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96B1 -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96B1
KR101796296B1 KR1020150188845A KR20150188845A KR101796296B1 KR 101796296 B1 KR101796296 B1 KR 101796296B1 KR 1020150188845 A KR1020150188845 A KR 1020150188845A KR 20150188845 A KR20150188845 A KR 20150188845A KR 101796296 B1 KR101796296 B1 KR 10179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radon
indo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383A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F24F11/0009
    • F24F11/0017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유닛,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라돈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를 양압 상태 또는 음압 상태로 설정하는 압력 조절 유닛 및 상기 정화 유닛 또는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장치{AIR CLEANER}
아래의 설명은 라돈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실내 공기를 양압 또는 음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며, 생활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는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론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일 예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하게 되는 실내의 공기질을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고 닫는 동작을 통해서 실내 공기가 단순히 환기되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재실자가 없거나 야간 취침 시 방범을 위해 창을 완전히 닫아 밀폐하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의 환기 또는 제거가 불가능하고, 각종 오염물질은 그대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어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도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방안으로 공기청정기가 일부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그 기능상 실내 공기질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수치를 가늠케 하는 측정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량을 재실자가 수치로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효율적인 공기질 개선 관리가 불가능 하였다. 또한, 다른 방제나 청결 등과 연계되어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도 않고 있는 등 감각에 의존한 부분적인 공기질 개선 정도가 수행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공기청정기를 장기간 작동시킬 경우, 음이온(약 75%)과 더불어 방출되는 오존량(25%)이 계속 증가하여 재실자는 오히려 과다 공급되는 유기화합물 등을 흡입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더욱이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하고도 중요한 요소인 점은 누구나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는 차량, 산업시설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수 많은 공해 물질과 석유, 화학 관련 재료로 만들어진 건축자재, 가구, 전자 등의 생활 용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갈수록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오염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로는 아주 작은 물질을 포함하여 약 250여종이 있다. 그 중에서도 주택과 관련하여 보면,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여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있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보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발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각종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약1~5년 정도면 실내의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로 자연 소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공중위생관리법과 건축법에서 제시한 기준농도(CO2를 기준으로 1000ppm 이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의 공기질 개선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들은 없앨 수가 없다. 이는 생태적, 환경적 차원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물질들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인간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은 그 적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시 재실자의 유무나 창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기질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는 인간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우리의 주택 구조 상 실내 공기가 자연 순환되도록 적정 설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유해 공기의 자연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국 재실자는 호흡을 통해 적정 산소량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흡입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뇌 운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라돈(Radon)의 경우,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 기체로서, 색깔이나 맛이 없고 냄새가 나지 않는 불활성기체로서 천연에 존재하는 기체 중에서 가장 무겁다.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는 반응을 하지 않으나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으로는 매우 불안정하다. 또한 먼지 등의 미립자에 잘 달라붙어 떠돌아다니게 되며, 우리가 호흡을 하면 호흡기를 통하여 폐에 들어가게 된다. 라돈 기체와 그 붕괴 생성물인 짧은 반감기의 자손핵종들은, 장기간 누적하여 호흡 피폭될 경우 초과 폐암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자연방사선은 인류 생활환경의 일부분으로서 인류의 자연방사선 피폭선량의 약 반 정도가 천연방사성 라돈과 그 자손핵종의 호흡 피폭에 의한 것이며, 인류가 실제로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산업활동에서 방출되는 인공방사선원에 의한 평균 피폭선량 보다 10 ~ 100 여배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내 라돈에 대한 조치준위(Action Level)는 각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미국의 경우 148 Bq/m3 (1 Bq/m3는 1 입방미터의 공기 중에 라돈의 원자핵이 1 초에 1개씩 핵붕괴를 하는 것을 의미)이며, 한국은 현재 시행 중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상의 권고 기준이 4 pCi/L 이다.
