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971B1 - 수송 관련 보조 전원 유닛용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수송 관련 보조 전원 유닛용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971B1
KR102343971B1 KR1020187036529A KR20187036529A KR102343971B1 KR 102343971 B1 KR102343971 B1 KR 102343971B1 KR 1020187036529 A KR1020187036529 A KR 1020187036529A KR 20187036529 A KR20187036529 A KR 20187036529A KR 102343971 B1 KR102343971 B1 KR 10234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molten metal
container
vehicle
liquid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775A (ko
Inventor
나디물 하퀘 파이잘
레한 아메드
나마테우스 에프. 구젠
사이 피. 카티카네니
스타마티오스 소우엔티
Original Assignee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알파이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알파이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9000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3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01M4/905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M8/0278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2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carbon or oxygen or hydrogen and other elements; Fuel cells in which the fuel is based on materials comprising only elements other than carbon, oxygen or hyd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Grouping of unit cells of tubular or cylindrica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5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liquid, soli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4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04Processes or apparatus for grouping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내연 기관이 아닌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 동력 시스템, 차량 및 차량에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조 전원 유닛은 그 안에 배치된 다수의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금속 애노드가 가열되는 경우, 금속은 산소 및 용융 금속에 존재하는 연료에 의해 각각 산화된 상태와 환원된 상태 사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용융 상태로 전환된다. 보조 전원 유닛은 애노드를 이의 용융 금속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 연료 전지에 선택적으로 열을 제공하는 노를 더 포함한다. 밀봉은 컨테이너 내의 용융 금속과 주변 환경 사이에 유체 격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송 관련 보조 전원 유닛용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2016년 5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15/158,63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용 연료로서 직접적인(즉, 비개질된) 탄화수소의 사용을 허용하는 개선된 애노드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은 수송 보조 전원 유닛(APU)에 사용될 수 있는 용융 금속 애노드(MMA)-기반 SOFC(MMA-SOFC)에 관한 것이다.
APU는 견고한 수송 작업에 보완적인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유용하다. 한 가지 주목할만한 사례는 연장된 스톱 오버 기간 동안 과도한 주 엔진 공회전에 대한 증가된 정밀 조사에 대한 반응으로 트랙터- 트레일러 및 관련 상업용 차량에 사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종래의 형태에서, APU는 열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 엔진이 꺼진 연장된 기간 동안 차량 내에 다양한 전기적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적절한 발전기를 통해 전기적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소형 내연 기관(ICE)으로서 구성된다. 그러한 APU는 의도된 목적에 유용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화석 연료를 소비한다는 것이다. 또한 유지 관리 문제가 있다; 이 후자의 관심은 차량의 운전자가 보조 전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동력 유닛(즉, 주 엔진)을 공회전 상태로 작동시키는 오래된 방법으로 되돌아 간다는 점에서 고장 후에 수리하지 않을 때 특히 문제가 된다.
연료 전지는 연소에 의해서가 아닌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연료를 사용 가능한 에너지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그리고 고장날 경향이 적은 기계 부품을 추가하는 것 외에도-, 연료 전지는 ICE 및 관련 전원 발생원에 비해 몇 가지 환경적 이점이 있다. 연료 전지-기반 전원 시스템의 영역 내에서, SOFC는 다른 연료 전지 구성-예컨대 양성자 교환 막 또는 고분자 전해질 막(어느 경우에나, PEM)-으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료의 심각한 개조를 제공할 필요 없이 탄소 함유 연료의 직접적인 활용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일 형태에서, SOFC의 애노드는 연료-함유 용융 금속으로 구성되어 산소 함유 반응물(예를 들어, 공기)을 전지의 캐소드에 도입할 때, 캐소드에서 생성된 산소 이온이 고체 전해질을 통해 애노드에서 용융 금속 및 이온화된 연료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용융 금속 애노드를 고체 상대물에 대해 사용하는 것의 한 가지 중요한 이점은 주변 환경으로 배출될 수 있는 대부분의 유해한 배출물(전형적으로 CO2, SO2, NOX 및 미립자 물질의 형태로)을 포획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연료 전지 구성 요소 중 하나를 액체와 같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특히 모바일 적용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연료 전지 구성에 관한 것과 같이, 중요한 취급 문제를 야기한다.
