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054B1 -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54B1
KR101858054B1 KR1020160109380A KR20160109380A KR101858054B1 KR 101858054 B1 KR101858054 B1 KR 101858054B1 KR 1020160109380 A KR1020160109380 A KR 1020160109380A KR 20160109380 A KR20160109380 A KR 20160109380A KR 101858054 B1 KR101858054 B1 KR 10185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ement
sensor
bui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665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12Provision for actuation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측정결과에 따른 행동요령 및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및 확산에 대한 시각화된 정보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들웨어가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건물 실내의 공기질 측정결과와 건물 외부의 오염정도 및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 시에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적합한 행동요령을 정보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건물 내부의 공기의 오염 발생 시에 오염된 공기의 오염 발생위치와 대피위치에 대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 시에 오염에 의한 피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오염 완화 방법을 알지 못하는 사용자라할지라도, 오염물질에 따른 빠르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의 증가와 배기가스, 공장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속 유해물질에 의해 공기질이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질 악화에 의해, 사람들의 외부출입 자제를 권고하는 다양한 정보 제공 기술이 발달되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공기질 악화는 건물의 외부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된 유해물질 및 타오염원에 의한 오염전이에 의해 건물 내부의 공기질 또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물 내부의 공기질 악화에 따른, 사고 및 질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오염물질의 종류, 오염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방법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4-0125167호(출원일 : 2013.04.18, 공개일 : 2014.10.28,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서는 폐쇄된 공간 상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폐쇄된 내부 환경에서 오염물질의 농도 값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할 경우에 작업자에게 알리기만 할 뿐, 작업자에게 오염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염 물질, 정도별 정확한 대응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요령 및 공간별 오염상태를 알리는 공기질 정보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단말;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식별 값(UUID)을 가지며, 건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산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 농도 및 폼알데하이드,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라돈(Rn)을 포함하는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1 센서와,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식별 값(UUID)을 가지며, 건물 외부의 풍속, 풍향,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공기 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센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와 통신하여, 각 측정센서별 측정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측정센서의 고유의 식별 값(UUID),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의 크기(TxPower) 및 수신된 상기 비콘신호의 수신세기(RSSI) 값을 통해 각 측정센서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장치;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부유세균, 석면, 낙하세균 및 진드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장치; 상기 건물의 구조에 대한 공간정보,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 값에 대한 시계열데이터 형태의 측정정보와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결과 및 상기 포집장치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가습, 제습, 냉방, 난방, 살균, 구역 대피 및 구역 격리를 포함한 사용자 행동요령을 포함하는 대응정보가 저장된 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측정결과 및 각 측정센서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포집장치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이하, 유해물질정보라 함.)를 입력받으며,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측정결과와 유해물질정보에 대응되는 대응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단말에 제공하는 미들웨어;를 포함하되,
상기 미들웨어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제1 센서별 위치정보 및 측정결과 값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유해물질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제1 센서 별 위치정보 및 측정결과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해물질정보를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질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정보를 호출하는 호출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센서에서 생성된 기상정보, 공기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 값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통해, 상기 호출부에 의해 호출된 복수의 대응정보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대응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단말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제1 센서별 위치정보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제1 센서별 측정결과 값을 측정 일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여,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및 확산에 대한 시각화정보형태인 측정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측정정보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시각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들웨어가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건물 실내의 공기질 측정결과와 건물 외부의 오염정도 및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 시에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적합한 행동요령을 정보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건물 내부의 공기의 오염 발생 시에 오염된 공기의 오염 발생위치와 대피위치에 대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 시에 오염에 의한 피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오염 완화 방법을 알지 못하는 사용자라할지라도, 오염물질에 따른 빠르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단말(100), 측정센서(200), 중계장치(300), 포집장치(400), 정보데이터베이스(500) 및 미들웨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단말(100)은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PC, 랩톱,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미들웨어(600)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구비하며, 미들웨어(6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정보단말(100)은 실내공기청정, 창문개폐, 도어개폐, 냉난방 및 환기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어, 미들웨어(600)로부터 수신한 대응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들웨어(600)로부터 수신된 대응정보와 대응되는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단말(10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어, 각 정보단말(100)이 미들웨어(600)로부터 동시에 대응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측정센서(200)는 건물 구조에 설치되며, 설치 위치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산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 농도 및 