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858B1 -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858B1
KR102343858B1 KR1020200064798A KR20200064798A KR102343858B1 KR 102343858 B1 KR102343858 B1 KR 102343858B1 KR 1020200064798 A KR1020200064798 A KR 1020200064798A KR 20200064798 A KR20200064798 A KR 20200064798A KR 102343858 B1 KR102343858 B1 KR 10234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value
sensor module
air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486A (ko
Inventor
김진선
김태웅
박정석
김상현
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청파이엠티
주식회사 푸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파이엠티, 주식회사 푸른랩 filed Critical (주)청파이엠티
Priority to KR102020006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85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여, 다중이용시설 등 실내 공기오염도를 낮출 수 있는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A SMART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MULTI-SENSOR}
본 발명은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여, 다중이용시설 등 실내 공기오염도를 낮출 수 있는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은 각 영역에 고정된 센서를 통해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일정 값 이하 일 때, 일정 값 이하인 영역에 설치된 공기정화 장치를 작동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 시켜주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동적으로 실내 공기를 최적의 공기 상태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 중 일부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때, 그 작동하지 않은 일부 센서의 주변 영역의 공기오염도 측정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1433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여, 최적의 실내 공기를 유동적으로 유지하는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때, 주변 센서의 거리와 공기오염도 측정값을 통해, 해당 구역의 오염도를 산출하여 최적 실내 공기를 유지하는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은 공기정화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있다. 여기에서, 각 구역별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 고정형 공기정화기, 이동부를 가지며,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공기정화기,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모듈,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은 제1 및 제2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의 측정 결과값에 따라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의 운전 강도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모듈은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한 결과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에 상기 결과값을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과값에 따라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서모듈은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센서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은 적외선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모듈을 통해 각 구역별로 구역별 통행량 및 통행 밀집도를 각각 측정하며, 상기 구역별 통행량 및 통행 밀집도는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과 유출통행량의 차이의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은 각각 복수의 측정 항목에 대한 물성치를 측정하며,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1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는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1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2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는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2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각 구역별 상기 유입통행량의 값 보다 상기 유출통행량의 값이 더 작을 경우, 일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오염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을 경우,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고,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며,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과 유출통행량의 차이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오염도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작을 경우,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며,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상기 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1 위험도 테이블과 매칭하여 실내 오염물질 위험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센서모듈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2 위험도 테이블과 매칭하여 실내 오염물질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시, 작동하지 않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로부터 작동하지 않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 감지 구역의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작동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 감지 구역의 오염도를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오염도 =
Figure 112020054644010-pat00001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 및 각 구역에 기설정된 매트릭스 구역(ZONE)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 모듈을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여, 구역별 공기 정화를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센서 모듈 중 일부의 센서 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시, 주변 센서와의 거리 및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을 통해, 해당 구역에 대한 공기오염도를 산출하여 센서 모듈이 작동하지 않는 구역도 최적의 실내 공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형 공기정화기(110)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형 공기정화기(120)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험도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험도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70)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은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 이동을 위한 매트릭스 구역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정화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100)은,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이동형 공기정화기(120), 제1 센서모듈(130) 및 제2 센서모듈(140)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모듈, 및 시스템 관리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모듈은 제1 센서모듈(130) 및 제2 센서모듈(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센서 모듈이 측정하는 측정항목은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화학물질,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석면, 오존, 퓸(FUM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센서모듈(130) 및 제2 센서모듈(140)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화학물질,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석면, 오존, 퓸(FUME)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형 공기정화기(110)는 천장형 공기정화기, 스탠드형 공기정화기 등 공기정화기의 유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100)은 실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복수의 고정형 공기정화기(11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100)은 탁상형 공기정화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탁상형 공기정화기(미도시)는 시스템 관리 서버(150)의 제어를 통해 책상, 테이블, 장식장 등에 설치되어 주변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2를 살펴보면, 도 2는 도 1의 고정형 공기정화기(110)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고정형 공기정화기(110)는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모듈(130),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흡입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필터 및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모듈(130)은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한 결과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결과값을 전송하며,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제1 센서모듈로부터 수신한 결과값에 따라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운정 강도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은 가장 최근의 시행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기초한 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일 수 있으며, 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은 민감계층 이용시설(어린이집, 노인용양시설, 산후조리원 및 의료기관 등)의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은 미세먼지(PM10) 75 ㎍/㎥ 이하 유지, 초미세먼지(PM2.5) 35 ㎍/㎥ 이하 유지, 라돈 148 Bq/㎥ 이하 권고, 포름알데히드 80㎍/㎥ 이하 유지 및 이산화질소 0.05 ppm 이하 권고가 기준일 수 있으며, 일반시설(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철도역사, 공항시설, 여객터미널,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대규모점포, 장례식장, 영화관, 학원, 전시시설, PC방, 목욕장업 등)는 미세먼지(PM10) 100 ㎍/㎥ 이하 유지, 초미세먼지(PM2.5) 50 ㎍/㎥ 이하 유지, 라돈 148 BQ/㎥ 이하 권고, 포름알데히드 100 ㎍/㎥ 이하 유지 및 이산화질소 0.1 ppm 이하 권고가 기준일 수 있다. 