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518B1 -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518B1
KR102344518B1 KR1020210076542A KR20210076542A KR102344518B1 KR 102344518 B1 KR102344518 B1 KR 102344518B1 KR 1020210076542 A KR1020210076542 A KR 1020210076542A KR 20210076542 A KR20210076542 A KR 20210076542A KR 102344518 B1 KR102344518 B1 KR 10234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haracter
sculpture
mobile device
forest
sculp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포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포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포름
Priority to KR102021007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숲 체험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조형물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단계,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MIXED RENDERING CONTENT USING MIXED REALITY IN FOREST EXPERIENCE ENVIRONMEN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어린이나 학생에게 숲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림청은 2012년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유아 숲 체험원을 산림 교육 시설로 등록하여 유아 숲 체험활동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바 있으며, 숲 교육 활동은 아이들에게 창의성, 집중력, 탐구력의 향상과 환경 감수성을 증진시켜 동식물에 대한 호기심과 애정을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숲 체험을 통한 교육적 효과가 높으나 현재의 숲 체험 및 교육 환경은 어린이나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숲과 디지털 기술을 혼합한 디지털 교육의 도입이 필요하며, 특히 숲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혼합 현실(MR, Mixed Reality) 콘텐츠 제공 기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4863호
본 발명은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숲 체험 이동 공간 내의 조형물을 이용하여 실감나는 가상 캐릭터의 생성 및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감 높은 혼합 렌더링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숲 체험 교육과 디지털 교육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아동의 흥미를 향상시키고 교육적 효 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숲 체험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조형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형물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조형물 각각에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출력하는 동안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가상 캐릭터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가상 캐릭터가 미리 결정된 행동을 수행하거나 미리 결정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증강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사진 촬영 스팟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사진 촬영 시에 촬영된 사진에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가 증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나타난 복수의 나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나무에 기초하여 양쪽 나무 사이에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가 이동 시에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통해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의 크기는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 시에 점차 커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증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숲 체험 이동 공간 내의 조형물을 이용하여 실감나는 가상 캐릭터의 생성 및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감 높은 혼합 렌더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숲 체험 교육과 디지털 교육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아동의 흥미를 향상시키고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을 위한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 내 설치된 조형물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와 함께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 내에서 가상 캐릭터의 이동 경로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숲 체험을 수행하는 아동, 어린이, 학생 등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숲 체험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앱을 실행하고,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숲 체험 환경 내에 배치된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커 인식에 기초하여 AR(증강 현실) 및 MR(혼합 현실) 콘텐츠를 실행하고, MR 콘텐츠 실행 중에 대사 출력 기능, 사진 촬영 기능, 반복 재생 기능 등 다양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을 위한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사용자가 숲 체험 시에 소지하는 모바일 장치(200)는 MR 마커 인식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 생성 등 혼합 렌더링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 모바일 장치의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으나 휴대성이 있는 장치가 선호된다.
모바일 장치(200)는 통신부(210), 카메라부(220), 센서부(230), 처리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오디오 출력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단말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부품일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로서, 네트워크가 무선 통신망일 경우, 셀룰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G(5th Gener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후 개발되는 무선 통신의 기술도 포함될 것이다.
