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61B1 -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61B1
KR102343561B1 KR1020200093980A KR20200093980A KR102343561B1 KR 102343561 B1 KR102343561 B1 KR 102343561B1 KR 1020200093980 A KR1020200093980 A KR 1020200093980A KR 20200093980 A KR20200093980 A KR 20200093980A KR 102343561 B1 KR102343561 B1 KR 10234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nistration
ritodrin
seq
base
alle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혜선
이나리
이정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Ritodrin) 투여의 반응성 예측용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리토드린 투여 특이적 ADCY9 유전자 유래 단일 염기 다형성 마커, 이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또는 마이크로 어레이, 상기 마커를 이용한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커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ADCY9 SNP markers for predicting responsiveness of Ritodrin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Early Labor Contrac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Ritodrin) 투여의 반응성 예측용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리토드린 투여 특이적 ADCY9(Adenylate Cyclase 9) 유전자 유래 SNP 마커, 이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또는 마이크로 어레이, 상기 마커를 이용한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산은 임신 37 주 이전의 분만을 말하는데, 발병률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일 뿐만 아니라(WHO Recommended definitions, terminology and format for statistical tables related to the perinatal period and use of a new certificate for cause of perinatal deaths. Acta Obstet Gynecol Scand. 1977;56:247-253.), 신생아 사망 원인의 80%이다. 따라서, 조산을 늦추는 적절한 약물의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
임산부들의 조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토드린(Ritodrin)은 아드레날린 β2 수용체 효능제(agonist) 중 하나로, 국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자궁수축 억제제이다. 리토드린이 아드레날린 β2 수용체와 결합하면, G-단백질을 통해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ate cyclase, ADCY)가 활성화 되고 2차 신호 전달물질인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농도가 높아져 자궁 평활근이 이완하게 된다.
리토드린은 자궁 이완 효과가 크고 빠르지만, 리토드린에 대해 심계항진, 폐부종 호흡곤란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보이는 임산부들이 많아 약을 변경하거나 중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리토드린을 임산부에게 투여하기 전에, 어떤 환자에게 효과가 크며 부작용은 적을 것인가 예측할 수 있다면 환자와 치료진의 불편을 줄이고 리토드린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임상적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발명자들은 리토드린 투여와 연관된 SNP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조기진통 환자에 리토드린 투여 시, 이의 효과또는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ADCY9(Adenylate Cyclase 9) 유전자 내 특정 SNP들이 리토드린 투여 특이적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가 C 또는 T이고,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5 내지 150개의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제1항의 마커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하거나 혼성화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증폭되거나 혼성화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가 C 또는 T이고,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5 내지 150개의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리토드린(Ritodrin)"은 아드레날린 β2 수용체 효능제(agonist) 중 하나로, 국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자궁수축 억제제이다. 리토드린이 아드레날린 β2 수용체와 결합하면, G-단백질을 통해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ate cyclase, ADCY)가 활성화 되고 2차 신호 전달물질인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농도가 높아져 자궁 평활근이 이완하게 된다. 리토드린은 자궁 이완 효과가 크고 빠르지만, 리토드린에 대해 심계항진, 폐부종 호흡곤란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보이는 임산부들이 많아 약을 변경하거나 중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리토드린 투여 특이적 마커를 제공할 수 있다면, 보다 정확한 리토드린의 투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SNP 마커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은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효과 또는 부작용을 의미하며, 상기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효과는 분만 지연 시간(time to delivery, TTD)이 길어지거나, 임신 주수가 길어져 조산 위험성이 낮아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부작용은 심계항진, 폐부종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의 예측은 상기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효과 또는 부작용을 예측하는 것을 의미하며, 리토드린 투여에 의해 TTD이 길어지거나 조산 위험성이 낮아지는 경우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리토드린을 투여해도 TTD가 길지 않거나 조산 위험성이 높은 경우 또는 리토드린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낮다고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단일 염기 다형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다형성(polymorphism)"이란 하나의 유전자 좌위(locus)에 두 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allele)가 존재하는 경우를 말하며 다형성 부위 중에서, 사람에 따라 단일 염기만이 다른 것을 단일 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라 한다. 구체적인 다형성 마커는 선택된 집단에서 1%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5% 또는 10% 이상의 발생 빈도를 나타내는 두 가지 이상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다.
