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262A -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262A
KR20180138262A KR1020170077867A KR20170077867A KR20180138262A KR 20180138262 A KR20180138262 A KR 20180138262A KR 1020170077867 A KR1020170077867 A KR 1020170077867A KR 20170077867 A KR20170077867 A KR 20170077867A KR 20180138262 A KR20180138262 A KR 2018013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ventilation
main body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7007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262A/ko
Publication of KR2018013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Abstract

공기정화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환기부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 장치가 개시된다. 공기 청정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장치{AIR CLEANER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 외기를 유입시켜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문화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생활의 윤택으로 인해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하고도 중요한 요소인 점은 누구나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는 차량, 산업시설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수 많은 공해 물질과 석유, 화학 관련 재료로 만들어진 건축자재, 가구, 전자 등의 생활 용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갈수록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게 되고,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로는 약 250여종이 있다. 그 중에서도 주택과 관련하여 보면,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나,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있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보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등의 물질과, 각종 생활 용품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방사선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대한 각종 악영향을 발생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약 1~5년 정도면 실내의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로 자연 소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공중위생관리법과 건축법에서 제시한 기준 농도(CO2를 기준으로 1000ppm 이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의 공기질 개선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들은 없앨 수가 없다. 이는 생태적, 환경적 차원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물질들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인간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은 그 적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시 재실자의 유무나 창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기질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는 인간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우리의 주택 구조 상 실내 공기가 자연 순환되도록 적정 설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유해 공기의 자연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국 재실자는 호흡을 통해 적정 산소량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흡입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뇌 운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하지만, 국내 주택 건설 업계에서는 주택과 관련하여 그 동안 특별히 공기질을 개선할 방법을 찾지 못하였고, 근래에 들어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급기야, 「실내공기질관리법」이 2004년 6월부터 시행되도록 법제화되면서 지하역사, 지하상가, 여객터미널, 도서관, 종합병원 등 다중 이용시설물과 신축되는 공동주택으로 확대되어 신축공동주택의 경우 공기질을 주민 입주 전에 측정하여 공고하도록 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 종래 각종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살균, 탈취, 공기 청정 기능들을 갖는 각종 제품들의 경우 센서에 의해 단순히 감지만 할 뿐 감지된 공기질을 수치로 체크하여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실내 공기질의 정도를 재실자가 눈으로 직접 보고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해 실내 공기질의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미세한 입자의 먼지로, 크기에 따라 PM10의 미세먼지, PM2.5의 초미세먼지, PM1.0의 극초미세먼지로 구분한다. 여기서, 'PM' 이란 Particulate Matter 로 '입자상 물질(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미세 입자)'이라는 뜻으로, PM10은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 PM2.5는 지름 2.5㎛ 이하, PM1.0은 지름 1.0㎛ 이하의 먼지이다. 초미세먼지와 극초미세먼지의 경우 폐포와 혈관에 더 잘 침투하여 건강에 영향이 더 클 수 있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기능과, 실외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낮추는 환기 기능을 같이 갖추고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환기 시 실내외 온도차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 청정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 송풍팬 및 상기 환기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 송풍팬이 구비된다. 상기 환기부와 상기 제2 송풍팬은 서로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2 송풍팬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부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정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 유로와 상기 환기 유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환기부는, 상기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그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유동시키는 전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본체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열교환기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는 벽을 관통하거나, 창문이나 출입문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덕트는 고정 설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환기 유로에서 적어도 상기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환기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정화 유로에 정화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부는 실내 공기 중에서 라돈을 제거하기 위한 라돈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와 상기 환기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토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환기부는 서로 다른 공기 토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환기부는 하나의 공기 토출부를 공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동작을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환기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동작을 각각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전면의 상단 또는 전면 전체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 또는 오염물질의 유무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실외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실내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라돈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아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정화부와 환기부를 구비하므로 실내 공기의 정화뿐만 아니라 환기도 가능하다. 또한, 환기부는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환기부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를 분리했을 경우에는 공기 청정 장치의 위치가 벽에 구속되지 않고 공기 청정 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에서 환기부가 분리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에서 환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10)의 측면을 나타내 보인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10)에서 환기부(14)를 분리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에서 환기부(1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 장치(10)는 본체(11)와 공기정화부(13) 및 환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는 공기 청정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1)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체(11)에는 사용자가 사용자가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부(12)가 구비된다. 조작부(12)는 후술하는 공기정화부(13)와 환기부(14)의 동작을 각각 입력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작부(12)는 사용자가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LED 나 스크린 등의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부(12)는 입력 패널 이외에도 사용자가 동작을 입력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는 본체(11)에서 상면의 일측, 또는 본체(11)의 전면(111)의 상부 일측 또는 전면(111) 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와 달리, 공기 청정 장치(10)는 조작부(12)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PC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청정 장치(1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공기 청정 장치(10)를 작동시키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들과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 등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는 공기질 지수와, 실내쾌적 지수, 알레르기 지수, 집중도 지수, 세균 지수, 라돈 지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측정 지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에는 공기 청정 장치(10)의 작동 상태 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에는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가 조작부(12)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조작부(12)를 통해서도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서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 상태, 공기질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본체부(11)의 적어도 전면(111) 또는 전면(111)과 측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복수의 LED가 선/면 형태로 배치되어서, 색상이나 밝기, 점등 시간, 점등 간격 등의 패턴에 의해서 발광함에 따라 선/면의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부(121)의 위치나 구성 및 크기 등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21)에서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알림이 필요한 경우에는 소정의 알림 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11) 내부에는 공기정화부(13)와 환기부(14)가 구비될 수 있도록 2개의 송풍팬(113, 114)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본체(11)의 하부에는 공기정화부(13)에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1 송풍팬(113)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환기부(14)에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2 송풍팬(114)이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송풍팬(113, 114)의 위치는 본체(11) 내부에서 상하가 서로 반대로 배치되거나,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1) 일측에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토출부(11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공기 토출부(110)는 본체(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부(13)에서 정화된 공기와 환기부(14)에서 정화된 외부 공기는 상부의 공기 토출부(110)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즉, 공기정화부(13)와 환기부(14)가 하나의 공기 토출부(110)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11)의 상부에 하나의 공기 토출부(110)를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정화부(13)와 환기부(14)에 각각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공기정화부(13)와 환기부(14)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
공기정화부(13)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공기정화부(13)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정화 유로 상에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정화필터(131)를 포함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필터(131)를 통과하도록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낮추게 된다.