숲 체험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앱을 구현하는 서버에서 숲 체험과 관련 데이터들이 복수의 모바일 장치(2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00)는 언제라도 숲 체험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앱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숲 체험 환경, 조형물, 주변의 사용자 등을 촬영하고, 증강 현실(AR) 및 혼합 현실(MR) 구현을 위해 마커 인식 및 카메라 트래킹 등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23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NFC 리더, RFID 리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230)로부터 얻은 모바일 장치(200)의 움직임 데이터나 정보 데이터로부터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 및 움직임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처리부(240)는 마커 인식, 주변 환경 인식 등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를 렌더링함으로써 혼합 콘텐츠를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처리부(240)는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내부에 포함하거나, 장치 내의 메모리부 또는 필요한 경우 외부 메모리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카메라부(220)를 통해 숲 체험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조형물을 마커로 인식하고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해당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디스플레이부(250)에 증강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오디오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 및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출력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가상 캐릭터를 터치하는 경우, 가상 캐릭터가 미리 결정된 행동을 수행하거나 미리 결정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증강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사진 촬영 스팟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카메라부(220)를 통해 사진 촬영 시에 촬영된 사진에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가 증강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서 숲 체험 환경 내에 나타난 복수의 나무를 인식하고, 복수의 나무에 기초하여 양쪽 나무 사이에 획득한 이동 경로 라인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이와 같이 설정된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가 이동 시에 설정된 이동 경로를 통해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의 크기는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 시에 점차 커지도록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증강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이동 방향은 복수의 나무에 기초하여 설정된 설정된 이동 경로 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을 표시하고, 증강되어 표시되는 AR 콘텐츠 또는 혼합 렌더링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60)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speaker)를 포함하고, 숲 체험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앱을 통해 제공하는 배경 음악, 가상 캐릭터의 대사나 효과음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아동, 어린이, 학생 등 사용자가 이동하는 숲 체험 환경은 자연이 어우러진 환경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나무들(330) 사이로 구성된 이동 경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이동 경로(310)의 특정 위치, 예컨대 복수의 조형물(340)이 존재하는 각 위치에서 해당 조형물(340)에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320)가 생성되어 표시되어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스토리 및 대사를 출력할 수 있고, 해당 스토리가 종료되면 다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숲 체험 환경은 예컨대 시작 지점의 인포메이션 스팟, 생태 관찰 학습지, 숲속 놀이터, 숲속 교육장 등 다양한 테마와 스토리에 어울리는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 내 설치된 조형물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b에서와 같이, 숲 체험 환경 내에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조형물(340)은 MR 마커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사진 촬영 스팟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각 조형물(340)의 형태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숲 자연 환경과 어울리는 3차원 구조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 조형물(340)은 사진 촬영 스팟으로서 적합하게 앉거나 서서 사진 촬영을 진행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숲 체험 환경 내 조형물(340)의 배치는 자연미를 훼손하지 않고,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와 함께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50)에 증강 표시되는 가상 캐릭터(320)와 함께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식된 조형물(340)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320)가 나타남과 동시에 사진 촬영 스팟(41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진 촬영 스팟(410)은 조형물(340)의 위치 또는 조형물(340) 근처의 적절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 주변 친구들을 위치하도록 하여 가상 캐릭터(320)와 함께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캐릭터와 함께 사진 활영을 수행하면 실제 환경에 가상 캐릭터가 증강되어 표시된 사진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숲 체험 환경 내에서 가상 캐릭터의 이동 경로 및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의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나타난 복수의 나무(330)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나타난 복수의 나무(330)는 가상 나무가 아니라 실제 숲 체험 환경에서 촬영되는 나무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복수의 나무(330)에 기초하여 양쪽에 배치된 나무들에 기초하여 좌측 및 우측 라인(510)을 설정하고, 설정된 라인(510)에 기초하여 양쪽 나무들 사이에 이동 경로(52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가상 캐릭터(320)가 조형물(340) 마커 인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복수의 나무(330)에 기초하여 설정된 이동 경로(52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가상 캐릭터(320)는 도 5a에서와 같이 원거리 지점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근거리 지점으로 이동 경로(52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상 캐릭터(320)의 이동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가상 캐릭터(320)의 움직임을 원근법에 맞도록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원근법에 맞게 가상 캐릭터(320)의 크기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 시에 점차 커지도록 설정함으로써 가상 캐릭터(320)가 보다 실감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가상 캐릭터(320)의 대사 출력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다음 코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동 방향(530)을 증강하여 표시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이동 방향(530)은 복수의 나무(330) 사이에 설정된 이동 경로(520) 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200)의 화면 내에 나타난 실제 길에 적합한 이동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의 카메라부(220)를 통해 숲 체험 환경 내에 배치된 특정 위치의 조형물(340)을 인식할 수 있다.(S610) 이때,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의 카메라부(220)를 통해 조형물(340)을 촬영하게 된다.