본 발명의 용어, "대립 유전자"는 상동 염색체의 동일한 유전자 좌위에 존재하는 한 유전자의 여러 타입을 말한다. 대립 유전자는 다형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기도 하며, 예컨대, SNP는 두 종류의 대립 인자(biallele)를 갖는다.
본 발명의 용어, "rs_id"란 1998년부터 SNP 정보를 축적하기 시작한 NCBI가 초기에 등록되는 모든 SNP에 대하여 부여한 독립된 표지자인 rs-ID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rs879619과 같은 형태로 기재하였다. 이와 같은 표에 기재된 rs_id는 본 발명의 다형성 마커인 SNP 마커를 의미한다. 당업자라면 상기 rs_id를 이용하여 SNP의 위치 및 서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NCBI의 dbSNP(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Database) 번호인 rs_id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서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변경된 서열에도 미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는 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다형성 서열(polymorphic sequence)이다. 다형성 서열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중에 SNP를 포함하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포함하는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DNA 또는 RNA가 될 수 있다.
상기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커는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를 SNP로서 포함하고 이의 앞뒤로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다형성 서열로서, 상기 마커는 총 5 내지 150개의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를 SNP로서 포함하는 마커는 ADCY9(Adenylate Cyclase 9) 유전자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10번 염색체의 3965045번째 염기가 C에서 T로 변이된 SNP인 rs879619,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은 10번 염색체의 3963466번째 염기가 C에서 T로 변이된 SNP인 rs253199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마커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0번째 염기가 C 또는 A이고, 상기 4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5 내지 150개의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서 40번째 염기를 SNP로서 포함하는 마커는 PDE4B(Phosphodiesterase 4B) 유전자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은 11번 염색체의 66353940번째 염기가 C에서 A로 변이된 SNP인 rs59896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단위체(monomer)가 공유결합에 의해 길게 사슬모양으로 이어진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polymer)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DNA 또는 RNA 가닥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인 NCBI의 GenBank 등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에서 그 서열을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인간 유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ADCY9(Adenylate Cyclase 9) 유전자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와 동일한 활성을 갖는 서열은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rs879619,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은 rs253199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와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80%, 구체적으로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99% 이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공지의 유전자 서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상기 염기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드리드화하는 서열이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간의 특이적 혼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은 문헌(Sambrook et al., supra, 9.50-9.51, 11.7-11.8 참조)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높은 폴리뉴클레오티드끼리, 40% 이상, 구체적으로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낮은 폴리뉴클레오티드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southern hybridization)의 세척 조건인 60 ℃, 1ХSSC, 0.1% SDS, 구체적으로 60 ℃, 0.1Х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 68 ℃, 0.1Х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혼성화는 비록 혼성화의 엄격도에 따라 염기 간의 미스매치(mismatch)가 가능할지라도, 두 개의 핵산이 상보적 서열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용어, "상보적"은 서로 혼성화가 가능한 뉴클레오티드 염기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DNA에 관하여, 아데노신은 티민에 상보적이며 시토신은 구아닌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또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핵산 서열뿐만 아니라 전체 서열에 상보적인 단리된 핵산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5 ℃의 Tm 값에서 혼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혼성화 조건을 사용하고 상술한 조건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m 값은 60 ℃, 63 ℃ 또는 65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혼성화하는 적절한 엄격도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길이 및 상보성 정도에 의존하고 변수는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예컨대, J. Sambrook et al., 상동).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커의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T 또는 TT인 경우, CC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마커의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이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AA인 경우,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이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A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낮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커의 서열번호 2의 66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CT인 경우, TT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ADCY9 rs879619 야생형 대립 유전자 동형접합자(CC)를 가지는 조기진통 환자에 리토드린을 투여하였을 때 TTD 중위값은 811.6시간이었으나, rs879619 변이형 대립 유전자(CT, TT)를 가진 경우, TTD 중위값은 1300.8시간을 나타내어, 