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52B1 -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52B1
KR102343552B1 KR1020210054094A KR20210054094A KR102343552B1 KR 102343552 B1 KR102343552 B1 KR 102343552B1 KR 1020210054094 A KR1020210054094 A KR 1020210054094A KR 20210054094 A KR20210054094 A KR 20210054094A KR 102343552 B1 KR102343552 B1 KR 10234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manufacturing
transfer
straigh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테크원
Priority to KR102021005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는 열교환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동파이프를 신속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여러 공정을 한 제조장치에서 수행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작업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수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완성품 제조 시간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센서에 의한 제조되는 파이프 감지가 가능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완성된 파이프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분사노즐에 의한 에어 분사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 쌓이일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제거하도록 하여 안정된 품질 확보 및 균일한 품질을 갖는 완성된 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고, 제어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하여금 제조되는 파이프의 균일한 품질에 대한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파이프를 제조하는 제조상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COPPER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동파이프를 신속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여러 공정을 한 제조장치에서 수행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작업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수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완성품 제조 시간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센서에 의한 제조되는 파이프 감지가 가능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완성된 파이프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분사노즐에 의한 에어 분사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 쌓이일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제거하도록 하여 안정된 품질 확보 및 균일한 품질을 갖는 완성된 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고, 제어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하여금 제조되는 파이프의 균일한 품질에 대한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파이프를 제조하는 제조상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는 실내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저온상태로 만들고 흡수된 열을 외부에 방출하는 공기조화장치이고, 사이클을 구성하도록 냉매(refrigeran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방장치에 냉매가 순환할 수 있게 각종 배관과 이음새가 필요하다.
만일, 설치되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개별기능을 가지는 부품을 배관에 대하여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배관으로부터 냉매가 공급될 수 있는 다수의 동배관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동배관을 제조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백미터 길이로 이루어진 원자재 동파이프를 일일히 일정한 길이로 절단(예를 들어 대략 6m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동파이프 하나씩 작업자가 직접 제공하게 되는 번거로움으로 작업에 대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동파이프에 대해 절단 작업에 의해 양측 끝단부가 변형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 작업으로 인해 다량의 가공칩이 발생하게 되어 동파이프의 내부에 그대로 다량의 가공칩이 남아 있기에, 이를 그대로 열교환기에 사용하게 되면 다량의 가공칩에 의해 필터와 압축기(특히 실린더 부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고, 심할 경우 냉동장치 전체의 작동 불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35173호의 홈붙이 동관과 그 성형장치 및 방법에는 성형장치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롤러와, 2개의 고정롤러와, 동관이 그 외부로 삽입되어 자기축 주위로 자유로이 회전하며 상기 동관의 내부에 홈을 성형하는 코어다이와, 상기 동관의 일단을 고정하여 축방향으로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롤러가 상승하고, 소정길이로 절단된 동관이 고정롤러 상에 얹히는 동시에 코어다이의 외부로 삽입되어 홈 성형을 개시할 위치에서 삽입이 정지되는 공정과, 가동롤러가 하강하여 고정롤러와의 사이에 동관을 고정하는 공정과, 클램프가 동관을 일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가동롤러 및 고정롤러가 회전하며, 코어다이에 대해 동관을 압착시켜 동관의 내부에 홈을 성형하는 공정과, 동관의 소요 위치까지 홈이 성형되면 클램프의 이동 및 가동롤러와 고정롤러의 회전이 중지되고, 가동롤러가 상승하여 동관을 취출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것인데, 이는 동관을 제조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동관을 미리 절단하여 공급해야 