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074B1 -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074B1
KR102344074B1 KR1020200070905A KR20200070905A KR102344074B1 KR 102344074 B1 KR102344074 B1 KR 102344074B1 KR 1020200070905 A KR1020200070905 A KR 1020200070905A KR 20200070905 A KR20200070905 A KR 20200070905A KR 102344074 B1 KR102344074 B1 KR 10234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light extraction
quantum do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943A (ko
Inventor
홍창완
권순범
차혁진
최범영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주)휴넷플러스
홍창완
권순범
차혁진
최범영
최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넷플러스, 홍창완, 권순범, 차혁진, 최범영, 최은서 filed Critical (주)휴넷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7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074B1/ko
Priority to JP2023518706A priority patent/JP2023535655A/ja
Priority to PCT/KR2021/007204 priority patent/WO2021251748A1/ko
Priority to CN202180040562.7A priority patent/CN115843468A/zh
Publication of KR2021015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01L51/527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6Filters comprising particles embedded in a solid matrix
    • H01L27/322
    • H01L51/50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1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active inorganic nanostructures, e.g. luminescent quantum do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251/5369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양자점을 포함한 산란층에서 후방 산란된 빛을 전반사를 효과적으로 일으키는 패턴 형상을 통해 전방으로 빛을 재전파하게 함으로써 양자점에 의한 광 방출 및 추출 효율을 향상시켜 광원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광 추출 층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덧붙이는 방식이 아닌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을 디스플레이에 내재함으로써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FT 층과 TFT 층 상부에 애노드 층, 정공주입/수송층, 발광층, 전자주입/수송층 및 캐소드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캐소드 층 상부에 광 확산 입자가 분산 형성된 양자점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캐소드 층과 양자점 컬러필터 사이에 광 추출 패턴이 형성된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과, 그리고 인셀 광 추출 층과 캐소드 층 사이에 인덱스 매칭 층(index matching layer)을 포함하는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Quantum Do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nCell Light Extraction function}
본 발명은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퀀텀 도트 즉, 양자점(quantum dot)은 수 나노 크기의 결정 구조를 가진 반도체 물질로서, 빛 파장의 에너지를 특정한 다른 광 파장 에너지로 변환하는 특정분자들의 집합체를 가리킨다. 즉, 단파장의 빛이 양자점에 입사시, 그 내부에는 청색, 적색, 녹색의 파장의 빛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분자가 배열되어 있어서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이 각각 변환되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양자점은 그 크기에 따라 방출하는 파장이 다른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양자점을 형광물질 또는 발광물질로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OLED 패키지와 양자점에 의한 빛의 패턴이 상이하므로 필름 매트릭스에 산란입자를 주입하여 광원의 방향성을 변화시키고, 양자점에 의한 광 방출 및 효율을 증가시켜 디스플레이의 칼라 및 휘도가 균일하도록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QD Color Filter(QD 필름)에서는 고굴절률의 특성을 가지는 TiO2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큰 굴절률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높은 광 효율 증가 폭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광 확산 입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TiO2 나노입자에 의해 산란된 빛 중에는 양자점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빛이 발생한다. 한편 양자점에서 재방출된 빛 중 후방산란된 빛은 전면으로 나가지 못하고 매트릭스 내부에서 열로 전환되어 손실된다. 그러한 상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렇게 열로 전환되는 경우, 광원인 OLED의 최대 가능 내부 효율을 100 %로 보았을 때, OLED 내부의 손실을 포함하면 약 75 ~ 80 %에 달한다. 아울러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 빛이 열로 바뀌면서 유리기판의 표면온도를 상승하게 하고 OLED 소자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추출 층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덧붙이는 방식이 아닌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을 디스플레이에 내재하여 얇으면서도 광 추출 효율이 높은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TFT 층과 TFT 층 상부에 애노드 층, 정공주입/수송층, 발광층, 전자주입/수송층 및 캐소드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캐소드 층 상부에 광 확산 입자가 분산 형성된 양자점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캐소드 층과 양자점 컬러필터 사이에 광 추출 패턴이 형성된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과, 그리고 인셀 광 추출 층과 캐소드 층 사이에 인덱스 매칭 층(index matching layer)을 포함하는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효율 향상 원리는 양자점을 포함하는 산란 입자에서 후방 산란된 빛을 전반사를 이용하여 다시 전방으로 보내는 방법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형상과 평탄화 면(planation surface)을 가지고 있는 굴절률 n1인 광추출 패턴층 위에 굴절률이 n1보다 큰 n2의 값을 갖는 평탄화 층(planariztion layer)을 형성하여 산란 입자에 의해 후방 산란된 빛을 재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입사광은 집광성이 좋은 광을 사용하는 것이 광효율 향상 효과가 더 크다. 원리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수직 입사광을 고려한다. 입사광이 광추출 패턴층과 평탄화층을 거쳐서 산란 입자를 만나면 후방 산란이 일어난다. 후방 산란 형태는 산란 입자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여기서는 통상적인 램버시안 형태의 후방 산란을 고려한다. 산란 입자에서 후방 산란된 빛은 평탄화 층과 광추출 패턴층의 경계면에서 굴절(투과)되거나 반사된다. 반사된 빛을 재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사율이 가장 큰 전반사 조건이 이루어지도록 광추출 패턴층의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에서 보듯이 후방 산란된 빛의 일정 부분은 프리즘 형상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지고 이 빛은 광추출 패턴층의 평탄화 층에서 다시 전반사가 되며 전반사된 이 빛은 다시 프리즘형상의 광추출 패턴층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져서 상측으로 진행한다.