여기에서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100)은 다중이용시설에만 설치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내 어느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서모듈(130)은,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센서모듈(1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관리 서버(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복수의 센서모듈의 측정 결과값에 따라 고정형 공기정화기(110)의 운전 강도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을 살펴보면, 도 3은 도 1의 이동형 공기정화기(120)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동형 공기정화기(120)는 공기오염도가 높은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121),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흡입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필터 및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내부의 제1 센서모듈(130)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을 이상인 경우, 제1 센서모듈은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결과 값을 전송하며, 시스템 관리 서버는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주변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제1 기준값 이하로 낮추기 위해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서모듈은 각각 복수의 측정 항목에 대한 물성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모듈(130)로부터 측정되는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1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는 제2 센서모듈(140)로부터 측정되는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1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 보다 높을 수 있으며, 제2 센서모듈(140)로부터 측정되는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2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는 제1 센서모듈(130)로부터 측정되는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2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오염물질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화학물질,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석면, 오존, 퓸(FUME) 중 하나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100)은 적외선 센서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모듈(180)을 통해 각 구역별로 구역별 통행량 및 통행 밀집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적외선 센서모듈(180)을 통해 측정된 구역별 유입통행량의 값과 유출통행량의 값의 차 값(유입통행량 - 유출통행량)과 기 설정된 일정 값과 비교하여, 계산하여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를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 값은 0일 수 있다. 즉, 유입통행량이 유출통행량보다 많을 경우, 특정 구역에 사람이 더 많이 밀집해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실내 공기질이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유입통행량이 유출통행량보다 적을 경우, 특정 구역에서 주변 구역으로 사람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특정구역의 실내 공기질이 나빠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과 유출통행량의 차이가 일정 값 미만인 경우, 제1 및 제2 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오염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오염도 측정값이 제2 기준값 보다 작을 경우, 오염도 측정값이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구역별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운전 강도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하고, 오염도 측정값이 제2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오염도 측정값이 제2 기준값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각 구역별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운전 강도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과 유출통행량의 차이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제1 및 제2 센서모듈에서 전송되는 오염도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오염도 측정값이 제3 기준값 보다 작을 경우, 오염도 측정값이 제3 기준값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구역별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운전 강도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하며, 오염도 측정값이 제3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오염도 측정값이 제3 기준값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각 구역별 고정형 공기정화기(110) 운전 강도 및, 이동형 공기정화기(120)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기준값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기초한 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질소의 보통 기준 이하 값일 수 있으며, 제3 기준값은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기초한 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라돈, 포름알데히드 및 이산화질소의 보통 기준 초과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제1 센서모듈(130)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1 위험도 테이블과 매칭하여 실내 오염물질 위험도를 측정하고, 제2 센서모듈(140)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2 위험도 테이블과 매칭하여 실내 오염물질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험도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수치 범위를 정하여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기 저장한 제1 위험도 테이블이다. 제1 센서모듈로부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을 때, 제1 위험도 테이블은 미세먼지의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의 수치 기준과 초미세먼지의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의 수치 기준을 조합하여 테이블을 만들어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미리 설정 해놓아 제1 센서모듈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실내 공기 오염물질 위험도를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위험도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미세먼지와 포름알데히드의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수치 범위를 정하여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기 저장한 제1 위험도 테이블이다. 제2 센서모듈로부터 미세먼지 및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할 수 있을 때, 제2 위험도 테이블은 미세먼지의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의 수치 기준과 포름알데히드의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의 수치 기준을 조합하여 테이블을 만들어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미리 설정 해놓아 제2 센서모듈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실내 공기 오염물질 위험도를 산출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위험도 테이블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센서모듈이 측정가능한 모든 것을 테이블화 하여 시스템 관리 서버(150)에 기설정하여 복수의 센서모듈이 측정하는 값과 매칭하여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제1 센서모듈 및 제2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모듈로부터 각각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실내 공기질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이 갖춰진 다중이용시설의 이용자는 시스템 관리 서버(1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의 측정값의 실내 공기 오염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6을 살펴보면,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70)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관리 서버(1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제1 센서모듈(130) 및 제2 센서모듈(140)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모듈으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의 측정 항목 각각의 평균을 산출하여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실내 공기질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17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70)의 어플리케이션에 출력되는 측정 항목으로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화학물질, 이산화탄소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내의 측정값과 색상의 조합으로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매우 나쁨, 주황색은 나쁨, 초록색은 보통, 파란색은 좋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복수의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이 고장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을 시, 작동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센서모듈로부터 작동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 감지 구역의 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작동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 감지 구역의 오염도를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오염도 =