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열교환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동파이프에 대해 신속한 제조가 어렵고, 특히 신속한 제조가 어려워 동관에 대한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자료의 절단 작업,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 작업 및 절단된 동파이프의 양측에 형성된 변형부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 작업 등을 다른 곳에서 실시하는 작업으로 인해 넓은 작업 공간이 필요하여 작업상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여러 작업을 다수 작업자가 실시할 수 밖에 없어 자동으로 제조할 수가 없는 문제로 인해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 작업자의 작업으로 인해 하나의 동관을 제조할 수 밖에 없기에, 이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되어 제조 완성품에 대한 경쟁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전체적인 완성품에 대한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동관을 제조하는데 있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작업자가 일일히 제조장치 또는 성형장치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제조 또는 성형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할 경우 불량품이 최소화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원자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동파이프의 양측에 형성된 변형부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 작업이 실시하기 때문에 이 브러쉬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숙달되지 못할 경우에 안정된 품질 확보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갖는 완성된 동관 제조가 어느 정도는 어려워질 수 있기에 전체적으로 불량품을 최소화시킬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동관 제조장치 또는 성형장치에는 작업자가 작업 공정을 일일히 확인하기 위해 붙어 있어야 하는데 혹여 다른 작업을 하여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 제조되는 불량 동관의 위치 추적이 어려워 불량품을 찾기 위해 다시 완성된 동관을 확인해야 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균일한 동관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는 동시에 동관을 제조하는 제조 및 생산상에 있어서도 효율성이 극대화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특허문허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6854호 (특허문허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2024호 (특허문허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35173호 (특허문허 0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2025호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동파이프를 신속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여러 공정을 한 제조장치에서 수행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작업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수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한 동시에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완성품 제조 시간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에 의한 제조되는 파이프 감지가 가능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완성된 파이프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게 하는 동시에 분사노즐에 의한 에어 분사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 쌓이일 수 있는 이물질을 미연에 제거하게 하여 안정된 품질 확보 및 균일한 품질을 갖는 완성된 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하게 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하여금 제조되는 파이프의 균일한 품질에 대한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파이프를 제조하는 제조상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게 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는 동으로 이루어지고 수백미터 길이로 감겨져 있는 원소재롤링파이프를 거치시키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파이프가 단단한 상태에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직관으로 펴주도록 하는 1차 직관 교정부와, 상기 1차 직관 교정부를 통과한 파이프를 좀 더 정교한 직관으로 이루기 위한 2차 직관 교정부와, 상기 2차 직관 교정부를 통과한 파이프를 고정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클램프와, 상기 이송클램프에 고정된 파이프를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클램프의 이송 작동을 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대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 나이프가 장착되어 있는 회전클램프와,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를 절단 하도록 하는 절단 나이프와, 상기 절단 나이프에 의해 절단된 파이프를 고정시켜 위치 이동시키도록 하는 위치이동 클램프와, 상기 위치이동 클램프에 고정되어 있는 절단된 파이프를 전단 또는 후단을 성형하도록 위치 이동시켜 파이프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해 성형 가공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좌우측 성형헤드부와, 상기 좌우측 성형헤드부를 통해 성형 완료된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는 위치이동 클램프를 다시 원위치시킨 다음 위치이동 클램프에 고정되어 있는 성형 완료된 파이프를 풀어주면 가공되기 전의 파이프에 의해 밀려 완성품 수거부에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2차 직관 교정부를 통과한 파이프를 검출하도록 하는 파이프 검출센서를 2차 