WHO는 라돈은 폐암 발병의 원인으로서 기준치를 10배 강화 하였다. WHO는 2009년 9월 보고서를 통해 라돈은 담배에 이어 두 번째로 폐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라마다 측정 방법 등에 라돈이 폐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범위는 3∼14%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WHO는 "최근 과학적인 연구 자료를 토대로, 실내 라돈 방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허용 기준치를 입방미터 당 100 베크렐(Bq)로 낮출 것을 권고 한다"며 "만약 각국의 사정상 이 기준을 맞출 수 없는 경우에도 입방미터 당 300 Bq를 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WHO는 또한 건물 설계와 건축시 주의를 기울이면 실내 라돈 방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실내 라돈 수치가 높은 겨울에는 자주 환기를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국내에서는 아직은 권고기준으로만 채택하고 있지만, 그 동안 다양한 매체를 통해 라돈과 환경방사능에 관련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으며, 이에 라돈 등 환경방사능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모니터링 방법, 조치 방법 등, 실내 라돈 관련 종합 대책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 종래 각종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살균, 탈취, 공기 청정 기능들을 갖는 각종 제품들의 경우 센서에 의해 단순히 감지만 할 뿐 감지된 공기질을 수치로 체크하여 관리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라돈에 대해서는 감시를 하고 있지 않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측정 값들에 따라 실내 공기를 양압 또는 음압으로 조절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유닛,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라돈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를 양압 상태 또는 음압 상태로 설정하는 압력 조절 유닛 및 상기 정화 유닛 또는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상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 및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급기부 및 상기 배기부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실내를 양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를 음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실외 공기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실외 라돈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와 상기 실외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실외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실내를 음압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실외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실내를 양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와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위치 감지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화 유닛의 위치에 따른 기준값과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을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정화 유닛 또는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상기 공기 정화장치에서 측정한 상기 실내 공기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공기 정화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 측정 값을 전송받고, 상기 실내 공기의 양압 또는 음압 설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하나 이상의 모드로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1 모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모드 및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실내 및 실외 라돈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를 양압 또는 음압으로 설정함으로써 라돈 농도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실외 공기질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청정 위치에 따라 실내 공기를 양압 또는 음압으로 설정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설정값을 달리 하여 라돈 농도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절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절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는, 라돈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조절 유닛(120)을 포함하여, 실내 공기를 양압 상태 또는 음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정화 유닛(110)은,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실내에서 발생 및 존재하는 각종 오염물질과 실외에서 유입될 수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1)는 프리 필터, 탈취 필터, 살균 필터 및 기능성 필터와 같은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 유닛(110)은 라돈 제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라돈 제거부(112)는 공기 중의 라돈을 제거할 수 있는 라돈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터부(111) 및 라돈 제거부(112)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 오염물질 또는 라돈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조절 유닛(120)은, 실내 공기를 양압 상태 또는 읍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압력 조절 유닛(120)은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121) 및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부(121) 및 배기부(122)는 별도로 마련되거나,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급기 및 배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팬이 선택적으로 급기 및 배기를 할 수 있다.
급기부(121)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배기부(122)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부(122)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급기부(121)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양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급기부(121)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배기부(122)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켜 실내 공기를 음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급기부(121) 및 배기부(122)가 모두 작동하지 않아 공기의 유출입이 없는 상태에서, 실내 공기가 정화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닛(130)은, 라돈 농도에 대한 기준값에 기초하여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기준 값은, 실내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유무, 시간, 날씨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라돈 농도 지수가 산정되고, 라돈 농도 지수를 기초로 기준값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130)은,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실내를 양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실내가 양압 상태로 유지되면,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며, 틈새 또는 지면에서 발생하는 라돈이 실내로 유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30)은,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실내를 음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실내가 음압 상태로 유지되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라돈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 유닛(130)은 급기부(121) 및 배기부(122)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실내의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공기 정화 장치(1)는 실외 공기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실외 라돈 측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라돈 측정부(150)는 정화 유닛(110)과 별도로 마련되어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유닛(130)은 실내 라돈 농도와 실외 라돈 농도를 비교하여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라돈 농도가 실외 라돈 농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 유닛(130)은 실내 공기를 양압 상태로 설정하고, 실내 라돈 농도가 실외 라돈 농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 유닛(130)은 실내 공기를 음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유닛(130)은 실내 라돈 농도 또는 실외 라돈 농도만을 고려하여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 유닛(130)은 실내 라돈 측정부(140)와 실외 라돈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실내의 압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정화 장치(1)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며,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위치에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는 직접적으로 대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고,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은 전국에 위치하는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도 자료를 수집ㅇ관리할 수 있다.