전술된 단점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차량 기반 APU 용 전원 공급원으로서 MMA-SOFC를 사용하면 주 엔진 공회전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ICE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연료 전지에 비해 개선된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전원 시스템은 동력 유닛 및 APU를 포함하며, APU는 그 내부에 배치된 SOFC 연료 전지를 갖는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연료 전지와 협력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여 연료 전지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차량 탑재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연료 전지는 차례로 캐소드와 고체 전해질로 구성된 다수의 반쪽 전지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반쪽 전지 외에, 연료 전지는 반쪽 전지의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애노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 또는 관련 산소 함유 반응물이 다수의 반쪽 전지의 캐소드 및 전해질을 통해 흘러서 액체 금속 애노드의 배쓰 내에 함유된 연료와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한다. APU는 컨테이너 또는 개별적인 반쪽 전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교환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로 구성될 수 있는 노(furnace)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APU 작동 중에 애노드를 이의 실질적으로 용융된 금속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 열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은 바퀴 달린 섀시, 바퀴 달린 섀시와 협력하는 유도 장치(예컨대, 조향, 제동 및 가속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 및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과 열적으로 협력하는 승객 구역을 포함하는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차량은 또한 동력 유닛과 APU를 포함하며, 이들 둘 모두는 플랫폼에 고정되어 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APU는 컨테이너, SOFC 연료 전지, 노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또한 전기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 및 프로세서-기반 제어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동력 유닛 및 APU를 포함하는 차량에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컨테이너 내에 위치하는 연료 전지로 이루어진 APU에 열을 제공하기 위해 노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노에 의해 생성된 열은 산소 함유 반응물이 다수의 반쪽 전지의 캐소드 및 고체 전해질을 통해 흐를 때 애노드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연료 전지의 애노드 부분을 용융 상태가 되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연료 전지 내에 생성된 전류는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 조명, 정보 또는 오락 기기, 가전제품 또는 차량에 위치한 다른 장비와 같은 다양한 탑재물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개념이 특정 연료 전지 시스템 구성에 대한 주요 참조로 본원에 기술되었지만, 상기 개념이 이와 같이 제한되지 않으며, 수송 기반 사용을 위한 임의의 SOFC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개시 내용의 특정 구현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도면과 관련하여 읽을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 구조는 유사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도 1은 고체 애노드를 사용하는 종래의 SOFC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MMA-SOFC 어셈블리의 단순화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MMA-SOFC 어셈블리로부터의 단일 반쪽 전지를 도시한다;
도 3은 조립된 형태의 도 2a의 용융 금속 애노드 SOFC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4는 트랙터-트레일러의 트랙터에 위치한 APU로서의 도 3의 MMA-SOFC 어셈블리의 개념적 배치의 상세 사항을 도시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SOFC의 단일 연료 전지(1)가 종래 기술의 구현예에 따른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기존의 연료 전지(1)에서, 캐소드(10) 및 애노드(20) 모두는 애노드(20)의 경우 다공성 산화물계 세라믹 및 캐소드(10)의 경우 란타눔 스트론튬 망가나이트(LSM)로 이루어져 이온화된 반응물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며, 이들은 다음의 단락에서 설명된다. 고체 전해질(또는 보다 간단하게는, 전해질)(30)은 캐소드(10)와 애노드(20) 사이에 배치된다. 상호접속부(40)는 다양한 개별적인 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예컨대, 직렬로), 전기 회로(50)는 애노드(20)와 캐소드(10)에 연결되거나 상호접속부(40)에 연결되어 적절한 탑재물(60)을 통해 전지에서 생성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유사하게, 흡수층(도시되지 않음)은 약한 상태로 두면 적당한 애노드(20) 성능을 저해할 수 있는 황을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하게, 연료 전지(1)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경질 및 중질 탄화수소 연료가 직접 개질될 수 있으므로 고가의 귀금속계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작동 시, 기체 형태의 연료(본 개시 내용에서는 연료-함유 반응물이라고도 지칭됨)는 상호접속부(40)에 형성된 채널(45)로 공급되어 애노드(20)에 인접하게 통과하는 반면, 산화제(예를 들어, 본원에서 산소 함유 반응물로도 지칭되는 공기)는 캐소드(10)에 인접한 유사한 채널에 공급된다. 공기 중의 산소와 캐소드(10)간의 접촉은 캐소드(10)와 전해질(30) 사이에 형성된 계면 층 근처에서 산소를 이온화시킨다. 이러한 음으로 하전된 산소 이온(-ve) 전해질(30)을 통해 전도되어 애노드(20)에 도달하고, 연료(H2, CO, CH4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음)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H2O 또는 CO2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반응들(예시적인 연료로서 수소를 사용함)은 다음과 같이 공식으로 표현된다:
H2 + O2 - → H2O + 2e- (1)
CO + O2 → CO2 + 2e- (2)
1/2O2 + 2e- → O2- (3)
다른 구성(도시되지 않음)에서, 연료 전지(1)의 전해질(30)은 수소 이온을 전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에 따른 MMA-SOFC(100)(본 개시 내용에서 연료 전지(100 )로도 지칭됨)의 일 구현예가 도시되며, 도 2b는 특히 본 개시 내용에서 반쪽 전지(105)로 지칭되는 부분을 도시한다. 각각의 반쪽 전지(105)는 서로 접촉하는 전해질(130)을 갖는 캐소드(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둘 모두는 캐소드(130)에서 애노드(120) 쪽으로 이온화된 산소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공성이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된다. 애노드, 캐소드 및 중간 전해질을 각각 갖는 다수의 개별적인 전지가 보다 높은 전원 출력을 달성하기 위해 스택 또는 관련 구조로 배열되는 종래의 연료 전지 구성과는 달리, 본 개시 내용의 맥락에서 완전한 MMA-SOFC(100)는 캐소드(110) 및 전해질(130)로 각각 구성된 다수의 반쪽 전지(105) 주위에 배치된 단일 애노드(120)의 조합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애노드(120)를 갖는 것은 구조의 용이함을 도모한다.