직관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의 상단에는 이송되는 파이프에 대한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이상유무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1차 직관 교정부의 전단에는 거치대에서 공급되는 파이프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파이프의 이동을 위해 파이프 이동 가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1차 직관 교정부와 2차 직관 교정부는 공급되는 파이프의 원할한 이동을 위해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롤러의 각각에는 파이프에 대한 원통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롤러의 각각에는 롤러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클램프, 이송레일, 고정클램프, 회전클램프, 절단 나이프, 위치이동 클램프, 좌우측 성형헤드부, 분사노즐에 대한 구동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파이프 검출센서 및 이상유무 감지센서에 대한 검출 및 감지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검출 및 감지된 신호와 제어신호는 관리서버에 전송시킬 수 있으며, 관리서버와 관리자 단말기 간의 상호 연동하여 각 구성부들에 대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동파이프를 신속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와, 여러 공정을 한 제조장치에서 수행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작업 공간이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와,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한 동시에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와, 전체적인 완성품 제조 시간이 최대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한 제조되는 파이프 감지가 가능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완성된 파이프의 불량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와, 분사노즐에 의한 에어 분사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 쌓이일 수 있는 이물질이 미연에 제거되는 효과로 인해 안정된 품질 확보 및 균일한 품질을 이룰 수 있는 완성된 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 하여금 제조되는 파이프의 균일한 품질에 대한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한 효과로 인해 완성품 파이프가 제조되는 제조 및 생산상에 대한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실시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의 세부공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실시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에 있어 성형 및 가공하기 전 상태인 절단된 파이프, 양측 끝단만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양측 끝단이 확관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양측 끝단이 단차로 확관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양측 끝단이 축관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및 양측 끝단이 밀봉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를 각각 보여주기 위한 완성품 파이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기재된 '~부'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교한기 파이프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교한기 파이프 제조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동으로 이루어지고 수백미터 길이로 감겨져 있는 원소재롤링파이프(1)와, 상기 원소재롤링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있는 거치대(2)와, 상기 거치대(2)에 거치된 파이프가 단단한 상태에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직관으로 펴주도록 하는 1차 직관 교정부(3)와, 상기 1차 직관 교정부(3)를 통과한 파이프를 가공 및 성형하도록 하는 세부공정부(4)와, 상기 세부공정부(4)를 통해 가공 및 성형된 완성품을 수거하는 완성품수거부(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상기 세부공정부(4)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완성품을 생산 또는 제조할 수 있도록 가공하거나 하나의 완성품을 대량으로 생산 및 제조할 수 있도록 2개 이상 설비를 구성하여 제조할 수가 있는 것으로, 하기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공정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 원소재롤링파이프(1)는 동으로 이루어지고 수백미터 길이로 이어진 상태에서 감겨져 있고, 이를 거치대(2)를 통해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1차 직관 교정부(3)는 거치대(2)에 거치된 파이프가 단단한 상태에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공급되는 파이프를 1차로 직관이 되도록 펴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1차 직관 교정부(3)의 전단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이프 이동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거치대(2)에서 공급되는 파이프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파이프의 이동을 위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부공정부(4)에는 2차 직관 교정부(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1차 직관 교정부(3)를 통과한 파이프를 좀 더 정교한 직관으로 이루어져 직관파이프(11)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1차 직관 교정부(3)와 2차 직관 교정부(10) 각각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있어 공급되는 파이프의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롤러의 각각에는 외측 둘레에 가이드홈으로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에 