는 이동부(110) 상에 구비되어 회전 시 회전되는 상부 구성들을 지지하고, 회전부 상부(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 하부(121) 상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부 상부(123)와 회전부 하부(121)는 슬립링 타입으로 구비되어 회전부 상부(12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부의 타 구성부들에게 제어신호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슬립링(slip ring)은 로터리 조인트, 로터리 커넥터등으로도 불리는 전기/기계적 부품으로, 회전하는 장비에 전원 또는 신호라인을 공급할때 전선의 꼬임없이 전달가능한 일종의 회전형 커넥터이다. 슬립링은 전력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회전을 요구하는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s 121 and 123 include a lower rotating part 121 and an upper rotating part 123 . The lower rotating unit 121 is provided on the moving unit 110 to support the upper components rotated during rotation, and the rotating unit upper 123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lower 1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rotate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part 123 and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part 121 are provided in a slip ring type to rotate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part 123 and supply control signals and power to other upper parts at the same time. A slip ring is an electrical/mechanical part also called a rotary joint or a rotary connector, and is a type of rotary connector that can be transmitted without twisting wires when supplying power or signal lines to rotating equipment. Slip rings can be used in devices that require rotation while transmitting power or signals.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할 제어부가 이송부(100)를 제어하여 수행하는 4가지 프로세스를 설명한다.Meanwhile, four processe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controlling the transfer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먼저, 이동부(110)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급장치 측으로 이동시키고, 롤러부(1131. 1331)의 배열 방향을 케이블 번들(BW)의 공급방향에 맞추도록 회전부를 제어하는 공급 대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케이블 번들(BW)이 공급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번들을 롤러부(1131, 1331) 사이에 클리핑한다. 케이블 번들(BW)을 클리핑 하도록 클리핑부(131, 133)를 제어하고, 이동부(110)를 압착부 측으로 이동시킨 후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EW)가 압착부측으로 정확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롤러부(1311, 1331) 제어하는 압착 대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EW)의 타측인 제2 단부(EW`)를 압착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자세를 전환시키는 전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프로세스는 회전부 상부(123)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EW)를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롤러부(1131, 1331)를 제어함으로써 수행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unit 110 is moved to the external supply device side, and the supply standby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tating unit to matc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oller units 1131. 1331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cable bundle BW is performed. can do. After that, when the cable bundle BW is supplied, the cable bundle is clipped between the roller parts 1131 and 1331 as shown in FIG. 6 . After controlling the clipping parts 131 and 133 to clip the cable bundle BW, and moving the moving part 110 toward the crimping part, the roller so that the first end EW of the cable bundle is arranged at the correct position toward the crimping part. Units 1311 and 1331 control the compression standby process. Next, as shown in FIG. 8 , a switching process of changing the posture is performed to move the second end EW′,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nd EW, toward the pressing uni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the switching process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roller parts 1131 and 1331 to rotate the upper part 123 of the rotat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push the first end EW of the cable bundle to the outside.

마지막으로 케이블 번들의 양 단부에 노출되는 케이블 코어가 터미널 부재로 압착된 후 케이블 번들을 외부 저장소 측으로 릴리즈되도록 롤러부(1131, 1331)를 제어하는 배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Finally, after the cable core exposed at both ends of the cable bundle is compressed with the terminal member, a discharge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ller parts 1131 and 1331 to release the cable bundle to the external storage may be performed.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의 구성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 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케이블 번들의 배출관련 구성으로서 경사부(221, 2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21, 223)는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술한 배출 프로세스에 의하여 배출되는 케이블 번들이 안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케이블 저장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한다. 경사부(221, 223)는 케이블 저장부의 수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상적인 품질을 갖는 케이블 저장부와 불량품이 저장되는 케이블 저장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각각 제1 경사부(221)와 제2 경사부(223)로 구분하여 안착된 후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경사부(221)와 제2 경사부(223) 사이에는 펜스(215)를 구비하여 낙하 지점을 구획할 수 있다. 이송부(100)가 회전 또는 이동하여 케이블을 배출함으로써 케이블이 안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a discharge-related configuration of the cable bundle, it may include inclined portions 221 and 223 . The inclined portions 221 and 223 are formed in a inclined plate shape, and the cable bundle discharged by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process is seated and guided to slide into a separately provided cable storage unit. A plurality of inclined portions 221 and 22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ble storage units. For example, a cable storage unit having a normal quality and a cable storage unit in which defective products are stored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1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2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inclined portion 221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223 to be guided after being seated. . A fence 21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art 221 and the second inclined part 223 to partition a fall point. The position at which the cable is seated can be adjusted by discharging the cable by rotating or moving the transfer unit 100 .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케이블 번들의 양단부 가공이 끝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하는 경우 제1 경사부(221)로 배출이 가능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가 이동한 후 케이블 번들을 배출하여 제2 경사부(223)에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fter the processing of both ends of the cable bundle is finished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conveying part rotates clockwise and discharges,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o the first inclined part 221 , as shown in FIG. As shown, after the transfer unit 100 moves, the cable bundle may be discharged to fall on the second inclined unit 223 .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회전부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된 케이블 번들의 단부를 적외선 영역을 포함하는 대역에서 촬영하는 촬영부(C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CAM)에서 촬영된 케이블 번들의 영상은 케이블 번들의 압착 공정의 품질 상태를 판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 it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CAM) for photographing the end of the cable bundl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above-described rotating unit in a band including an infrared region. The image of the cable bund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CAM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quality state of the crimping process of the cable bundle.