폼알데하이드,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라돈(Rn)을 포함하는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후술할 중계장치(300)에 비콘(Beacon)신호를 통해 측정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200)는 중계장치(300)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통신하며, 건물 구조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센서(210), 건물 구조 외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며, 건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산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 농도 및 폼알데하이드,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라돈(Rn)을 포함하는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중계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며, 건물 외부의 풍속, 풍향,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공기 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중계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측정을 실시하여, 측정결과를 중계장치(300)에 측정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계장치(300)로부터 측정결과 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만 측정을 실시하여, 중계장치(300)에 측정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210)와 제2 센서(220)는 각각 고유의 식별 값(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을 가지며, 중계장치(300)에 측정결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유의 식별 값(UUID)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중계장치(300)는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와 통신하여, 각 센서(210, 220)로부터 측정결과를 수신하며,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장치(300)는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로부터 수신한 측정결과와 위치정보를 후술할 미들웨어(6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계장치(300)는 각 센서(210, 220)로부터 수신된 비콘신호 내의 각 센서(2100, 220)의 고유 식별 값(UUID)를 통해 각 센서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센서(210, 220)와 통신하여 각 센서(210, 220)의 비콘신호의 송출신호 크기(TxPower)와 중계장치(300)로부터 측정된 비콘신호의 수신세기(RSSI)를 통해, 중계장치(30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각 센서(210, 220)별 방향 및 거리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포집장치(400)는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부유세균, 석면, 낙하세균 및 진드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집장치(400)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일정량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내의 부유세균, 석면, 낙하세균 및 진드기의 수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또는 공기를 샘플링하는 포집 백(Bag)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포집장치(400)를 통한 직접적인 측정이나 별도의 측정방법을 통해 포집 백(Bag)에 수집된 공기 내부의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이하, 유해물질정보라 함.)가 미들웨어(600)에 입력될 수 있다.(여기서, ‘입력’이라 함은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load), 입력장치를 통한 데이터의 직접적 입력(input)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데이터베이스(500)는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가 설치된 건물의 구조에 대한 공간정보, 중계장치(300)로부터 수집한 제1 센서(210)의 측정 결과 값에 대해 미들웨어(600)로부터 생성된 시계열데이터 형태의 측정정보 및 제1 센서(210)로부터 측정된 측정결과 및 포집장치(400)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에 따른 대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공간정보에는 공기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건물의 업종형태, 건물의 층수, 구획면적, 면적별 분류형태, 구획구조(외벽 및 내벽 위치), 창문 및 도어의 위치 등을 포함하는 층별 구조 등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고, 대응정보에는 제1 센서(200)로부터 측정된 측정결과 내의 오염물질 종류와 농도 및 포집장치(400)로부터 입력된 유해물질의 종류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가습, 제습, 냉방, 난방, 살균, 구역 대피, 구역 격리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행동요령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측정정보에 대해서는 후술될 미들웨어(600)의 시각정보생성부(680)의 구성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미들웨어(600)는 중계장치(300)로부터 제1 센서(210) 및 제2 센서(220)를 통해 측정된 측정결과 및 각 센서(210, 220)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제공하고, 포집장치(400)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정보를 입력받으며, 정보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유해물질정보 및 측정결과에 대응되는 대응정보를 추출하여, 정보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부(610), 수집부(620), 입력부(630), 분석부(640), 호출부(650), 판단부(660), 정보제공부(670) 및 시각정보생성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정보단말(100), 중계장치(300) 및 정보데이터베이스(500)와 통신할 수 있다.
수집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장치(300)로부터 제1 센서(210)별 위치정보 및 측정결과 값을 수집할 수 있다.
입력부(630)는 포집장치(400)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에 대한 유해물질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분석부(640)는 수집부(620)에서 수집한 제1 센서(210) 별 위치정보 및 측정결과와 입력부(630)를 통해 입력된 유해물질정보를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질을 분석할 수 있다.
호출부(650)는 분석부(640)의 분석결과에 따라,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판단부(660)는 통신부(610)를 통해 중계장치(300)로부터 제2 센서(220)에서 생성된 기상정보, 공기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 값을 수신하여 수신한 기상정보, 공기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 값을 통해, 호출부(650)에 의해 호출된 복수의 대응정보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660)는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통해, 호출부(650)에 의해 호출된 복수의 대응정보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640)의 분석결과, 특정 공간 내에 온도, 습도가 특정 수치 이상일 경우, 호출부(650)는 정보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냉방, 제습, 환기를 포함하는 대응정보를 호출하게 되며, 이때, 판단부(660)는 공간정보를 통해, 해당 공간의 도어, 창문, 환기시스템의 유무를 확인하고, 도어 및 창문이 있을 경우, 도어, 창문의 개방을 통한 환기가 해당 공간 내의 온도, 습도를 낮추는 적합한 대응방법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만약, 해당 공간에 창문이 없거나, 도어를 통해 연결된 인접한 공간 또한 온도 및 습도가 유사하게 높을 경우, 냉방, 제습의 방법이 온도, 습도를 낮추는 적합한 대응방법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판단부(660)는 분석부(640)의 분석 결과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되어, 호출부(650)가 정보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건물 내부 오염물질의 농도를 줄이기 위한 대응방법이 포함된 복수의 대응정보를 호출할 경우, 제2 센서(220)를 통해 건물 외부의 오염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창문을 개방한 환기 시에, 건물 외부의 오염물질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어, 건물 내부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창문을 개방한 환기에 대한 대응정보를 부적합한 대응정보로 판단하고, 외부 오염물질의 내부유입을 방지하면서,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줄일 수 있는 공기청정기 작동 및 환기 시스템의 작동을 권고하는 대응정보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판단부(660)는 건물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할 경우, 제2 센서(220)의 측정결과를 통해 건물 외부의 오염물질 종류와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건물 내부에 발생한 오염물질의 농도 증가가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것인지 또는 건물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대응정보 중, 건물의 외부와 연결된 창문 또는 도어의 차단, 환기시스템을 통한 건물 내부의 공기 배출 및 공기청정기 작동 등을 권고하는 대응정보를 선정할 수도 있다.