조기진통 환자가 rs879619 변이형 대립 유전자(CT, TT)를 가지는 경우 출산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또한, rs2531995 야생형 대립 유전자(CC, CT)를 가지는 조기진통 환자에 리토드린을 투여하였을 때 TTD 중위값은 1190.7시간이었으나, rs2531995 변이형 대립 유전자 동형접합자(TT)를 가진 경우 TTD 중위값은 613.9 시간을 나타내어, rs2531995 야생형 대립 유전자(CC, CT)를 가지는 경우 출산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rs879619의 야생형 대립 유전자 동형접합자(CC)를 가지는 조기진통 환자에 리토드린을 투여하였을 때 rs879619 변이형 대립 유전자(CT, TT)를 가진 경우보다 조산 위험이 2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또한, rs879619 동형접합자는 PDE4B rs598961과 단일 염기 유전형을 조합하였을 때, 조산 위험이 2.9배로 rs879619 동형접합자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ADCY9의 유전 변이 중 rs879619, rs2531995 또는 rs879619와 PDE4B의 유전 변이 중 rs598961의 조합이 리토드린의 효과 및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제공하며, 실시예와 같이 조산 위험이 있는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한 rs879619 또는 rs2531995의 유전 변이 확인 및 추가적으로 rs598961의 유전 변이 확인을 통해 효과적인 리토드린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rs879619 또는 rs2531995가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의 반응성 예측용 마커임을 상기와 같이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마커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열번호 1 내지 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프로브"는 대립 유전자 특이적 프로브로서, 같은 종의 두 구성원으로부터 유래한 핵산 단편 중에 다형성 부위가 존재하여, 한 구성원으로부터 유래한 DNA 단편에는 혼성화하나,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유래한 단편에는 혼성화하지 않는다. 이 경우 혼성화 조건은 대립 유전자간의 혼성화 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립 유전자 중 하나에만 혼성화 하도록 충분히 엄격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대립 유전자 형태 간에 좋은 혼성화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는 본 발명의 SNP의 다형성 부위와 특이적으로 혼성화 반응을 통해 확인하여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전자 분석의 구체적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유전자 검출 방법에 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대립 유전자를 검출하여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 방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측 방법에는 서던 블롯트 등과 같은 핵산의 혼성화에 근거한 검출방법들이 포함되며, DNA 칩을 이용한 방법에서 DNA 칩의 기판에 미리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혼성화란 엄격한 조건, 예를 들면 1M 이하의 염 농도 및 25 ℃이상의 온도 하에서 보통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x SSPE (750 mM NaCl, 50 mM Na Phosphate, 5 mM EDTA, pH 7.4) 및 25~30 ℃의 조건이 대립 유전자 특이적 프로브 혼성화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폴리머라아제 또는 역전사 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PCR 증폭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의 생성 여부를 통해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 PCR 조건,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의 길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는 본 발명의 SNP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을 통해 확인하여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라이머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마커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의미한다.
상기 다형성 마커 증폭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적절한 버퍼 중의 적절한 조건(예를 들면, 4개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R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 효소와 같은 중합제) 및 적당한 온도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시작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15 내지 30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짧은 프라이머 분자는 일반적으로 주형과 안정한 혼성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더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프라이머 서열은 주형과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나, 주형과 혼성화 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핵산 서열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타이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타이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이 있다.
본 발명의 마커는 상기 각 마커를 1개 이상, 2개 이상, 또는 3개 모두를 포함하는 마커 세트일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45번째 염기,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66번째 염기 및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에서 40번째 염기에서의 대립 유전자형에 따라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고, 마커를 2개 이상 포함할 경우 마커를 1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반응성 예측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3에 해당하는 마커를 포함할 경우 서열번호 1에 해당하는 마커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반응성 예측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또는 DNA 분석용(예, DNA 칩) 키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는 본 발명의 마커의 증폭을 통해 확인하거나, 마커의 발현 수준을 mRNA의 발현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키트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조기진통수축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의 반응성 예측용 키트일 수 있다. DNA 칩 키트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고체 지지판, 전형적으로는 현미경용 슬라이드보다 크지 않은 유리 표면에 핵산 종을 격자형 배열(gridded array)로 부착한 것으로, 칩 표면에 핵산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DNA 칩 상의 핵산과 칩 표면에 처리된 용액 내에 포함된 상보적인 핵산 간에 다중 혼성화(hybridization) 반응이 일어나 대량 병렬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마이크로 어레이는 DNA 또는 RNA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어레이는 본 발명의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마이크로 어레이로 이루어진다.