예를 들어, 제한은 아니지만, 전해질(130)은 지르코니아계 전해질 또는 세리아계 전해질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지르코니아계 전해질은 이트리아 안정화된 ZrO2(YSZ), 스칸디아 안정화된 ZrO2(ScSZ), 칼시아 안정화된 ZrO2(CSZ)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리아계 전해질은 희토류 도핑된 세리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리아계 전해질은 가돌리늄 도핑된 세리아(GDC), 이트리아 도핑된 세리아(YDC), 사마륨 도핑된 세리아(SmDC)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해질(130)에 대한 조성을 선택할 때, (i) 연료 전지(100)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과 같이 임의의 전극과의 화학적 상호 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ii) 연료 전지(100) 작동 온도 범위, 및 (iii) 이온/전자 전도율 값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둘 이상의 고체 전해질(130)의 조합은 이러한 요인이 충족되도록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작동 온도에서 현저한 이온 전도성으로 인하여 불안정한 고체 전해질(용융 금속 애노드(120)와 상호작용함)이 필요한 경우, 화학적으로 안정한 고체 전해질의 얇은 코팅이 애노드(120)와 고체 전해질(130)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해 전해질/애노드 계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고도로 전도성인 혼합 이온 - 전자 고체 전해질(130)이 원하는 온도 범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자 전도성을 차단하기 위해 동일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순수한 이온 전도체(예: YSZ)의 얇은 코팅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보다 높은 작동 온도 범위에서 낮은 O2(g) 감소 과전압을 나타내면서 전해질(130)과 무시할 정도의 상호작용을 갖는 임의의 캐소드 물질이 캐소드(1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캐소드(110)는 란타눔 스트론튬 망가나이트(LSM), 이트리아 안정화된 ZrO2/란타눔 스트론튬 망가나이트(YSZ-LSM), 란타눔 스트론튬 코발트 페라이트(LSCF)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캐소드(110)는 LSM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반쪽 전지(105)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형 관형 구조를 한정하며; 그러한 구조는 MMA-SOFC(100) 내에서 효율적인 연료 전지 패킹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반쪽 전지(105) 유지보수를 위한 제거의 용이성을 또한 제공한다. 일 형태에서, 반쪽 전지(105)의 치수는 약 5000 ㎛의 캐소드 벽 두께, 약 500 ㎛의 전해질 벽 두께, 약 500,000 ㎛의 높이 및 약 50 ㎜의 내부 전해질 직경을 포함한다. 전해질(130)에 바로 인접한 영역에서 금속의 충분한 양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용융 금속 표면 장력과 액체 헤드 압력 사이의 균형을 촉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추가의 세라믹계 관형 구조(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해질(130)은 작동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식과 같이 이온 수송 저항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130) 재료가 누전 관련 전기 전도도를 낮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전해질(130)은 높은 이온성(예를 들어, 산소) 전도도 및 애노드(120)와의 무시할 수 있는 화학적 상호 작용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들 전해질(130)의 적절한 고체 형태는 순수 이온성 또는 혼합 이온성-전자성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 내지 (3)은 MMA-SOFC(100)의 일반적인 전기화학적 작동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수학식 (3)에 따르면, 캐소드(110)는 유입 공기 스트림 내의 O2를 환원시킨 후, 산화 영역으로 이루어진 용융 금속 애노드(120)와 만날 때까지 산소 이온을 전해질(130)을 통해 이동시키며, 여기서, 용융 금속이 산화되어 금속 산화물 및 전자를 생성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용어 "산화 영역"은 애노드(120)와 전해질(130) 사이의 계면뿐만 아니라, 산소 이온이 용융 금속과 접촉할 수 있는 용융 금속 애노드(120)의 임의의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학식 (2)의 일반화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126437769-pct00001
.
MMA-SOFC(100)는 금속 산화물의 환원을 가능하게 하고, 용융 금속이 황 함유 연료와 반응하는 상황에서 금속 황화물을 생성하는 재생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재생 영역"은 용융 금속과 황 함유 연료의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컨테이너(180)의 일부분 내에 배치되거나 컨테이너(18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연료 접촉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일어날 수 있다. 덜 치밀한 금속 산화물은 용융 금속 배쓰의 상단으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들은 상기 수학식 (1)의 일반화인 아래에 도시된 방식으로 연료에 의해 환원된다.
Figure 112018126437769-pct00002
형성된 금속 종은 용융물의 바닥으로 돌아가고 사이클을 완료한다. 상기 반응에 따르면, 수소는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대안에서(도시되지 않음), 수소는 추가의 금속 산화물 환원을 위해 원 위치(in situ)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다른 용도로 재순환될 수 있다. 황이 연료에 존재할 때, 금속 종은 수소 존재 하에서 황 성분(CHS)과 반응하여 금속 황화물 종 및 소위 "업그레이드된" 연료(이는 다음 반응에서 CmHz 로 기술된다)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18126437769-pct00003
이 업그레이드된 연료는 상기 수학식 (1)의 일반화로 기술된 것과 같은 추가 금속 산화물 환원을 위해 원위치(in-situ)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다양한 연료가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황 함유 연료는 또한 수소 연료(전술된 바와 같음)뿐만 아니라, 탄소 연료, 탄화수소 연료, 수소 황화물, 저급 고체 황 및 오일과 기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한 설폰 및 설폭시드일 수 있다. 이론에 구애 됨이 없이, 탄소 함유 연료는 탄소 함유 연료와의 환원 반응이 바람직하게는 더 큰 자유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용융 금속 애노드(120)에서 산화가 발생한 후에, 용융 금속은 금속 산화물 함유 용융 금속에 연료를 전달하는 별도의 연료 접촉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중 하나에서, 우선적으로 단방향 확산을 허용하는 세라믹 또는 금속 다공성 관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체 연료의 경우, 기체 종만이 기공을 통과할 수 있다(연료 내부 - 확산 및 생성물 역 - 확산). 