구체적으로 작업상태 판정부(미도시)는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케이블 번들의 압착된 단부의 작업 상태를 판정한다. 이 때 작업상태 판정부는 압착된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의 외관 영상을 통하여 1차 품질 검사를 수행하고, 적외선 대역의 영상을 통하여 케이블의 도선을 형성하는 코어와 압착 공정에 이용된 터미널 부재의 온도차 또는 색상차를 이용하여 두 부재 간의 온도차를 예측하고 온도차가 적을수록 압착 공정이 잘 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orking state determining unit (not shown) determines the working state of the crimped end of the cable bundl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t this time, the working state determination unit performs a primary quality inspection through the image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rimped end of the cable bundl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re forming the conductor wire of the cable and the terminal member used in the crimping process through the image of the infrared band 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mbers is predicted using the color difference, and the small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better the compression process can be determined.

즉,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공정이 끝난 후 회전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부(CAM)로 촬영한 이미지를 판정하여 양품인 경우 그대로 롤러부를 이용하여 케이블 번들을 제1 경사부(221)에 낙하시키고, 이 때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신규 케이블 번들을 공급받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업이 끝난 케이블 번들을 낙하시켜 제2 경사부(223)에 낙하시킴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That is, for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as shown in FIG. 11, after the crimping process is finished,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clockwise to determine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CAM). The second inclined part 223 is dropped by dropping the finished cable bundle in the process of moving to receive a new cable bundle again as shown in FIG. 12 when it is determined as a defective product at this time. ) to separate good and defective products and store them.

이후 압착공정이 끝난 케이블 번들은 하우징 등을 케이블의 양단부에 압착된 터미널에 씌우는 공정들을 추가할 수 있다.After the crimping process is completed, the cable bundle may add a process of covering the housing and the like to the crimped terminals at both ends of the cabl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ed in the claims. have.

100: 이송부
110: 이동부
121, 123: 회전부
131, 133: 클리핑부
1311, 1331: 롤러부
100: transfer unit
110: moving unit
121, 123: rotating part
131, 133: clipping part
1311, 1331: roller unit

Claims (6)