프로브를 기판상에 고정화하여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과 연관된 프로브를 기판상에 고정화하는 과정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어레이 상에서의 핵산의 혼성화 및 혼성화 결과의 검출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검출은 예를 들면, 핵산 시료를 형광 물질, 예를 들면, Cy3 및 Cy5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검출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표지 물질로 표지한 다음, 마이크로 어레이 상에 혼성화하고 상기 표지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혼성화 결과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상기 마커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하거나 혼성화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증폭되거나 혼성화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을 예측하기 위한 조기진통 환자일 수 있다. 상기 개체에서 분리된 머리카락, 뇨, 혈액, 각종 체액, 조직, 세포 또는 타액과 같은 시료 등으로부터 DNA를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 단계의 DNA로부터 상기 마커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하거나 프로브와 혼성화하는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적 핵산을 PCR을 통하여 증폭하고 이를 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며, 그 외 리가제 연쇄 반응(LCR)(Wu 및 Wallace, Genomics 4, 560(1989), Landegren 등, Science 241, 1077(1988)), 전사증폭(transcription amplification)(Kwoh 등, Proc. Natl.Acad. Sci. USA 86, 1173(1989)), 자가유지 서열 복제(Guatelli 등, Proc. Natl. Acad. Sci. USA 87, 1874(1990)) 및 핵산에 근거한 서열 증폭(NASB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b) 단계의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서열 분석, 마이크로 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대립 유전자 특이적인 PCR(allele specific PCR), 다이나믹 대립 유전자 혼성화 기법(dynamic allele-specific hybridization, DASH), PCR 연장 분석, PCR-SSCP(PCR-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RFLP(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 또는 TaqMan 기법, SNPlex 플랫폼(Applied Biosystems), 질량 분석법(예를 들면, Sequenom의 MassARRAY 시스템), 미니-시퀀싱(mini-sequencing)방법, Bio-Plex 시스템(BioRad), CEQ and SNPstream 시스템(Beckman), Molecular Inversion Probe 어레이 기술(예를 들면, Affymetrix GeneChip) 및 BeadArray Technologies(예를 들면, Illumina GoldenGate 및 Infinium 분석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들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용 가능한 다른 방법에 의해, 마이크로새틀라이트, SNP 또는 다른 종류의 다형성 마커를 포함한, 다형성 마커에서의 하나 이상의 대립 유전자가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수십만 개의 SNP의 각 염기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DNA 마이크로 어레이 중 하나인 SNP 칩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열 분석은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유전자분석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대립 유전자 특이적 PCR은 SNP가 위치하는 염기를 3' 말단으로 하여 고안한 프라이머를 포함한 프라이머 세트로 상기 SNP가 위치하는 DNA 단편을 증폭하는 PCR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의 원리는, 예를 들어, 특정 염기가 A에서 G로 치환된 경우, 상기 A를 3' 말단염기로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적당한 크기의 DNA 단편을 증폭할 수 있는 반대 방향 프라이머를 고안하여 PCR 반응을 수행할 경우, 상기 SNP 위치의 염기가 A인 경우에는 증폭반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원하는 위치의 밴드가 관찰되고, 상기 염기가 G로 치환된 경우에는 프라이머는 주형 DNA에 상보결합할 수 있으나, 3' 말단 쪽이 상보결합을 하지 못함으로써 증폭 반응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DASH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프린스 등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PCR 연장 분석은 먼저 단일 염기 다형성이 위치하는 염기를 포함하는 DNA 단편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을 한 다음, 반응에 첨가된 모든 뉴클레오티드를 탈인산화시킴으로써 불활성화시키고, 여기에 SNP 특이적 연장 프라이머, dNTP 혼합물,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반응 완충액 및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프라이머 연장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 프라이머는 SNP가 위치하는 염기의 5' 방향의 바로 인접한 염기를 3' 말단으로 삼으며, dNTP 혼합물에는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와 동일한 염기를 갖는 핵산이 제외되고, 상기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는 SNP를 나타내는 염기 종류 중 하나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A에서 G로의 치환이 있는 경우, dGTP, dCTP 및 TTP 혼합물과 ddATP를 반응에 첨가할 경우, 상기 치환이 일어난 염기에서 프라이머는 DNA 중합효소에 의하여 연장되고, 몇 염기가 지난 후 A 염기가 최초로 나타나는 위치에서 ddATP에 의하여 프라이머 연장반응이 종결된다. 