고체 연료 및 기체/액체 연료의 경우 다공성 관 대신에 개방형 컨테이너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용융 흐름 속도가 불충분 한 경우, 용융 금속 산화물 확산 및 관련 전기화학 반응의 가속을 위한 교반 시스템뿐만 아니라, 펌핑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들 반쪽 전지(105)의 배열(A)은 탱크(180)의 형태인 대체로 유체 기밀 컨테이너 내에 차례로 포개어진 노(1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열된 구멍(195)을 갖는 뚜껑(190)은 노(170) 또는 탱크(180) 중 하나의 개구를 덮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용융 금속 애노드(120)의 함유를 보장하기 위한 고온 금속 밀봉(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노(170) 및 뚜껑(190) 사이의 접촉면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L-형 금속 개스킷형 고온 강성 인서트(197), 및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각각의 반쪽 전지 원위 단부(105A)와 이의 각각의 구멍(195) 사이에 배치된 링(198))은 실질적으로 누수가 없도록 유지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용융 금속 애노드(120) 표면 위의 작은 체적 공간(즉, 필드(172)) 및 뚜껑(190)의 내부 표면은 불활성 기체 환경을 가질 것이다. 선택적 형태에서, 컨테이너(180)는 고온 용융 금속 애노드(120)로부터 주변 환경의 보드 또는 블랭킷 유사 격리를 형성하기 위해 그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단열재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보드 또는 블랭킷 타입 단열재는 0.15 W/mK의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약 50 mm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용융 금속이 최대 1300℃(또는 1573K)까지의 바람직한 작동 온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APU(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됨)의 잔류물에 노출되는 MMA-SOFC(100)의 부분을 APU 구성요소가 손상되지 않도록 온도를 충분히 낮게 유지시켜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 구멍(195)은 다양한 반쪽 전지(105)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중요한 것은, 반쪽 전지(105)와 구멍(195)이 있는 천공 뚜껑(190) 사이의 개방형 디자인은 탈착식 모듈 어셈블리의 일부로서 각각의 반쪽 전지(105)의 간단한 삽입 및 제거를 허용할 것이고; 이는 반쪽 전지(105)뿐만 아니라 가열 요소 또는 탱크(180) 내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반쪽 전지(105)가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고 플랜지 표면(본원에서 플랜지(105C)로도 지칭됨)을 따라 잡혀서 하나 이상의 반쪽 전지(105)가 서비스를 받거나 교체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들과 뚜껑(190) 사이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반쪽 전지(105)의 제거 및 삽입의 용이함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뚜껑(190) 및 반쪽 전지(105)는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여기서, 적어도 반쪽 전지(105) - 및 소정의 구성에서 뚜껑(190)도 또한- 복잡한 공구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컨테이너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실상 더 큰 어셈블리를 갖는 임의의 결합된 구성요소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본 개시 내용의 문맥에서, 반쪽 전지(105)가 도구, 관련된 복잡한 조립/분해 절차 또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부품에 대한 손상 없이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 뚜껑(190) 내에 수용되거나 뚜껑(190) 상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보다 제한적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모듈 어셈블리는 MMA-SOFC(100)의 나머지 또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용융 금속 애노드(120)의 유체 격리를 더 촉진하기 위해 전술된 하나 이상의 밀봉(197, 198)과 조합될 수도 있다.
애노드(20)가 금속화된 다공성 세라믹(서멧)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 1의 연료 전지(1)와는 달리, 애노드(120)는 MMA-SOFC(100)의 작동 중에 용융 상태를 차지할 수 있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애노드(120)는 MMA-SOFC(100) 작동 동안 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애노드(120)를 다수의 캐소드(110) 및 전해질(130)과 전기화학적 협력 관계로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연료 전지에 비해 MMA-SOFC(100)가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애노드(120)는 비구조적 구성요소로 설계될 수 있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APU(280)의 제작에서 더 큰 디자인 융통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디자인은 MMA-SOFC(100) 작동에 수반되는 온도 또는 화학적 변화 동안 애노드(1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나머지 MMA-SOFC(100) 구조적 변화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며, 이는 이제 MMA-SOFC(100) 내의 보다 강성의 고정된 구성요소보다는 애노드(120)의 교체를 가능케 한다. 일 형태에서, 애노드(120)는 세라믹 매트릭스에 주입될 수 있는 주석(Sn) 또는 주석계 합금일 수 있는 복합체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특성은 애노드(120)를 구성하는 물질이 높은 산소 이온 이동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용융 금속 애노드(120)를 사용하는 MMA-SOFC(100)는 기존의 연료 기반시설을 통해 용이하게 이용 가능한 저황 디젤과 같은 공지된 형태의 탄소계 연료와 호환가능하다. 다른 금속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120)는 용융 안티모니(S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높은 전력 밀도(973 K에서 300mW/cm2 초과)는 MMA-SOFC(100)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티모니는 -주석 이외에- 비스무스(Bi), 인듐(In) 및 납(Pb)을 비롯하여 다양한 다른 금속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Al), 갈륨(Ga), 탈륨(Tl) 및 폴륨(Po)뿐만 아니라 인접한 전이 금속(IB 및 IIB), 예컨대 은(Ag), 수은(Hg) 또는 카드뮴(Cd)을 비롯하여, 다른 금속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애노드(20)에 사용되는 금속 또는 금속의 조합은 약 750℃(1023K) 이하의 융점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모든 경우에, 애노드(120)는 산화 경향이 더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우선적으로 산화되어, MMA-SOFC(100)가 순수한 형태로 그 금속과 같이 행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우선적인 산화 반응으로부터 형성된 산화물이 전지의 작동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경우(예컨대, 약 1000 K 이하에서 작동하는 전지에서 약 1903K의 융점을 갖는 SnO2, 또는 약 2185 K의 용융점을 갖는 In2O3), 전해질(130)과 애노드(120) 사이의 계면에 산화물이 부착되어 전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Sb-Pb 시스템에서, PbO가 MMA-SOFC(100)의 973K 작동 온도보다 상당히 높은 약 1161K의 온도에서 용융 되더라도, 안티몬은 우선적으로 산화되어, 각각의 하프 - 셀(105)이 양극(120)이 순수한 안티몬을 사용한다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티모니는 금속, 산화물 또는 황화물 형태에 관계없이 융점이 비교적 균일하기 때문에 적절한 선택이다.