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는 이와 같이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에서 측정 및 제공되는 대기오염 측정망 관련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는 전국 89개 시/군에 설치된 289개의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국가배경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에서 측정된 5개 대기환경기준물질의 측정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표출하여 국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에어 코리아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황사경보제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오존경보제 등의 자료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는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에어 코리아, 기상청, 지자체 등에서 제공되는 각종 대기오염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 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유닛(130)은, 라돈 측정부와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실내 압력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실외 공기질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실내 공기를 음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 유닛(130)은, 실외 공기 질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를 양압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공기 정화 장치(1)는 실내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기질 측정부(160) 는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기 중에는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라돈이나,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고,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물질이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실내 공기질 측정부(160)는 실내 공기 중에서 복수의 오염물질을 감지하고,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내 공기질 측정부(16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측정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유닛(130)은, 실내 라돈 측정부(140)와 실내 공기질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실내 압력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질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를 양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실내 공기질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실내 공기를 음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공기 정화 장치(1)는 정화 유닛(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180)를 포함하고, 공기 정화 장치(1)는, 정화 유닛(110)의 설치 위치를 파악하여 설치 위치에 따라 정화 유닛(110) 또는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이나 주택 형태 등에 따라 라돈의 기본 농도가 다를 수 있다. 동일한 기준 라돈 농도에 따라 공기 정화 장치(1)를 동작시키게 되면, 라돈 농도가 높은 위치에서는 비교적 공기 정화 장치(1)가 자주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잦은 공기 정화 장치(1)의 작동은 실내 라돈 농도를 낮추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에너지 효율이나 관리 측면, 공기 정화장치의 수명과 유지보수 등의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라돈 농도의 초기값에 따라 공기 정화장치의 작동을 위한 임계값을 조정할 필요가 있고, 제어 유닛(130)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위치에서의 기본 라돈 농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초기값에 의해 정화 유닛(110) 또는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가정 내의 거실, 안방, 부엌을 포함할 수 있고, 아파트, 주택, 사무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화 유닛(110)이 설치되는 지역, 고도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는 위치 정보의 예시적인 형태들로서, 위치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감지부(180)는, GPS, 와이파이를 통하여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위치 감지부(180)는 정화 유닛(110)이 설치되는 위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180)는, 자동으로 정화 유닛(110)이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고, 설치된 위치의 초기 라돈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초기 라돈 값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수치이거나, 통계를 통하여 산정된 데이터베이스 값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설치된 위치 또는 초기 라돈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초기값에 따라, 공기 정화 장치(1)가 작동할 작동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라돈 농도의 초기값이 높은 지역에서는 소정의 라돈 농도 허용 기준치에 비해 작동 임계값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1)의 작동 조건을 비교적 완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라돈 농도의 초기값이 낮은 지역에서는 허용 기준치에 비해 작동 임계값을 낮게 설정하고, 공기 정화 장치(1)는 라돈 농도에 민감하게 작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위치에 따른 라돈 농도를 초기값을 입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의 종류나 재실자 유무 또는 재실자 수, 시간대, 계절별 및 외부 날씨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서도 초기값을 입력하여 공기 정화장치의 작동 임계값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가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 지고, 제어 유닛(130)에서는 각 공간에 대해서 서로 다른 초기값을 설정하여 공기 정화 장치(1)가 서로 다른 임계값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제어 유닛(130)은, 이러한 초기값 및 임계값에 기초하여 실내 공기의 압력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정화 유닛(11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실내 공간의 압력 설정이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정화 유닛(110)의 위치에 따른 기준 라돈 농도를 산정하고, 이를 실내 라돈 농도와 비교하여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공기 정화 시스템은 공기 정화 장치(1) 및 제어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1)는 위에서 설명된 공기 정화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1)는, 제어 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30)은, 통신 유닛(190)을 통하여 실내 라돈 측정부(140)의 측정값을 제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30)은, 통신 유닛(190)을 통하여 실외 라돈 측정부(150), 실내 공기질 측정부(160), 실외 공기질 측정부(170) 또는 위치 감지부(180)의 측정값을 제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서버(200)는, 공기 정화 장치(1)에서 측정한 실내 공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200)는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 측정 값을 전송받고, 이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양압 또는 음압 설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서버(200)는 통신 유닛(190)을 통하여 원격으로 정화 유닛(110) 또는 압력 조절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2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PC 와 연결되고,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와 공기 정화 장치(1)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공기 정화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모드로 공기 정화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모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를 음압으로 설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모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를 양압으로 설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제 3모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압력이 변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정화 유닛