만일 상기 치환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그 위치에서 연장반응이 종결되므로, 상기 연장된 프라이머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SNP를 나타내는 염기 종류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TaqMan 방법은 (1) 원하는 DNA 단편을 증폭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 및 TaqMan 탐침을 설계 및 제작하는 단계; (2) 서로 다른 대립 유전자의 탐침을 FAM 염료 및 VIC 염료로 표지(Applied Biosystems)하는 단계; (3) 상기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의 프라이머 및 탐침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4) 상기의 PCR 반응이 완성된 후, TaqMan 분석 플레이트를 핵산 분석기로 분석 및 확인하는 단계; 및 (5) 상기 분석결과로부터 단계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검출방법으로는 연장 프라이머 또는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를 형광 표지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염기서열 결정에 사용되는 유전자 분석기(예를 들어, ABI사의 Model 3700 등)를 사용하여 형광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SNP를 검출할 수 있으며, 무-표지된 연장 프라이머 및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MALDI-TOF(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기법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SNP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b) 단계에서 결정된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T 또는 TT를 포함하는 경우, (a) 단계의 개체가 조기진통수축 환자일 때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b) 단계에서 결정된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AA를 포함하는 경우, (a) 단계의 개체가 조기진통수축 환자일 때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이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A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낮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법은 (b) 단계에서 결정된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이 66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CT를 포함하는 경우, (a) 단계의 개체가 조기진통수축 환자일 때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SNP 마커는 리토드린 투여 특이적 ADCY9 유전자 유래 단일 염기 다형성 마커로서,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선정
SNP는 UCSC 게놈 브라우저(USCS genome browser, http://genome.ucsc.edu)를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Haploreg version2를 이용하여 일본인과 중국인의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한 연관 비평형(linkage disequibrilium, LD)을 평가하였으며, Haploview version 4.2를 통해 LD 블록(LD block)을 확인하였다(Ward LD, Kellis M. HaploReg: a resource for exploring chromatin states, conservation, and regulatory motif alterations within sets of genetically linked variants. Nucleic Acids Res 2012; 40:D930-4.; Gabriel SB, Schaffner SF, Nguyen H, Moore JM, Roy J, Blumenstiel B et al. The structure of haplotype blocks in the human genome. Science 2012; 296:2225-9.).
그 결과, SNP로 ADCY9(Adenylate Cyclase 9) 유전자 내 rs879619 및 rs2531995, ADRB2(Adrenoceptor Beta 2) 유전자 내 rs1042719, PDE4B(Phosphodiesterase 4B) 유전자 내 rs598961를 선정하고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실험대상자 선별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서 모집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신 주수 20~36주의 18세 이상의 산모가 조기산통(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이 있고, 자궁경부의 변화를 수반하는 자궁 수축이 10분에 3번 이상이며 사전에 동의한 경우 실험대상자로 포함시켰다. 중증의 태반조기박리(placental abruption), 자간전증, 태아절박가사(fetal distress), 중증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 전치태반(placenta previa) 또는 중증 양막조기파수(spontameous premature membrane rupture)가 있을 경우 실험대상자에서 제외하였으며, 산모나 태아에게 임신의 지속이 위험한 경우, 맥도날드(McDonald) 수술 동안 자궁 수축을 억제하기 위해 리토드린을 복용한 경우, 다른 수축억제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실험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그 결과, 환자 236명 중 163명이 상기 조건에 부합하여 실험대상자로 선별되었다. 실험대상자는 평균 나이 31.0 ± 4.0세, 평균 키 161.3 ± 4.4cm, 평균 체중 62.5 ± 8.5 kg, 체질량 지수 24.0 ± 3.1 kg/m2를 보였다. 산모의 나이, 키, 체중, 체질량 지수, 약물 투여 시 임신 주수, 비숍 스코어(Bishop score) 등의 기본 데이터는 하기 표 1과 같다.
본 실시예의 실험은 헬싱키 선언에 기반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통과하였다.