대한 원통의 관 형태로 유지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롤러의 각각에는 간격조절부가 구비되어 있어 롤러와 롤러 사이의 파이프의 공급을 위해 원할히 안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세부공정부(4)에는 파이프 검출센서(1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2차 직관 교정부(10)를 통과한 직관파이프(11)에 대한 유무를 검출하여 직관파이프(11)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후 세부공정은 진행되지 않고, 상기 직관파이프(11)가 검출되어 확인되면 이송클램프(13)를 통해 자동으로 고정되고, 이때 직관파이프(11)를 고정시킨 이송클램프(13)는 이송레일(14)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는 상기 이송클램프(13)에 고정된 직관파이프(11)를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클램프(13)를 이송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레일(14)의 상단에는 이상유무 감지센서(1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이송되는 직관파이프(11)에 대한 이상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이송되어 공급되는 직관파이프(11)의 끝단이 휘어지거나 직관파이프(11)의 상태가 변형되는 등의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세부 공정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상유무 감지센서(15)에 의해 이상이 없는 직관파이프(11)로 감지되면 성형 및 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레일(14)에 의해 이송된 직관파이프(11)에 대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고정클램프(16)를 통해 직관파이프(11)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클램프(16)의 후단에는 회전클램프(17)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클램프(1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직관파이프(1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절단 나이프(18)가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클램프(17)에 장착된 절단 나이프(18)는 회전클램프(17)의 회전 작동에 의해 직관파이프(11)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 나이프(18)에 의해 절단된 파이프를 고정시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 클램프(19)가 구비되는데, 이는 절단된 파이프를 후측으로 이동시키고, 절단된 파이프에 대한 전단 또는 후단을 성형하도록 성형 위치 이동시키며, 성형 완료된 파이프를 배출하는 위치로 각각 이동하도록 순착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이동 클램프(19)는 고정되어 있는 절단된 파이프를 후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절단된 파이프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해 성형 가공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좌측 성형헤드부(20)와 우측 성형헤드부(21) 사이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좌우측 성형헤드부(20,21)를 통해 성형 및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성형헤드부(20)에는 에어를 압축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어 파이프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된 가공칩이나 절단칩 또는 다른 이물질(102)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에, 성형 및 가공하기 파이프의 청정도를 유지시킬 수가 있고, 또한 성형 및 가공하기 전 상태인 절단된 파이프(100)의 양측 끝단부에는 절단에 의해 내측으로 절단 변형부(101)가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좌우측 성형헤드부(20,21)의 가공 또는 성형에 의해 제거되는 동시에 완성품을 제조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헤드부(20,21)를 통해 가공 및 성형된 완성품은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양측 끝단만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200), 양측 끝단이 확관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300), 양측 끝단이 단차로 확관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400), 양측 끝단이 축관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500), 양측 끝단이 밀봉 처리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600) 등으로 완성시킬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5가지 완성품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가공 및 성형과정을 통해 더 다양한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은 것으로, 위 5가지 완성품에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좌우측 성형헤드부(20,21)를 통해 완성품이 완료되면, 완료된 완성품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는 위치이동 클램프(19)를 이동시켜 다시 원위치시키게 되고, 이때 위치이동 클램프(19)에 고정되어 있는 성형 완료된 완성품 파이프를 위치이동 클램프(19)에서 풀어주면 가공 및 성형되기 전의 파이프에 의해 밀려나 배출구(23)로 완성품 파이프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출구(23)로 이동된 완성품 파이프는 완성품 수거부(5)로 배출되어 순차적으로 적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측 성형헤드부(20,21)는 완성품의 대량 생산 및 제조하기 위해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제조장치에는 제어부(24)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각각의 구성부들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즉 상기 이송클램프(13), 이송레일(14), 고정클램프(16), 회전클램프(17), 절단 나이프(18), 위치이동 클램프(19), 좌우측 성형헤드부(20,21), 분사노즐(22)에 대한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파이프 