[표 1]
Figure 112018126437769-pct00004
MMA-SOFC(100)를 위한 황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황화 영역"은 용융 금속과 황 함유 연료의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이는 금속 황화물을 추가로 생성 한 다음, 이를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시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황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연료 접촉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금속 황화물은 원위치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어 전기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황화 영역은 MMA-SOFC(100)와 유체 연통하는 연료 접촉기 내에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금속/금속 산화물 사이클에서 사용되는 연료 접촉기와 같이, 이러한 연료 접촉기는 선택적(또는 편도 우선) 연료 확산을 위한 다공성 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애노드(120)의 용융 금속은 필수적으로 황 캐리어/포획제로서 작용하지만; 작은 전기촉매 활성의 경우, 종래의 고체 다공성 금속/금속 산화물 애노드(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전기화학적 산화 속도를 더욱 향상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금속 애노드(120)와 전해질(130) 사이에 제2고체 금속 애노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시키는 것은 금속 산화물 종의 환원을 촉진하여 이러한 제2고체 금속 애노드에 새로운 금속 황화물 종을 갖는 금속 종이 형성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후자는 이어서 전해질(13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이온 종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어 전기 및 기체상 SO2를 생성한다. 용융 금속 애노드(120)의 금속보다 황산염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금속 또는 세라믹 금속 재료(즉, 덜 안정한 금속 설파이드)와 같은 산화에 적합한 다양한 금속이 제2고체 금속 애노드에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제2고체 금속 애노드는 Fe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 Sb는 용융 금속에 사용될 수 있다. 제2고체 금속 애노드와 용융 금속 애노드(120)의 다른 조성적 조합이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산화물은 또한 애노드(120)에서 금속 형성과 병렬로 전기화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종이 용융물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희생 환원제(SRA, 도시되지 않음)가 MMA-SOFC(100)의 하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SRA는 금속 산화물 종을 금속 및 CO2로 환원시키는 흑연 막대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스템에서 CO2 를 퍼지하는 인접한 개구부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SRA는 용융 금속 애노드(120)를 구성하는 금속보다 산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금속(고상)일 수 있다. 금속의 산화에 대한 민감도 측정은 금속 산화물 형성 자유 에너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b가 용융 금속 애노드(120)인 경우, SRA의 금속은 Fe, 지르코늄(Zr), 망가니즈(Mn), 탄탈룸(Ta), 실리콘(Si) 또는 티타늄(Ti)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그러한 부분은 제한된 수명을 가지며 완전히 산화될 때 대체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희생적이라고 이해된다.
SO2 제거 및 처리 장치는 MMA-SOFC(100)의 하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O2 제거 장치는 습식 세정 유닛, 분무 건조 유닛, 습식 H2SO4 처리 유닛, SNOX 연도-가스 탈황 유닛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촉매 유닛(예를 들어, Claus 유닛의 촉매 부와 유사한 촉매 유닛)이 H2S를 원소 황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애노드(120)의 하류에 통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닛은 기체 상태의 H2S가 약 1000℃의 온도에서 화학양론적 연소를 일으켜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형태의 SO2를 형성하게 한다.
Figure 112018126437769-pct00005
이는 이어서 기체 형태의 H2S와 반응하여 SO2 제거를 위해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소 황을 형성한다.
Figure 112018126437769-pct00006
특히 도 2b를 참조하면, 각각의 반쪽 전지(105)를 구성하는 캐소드(110) 및 전해질(130)의 관형 특성은 시험관과 유사하다. 캐소드(110)는 근위 단부(105A)의 입구와 폐쇄된 바닥 또는 원위 단부(105B) 사이에서 연장되는 반응물 유동장 채널을 한정하는 관의 내부 표면 내에 체적(V)을 형성한다. 플랜지(105C)는 근위 단부(105A)에서 반응물 입구 둘레에 형성되어 반쪽 전지(105)가 각각의 구멍(195)을 통해 뚜껑(190)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체적(V)에 의해 한정된 유동장은 근위 단부(105A)로부터 캐소드 유동장을 통과하여 근위 단부(105A)를 통해 반쪽 전지(105)로부터 나와 산소-함유 반응물(RO)의 스트림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반쪽 전지(105)의 폐쇄된 원위 단부 구조로 인해, 계속되는 유동(가압 조건 하에서) 및 유체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근위 단부(105A) 보다는 폐쇄된 원위 단부(105B)(체적(V) 내에 맞춰지도록 크기가 정해진 신장형 관(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에 인접하게 도입된 산소-함유 반응물을 갖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장(172)은 관형 반쪽 전지(105)의 배열(A)에 인접한 한정된 공간이며, 이에 따라 애노드(120)가 용융 상태에 있을 때, 이는 반쪽 전지(105) 주위에 형성되어 이들을 침지시키는 배쓰로 작용하여 양극과 음극 모두를 갖게 함으로써 MMA-SOFC(100)를 완성한다. 이러한 침지는 부분적으로 완전하게 또는 그 사이 어느 곳에서나 가능하지만, 장(172)에 의해 한정된 애노드(120) 배쓰는 노(170)(도시된 바와 같이, 노(170)가 보다 큰 탱크(180)에서 중첩되는 구성에서)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노(170)가 가열 요소, 열 교환기 등을 통해 원격으로 작동하는 탱크(180)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애노드(120) 배쓰가 노(170) 및 컨테이너(180)(후자는 도시됨)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뿐만 아니라 이들 2개의 용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탄소계 연료(예를 들어, 디젤 연료)는 애노드(120)가 용융된 형태로 되도록 하기 위해 800℃(즉, 1073K) 정도로 높은 온도에서 애노드(120)와 혼합된다. 