환자 수 TTD 중위값 (95% CI) P 값
나이
< 30세 59 1168.6 (764.3-1572.8) 0.492
≥30세 104 1040.0 (670.5-1409.5)
< 160 cm 53 1027.2 (580.6-1473.7) 0.419
≥160 cm 110 1168.6 (873.7-1463.4)
체중
< 60 kg 66 978.6 (476.1-1481.0) 0.983
≥60 kg 97 1230.6 (964.5-1496.7)
체질량 지수
< 25 kg/m2 112 1247.8 (940.7-1554.9) 0.934
≥25 kg/m2 51 1040.0 (656.0-1424.0)
약물 투여 시 임신 주수
< 32주 111 1408.1 (1172.8-1643.5) <0.001
≥32주 52 548.0 (272.0-824.0)
Modified Bishop score a
< 3 109 1247.8 (1112.9-1382.8) 0.001
≥3 19 156.9 (25.5-288.3)
a Modified Bishop score는 자궁 경부의 확장(dilation) 및 손상(effacement) 점수의 합으로 이루어짐. Dilatation score: 0, <l cm; 1, 1 to 3 cm; 2, 3 to 5 cm; 3, ≥ 5 cm. Effacement score: 0, 0% to 40%; 1, 40% to 60%; 2, 60% to 80%; 3, ≥80%. 해당 수치에 35명의 결측이 있음.
리토드린은 초기 주입 속도 0.05mg/min로 정맥내주입(IV, intravenous infusion)하여, 적절한 자궁의 반응이 있을 때까지 10분마다 0.05mg/min씩 증가시켰다. 이후 자궁 휴지기에 들어간 환자의 경우 12~24시간 동안 0.05mg/min의 유지 요법을 받았다.
실시예 3. SNP 및 TTD(time to delivery)간의 연관성 검정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고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처리 후 키트(QIAamp DNA Blood Mini Kits, QIAGEN GmbH, Hilden, Mettmann, Germany)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에서 ADCY9, ADRB2 및 PDE4B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ADCY9 및 ADRB2 유전자형은 ABI PRISM SNaPShot 멀티플랙스 키트(ABI PRISM SNaPShot Multiplex kits,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PDE4B 유전자형은 RT-PCR 시스템(ABI 7300, Applied Biosystem, Carlsbad, CA, USA)에 의한 TaqMan® 대립 유전자 식별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TD는 로그-랭크(log-rank)를 이용한 카플란 마이어 생존 데이터 분석(Kaplan-Meier survival data-analysis)를 통해 평가하였고, 콕스의 비례 위험 모델(Cox's proportional-hazards model)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을 실행하였다.
첫 번째 결과 평가 지수로, 약물 투여 후 분만 지연 시간(time to delivery, TTD)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ADCY9 유전자 내 SNP인 rs879619의 마이너 대립 유전자 빈도(minor allele frequency, MAF)는 아시아인에서 27.4%로 다소 높은 빈도로 변이가 나타났으며, 하디-와인버그(Hardy-Weinberg) 평형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대상자 중 82명은 rs879619 야생형 대립 유전자 동형접합자(wild-type allele homozygote)(CC)로, 리토드린을 투여하였을 때, 이들의 TTD 중위값은 811.6시간(95% 신뢰구간: 532.9-1090.4)을 나타내었다. rs879619 변이형 대립 유전자(CT, TT)를 가진 경우, TTD 중위값은 1300.8시간(95% 신뢰구간: 1187.1-1414.5)을 나타내어, 변이형이 있을 때 출산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DCY9 유전자 내 또 다른 SNP인 rs2531995의 MAF는 35.9%로, 이 역시 높은 빈도의 변이를 보였다. 리토드린을 투여하였을 때, rs2531995 야생형 대립 유전자(CC, CT)를 가진 경우 TTD 중위값은 1190.7시간, 변이형 대립 유전자 동형접합자(TT)의 경우 613.9 시간으로, 야생형 대립 유전자가 있을 때 출산이 지연되었다.