케이블 번들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터미널 부재를 압착하여 터미널을 형성하는 압착부; 및
상기 케이블 번들을 공급하는 외부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압착부까지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 번들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구비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하고, 상기 케이블 번들과의 접촉면에 상기 케이블 번들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구비하는 클리핑부; 및
상기 압착부에 의하여 압착된 후 상기 회전부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전된 케이블 번들의 단부를 적외선 영역을 포함하는 대역에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케이블 번들의 압착된 단부의 작업 상태를 판정하는 작업상태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판정부는 압착된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의 외관 영상을 통하여 1차 품질 검사를 수행하며,
상기 상태 판정부는 적외선 영역에서의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의 영상을 통하여 상기 터미널 부재와 상기 케이블 번들의 단부에 노출된 코어의 온도차를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차가 적을 수록 양품으로 판단하는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
a crimping unit for forming a terminal by crimping the terminal member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end of the cable bundle; and
a guide rail provided from an external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cable bundle to the compression unit;
and a conveying uni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nd conveying the cable bundle ;
The transfer unit,
a moving unit moving on the guide rail;
a rotat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unit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clipping part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 to clip the cable bundle and having a roller part on a contact surface with the cable bundle to move the cable bund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end of the cable bundl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ng unit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crimping unit in a band including an infrared region;
Containing; including;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performs a primary quality inspection through the appearance image of the crimped end of the cable bundle,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predict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member and the core exposed at the end of the cable bundle through the image of the end of the cable bundle in the infrared region, and determines that the less the predicted temperature difference, the better the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부는,
상기 회전부 상에 구비되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제1 롤러부를 구비하는 하부 클리핑부;
상기 하부 클리핑부와의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승강하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제1 롤러부에 대응하는 제2 롤러부가 형성되는 상부 클리핑부; 및
상기 제1 롤러부 및 상기 제2 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lipping part,
a lower clipping part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 first roller part thereon;
an upper clipping part elevating so as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lower clipping part and a second roller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ller part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including a; a first step motor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unit and the second roller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를 압착 가공한 후 상기 상기 회전부를 180도 회전 제어하면서 상기 제1 단부를 밀어내도록 상기 롤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단부의 타측인 제2 단부를 상기 압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전환 프로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상기 외부 공급장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롤러부의 배열 방향을 상기 케이블 번들의 공급방향에 맞추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공급 대기 프로세스,
상기 케이블 번들을 클리핑 하도록 상기 클리핑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압착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가 상기 압착부측으로 배열되도록 제어하는 압착 대기 프로세스,
상기 케이블 번들의 제1 단부를 압착 가공한 후 상기 상기 회전부를 180도 회전 제어하면서 상기 제1 단부를 밀어내도록 상기 롤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단부의 타측인 제2 단부를 상기 압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전환 프로세스 및
양 단부가 터미널 부재로 압착된 케이블 번들을 외부 저장소 측으로 릴리즈하도록 상기 롤러부를 제어하는 배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fter crimping the first end of the cable bundle, controlling the roller to push the first end while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by 180 degrees to move the second end,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nd, toward the crimping unit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switching process control;
The control unit is
A supply standby process of moving the moving part to the external feed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rotating part to matc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oller part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cable bundle;
a crimp waiting process of controlling the clipping unit to clip the cable bundle, and controlling the first end of the cable bundle to be arranged toward the crimping unit after moving the moving unit to the crimping unit;
After crimping the first end of the cable bundle, controlling the roller to push the first end while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by 180 degrees to move the second end,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nd, toward the crimping unit transition process and
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for performing a discharging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ller unit to release a cable bundle, both ends of which has been crimped with a terminal member, to an external storage side.
제5항에 있어서,
각각 경사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프로세스에 의하여 배출되는 케이블 번들이 안착되어 케이블 저장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판정부에 의하여 품질이 양품과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에 구분 배출되도록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와이어 하네스 압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each formed in a inclined plate shape and guiding the cable bundle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rocess to be seated and slid to the cabl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a wire harness crimp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ng unit and the moving unit so that when the quality is determined as good or bad by the state determin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units are separately discharged, respectively.
KR1020210088819A 2021-07-07 2021-07-07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KR102345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819A KR102345101B1 (en) 2021-07-07 2021-07-07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819A KR102345101B1 (en) 2021-07-07 2021-07-07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101B1 true KR102345101B1 (en) 2021-12-31

Family

ID=7917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819A KR102345101B1 (en) 2021-07-07 2021-07-07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1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753A (en) * 2012-08-30 2014-03-10 (주)오토테크코리아 Apparatus for flat cable manufacturing
KR101385860B1 (en) * 2013-03-13 2014-04-17 권승표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pressing of flat cable
JP2021009053A (en) * 2019-06-28 2021-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Terminal exterior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753A (en) * 2012-08-30 2014-03-10 (주)오토테크코리아 Apparatus for flat cable manufacturing
KR101385860B1 (en) * 2013-03-13 2014-04-17 권승표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pressing of flat cable
JP2021009053A (en) * 2019-06-28 2021-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Terminal exterior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099B1 (en)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CN106067646B (en) Electric wire alignment device, binding processing machine and electric wire alignment method
KR101753017B1 (en) Production device for wire harnes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2002000498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wiring harness
US3571890A (en) Wire-trimming and connector-crimping apparatus
WO2011158390A1 (en) Two crimped wire manufacturing device, two crimped wire manufacturing method, and two wire feeding device
JPH051144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ressure welding of electric wire to connector terminal
EP0105648B1 (en)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a crossover wire harness
US3553814A (en) Terminal applicator for terminals in strip form
JP2008147152A (en) Terminal crimping device of wire,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of wire
KR102345101B1 (en) Wire harness crimping apparatus
US6961996B2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ends in plug housings
EP0576277A1 (en) Automated wiring harness fabricating system
JPS6129060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 harness
US10431906B1 (en) Automotive wiring harness flat cable end termination
JP3166067B2 (en)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and wire pressure welding apparatus
WO20181987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case to terminal of terminal-equipped electrical wire
CN111146661B (en) Collar station
JPH07235360A (en) Connector housing supplying device
US3555672A (en) High speed semiautomatic termination of coaxial cable
CN110998994B (en) Wire cutter apparatus and wire cutter apparatus assembly
JPH02170310A (en) Manufacture of electric harness
US11476628B2 (en) System for automatic robotic cable connector assembly using a cartridge
JPH0765652A (en) Method for wire harness manufacture and wire harness manufacturing apparatus to realize such method
JPS61104578A (en) Automatic insertion of terminal compression wire into coupler and automation inser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