120 압력 조절 유닛
130 제어 유닛
140 실내 라돈 측정부
150 실외 라돈 측정부
160 실내 공기질 측정부
170 실외 공기질 측정부
180 위치 감지부
190 통신 유닛

Claims (14)

  1.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유닛;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라돈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를 양압 또는 음압 상태로 설정하는 압력 조절 유닛;
    상기 정화 유닛 또는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정화 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된 정화 유닛의 위치의 초기 라돈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획득한 초기 라돈 값에 따라 상기 정화 유닛 및 압력 조절 유닛의 작동 임계값을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상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 및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급기부 및 상기 배기부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을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실내를 양압 상태로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를 음압 상태로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실외 공기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실외 라돈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와 상기 실외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 상태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실외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실내를 음압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실외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실내를 양압 상태로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와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압력 상태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정화 유닛의 위치에 따른 기준값과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제어하는 공기 정화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라돈 측정부의 측정값을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정화 유닛 또는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88845A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 장치 KR10179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45A KR101796296B1 (ko)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45A KR101796296B1 (ko)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83A KR20170078383A (ko) 2017-07-07
KR101796296B1 true KR101796296B1 (ko) 2017-11-10

Family

ID=5935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45A KR101796296B1 (ko) 2015-12-29 2015-12-29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05B1 (ko) * 2019-05-17 2020-01-17 주식회사 아이자랩 복수의 공기 청정기 및 관제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8754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 다지점 동시 공기청정 시스템
KR20210051008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실내 라돈 농도 저감을 위한 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728B1 (ko) * 2018-05-03 2020-12-03 김부열 세균 살균 기능 및 유해 물질과 방사능 물질 제거 기능이 내장된 양압 및 음압 유지 시스템
KR102101711B1 (ko) * 2018-11-29 2020-04-17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라돈 저감을 위한 풍량 가변형 환기 시스템
KR102266652B1 (ko) * 2019-08-26 2021-06-22 진익수 상황 맞춤형 자동공기청정 시스템
KR102165311B1 (ko) * 2020-01-13 2020-10-13 양세연 공공시설, 주택,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 스마트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스마트 관리방법
KR102225013B1 (ko) * 2020-01-29 2021-03-09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라돈 저감을 위한 풍량 가변형 환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85B1 (ko) 2013-04-03 2014-10-06 한일원자력(주) 실시간 라돈 가스 측정 및 실내 환경 개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85B1 (ko) 2013-04-03 2014-10-06 한일원자력(주) 실시간 라돈 가스 측정 및 실내 환경 개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05B1 (ko) * 2019-05-17 2020-01-17 주식회사 아이자랩 복수의 공기 청정기 및 관제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8754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 다지점 동시 공기청정 시스템
KR102287675B1 (ko) 2019-10-24 2021-08-10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 다지점 동시 공기청정 시스템
KR20210051008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실내 라돈 농도 저감을 위한 환기 시스템
KR102311194B1 (ko) 2019-10-29 2021-10-1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실내 라돈 농도 저감을 위한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83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296B1 (ko)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77691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170077696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7694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1862087B1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041617A (zh) 智能通风系统
EP1990080A1 (en) Air purifier
KR20170078372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8262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175224B1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11344523B (zh) 空气净化监测系统、空气净化装置、相应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Abdel-Salam Indoor exposure of elderly to air pollutants in residential buildings in Alexandria, Egypt
Kukadia et al. Ensuring good indoor air quality in buildings
Hossain et al. Factors affecting variability in infiltration of ambient particle and gaseous pollutants into home at urban environment
KR20170089048A (ko) 라돈 센서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07091B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3592A (ko)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78377A (ko)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0916B1 (ko) 양압 기반의 공기 정화 방법
KR20200076174A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IoT와 연동된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200134478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제어 프로그램
WO2020039379A1 (en) Air qua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in an air conditioner
KR20200056829A (ko)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에 대한 공기질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679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지하 상가 및 시설의 환경 측정 및 개선 시스템
Seraj Managing and Monitoring IndoorAir Quality Using bi-polarAir Io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