상기 결과는 기존 연구의 ADRB2(JE Chung, et al. BMC Genet. 2017 Nov 13;18(1):96.) 및 PDE4D(J Yee, et al. Eur J Clin Pharmacol. 2019 Oct;75(10):1379-1386.)과 유사한 수준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rs879619 동형접합자는 PDE4B rs598961과 단일 염기 유전형을 조합하였을 때, rs879619 단독에 비해 P 값이 낮아져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AF (%) 유전형 환자 수 TTD 중위값 (95% CI) P 값
ADCY9
rs879619 (C>T) a 27.4 CC 82 811.6
(532.9-1090.4)
0.018
CT, TT 79 1300.8
(1187.1-1414.5)
rs2531995 (C>T) 35.0 CC, CT 147 1190.7 (961-1420.4) 0.039
TT 16 613.9 (0-1237.0)
PDE4B
rs598961 (G>A) b 37.1 GG, GA 89 1298.9
(1162.2-1435.7)
0.102
AA 58 828.6
(553.3-1103.9)
ADRB2
rs1042719 (G>C) a 44.5 GG 53 1338.5
(950.1-1727.0)
0.012
GC,CC 109 978.6
(680.5-1276.6)
ADCY9/PDE4B
rs879619/rs598961 c CC/ AA 30 613.9
(172.1-1055.8)
0.004
Others 115 1265.0
(1127.7-1402.2)
a1명 결측, b16명 결측, c18명 결측.
실시예 4. SNP 및 조산 위험성 간의 연관성 검정
약을 처음 투여 받았을 때의 임신 주수, 비숍 스코어, 아드레날린 베타 2 수용체(beta2-adrenergic receptor)의 유전형과 같은 TTD 및 리토드린 약물 반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통제한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s879619의 야생형 대립 유전자 동형접합자(CC)를 가진 경우, 변이형 대립 유전자를 가진 경우보다 조산 위험이 2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모델 I). 또한, rs879619 동형접합자는 PDE4B rs598961과 단일 염기 유전형을 조합하였을 때, 조산 위험이 2.9배로 rs879619 동형접합자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rs879619의 유전형과 조산 위험성 간의 관련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표 3, 모델 II).
모델 I 모델 II
Adjusted HR (95% CI) Adjusted HR (95% CI)
약물 투여 시 임신 주수
(≥2 weeks)
4.0 (2.4-6.9)*** 4.3 (2.5-7.5)***
Modified Bishop score (≥3) 2.1 (1.2-3.9)* 2.2 (1.2-4.0)*
ADRB2 rs1042719 (GC,CC) 1.6 (1.0-2.6) 1.5 (0.9-2.4)
ADCY9 rs879619 (CC) 2.0 (1.3-3.2)**
ADCY9 rs879619
/PDE4B rs598961 (CC/AA)
2.9 (1.7-5.2)***
*p<0.05, **p<0.01, ***p<0.001; Adjusted HR(hazard ratio): 보정 위험비; 95% CI(confidence interval): 95% 신뢰구간.
상기 실시예의 결과는 ADCY9의 유전 변이 중 rs879619, rs2531995 또는 rs879619와 PDE4B의 유전 변이 중 rs598961의 조합이 리토드린의 효과 및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제공하며, 실시예와 같이 조산 위험이 있는 임산부들의 유전 변이 확인을 통해 효과적인 리토드린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Ewha 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120> ADCY9 SNP markers for predicting responsiveness of Ritodrin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Early Labor Contraction and use thereof <130> KPA191717-KR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ADCY9 rs879619 <400> 1 cgggggtgag aggcggctct gagacccccg aggcctgggc acacgggcgt cgtgcccggc 60 tggcatttgc tgtcttggcc tgcatgcatg tgggcgagcc cctaaacccg ctcagtgcag 120 ggagcgcggc tcacccacag cccacggggc 150 <210> 2 <211> 15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ADCY9 rs2531995 <400> 2 gcactgaggt atgcatcgga gcaggggacg gggaggaccc gaggggcttc gtggcccaga 60 gagaacgtct gcactggctg tttaggaagg ctcagggtgt ttgaaagaca acgttaagct 120 ctgggtgagt ctgcacgggg ctgaaccaga 150 <210> 3 <211> 15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PDE4B rs598961 <400> 3 tcctagatgg aaaggttaaa agagtttaat acatttgtcg aatgcaatct aatatgcata 60 ttaatgagct gatggagggc agaaacttac atgctgcata ggaagtactt ttcaaataaa 120 ataaattaat tccattccca ttcattttac 150 <210> 4 <211> 15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ADRB2 rs1042719 <400> 4 cttatctact gccggagccc agatttcagg attgccttcc aggagcttct gtgcctgcgc 60 aggtcttctt tgaaggccta tgggaatggc tactccagca acggcaacac aggggagcag 120 agtggatatc acgtggaaca ggagaaagaa 150

Claims (17)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서 각각 45 및 66번째 염기가 C 또는 T이고,
    상기 각각 45 및 66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5 내지 150개의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조성물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0번째 염기가 C 또는 A이고, 상기 4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5 내지 150개의 연속적인 염기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마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은 리토드린 투여에 따른 효과 또는 부작용인 것인, 마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T 또는 TT인 경우, CC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마커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이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AA인 경우,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이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A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낮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마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의 66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CT인 경우, TT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마커 조성물.