정보제공부(670)는 판단부(660)로부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대응정보를 통신부(610)를 통해 정보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정보생성부(680)는 수집부(620)로부터 수집된 제1 센서(210)별 위치정보를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공간정보에 맵핑하고, 수집부(620)로부터 수집된 제1 센서(210)별 측정결과 값을 측정 일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여,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및 확산에 대한 시각화정보형태인 측정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측정정보를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분석부(640), 호출부(650), 판단부(660), 정보제공부(670) 및 시각정보생성부(680)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분석부(640)가 수집부(620)에서 특정 공간상에 위치한 제1 센서(210)에서 수집된 공기질 측정결과로부터 해당 제1 센서(210)의 위치에서 라돈(Rn)의 검출이 확인된 경우, 호출부(650)는 라돈을 포함한 유해물질의 실내누출 시 행동방법에 대한 대응정보를 정보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호출하게 된다.
여기서 라돈의 경우, 방사성 비활성기체이고, 공기보다 무거워 동일한 공간상에 오래 머무를 수 있기 때문에 라돈을 방출시키는 위험요소의 제거 이전에 지속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때, 호출부(650)는 라돈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환기시스템 작동, 창문 또는 도어를 개방시켜 내부공기 순환 등의 대응정보를 호출하게 되나, 라돈이 동일공간 상에 위치한 실내의 사람의 호흡기에 지속적으로 전달될 경우, 폐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임에 따라, 유출된 라돈의 농도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있으나, 성장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라돈이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유아, 아동, 청소년 들이 주로 이용하는 교육시설, 보육업체의 경우, 판단부(660)는 호출부(650)로부터 호출된 복수의 대응정보에서 해당 공간으로부터의 대피, 추가적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해당 공간의 격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할 절차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대응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660)는 정보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공간정보에서 건물의 구조형태를 확인하여, 해당 공간 내에 창문 등이 있는 경우, 창문의 개방을 통한 환기, 창문 또는 도어는 없지만 환기 시스템이 있는 경우 환기시스템 가동 등의 대응정보를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대응정보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후, 정보제공부(670)는 통신부(610)를 통해 라돈의 검출여부와 라돈이 검출된 위치에 대한 대피 이후, 격리를 권고하는 대응정보와 환기에 대한 대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정보생성부(680)는 해당 제1 센서(210)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라돈 검출 농도와 인접한 공간에 위치한 제1 센서(210)를 통한 라돈 검출 농도를 통해, 라돈의 확산경로와 라돈의 유출위치에 대한 시계열적 시각화정보인 측정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610)를 통해 정보단말(100)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단말(100)을 소지한 관리자는, 정보제공부(670)에서 제공된 대응정보를 통해, 건물 내부의 인원에게 라돈 검출에 따른 대피를 안내하고, 실내 환기 등의 초동조치를 취함과 동시에, 라돈의 처리를 위해 출동한 작업자에게 해당 위치와 현재의 농도 및 확산 현황을 확인시켜 줌으로써, 유해물질의 유출에 따른 피해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처지연 및 확산에 따른 2차 피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미들웨어가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복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건물 실내의 공기질 측정결과와 건물 외부의 오염정도 및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 시에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적합한 행동요령을 정보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건물 내부의 공기의 오염 발생 시에 오염된 공기의 오염 발생위치와 대피위치에 대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건물 내부의 공기 오염 시에 오염에 의한 피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오염 완화 방법을 알지 못하는 사용자라할지라도, 오염물질에 따른 빠르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한 공기질 정보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정보단말
200 : 측정센서
210 : 제1 센서
220 : 제2 센서
300 : 중계장치
400 : 포집장치
500 : 정보데이터베이스
600 : 미들웨어
610 : 통신부
620 : 수집부
630 : 입력부
640 : 분석부
650 : 호출부
660 : 판단부
670 : 정보제공부
680 : 시각정보생성부

Claims (5)

  1. 정보단말;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식별 값(UUID)을 가지며, 건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산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 농도 및 폼알데하이드,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라돈(Rn)을 포함하는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1 센서와,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고 고유의 식별 값(UUID)을 가지며, 건물 외부의 풍속, 풍향,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공기 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측정센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와 통신하여, 각 측정센서별 측정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측정센서의 고유의 식별 값(UUID),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의 크기(TxPower) 및 수신된 상기 비콘신호의 수신세기(RSSI) 값을 통해 각 측정센서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장치;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부유세균, 석면, 낙하세균 및 진드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장치;
    상기 건물의 구조에 대한 공간정보,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 값에 대한 시계열데이터 형태의 측정정보와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결과 및 상기 포집장치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가습, 제습, 냉방, 난방, 살균, 구역 대피 및 구역 격리를 포함한 사용자 행동요령을 포함하는 대응정보가 저장된 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측정결과 및 각 측정센서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포집장치를 통해 포집된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이하, 유해물질정보라 함.)를 입력받으며,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측정결과와 유해물질정보에 대응되는 대응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단말에 제공하는 미들웨어;를 포함하되,