상이한 금속 조합(위에서 언급 한 것과 같은)이 사용되는 구성에서, 노(170) 또는 다른 가열 장치에 의해 생성된 국부적인 온도는 작동 중에 애노드(120)가 적절한 용융 상태에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그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상술한 금속의 선택에 추가하여, 금속이온 봉쇄제가 애노드(120) 내에 분산되어 CO2 및 SO2를 포착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그러한 격리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으면 애노드(120) 주변의 독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황의 존재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170) 는 탱크(18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분리된 저항성 또는 다른 가열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적인 가열을 달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반쪽 전지(105) 및 주변의 애노드(120)와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열교환 관계에 있을 수있다. 가열이 원격으로 제공되는 구조물(예를 들어, 열교환 도관 또는 관련 회로와 함께 또는 관계없는 가열 요소의 사용에 의해, 어느 것도 도시되지 않음)에서는, 상자 형 노(170)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함유 용정성이 필요 없다. 이들 모든 형태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고, 이러한 모든 것은 노(170) 의 정의 하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맥락에서 노(170)는 정상적인 작동 모드 동안 애노드(120)가 용융 금속 상태에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작동 시에 MMA-SOFC(100)에 충분한 열을 제공하는 임의의 장치이다. 노 구조에 관계없이, 애노드(120)가 작동 중에 용융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한 작동 온도에서 MMA-SOFC(100)를 유지시키기 위해 자동 온도 조절기(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 트랙터 - 트레일러 장비의 트랙터 형태의 차량(200)이 도시되어 있다. 조향 휠, 가속기, 브레이크 또는 관련 유도 장치에 의해 그 이동이 제어될 수 있는 바퀴(230)에 의해 차례로 지지되는 레일 플랫폼 또는 섀시(220) 상에 배치된 캡(210) 이외에, 차량(200)은 동력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주 엔진(240)으로부터의 회전 기계적 전원을 수용하는 구동력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주 엔진(240)은 연료 탱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디젤 연료를 수용하는 디젤 엔진이다. 캡(210)은 조명, 컴퓨터, 텔레비전, 라디오, 에어컨, 전자 레인지, 냉장고, 팬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장치를 포함하며, 모두는 전기 회로(250)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접속 회로의 일 형태는 주 엔진(240)과 회전식으로 협력하는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260)로부터 전류를 수용할 수 있거나, 주 엔진(240)의 시동 중에 주 크랭크 전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섀시 장착 배터리(270)로부터 전류를 수용할 수 있다.
섀시(220)에 장착된 APU(280)는 또한 이러한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전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210)이 차가운 주변 온도에 노출되는 실내 온도에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PU(280)(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260)뿐만 아니라)는 배터리(270)를 재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충전은 주 엔진(240)이 작동 중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는 반면,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260)는 주 엔진(240)이 작동 중인 시간 동안에만 작동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APU(280)는 주 엔진(240)과 동일한 연료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회로(250)를 통해 전류를 제공하여 캡(210)이 탑재물(L)의 상당한 부분을 구성하도록 다양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APU(280)는 캡(210)의 바로 뒤에 있도록 섀시(220) 상에 장착된다. 주된 전원 공급원이 소형 디젤 엔진인 종래의 트랙터-트레일러 APU와는 달리,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APU(280)의 전원 공급원은 전술한 MMA-SOFC(100) 이다. APU(280)의 BOP(balance of plant)를 구성하는 추가 구성 요소(도시되지 않음)는 가열 시스템,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및 관련 도관 및 프로세서-기반 제어기를 갖는 공기 조절 시스템을 포함하며;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가열 및 냉각 기능 중 일부는 가열, 환기 및 공기 조절(HVAC) 시스템으로도 지칭되는 보다 큰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서 통합되어, 필요에 따라 따뜻한 공기 또는 차가운 공기를 캐빈(210)에 공급할 수 있다. 본문에서,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가열 및 공기 조절 시스템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상응하는 설명은 문맥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또한, APU(280)는 개인이 필요에 따라 캡(210)으로부터 다양한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상응하는 전기 회로와 함께 모터/발전기,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 시스템(인버터가 있거나 없는) 및 프로세서-기반 제어기를 포함한다. APU(280) BOP를 구성하는 이러한 구성요소의 대부분 또는 전부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또는 적절한 외장 내에 수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레일 또는 다른 섀시 부재(220) 중 하나에 장착된다. 또한, APU(280)는 추운 날씨에서의 시동을 돕기 위해 주 엔진(240)의 블록 또는 주 엔진(240)에 전달되는 연료를 데우는 것과 같이 차량(200) 내의 전력 동력 컴포넌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APU(280)는 약 10kW의 전원 출력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연료(수소, 천연 가스 등을 포함)에서 작동할 수 있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APU(280)는 이미 차량(200) 상에 존재하고 연료를 주 엔진(240)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본래의 디젤 연료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 엔진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열-기계 전환 없이 연료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모든 ICE에 고유한 최대 카르노(Carnot) 효율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므로 훨씬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증가된 효율뿐만 아니라 낮은 방출 및 감소된 작동 소음은 또한 APU(280)의 특징이다.