검출센서(12) 및 이상유무 감지센서(15)에 대한 검출 및 감지한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4)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기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검출 및 감지된 신호와 제어신호는 관리서버(미도시)에 전송시킬 수 있으며, 관리서버와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간의 상호 연동하여 각 구성부들에 대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23)의 전단에는 비젼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완성품 파이프를 배출하기 전에 가공 및 성형 상태가 규격에 맞는지와 훼손이 발생했는지를 검사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에서 성형 및 가공되는 완성품 파이프의 성형 상태와 규격에 맞는지를 각각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가 있는 동시에 완성품 파이프에 대한 수량을 카운팅할 뿐만 아니라 불량된 파이프를 미리 체크하여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 및 가공된 완성품 파이프인 동관은 열교환기에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이 열교환기에 설치 사용되는 동관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사용되기에, 다양한 형태의 동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동관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기에 전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제어부(24)에 구비된 통신모듈의 통신은 PLC통신과 같은 내부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제조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호 연동할 수가 있고, 또한 LTE, RF,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외부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어 관리자로 하여금 제조장치에 대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는 하나의 공정 흐름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조장치 대한 설비를 2개 이상 구비시켜 다양한 파이프 완성품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공정 라인이 증대되기에 완성품의 생산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좌우측 성형헤드부(20,21)를 교체할 수 있기에 각각 공정라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완성품 파이프가 동시에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원소재롤링파이프 2 : 거치대
3 : 1차 직관 교정부 4 : 세부공정부
5 : 완성품 수거부 10 : 2차 직관 교정부
11 : 직관파이프 12 : 파이프 검출센서
13 : 이송클램프 14 : 이송레일
15 : 이상유무 감지센서 16 : 고정클램프
17 : 회전클램프 18 : 절단 나이프
19 : 위치이동 클램프 20 : 좌측 성형헤드부
21 : 우측 성형헤드부 22 : 분사노즐
23 : 배출구 24 : 제어부
100 : 성형 및 가공하기 전 상태인 절단된 파이프
200, 300, 400, 500, 600 : 완성품 파이프

Claims (3)

  1. 동으로 이루어지고 수백미터 길이로 감겨져 있는 원소재롤링파이프를 거치시키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파이프가 단단한 상태에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원형의 형태를 직관으로 펴주도록 하는 1차 직관 교정부와, 상기 1차 직관 교정부를 통과한 파이프를 좀 더 정교한 직관으로 이루기 위한 2차 직관 교정부와, 상기 2차 직관 교정부를 통과한 파이프를 고정시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클램프와, 상기 이송클램프에 고정된 파이프를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클램프의 이송 작동을 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대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 나이프가 장착되어 있는 회전클램프와,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전에 의해 파이프를 절단 하도록 하는 절단 나이프와, 상기 절단 나이프에 의해 절단된 파이프를 고정시켜 위치 이동시키도록 하는 위치이동 클램프와, 상기 위치이동 클램프에 고정되어 있는 절단된 파이프를 전단 또는 후단을 성형하도록 위치 이동시켜 파이프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해 성형 가공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좌우측 성형헤드부와, 상기 좌우측 성형헤드부를 통해 성형 완료된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는 위치이동 클램프를 다시 원위치시킨 다음 위치이동 클램프에 고정되어 있는 성형 완료된 파이프를 풀어주면 가공되기 전의 파이프에 의해 밀려 완성품 수거부에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2차 직관 교정부를 통과한 파이프를 검출하도록 하는 파이프 검출센서를 2차 직관 교정부의 후단에 구비시키고, 상기 이송레일의 상단에는 이송되는 파이프에 대한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이상유무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클램프, 이송레일, 고정클램프, 회전클램프, 절단 나이프, 위치이동 클램프, 좌우측 성형헤드부, 분사노즐에 대한 구동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파이프 검출센서 및 이상유무 감지센서에 대한 검출 및 감지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검출 및 감지된 신호와 제어신호는 관리서버에 전송시킬 수 있으며, 관리서버와 관리자 단말기 간의 상호 연동하여 상기 이송클램프, 이송레일, 고정클램프, 회전클램프, 절단 나이프, 위치이동 클램프, 좌우측 성형헤드부, 분사노즐에 대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54094A 2021-04-27 2021-04-27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KR10234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94A KR102343552B1 (ko) 2021-04-27 2021-04-27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94A KR102343552B1 (ko) 2021-04-27 2021-04-27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52B1 true KR102343552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94A KR102343552B1 (ko) 2021-04-27 2021-04-27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341A (ko) 2022-11-03 2024-05-14 주식회사 에스디이앤티 제조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관재 조립체 제조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25Y1 (ko) 2000-05-26 2000-11-01 안균호 열교환기용 동관 제조기의 동관 이송장치