    상기 미들웨어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제1 센서별 위치정보 및 측정결과 값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유해물질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한 제1 센서 별 위치정보 및 측정결과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해물질정보를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질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정보를 호출하는 호출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센서에서 생성된 기상정보, 공기중의 가스 농도 및 오염물질 농도 값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통해, 상기 호출부에 의해 호출된 복수의 대응정보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대응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단말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제1 센서별 위치정보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에 맵핑하고, 상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제1 센서별 측정결과 값을 측정 일시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여,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및 확산에 대한 시각화정보형태인 측정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측정정보를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시각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9380A 2016-08-26 2016-08-26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5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80A KR101858054B1 (ko) 2016-08-26 2016-08-26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80A KR101858054B1 (ko) 2016-08-26 2016-08-26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65A KR20180023665A (ko) 2018-03-07
KR101858054B1 true KR101858054B1 (ko) 2018-05-18

Family

ID=6168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380A KR101858054B1 (ko) 2016-08-26 2016-08-26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060B1 (ko) 2019-11-20 2021-03-10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실내 위치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732B1 (ko) * 2018-10-16 2021-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pm2.5) 측정 및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9994B1 (ko) * 2018-12-28 2019-10-08 이종한 실내 공기질 경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89049B1 (ko) * 2019-07-17 2020-12-09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실내 및 실외에서의 오염물질 노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52876B1 (ko) * 2019-10-29 2021-05-18 이해인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7836B1 (ko) * 2019-11-15 2020-06-02 서전엔지니어링(주) 실내공기질 관리형 빌딩자동제어시스템
KR102415840B1 (ko) * 2020-11-09 2022-07-07 영진기술 주식회사 IoT 기반의 전열교환 환기 시스템
KR102581241B1 (ko) * 2021-06-11 2023-09-22 한국원자력연구원 거주성 및 선량 평가 시스템과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51615B1 (ko) * 2021-07-22 2022-01-14 주식회사 에어위드 공기질 센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346B1 (ko) * 2007-12-07 2009-12-08 (주)유알엔디 공간별 실내 공기질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346B1 (ko) * 2007-12-07 2009-12-08 (주)유알엔디 공간별 실내 공기질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060B1 (ko) 2019-11-20 2021-03-10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실내 위치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65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054B1 (ko)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JP6438416B2 (ja) 雰囲気モニタリングと能動制御及び対応とのための実時間現場ガス分析ネットワーク
CN101578188B (zh) 用于控制空气处理系统的控制系统及具有其的车辆
JP2017527051A (ja)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CN101208563A (zh) 具有公共传感器以提供用于监控和建筑物控制的混合空气质量参数信息的多点空气采样系统
KR101914971B1 (ko) 환경 모니터링 및 계측 제어 장치
KR101517332B1 (ko) 공기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17836B1 (ko) 실내공기질 관리형 빌딩자동제어시스템
KR20140003760A (ko)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20130061823A (ko) 공기질 제어 시스템
EP39925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lating indoor air quality data and trends to pathogen remediation
CN108036976A (zh) 大气污染物自动监测留样系统
KR20200056141A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09030731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测系统及其工作方法
US11473794B2 (en) Gas accumulation and combustion control device
US92678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ynamic confinement of an enclosure
KR102130497B1 (ko) 실내 오염을 예측하는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5325675A (zh) 一种用于自动调节室内空气环境的新风控制系统及方法
KR102007091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0722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6174A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와 연동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
US20240035697A1 (en) Air quality control system with mobile sensors
KR2020005679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 측정 및 개선 시스템
WO2020130192A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200056829A (ko)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에 대한 공기질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