후방 산란된 빛 중 전반사가 되는 부분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두 층의 굴절률 차이(n2 - n1)가 클수록 좋으며 광추출 패턴층의 형상을 최적의 모양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광추출 패턴층의 패턴 주기를 p, 평탄화층의 평탄면 길이를 w, 프리즘의 꼭지각을 α라 하면 평탄화층의 두께를 d라고 했을 때 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건(α, p/d, w/d)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1=1.5, n2=1.7인 경우에 직진 입사광의 근사 조건에서 광효율 극대화의 최적 조건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α=106°, p/d=4.6, w/d=2.0
여기서 광 확산 입자는, 유기 나노입자, 무기 나노입자 및 양자점 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광 추출 패턴은, 나노임프린팅, 엠보싱 및 포토리소그래피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되, 전반사 효과를 내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평탄화 층과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기적인 모양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형상은, 1 차원 방향에서 형성 주기를 갖는 프리즘, 사각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사다리꼴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반구 또는 상부가 잘린 반구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2 차원 방향에서 형성 주기를 갖는 피라미드, 사다리꼴, 원형 또는 정방형 기둥, 곡면 원추체, 상부가 잘린 원추체, 반구 및 상부가 잘린 반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광 추출 패턴은, 캐소드 층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인덱스 매칭 층은, 일 면으로 광 추출 패턴을 매립하고 타 면으로 캐소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셀 광 추출 층과 인덱스 매칭 층 사이에, 일 면으로 광 추출 패턴을 매립하고 타 면으로 인덱스 매칭 층을 덮도록 형성된 버퍼 층(Buffer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광 추출 패턴은, 캐소드 층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광 추출 패턴은, 양자점 컬러필터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양자점 컬러필터와 광 추출 패턴 사이에는 평탄화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추출 패턴은, 최대 직경이 수 나노에서 수 백 마이크로미터 사이즈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양자점을 포함한 산란층에서 후방 산란된 빛을 전반사를 효과적으로 일으키는 패턴 형상을 통해 상측 또는 전방으로 빛을 재 전파하게 함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 추출 층을 디스플레이 장치와 덧붙이는 방식이 아닌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을 디스플레이에 내재하여 얇으면서도 광 추출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광 방출 및 추출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광원 소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전반사 효과를 이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본 발명의 원리를 기하 광학의 광선 추적법을 이용해서 나타내고 광효율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광 추출 패턴층이 양자점 필터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평탄화층이 사이에 형성된 구조에서 본 발명의 광효율 향상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자점을 포함하는 산란 입자에서 후방 산란된 빛을 전반사를 이용하여 다시 전방으로 보내는 방법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되던 광을 외부로 추출될 수 있도록 작용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원 소자의 수명을 늘일 수 있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 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을 셀 내에 형성함으로써 양자점 컬러필터(Quantum Dot Color Filter)로 재반사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필터에 대응하는 컬러 광으로 전환된 광을 외부로 추출하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FT 층(TFT Array) 상부로 애노드 층(Anode), 정공주입/수송층(HIL/HTL), 발광층(EML), 전자주입/수송층(EIL/ETL) 및 캐소드 층(Cathode)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캐소드 층(Cathode) 상부에 광 확산 입자가 분산 형성된 양자점 컬러필터(Quantum Dot Color Filter)를 포함하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에 전자주입/수송층 상부의 캐소드 층(Cathode)과 양자점 컬러필터(Quantum Dot Color Filter) 사이에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을 포함하되,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과 캐소드 층(Cathode) 사이에 인덱스 매칭 층(Index matching layer)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광효율 향상의 원리를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형상과 평탄화 면(Planation surface)을 가지고 있는 굴절률 n1인 광추출 패턴층 위에 굴절률이 n1보다 큰 n2의 값을 갖는 평탄화 층(planarization layer)을 형성하여 산란 입자에 의해 후방 산란된 빛을 재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입사광은 집광성이 좋은 광을 사용하는 것이 광효율 향상 효과가 더 크다. 원리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수직 입사광을 고려한다. 입사광이 광추출 패턴층과 평탄화층을 거쳐서 산란 입자를 만나면 후방 산란이 일어난다. 후방 산란 형태는 산란 입자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여기서는 통상적인 램버시안 형태의 후방 산란을 고려한다. 산란 입자에서 후방 산란된 빛은 평탄화 층과 광추출 패턴층의 경계면에서 굴절(투과)되거나 반사된다. 반사된 빛을 재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사율이 가장 큰 전반사 조건이 이루어지도록 광추출 패턴층의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에서 보듯이 후방 산란된 빛의 일정 부분은 프리즘 형상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지고 이 빛은 광추출 패턴층의 평탄화 층에서 다시 전반사가 되며 전반사된 이 빛은 다시 프리즘형상의 광추출 패턴층에서 전반사가 이루어져서 상측으로 진행한다.