본 개시 내용에서 논의된 특징을 설명하고 정의하기 위해, 파라미터 또는 다른 변수의 "함수"인 변수에 대한 본원에 기재된 참조는 그 변수가 열거된 파라미터 또는 변수의 독점적인 함수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오히려 열거된 파라미터의 "함수"인 변수에 대한 본원의 참조는 변수가 단일 파라미터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의 함수가 될 수 있도록 개방형인 것으로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특정 특성 또는 특정 방식에서의 기능을 구체화하기 위해, 본 개시 내용에서 특정 방식으로 "구성" 또는 "프로그래밍된" 구성요소의 인용은 의도된 용도의 인용과 반대되는 것과 같은, 구조적 인용임을 알아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에서 구성요소가 "프로그래밍된" 또는 "구성되는" 방식은 구성요소의 현존하는 물리적 조건을 나타내며, 그 자체로 구성 요소의 구조적 특징의 명확한 설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주제를 상세하게 그리고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세부 사항은 이들 세부 사항이 본 개시 내용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의 필수 구성 요소인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되고, 본 설명에 수반되는 각 도면에 특정 요소가 도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양태가 본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또는 특히 유리하게 식별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이 반드시 이들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은 전이 문구로서 용어 "에 있어서"를 사용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을 정의할 목적으로, 이 용어는 구조에 일련의 특성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방형 전이 구문으로 청구 범위에 도입되며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방형 전제 용어인 "포함하는"과 같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용어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및 "전형적으로"는 청구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또는 특정 특징이 청구범위의 구조 또는 기능에 중요하거나, 필수적이거나, 또는 심지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이들 용어는 단지 본 개시 내용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특징을 강조하려고 한다.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및 "대략적으로"라는 용어 및 이들의 변형은 본원에서 임의의 정량적 비교, 값, 측정 또는 다른 표현에 따라 불확실성의 고유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문제가 되는 주제의 기본 기능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정량적 표현이 명시된 참조와 다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청구된 주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 내용에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이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차량용 전원 시스템으로서,
    동력 유닛; 및
    보조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은: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모듈러 어셈블리로서, 상기 모듈러 어셈블리는
    각각이 캐소드 및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반쪽 전지; 및
    액체 배쓰 애노드로서,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가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겨져서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의 작동 시, 산소-함유 반응물이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를 통해 흘러서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 내에 함유된 용융 금속과 연료 함유 반응물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는,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를 포함하는,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내부에 복수의 구멍을 한정하는 천공 뚜껑으로서, 상기 천공 뚜껑 내에 한정된 각각의 구멍이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 중 해당하는 한쪽과 방출 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 중 해당하는 한쪽이 상기 모듈러 어셈블리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천공 뚜껑;을 포함하는, 상기 모듈러 어셈블리;
    상기 천공 뚜껑과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배치된 제1 밀봉;
    복수의 제2 밀봉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2 밀봉 중 각각의 밀봉은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 중 하나의 반쪽 전지와 상기 천공 뚜껑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밀봉;
    상기 천공 뚜껑, 상기 컨테이너,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 상기 제1 밀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밀봉 사이에서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불활성 기체 환경으로서, 상기 불활성 기체 환경은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와 상기 천공 뚜껑 사이에 체적 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불활성 기체 환경;
    상기 컨테이너 내에 중첩되어 상기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열적으로 협력하는 노로서, 상기 노의 작동 시에 상기 배쓰 내의 상기 용융 금속이 실질적으로 용융된 금속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노; 및
    상기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협력하는 전기 회로로서, 상기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상기 전기 회로를 통해 차량 탑재물에 전달될 수 있는, 상기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전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금속은 주석, 안티모니, 비스무스, 주석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와 상기 보조 전원 유닛 부근의 주위 환경 사이의 열적 연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의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단열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반쪽 전지의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전해질은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 내에 잠긴 원위 단부 및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 내에 잠겨있지 않지만 산소-함유 반응물과 유동적으로 협력하는 구멍을 한정하는 근위 단부에 폐쇄부를 갖는 신장형 관형 구조를 한정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형 관형 구조는 상기 근위 단부에 인접한 플랜지 표면을 한정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물은 차량의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 및 상기 동력 유닛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는 그 안에 배치된 금속이온 봉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은 (a) 전기 발전기 또는 교류 발전기 및 (b) 상기 전기 회로를 통해 상기 차량 탑재물로의 전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세서-기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10. 동력 유닛 및 보조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에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에 한정된 개방 상부 표면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내에 수용되는 모듈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보조 전원 유닛에 열을 제공하기 위해 노를 작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모듈러 어셈블리는;
    각각이 캐소드 및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반쪽 전지, 및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가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겨진 액체 배쓰 애노드를 포함하는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내부에 복수의 구멍을 한정하는 천공 뚜껑으로서, 상기 천공 뚜껑에 한정된 각각의 구멍이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의 각각과 방출 가능한 커플링을 형성하는, 상기 천공 뚜껑;
    상기 천공 뚜껑과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배치된 제1 밀봉;
    복수의 제2 밀봉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2 밀봉 중 각각의 밀봉은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 중 하나의 반쪽 전지와 상기 천공 뚜껑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2 밀봉; 및
    상기 천공 뚜껑, 상기 컨테이너, 상기 복수의 반쪽 전지, 상기 제1 밀봉, 및 상기 복수의 제2 밀봉 사이에서 협력에 의해 형성되는 불활성 기체 환경으로서, 상기 불활성 기체 환경은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와 상기 천공 뚜껑 사이에 체적 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불활성 기체 환경;을 포함하는, 상기 노를 작동시키는 단계;
    산소 함유 반응물을 복수의 반쪽 전지를 통해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 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산소 함유 반응물로 산화시키는 단계;