정화필터(131)는, 실내에서 발생 및 존재하는 각종 오염물질과 실외에서 유입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정화필터(131)는 프리 필터, 탈취 필터, 살균 필터 및 기능성 필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부(13)는 실내 공기 중의 라돈을 제거하기 위한 라돈 제거부(31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라돈 제거부(311)는 실내 공기 중에서 라돈을 제거하며, 공기 청정 장치(10)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환기부(14)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켜서 환기시키는 부분이다. 환기부(14)는 하나의 독립된 모듈로 구성되어서 본체(11)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환기부(14)는 하우징(141)과 실외 공기의 유입 및 실내 공기의 배출을 위한 덕트(142)를 포함한다.
하우징(141)은 본체(11)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며, 본체(11)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41)은 본체(11)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1)은 제2 송풍팬(114)과 하우징(141)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41)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드며, 그에 따라 본체(11)의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덕트(142)는 실내외를 구분하는 벽(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실외의 공기를 환기부(14)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유로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벽'이라 함은 실내외를 구분하는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주택이나 건물의 벽뿐만 아니라 창문이나 출입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142)는 벽(1)을 관통하여서 벽(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덕트(142)는 창문이나 출입문 등의 형태의 벽(1)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서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기부(14)에는 교환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전열교환기(144)가 구비된다. 전열교환기(144)는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열을 회수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외 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이고, 실외로 배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여름이나 겨울에는 실내외 공기 사이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는데, 전열교환기(144)가 구비됨으로써 실내외 온도차를 줄이고,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부(14)의 공기 유동 유로는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 유입 유로(421) 및 외기 토출 유로(423), 그리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내기 유입 유로(424) 및 내기 토출 유로(4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기 유입 유로(421) 및 외기 토출 유로(423)와 내기 유입 유로(424) 및 내기 토출 유로(422)의 사이에 전열교환기(144)를 배치하여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실내 공기 사이에서 전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환기부(14)는 적어도 실외 공기가 환기부(14)로 유입되는 외기 유입 유로(421) 상에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환기필터(143)가 구비된다. 또한, 환기부(14)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외기 토출 유로(423) 상에도 제2 환기필터(14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필터(143) 및 제2 환기필터(145)는 하나의 필터가 아니라, 프리 필터, 집진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살균 필터 및 기능성 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복수의 필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탈부착이 가능한 환기부(14)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정화부(13)에 의한 실내 공기의 정화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수준의 라돈 및 유해물질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기 청정 장치(10)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가 구비된다. 제어부(15)는 또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 또는 오염물질의 유무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151)와 실외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152)를 포함한다.