후방 산란된 빛 중 전반사가 되는 부분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두 층의 굴절률 차이(n2 - n1)가 클수록 좋으며 광추출 패턴층의 형상을 최적의 모양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광추출 패턴층의 패턴 주기를 p, 평탄화층의 평탄면 길이를 w, 프리즘의 꼭지각을 α라 하면 평탄화층의 두께를 d라고 했을 때 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건(α, p/d, w/d)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1=1.5, n2=1.7인 경우에 직진 입사광의 근사 조건에서 광효율 극대화의 최적 조건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α=106°, p/d=4.6, w/d=2.0
여기서 양자점 컬러필터(Quantum Dot Color Filter)에 수용되는 광 확산 입자는, 무기 나노입자 또는 유기 나노입자 일 수 있으며 무기 나노입자의 경우 이산화산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안티몬,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유기 나노입자의 경우 분산 안정도가 높은 고분자 화합물로 형성된 유기 나노입자일 수 있다. 한편 광 확산 입자는 광 확산이라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상 양자점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을 통해 특정 방향으로 확산된 빛을 다시 양자점 컬러필터(Quantum Dot Color Filter)를 향하도록 광 추출 패턴(Pattern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광 추출 패턴은 전반사 효과를 내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예를 들어 평탄화층에서와 같은 평탄화 면과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기적인 모양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톱니 형상인 스트라이프 형태의 1 차원적으로 형성 주기를 갖는 다수의 프리즘(Prism), 사각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사다리꼴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반구 또는 상부가 잘린 반구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외에 2 차원적으로 형성 주기를 가지는 다수의 피라미드, 사다리꼴, 원형 또는 정방형 기둥, 곡면 원추체, 상부가 잘린 원추체, 반구 및 상부가 잘린 반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철로 형성된 패턴일 수도 있다. 이러한 1 차원적 또는 2 차원적 형상은 그 형성 주기가 영역별로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예시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요철들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반구 및 상부가 잘린 반구는 완전한 반구 이외에도 구체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광 추출 패턴(Pattern layer)은, 최대 직경이 수 나노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는 1 차원적으로 형성 주기를 가지는 패턴인 경우 길이가 아니라 1 차원 방향의 바닥면을 이루는 단위 형상의 너비를 의미하며, 2 차원적으로 형성 주기를 가지는 패턴인 경우 2 차원 방향 각각의 바닥면을 이루는 단위 형상의 너비를 의미한다. 또한 최대 직경은 높이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광 추출 패턴은 나노임프린팅(nano imprinting), 엠보싱(embossing) 및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매칭 층(Index matching layer)은 일 면으로 캐소드 층을 향하고 있는 광 추출 패턴을 매립하고 타 면으로 캐소드 층을 덮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인덱스 매칭 층은 캐소드 층(Cathode)과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 사이에 더 형성되어 인접하는 굴절률 차이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캐소드 층과 접하는 인덱스 매칭 층을 별도로 형성하고, 일 면으로 캐소드 층을 향하는 인셀 광 추출 층의 광 추출 패턴을 매립하면서 타 면으로 인덱스 매칭 층을 덮도록 증착으로 형성된 버퍼 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 층은 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인덱스 매칭 층의 소프트한 재질적 특성에 기인하여 캐소드 층을 향하는 광 추출 패턴이 캐소드 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작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 및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광 추출 패턴은, 양자점 컬러필터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양자점 컬러필터와 광 추출 패턴 사이에는 평탄화 층(Planarization layer)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양자점 컬러필터와의 결합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광효율 향상 원리 설명을 위한 도 3의 구조는 도 5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2에 따른 일 실시예에 적용하면 하방을 향하는 광추출 패턴층과 인덱스 매칭층 사이에서 양자점 필터를 향하는 빛의 전반사 원리로 치환해서 설명 가능하며, 도 4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하방을 향하는 광추출 패턴층과 버퍼층 사이에서 양자점 필터를 향하는 빛의 전반사 원리로 치환해서 설명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양자점 유기발광장치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발광원(Light Source)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WOLED, MicroLED, LED, QD 등 이외 광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TFT 층과 상기 TFT 층 상부에 애노드 층, 정공주입/수송층, 발광층, 전자주입/수송층 및 캐소드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캐소드 층 상부에 광 확산 입자가 분산 형성된 양자점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층과 상기 양자점 컬러필터 사이에 광 추출 패턴이 형성된 인셀 광 추출 층(In-Cell Light Extraction Layer)과, 그리고 상기 인셀 광 추출 층과 상기 캐소드 층 사이에 인덱스 매칭 층(index matching layer)을 포함하는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입자는, 유기 나노입자, 무기 나노입자 및 양자점 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 패턴은,