  7.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은 것은 분만 지연 시간이 증가하거나 조산 위험성이 낮아지는 것인, 마커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낮은 것은 분만 지연 시간이 감소하거나 조산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인, 마커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커 조성물을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인 것인, 조성물.
  11. 제9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또는 DNA 칩 키트인 것인, 키트.
  13. 제9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마이크로 어레이.
  14.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커 조성물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하거나 혼성화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증폭되거나 혼성화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b) 단계에서 결정된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T 또는 TT를 포함하는 경우, (a) 단계의 개체가 조기진통수축 환자일 때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방법.
  16.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제2항의 마커 조성물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하거나 혼성화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증폭되거나 혼성화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b) 단계에서 결정된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AA를 포함하는 경우, (a) 단계의 개체가 조기진통수축 환자일 때 서열번호 1의 45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이고 서열번호 3의 40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A인 경우에 비하여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낮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b) 단계에서 결정된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이 66번째 염기가 대립 유전자에서 CC 또는 CT를 포함하는 경우, (a) 단계의 개체가 조기진통수축 환자일 때 리토드린 투여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방법.
KR1020200093980A 2020-07-28 2020-07-28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34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80A KR102343561B1 (ko) 2020-07-28 2020-07-28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80A KR102343561B1 (ko) 2020-07-28 2020-07-28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61B1 true KR102343561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980A KR102343561B1 (ko) 2020-07-28 2020-07-28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748B2 (ja) * 2005-06-24 2012-08-15 公益財団法人新産業創造研究機構 β遮断薬に対する反応性予測に有用な遺伝子多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748B2 (ja) * 2005-06-24 2012-08-15 公益財団法人新産業創造研究機構 β遮断薬に対する反応性予測に有用な遺伝子多型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lena M.P. Teixeira et al., Molecular Immunology, 82, p.137-145, 2017. *
Jianjun Ou et al., Clobal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1, e190003, 2019. *
S. H. Kim et 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36, p.399-405, 2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9516B2 (ja) 染色体異数性の検出方法
EP2700723B1 (en) Nove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combinations of novel and known polymorphisms for determining the allele-specific expression of the IGF2 gene
KR101761801B1 (ko) 코 표현형 판단용 조성물
CA2627230C (en) Association of pde4d allelic variants with stroke
KR102343561B1 (ko)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adcy9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0937144B1 (ko) Dna-메틸전이효소-3b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예후진단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 예측및 판단 방법
KR102343549B1 (ko) 조기진통 환자에 대한 리토드린 투여 반응성 예측용 kcnmb2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100437B1 (ko) 단일염기 다형을 포함하는 대장암과 관련된 폴리뉴클레오티드, 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및 진단 키트 및 그를 이용한 대장암의 진단방법
KR102443042B1 (ko) 직접경구용 항응고제 투여시의 출혈 부작용 예측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77911B1 (ko) 골다공증 골절 발생 예측용 바이오마커
KR101663171B1 (ko) 다운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및 그의 용도
US20210395826A1 (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 for precocious puberty diagnosis or treatment prognosis prediction, and use thereof
KR101617612B1 (ko) 한국인의 고혈압 예측용 snp 마커
KR102181563B1 (ko) 성조숙증 진단 또는 치료 예후 예측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WO201014136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agnosing the occurrence or likelihood of occurrence of testicular germ cell cancer
KR20230036504A (ko) 근감소증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US7618779B2 (en) Chromosome 1p36 polymorphisms and low bone mineral density
US8268562B2 (en) Biomarkers for predicting response of esophageal cancer patient to chemoradiotherapy
KR20170071007A (ko) 시나칼셋 반응성과 연관된 casr 유전자의 단일뉴클레오타이드 다형성 마커 및 그 용도
AU2014202560A1 (en) Nove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combinations of novel and known polymorphisms for determining the allele-specific expression of the igf2 g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