    상기 산화된 용융 금속을 상기 액체 배쓰 애노드 내에 존재하는 연료 함유 반응물로 환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전기 탑재물 및 상기 차량에 위치된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유닛의 작동은 상기 동력 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기간 동안 발생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상기 연료 함유 반응물은 상기 동력 유닛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은 적어도 하나의 L-형 밀봉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은 적어도 하나의 링형 밀봉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은 적어도 하나의 L-형 밀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은 적어도 하나의 링형 밀봉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87036529A 2016-05-19 2017-05-18 수송 관련 보조 전원 유닛용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KR102343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58,637 US10661736B2 (en) 2016-05-19 2016-05-19 Molten metal anode solid oxide fuel cell for transportation-related auxiliary power units
US15/158,637 2016-05-19
PCT/US2017/033232 WO2017201228A1 (en) 2016-05-19 2017-05-18 Molten metal anode solid oxide fuel cell for transportation-related auxiliary power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775A KR20190009775A (ko) 2019-01-29
KR102343971B1 true KR102343971B1 (ko) 2021-12-29

Family

ID=5905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529A KR102343971B1 (ko) 2016-05-19 2017-05-18 수송 관련 보조 전원 유닛용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1736B2 (ko)
EP (1) EP3459134A1 (ko)
JP (1) JP7015299B2 (ko)
KR (1) KR102343971B1 (ko)
CN (1) CN109314255B (ko)
SA (1) SA518400453B1 (ko)
SG (1) SG11201810197PA (ko)
WO (1) WO2017201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8064A1 (fr) * 2021-10-07 2023-04-14 Bruno SANGLE-FERRIERE Système de pile à combusti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1605A (en) * 1996-03-08 1998-04-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olid oxide fuel cell generator with removable modular fuel cell stack configurations
US20060234098A1 (en) * 2005-04-18 2006-10-19 Clean Coal Energy, Llc Direct carbon fuel cell with molten anode
US20110246013A1 (en) * 2010-04-05 2011-10-06 Daimler Trucks North America Llc Vehicle power system with fuel cell auxiliary power unit (apu)
US20110311900A1 (en) * 2003-06-10 2011-12-22 Celltech Power Llc Electrochemical device configu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013A (en) * 1975-06-11 1976-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Cathode cell casing portion, a cell casing, and a hermetically sealed sodium-sulfur cell
US4520082A (en) * 1983-07-01 1985-05-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Fuel cell generator
WO1999045607A1 (en) 1998-03-03 1999-09-10 Celltech Power, Llc A carbon-oxygen electricity-generating unit
US6656623B2 (en) * 2001-02-15 2003-12-02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Low-cost atmospheric SOFC power generation system
CN1969415A (zh) * 2004-05-19 2007-05-23 思研(Sri)国际顾问与咨询公司 液体阳极电化学电池
US20110014526A1 (en) 2005-05-16 2011-01-20 Guer Turgut M High temperature direct coal fuel cell
US20090117429A1 (en) 2007-11-06 2009-05-07 Zillmer Andrew J Direct carbon fuel cell having a separation device
US20100159295A1 (en) * 2008-12-24 2010-06-24 Ronald Wolk On-line replacement of dcfc tubular elements
US20120231366A1 (en) 2011-03-10 2012-09-1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Porous ceramic molten metal composite solid oxide fuel cell anode
JP5936045B2 (ja) 2011-04-12 2016-06-15 Toto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US8518598B1 (en) 2012-04-25 2013-08-27 Utc Power Corporation Solid oxide fuel cell power plant with a molten metal anode
WO2014197100A2 (en) * 2013-03-15 2014-12-11 Pittsburgh Electric Engine, Inc. Solid oxide fuel cell bundles with flexible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461135B1 (ko) 2013-08-08 2014-11-13 광주과학기술원 액체 드럼형 연료전지-금속 회수 장치
US9685675B2 (en) 2014-04-28 2017-06-20 Saudi Arabian Oil Company Sulfur management and utilization in molten metal anode solid oxide fuel cells
CN103972526B (zh) 2014-05-12 2016-04-06 清华大学 基于液态金属阳极直接碳燃料电池的发电储能一体化装置
US10218044B2 (en) 2016-01-22 2019-02-26 Johnson Ip Holding, Llc Johnson lithium oxygen electrochemical engine
US10714783B2 (en) * 2017-05-09 2020-07-14 Cummins Enterprise Llc Integrated fuel cell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1605A (en) * 1996-03-08 1998-04-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olid oxide fuel cell generator with removable modular fuel cell stack configurations
US20110311900A1 (en) * 2003-06-10 2011-12-22 Celltech Power Llc Electrochemical device configurations
US20060234098A1 (en) * 2005-04-18 2006-10-19 Clean Coal Energy, Llc Direct carbon fuel cell with molten anode
US20110246013A1 (en) * 2010-04-05 2011-10-06 Daimler Trucks North America Llc Vehicle power system with fuel cell auxiliary power unit (ap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14255A (zh) 2019-02-05
US20170334379A1 (en) 2017-11-23
SG11201810197PA (en) 2018-12-28
JP2019517124A (ja) 2019-06-20
EP3459134A1 (en) 2019-03-27
WO2017201228A1 (en) 2017-11-23
WO2017201228A9 (en) 2019-02-21
JP7015299B2 (ja) 2022-02-02
US10661736B2 (en) 2020-05-26
KR20190009775A (ko) 2019-01-29
SA518400453B1 (ar) 2022-09-13
CN109314255B (zh)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2284B2 (ja) 水素供給システム
US9005826B2 (en) Electrochemical battery
US7943271B2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s for energy conversion
CN101292374B (zh) 用于进行便携式功率发生的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
CA3058581A1 (en) Electrochemical element, electrochemical module, electrochemical device, energy system,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chemical element
US20090029199A1 (en) Cathode Arrangements for Fuel Cells and Other Applications
KR20140098084A (ko) 직접 탄소 전지화학 전지
KR102343971B1 (ko) 수송 관련 보조 전원 유닛용 용융 금속 애노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JP6545706B2 (ja) 溶融金属アノード固体酸化物燃料電池における硫黄の管理及び利用
US6790551B2 (en) Modified redox couple fuel cell cathodes and fuel cells employing same
KR101015698B1 (ko) 분말형 연료 전지
JP5516735B2 (ja) 燃料電池
US20140004395A1 (en) Electric energy store
WO2005050763A1 (en) Microfluidic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energy applications
JPS63237363A (ja) メタノ−ル燃料電池
JP7125954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におけるアノード層活性化方法、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Holtappels et al. Ceramic Fuel Cells: Principles, Materials, and Applications
JP2005294223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2513996A (ja) 燃料電池の電解質の表面を濡らす方法
Qi PROTON EXCHANGE MEMBRANE
JP2007335108A (ja) 燃料電池
JPWO2014087739A1 (ja) 燃料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JPWO2014045895A1 (ja) 2次電池型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