모바일 장치(200)의 처리부(240)는 조형물(340)을 MR 마커로 인식하여 해당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320)를 화면에 증강하여 표시할 수 있다.(S620) 실제 숲 체험 환경 내에 배치된 3차원 조형물을 MR 마커로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에 미리 매칭된 가상 캐릭터(320)를 생성하고 화면에 증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조형물이 배치된 위치에 알맞은 가상 캐릭터(320)가 화면에 나와 해당 스토리에 맞는 대사 및 움직임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숲의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가상 캐릭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S630) 가상 캐릭터(320)의 움직임을 보다 실감나게 제공하기 위해 숲의 환경,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숲 속의 나무들(330) 사이에 가상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해당 이동 경로 내에서 가상 캐릭터(320)가 움직이게 함으로써 원근감에 맞는 가상 캐릭터(320)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반응시킴으로써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S640) 예컨대, 가상 캐릭터(320)가 대사를 하는 동안에 해당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이에 따라 특정 행동을 반복하거나 특정 소리를 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320)의 대사가 종료되면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여 화면 내의 이동 경로 내에 이동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S650) 이때, 숲의 환경,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숲 속의 나무들(330) 사이에 가상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이동 방향이 설정된 가상 이동 경로 내에 표시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이동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구체적인 다양한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200: 모바일 장치
210: 통신부
220: 카메라부
230: 센서부
240: 처리부
250: 디스플레이부
260: 오디오 출력부
310: 이동 경로
320: 가상 캐릭터
330: 나무
340: 조형물

Claims (8)

  1.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숲 체험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조형물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증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나타난 복수의 나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나무에 기초하여 양쪽 나무 사이에 좌측 및 우측 라인을 설정함으로써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가 이동 시에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서 원거리 지점에서 근거리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의 크기는 상기 원거리 지점에서 상기 근거리 지점으로 이동 시에 점차 커지도록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조형물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조형물 각각에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는 서로 상이한 것이고, 상기 복수의 조형물은 각각 상기 숲 체험 공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상 캐릭터는 상기 인식된 조형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대사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가상 캐릭터의 대사 출력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증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내에 표시되는 것이고,
    상기 인식된 조형물에 기초하여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증강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사진 촬영 스팟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사진 촬영 시에 촬영된 사진에 상기 조형물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가 증강되어 표시되는 것인,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의 대사를 출력하는 동안에 상기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가상 캐릭터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가상 캐릭터가 미리 결정된 행동을 수행하거나 미리 결정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76542A 2021-06-14 2021-06-14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34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542A KR102344518B1 (ko) 2021-06-14 2021-06-14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542A KR102344518B1 (ko) 2021-06-14 2021-06-14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518B1 true KR102344518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542A KR102344518B1 (ko) 2021-06-14 2021-06-14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5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63B1 (ko) 2017-08-14 2018-02-02 (주)인테크 디자인 가상현실 멀티 스토리텔링 영상극장 다중미디어 스트리밍 장치
KR20190043434A (ko) * 2017-10-18 2019-04-26 (주)네오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63B1 (ko) 2017-08-14 2018-02-02 (주)인테크 디자인 가상현실 멀티 스토리텔링 영상극장 다중미디어 스트리밍 장치
KR20190043434A (ko) * 2017-10-18 2019-04-26 (주)네오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0909B (zh) 用于显示交互式增强现实展示的系统、方法和介质
JP5934368B2 (ja) 可搬装置、仮想現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887258B2 (en) Dynamic integ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physical environment
CN110738737A (zh) 一种ar场景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hatzidimitris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edutainment applications for cultural institutions
US20160184724A1 (en) Dynamic App Programming Environment with Physical Object Interaction
KR20160103897A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KR101452359B1 (ko)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US11943282B2 (en) System for providing synchronized sha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real time across multiple devices
Kounlaxay et al. Design of Learning Media in Mixed Reality for Lao Education.
KR102344518B1 (ko) 숲 체험 환경에서 혼합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3995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Woodill Unique affordances of mobile learning
CN117809084A (zh) 图像识别模型训练方法、基于图像识别的交互方法及装置
KR101983233B1 (ko) 깊이맵을 활용한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8830A (ko) 실시간 cg 영상 방송 서비스 시스템
TWI640952B (zh) Virtual object collection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220358027A1 (en) Tool for mobile app development and testing using a physical mobile device
Pranith et al. Real‐Time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CN112927293A (zh) Ar场景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8932088B (zh) 虚拟物件收集方法及可携式电子装置
CN112001824A (zh) 基于增强现实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210132708A1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optical system for tactile interaction with screens and projector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use, together with the optical system, in information process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US11823344B2 (en) Mobile device tracking module within a VR simulation
Sorrentino et al. SuperAvatar children and mobile tourist guides become friends using superpowered avat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