Figure 112020054644010-pat00002
(n은 작동하지 않는 센서모듈)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관리 서버는, 제2 센서모듈(140)로부터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 및 각 구역에 기설정된 매트릭스 구역(ZONE)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매트릭스 구역은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를 10 x 10으로 구역을 나누어, 각 구역마다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7은 이동형 공기정화기(120)의 위치 이동을 위한 매트릭스 구역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다중센싱 스마트 공기 정화 시스템(100)이 적용된 다중이용시설의 실내를 10 X 10으로 나누면, 가로는 1 내지 10으로 기준을 세우며, 세로는 A 내지 J로 기준을 세울 수 있다. 이를 조합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실내를 A1 내지 J10의 100개의 구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 서버(150)는 이동형 공기정화기(120)를 A1 내지 J10의 구역 위치 데이터를 기 설정한 후, 복수의 센서 모듈의 측정값과 제1 내지 제3의 기준값과 각각 비교하여, 공기정화가 필요한 구역에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 공기 정화 시스템
110: 고정형 공기정화기
120: 이동형 공기정화기
130: 제1 센서모듈
140: 제2 센서모듈
150: 시스템 관리 서버
160: 디스플레이부
170: 사용자 단말기
180: 적외선 센서모듈

Claims (10)

  1. 공기정화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구역별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 고정형 공기정화기;
    이동부를 가지며,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공기정화기;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모듈;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스템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은,
    제1 및 제2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의 측정 결과값에 따라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의 운전 강도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은,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한 결과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에 상기 결과값을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과값에 따라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모듈은,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주변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센서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은,
    적외선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모듈을 통해 각 구역별로 구역별 통행량 및 통행 밀집도를 각각 측정하며,
    상기 구역별 통행량 및 통행 밀집도는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과 유출통행량의 차이의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은,
    각각 복수의 측정 항목에 대한 물성치를 측정하며,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1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는,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1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2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는,
    상기 제1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측정 항목 중 제2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정확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의 값 보다 유출통행량의 값이 더 작을 경우, 일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며,
    각 구역별 유입통행량과 유출통행량의 차이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며,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클 경우,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값이 상기 제3 기준값 보다 작게 하기 위해 각 구역별 상기 고정형 공기정화기 및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센서모듈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1 위험도 테이블과 매칭하여 실내 오염물질 위험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센서모듈의 측정값과 기설정된 제2 위험도 테이블과 매칭하여 실내 오염물질 위험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이 작동하지 않을 시,
    작동하지 않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로부터 작동하지 않는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모듈 감지 구역의 오염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공기오염도 측정값 및 각 구역에 기설정된 매트릭스 구역(ZONE)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형 공기정화기의 위치 이동 및 운전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KR1020200064798A 2020-05-29 2020-05-29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KR10234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98A KR102343858B1 (ko) 2020-05-29 2020-05-29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798A KR102343858B1 (ko) 2020-05-29 2020-05-29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86A KR20210147486A (ko) 2021-12-07
KR102343858B1 true KR102343858B1 (ko) 2021-12-27

Family

ID=7886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798A KR102343858B1 (ko) 2020-05-29 2020-05-29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3358B (zh) * 2022-04-24 2023-11-2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空氣淨化系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931A (ja) * 2003-06-23 200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室内環境調節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21078B1 (ko) * 2004-09-2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 및 공기 조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022B1 (ko) * 2013-08-09 2015-11-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맵과 정합된 3d gis 기반 축제방문객 통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1433A (ko) 2018-09-14 2020-03-24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931A (ja) * 2003-06-23 200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室内環境調節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21078B1 (ko) * 2004-09-2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 및 공기 조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3358B (zh) * 2022-04-24 2023-11-2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空氣淨化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86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174B1 (ko) 공기질측정장치와 무선단말기를 연동한 공기질 알림장치 및 그 공기질 알림방법
KR101785357B1 (ko) 미세먼지, 온도, 습도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한 공기질 검출 시각화 장치
CN101208563B (zh) 具有公共传感器以提供用于监控和建筑物控制的混合空气质量参数信息的多点空气采样系统
US11951514B2 (en) Controlling a fume hood airflow using an image of a fume hood opening
KR100930346B1 (ko) 공간별 실내 공기질 검출 장치
CN106796047B (zh) 基于可编程逻辑控制器的系统和用于受控环境中空气采样的用户界面
CN108088056B (zh) 室内污染物环境监测系统
US20170236397A1 (en) Safety control room
US1180153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aboratory fume hood minimum airflow
KR20070076926A (ko) 실내 가스 감지 장치 및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858054B1 (ko)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43858B1 (ko) 다중 센싱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
CN104316655A (zh) 空气污染物参数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1862087B1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8262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190121570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US20170154059A1 (en) Environment quality recording system and method, and indoor environment quality recording system
CN106885878A (zh) 一种实时感测环境质量的装置
KR20200072841A (ko) Ict기반 기술과 유해가스 측정 기술을 융합한 다중이용시설 전용 대기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장치
KR20210083592A (ko)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01511A (ko) IoT 기술을 이용한 화재 대응 환기 제어 시스템
KR20200076174A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와 연동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060063546A (ko) 실내오염 감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실내오염 경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실내오염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679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 측정 및 개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