    나노임프린팅, 엠보싱 및 포토리소그래피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되,
    전반사 조건을 갖도록 평탄화 면(planation surface)과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이고,
    상기 특정 형상은, 1 차원 방향에서 형성 주기를 갖는 프리즘, 사각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사다리꼴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반구 또는 상부가 잘린 반구 종단면의 스트라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2 차원 방향에서 형성 주기를 갖는 피라미드, 사다리꼴, 원형 또는 정방형 기둥, 곡면 원추체, 상부가 잘린 원추체, 반구 및 상부가 잘린 반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인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0905A 2020-06-11 2020-06-11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05A KR102344074B1 (ko) 2020-06-11 2020-06-11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JP2023518706A JP2023535655A (ja) 2020-06-11 2021-06-09 インセル光抽出機能を有する量子ドット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PCT/KR2021/007204 WO2021251748A1 (ko) 2020-06-11 2021-06-09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CN202180040562.7A CN115843468A (zh) 2020-06-11 2021-06-09 具有内嵌光提取功能的量子点有机发光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05A KR102344074B1 (ko) 2020-06-11 2020-06-11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943A KR20210153943A (ko) 2021-12-20
KR102344074B1 true KR102344074B1 (ko) 2021-12-29

Family

ID=7884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05A KR102344074B1 (ko) 2020-06-11 2020-06-11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35655A (ko)
KR (1) KR102344074B1 (ko)
CN (1) CN115843468A (ko)
WO (1) WO20212517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936A (ko) * 2016-12-09 2018-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루미네선트 표시장치
KR102062587B1 (ko) * 2017-02-08 2020-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9881B1 (ko) * 2017-11-02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36490A (ko) * 2018-05-31 2019-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333769B1 (ko) * 2018-06-29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943A (ko) 2021-12-20
WO2021251748A1 (ko) 2021-12-16
CN115843468A (zh) 2023-03-24
JP2023535655A (ja)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501B2 (en) Light extraction film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7349393B2 (ja) 画像表示素子
TWI403209B (zh) 具有改良光輸出之電致發光裝置
KR101289844B1 (ko) 유기 발광 소자
JP5297991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及びこれを用いた光源装置
JP6155566B2 (ja) 有機led素子用の積層基板、透明電極付き積層基板、及び有機led素子
US8987767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KR20130084848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US10651415B2 (en) Organic EL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674066B1 (ko) 유기발광소자
US20120161610A1 (en) Light Extraction Block with Curved Surface
US988217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JP5179392B2 (ja) 有機el発光装置
KR10126853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268543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217450B1 (ko) 광추출을 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용 광학 시트
KR102344074B1 (ko) 인셀 광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양자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장치
KR101268534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US11276841B2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mprising same
CN113193135A (zh) 发光器件
CN115347130A (zh) 一种发光结构
US11690249B2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679241B1 (ko) 플립칩 타입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용 패터닝 기판 및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Levermore et al. Light extraction block with curved surface
JP2017162616A (ja) 有機el素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