제1 측정부(151)는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 CO2와 VOCs를 검출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측정부(151)는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공기 중에는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라돈이나,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고,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물질이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측정부(151)는 이와 같이 실내 공기 중에서 복수의 오염물질의 유무 또는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부(151)는 공기 청정 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라돈 측정부(511)는 공기 청정 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공기 청정 장치(10)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 공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정부(151) 및 라돈 측정부(511)가 공기 청정 장치(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 측정부(151)와 라돈 측정부(511)에서 측정된 결과를 공기 청정 장치(10)에 유무선 통신이나 이동통신, 블루투스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2 측정부(152)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각종 센서나,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나 에어 코리아, 기상청을 포함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은 전국에 위치하는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도 자료를 수집 및 관리한다. 제2 측정부(152)는 이와 같이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에서 측정 및 제공되는 대기오염 측정망 관련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부(152)는 전국 89개 시/군에 설치된 289개의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국가배경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에서 측정된 5개 대기환경기준물질의 측정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표출하여 국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에어 코리아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부(152)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황사경보제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오존경보제 등의 자료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제1 및 제2 측정부(151, 152)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조작부(12)를 통해 입력된 동작으로 공기 청정 장치(10)를 동작시키고, 공기 청정 장치(10)의 동작 상태, 제1 및 제2 측정부(151, 152)에서 측정된 결과 등의 데이터를 조작부(12)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서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정화부(13)와 환기부(14)를 구비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실내 공기 중의 유해물질 및 라돈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환기부(14)는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환기부(14)를 부착하여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부(14)는 전열교환기(144)를 구비하므로, 환기 시 열교환 또는 열회수를 함으로써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벽
10: 공기 청정 장치
11: 본체
110: 공기 토출부
111: 전면
113: 제1 송풍팬
114: 제2 송풍팬
12: 조작부
121: 디스플레이부
13: 공기정화부
131: 정화필터
311: 라돈 제거부
14: 환기부
141: 하우징
142: 덕트
143: 환기필터
144: 전열교환기
145: 제2 환기필터
421: 외기 유입 유로
422: 내기 토출 유로
423: 외기 토출 유로
424: 내기 유입 유로
15: 제어부
151: 제1 측정부
511: 라돈 측정부
152: 제2 측정부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부;
    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 송풍팬; 및
    상기 환기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 송풍팬;
    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와 상기 제2 송풍팬은 서로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제2 송풍팬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정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 유로와 상기 환기 유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공기 청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그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유동시키는 전열교환기;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본체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전열교환기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
    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벽을 관통하거나, 창문이나 출입문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고정 설치되거고,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환기 유로에서 적어도 상기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환기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정화 유로에 정화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는 실내 공기 중에서 라돈을 제거하기 위한 라돈 제거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와 상기 환기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토출부;
    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환기부는 서로 다른 공기 토출부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환기부는 하나의 공기 토출부를 공유하는 공기 청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동작을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와 상기 환기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환기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동작을 각각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 청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전면의 상단 또는 전면 전체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형성되는 공기 청정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 또는 오염물질의 유무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실외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실내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라돈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20170077867A 2017-06-20 2017-06-20 공기 청정 장치 KR20180138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867A KR20180138262A (ko) 2017-06-20 2017-06-20 공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867A KR20180138262A (ko) 2017-06-20 2017-06-20 공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262A true KR20180138262A (ko) 2018-12-31

Family

ID=6495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867A KR20180138262A (ko) 2017-06-20 2017-06-20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26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7326A (zh) * 2019-05-22 2019-09-06 江门市蓬江区金雄实业有限公司 新风机的控制方法
KR102029673B1 (ko) *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실외 공기 여과형 공기청정기
KR20200126102A (ko) 2019-04-29 2020-11-06 대전한남기계기술협동조합 입상활성탄 바스켓 착탈 교체형 공기청정 카트리지 필터 및 이를 내장한 공기청정장치
KR20210048156A (ko) * 2019-10-23 2021-05-03 김세중 실내 공기 정화장치
WO2021117946A1 (ko) * 2019-12-12 2021-06-17 (주)대우루컴즈 공기청정기
KR20220060065A (ko) * 2020-11-03 2022-05-11 (주)지 메디 이동식 방역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73B1 (ko) *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실외 공기 여과형 공기청정기
KR20200126102A (ko) 2019-04-29 2020-11-06 대전한남기계기술협동조합 입상활성탄 바스켓 착탈 교체형 공기청정 카트리지 필터 및 이를 내장한 공기청정장치
CN110207326A (zh) * 2019-05-22 2019-09-06 江门市蓬江区金雄实业有限公司 新风机的控制方法
KR20210048156A (ko) * 2019-10-23 2021-05-03 김세중 실내 공기 정화장치
WO2021117946A1 (ko) * 2019-12-12 2021-06-17 (주)대우루컴즈 공기청정기
KR20210074859A (ko) * 2019-12-12 2021-06-22 (주)대우루컴즈 공기청정기
KR20220060065A (ko) * 2020-11-03 2022-05-11 (주)지 메디 이동식 방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8262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1860891B1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Villafruela et al. Comparison of air change efficiency, contaminant removal effectiveness and infection risk as IAQ indices in isolation rooms
CN112041617A (zh) 智能通风系统
Yau et al. The ventilation of multiple-bed hospital wards in the tropics: a review
KR20170077691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1796296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862087B1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Cho et al. Removal of airborne contamination in airborne infectious isolation rooms
CN106338101A (zh) 用于净化室内空气的空气净化系统及其运行方法
KR20170077694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CN111344523A (zh) 智能空气净化
KR20170078372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umar et al. Micro-characteristics of a naturally ventilated classroom air quality under varying air purifier placements
KR102007091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9547B1 (ko) 벽걸이형 엘리베이터 내 공기살균 시스템
KR20210083592A (ko)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39379A1 (en) Air qua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in an air conditioner
KR20170078377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55863A (ko) 인체 스캔형 공기청정기
Sajeev et al. Indoor air pollution, occupant health, and building system controls—a COVID-19 perspective
KR102100916B1 (ko) 양압 기반의 공기 정화 방법
KR102085142B1 (ko) 천정형 환기장치
KR2020005679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 측정 및 개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