KR200202024Y1 (ko) 2000-05-26 2000-11-01 안균호 열교환기용 동관의 제조장치
KR20030093684A (ko) * 2002-06-05 2003-12-11 주식회사 태종씨.엠.이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KR100416854B1 (ko) 2001-06-01 2004-02-05 주식회사 대륭씨앤에이 나선형 동관 제조장치
KR20050021841A (ko) * 2003-08-27 2005-03-07 에이스콤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방열핀 가공장치
KR100650204B1 (ko) * 2005-06-27 2006-11-27 길흥섭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JP2007130668A (ja) * 2005-11-11 2007-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用パイプの製造装置
KR20070096916A (ko) * 2006-03-24 2007-10-02 권영우 열교환용 나선 파이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선파이프 제조 방법
US20100035173A1 (en) 2008-08-11 2010-02-11 Alan Toman Aqueous sulfonate-functional polymer dispers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toner p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1425416B1 (ko) * 2014-02-10 2014-08-01 주식회사 안성에이치이산업 타원형관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1431118B1 (ko) * 2013-12-10 2014-08-18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타원형 단면의 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조장치
KR101829324B1 (ko) * 2017-01-17 2018-02-19 주식회사 현대철강 코일형 철근 가공장치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25Y1 (ko) 2000-05-26 2000-11-01 안균호 열교환기용 동관 제조기의 동관 이송장치
KR200202024Y1 (ko) 2000-05-26 2000-11-01 안균호 열교환기용 동관의 제조장치
KR100416854B1 (ko) 2001-06-01 2004-02-05 주식회사 대륭씨앤에이 나선형 동관 제조장치
KR20030093684A (ko) * 2002-06-05 2003-12-11 주식회사 태종씨.엠.이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KR20050021841A (ko) * 2003-08-27 2005-03-07 에이스콤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방열핀 가공장치
KR100650204B1 (ko) * 2005-06-27 2006-11-27 길흥섭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JP2007130668A (ja) * 2005-11-11 2007-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用パイプの製造装置
KR20070096916A (ko) * 2006-03-24 2007-10-02 권영우 열교환용 나선 파이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선파이프 제조 방법
US20100035173A1 (en) 2008-08-11 2010-02-11 Alan Toman Aqueous sulfonate-functional polymer dispers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toner p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1431118B1 (ko) * 2013-12-10 2014-08-18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타원형 단면의 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조장치
KR101425416B1 (ko) * 2014-02-10 2014-08-01 주식회사 안성에이치이산업 타원형관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1829324B1 (ko) * 2017-01-17 2018-02-19 주식회사 현대철강 코일형 철근 가공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341A (ko) 2022-11-03 2024-05-14 주식회사 에스디이앤티 제조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관재 조립체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5111B (zh) 一种空调换热器芯体氦气检漏用自动输送装置及使用方法
KR102343552B1 (ko) 열교환기 파이프 제조장치
CN104810992A (zh) 定子铁芯自动化生产线
KR100650204B1 (ko)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CN103207185A (zh) 钢卷端部质量检测系统及方法
CN107417139B (zh) 一种真空玻璃支撑物布放装置
TWI730184B (zh) 用於製造鍋爐管之方法及裝置
CN103086186A (zh) 一种成卷布料自动化处理系统
CN104810540B (zh) 电芯加工装置
CN110681598A (zh) 一种管件内外观检查系统及检查方法
CN108145443A (zh) 空调高低压管穿管机
CN210305223U (zh) 一种弯管机及管件加工设备
CN109514230A (zh) 一种手动剃须刀全自动组装设备及其控制方法
CN112222207A (zh) 一种6流方坯连铸机自动热送直轧系统
CN103191918A (zh) 热连轧带钢生产工艺
EP1571513A1 (en) Production evaluation managing system and managing method
CN116197582A (zh) 一种金属建材焊接用冷却设备
CN203843611U (zh) 一种全自动胶辊磨削系统
CN114290073A (zh) 钢轨焊接生产线的智能化管理系统及钢轨焊接生产线
CN104175119A (zh) 一种新型管道弯管自动生产线
CN103302038B (zh) 管件分拣装置
CN106694607A (zh) 盘管高自动化的上料方法及高自动化系列盘管加工设备
US10427226B2 (en) Traveling saw sample cut system
CN113245394B (zh) 不锈钢无缝盘拉盘管和不锈钢无缝直管对接盘管的生产线
CN107737817A (zh) 挤扁管端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